맨위로가기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는 한화 이글스의 홈구장으로, 여러 차례의 리모델링 및 보수 공사를 거쳐 시설을 개선했다. 2012년에는 관람석 증축, 스카이박스 신설, 편의 시설 개선 등이 이루어졌고, 2013년에는 천연 잔디 교체, 전광판 확대, 관람석 특화 등 팬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2014년에는 덕아웃 확장, 외야 비대칭 펜스 구조 도입, 2015년에는 구장 명칭 변경 및 외야 응원석 확장, 2016년에는 응원단상 재설치 및 홈클라우드존 신설, 2017년에는 스카이 라운지 개조 및 편의시설 확충이 진행되었다. 2022년에는 클럽하우스 리뉴얼, 그라운드 흙 교체, 펜스 교체가 이루어졌다. 대전 도시철도 및 버스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공공자전거 서비스도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은 2001년 완공된 대전광역시의 축구 전용 경기장이며, 42,176명을 수용 가능한 반 개폐식 지붕 구조를 갖추고 대전 하나 시티즌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2002년 FIFA 월드컵 16강전 등 다양한 국제 경기를 개최했다.
  • 대전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대전베이스볼드림파크
    대전베이스볼드림파크는 대전광역시에 건설될 예정인 2만 2천석 규모의 개방형 야구장으로, 한밭종합운동장 부지에 1579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국비, 시비, 한화 이글스의 투자를 통해 건설될 예정이다.
  • KBO 리그 경기장 - 사직야구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한 사직야구장은 1985년 완공되어 1986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주요 경기가 개최되었고 롯데 자이언츠 투수 최동원의 등번호 11번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KBO 리그 경기장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1989년에 개장하여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3년 리모델링을 거쳐 2015년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을 개최한 대한민국 수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1964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한밭종합운동장
    한밭종합운동장은 1964년 대전광역시의 체육 발전과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해 개장한 종합 운동 시설로, 과거 대전 시티즌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스포츠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 1964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국립 요요기 경기장
    국립 요요기 경기장은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수영 및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단게 겐조의 설계와 현수 구조 기술이 적용된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다목적 경기 시설이다.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
이전 명칭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위치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373 (부사동)
일반 정보
기공1959년 9월
개장1963년 8월 (시범 경기), 1964년 1월 (준공)
보수2011년–2012년
소유주대전광역시
표면잔디
건설 비용126억 원
수용 인원13,000명
경기장 면적선수장 - 11385 m2, 총 면적 - 22550 m2
크기
좌측 필드 라인100 m
좌측 중앙112 m
중앙122 m
우측 중앙112 m
우측 필드 라인100 m
외야 담장 높이3.2 m
사용 팀
홈 경기장OB 베어스 (1982년–1984년)
한화 이글스 (1986년–2024년)
주요 행사
올스타전KBO 올스타전(1984년, 2003년, 2012년)
리그KBO 리그(1982년~2024년)

2. 리모델링 및 보수 공사

1964년 개장 이후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는 지속적인 리모델링 및 보수 공사를 통해 시설을 개선해왔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6월까지는 130억 원을 투입하여 관람석 증축 (2,800석), 스카이박스 신설(6곳), 주출입구, 여성화장실, 장애인 승강기 증설, 본부석 지붕 교체, 익사이팅 존 설치, 외야 전광판 추가, 불펜 이전, 중계석 및 라커룸, 매점, 편의 시설 개선등이 이루어졌다.[1] 2013년에는 47억을 추가 투입하여 천연잔디 교체, 전광판 크기 확대 (가로 15m→22m), 펜스 확장 (좌우 97m→100m, 중앙 114m→122m), 펜스 높이 개선 (기존 2.8m→좌우 3.2m, 중앙 4.5m)을 진행했다. 또한 외야에 캠핑존(5동), 잔디석, 가족석을 설치하였다.[13] 2014년에는 포수 후면 관람석, 불펜 외야 이설, 1, 3루 덕아웃 확장(길이 20m, 폭 4.5m, 높이 2.6m)등이 이루어졌다.[14]

2015년에는 외야 응원석을 확장하고 구장 명칭을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로 변경했다. 2016년에는 응원단상이 내야로 복귀, 백보드 광고판 설치, 외야 한화L&C 홈클라우드존이 신설되었다. 2017년에는 3루측 외야 스카이 라운지 개조, 내야 테이블석 전체 Qi 규격 휴대전화 무선 충전기 설치, 내야 1층 좌석 전체 컵 홀더 설치가 이루어졌다. 2022년에는 홈팀 클럽하우스 리뉴얼, 그라운드 흙 교체, 내야와 외야 펜스 교체가 진행되었다.

2. 1. 2012년

2011년 12월 13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전면 시설 보수에 착수, 2012년 6월 완공되었다. 기존 1만 398석의 관람석은 1만 3,198석 규모로 2,800석 증축되었으며(내야측 3층 관중석 신설), 스카이박스 6곳이 신설되었다. 주출입구 5곳, 여성화장실 변기 23개, 장애인 승강기 2대가 증설되었고, 본부석 지붕 교체도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익사이팅 존 설치, 외야 좌측에 가로 15m, 높이 8m 규모의 전광판 추가, 불펜을 외야 지역의 실내 공간으로 변경, 중계석 개선, 라커룸 정비, 매점 및 편의 시설 개선이 진행되었다.[1]

2. 2. 2013년

2013년 시즌부터 1차 리모델링에 이어 47억을 추가로 투입하여 인조잔디를 천연잔디로 교체하고, 전광판 크기도 기존 가로 15m에서 22m로 교체하였다. 펜스 확장을 통해 기존 좌우 97m에서 100m로, 중앙 거리 114m에서 122m로 확장했으며, 펜스 높이도 기존 2.8m에서 좌우 3.2m, 중앙 4.5m로 개선했다. 외야 전광판 주변에 텐트를 설치해 편안한 휴식과 함께 야구를 관람할 수 있는 '캠핑존' 5동과 홈런 담장 주변의 잔디 위에서 관람 할 수 있는 '잔디석', 중앙 지정석 좌우에 원목 나무로 만들어진 '가족석'을 특화된 관람석으로 설치하였다.[13]

2. 3. 2014년

한화 이글스2014년 시즌을 앞두고 팬 친화적인 구장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 포수 후면 최고급 관람석 신설
  • 불펜 외야 이설
  • 1, 3루 덕아웃 확장 (외야 쪽 및 그라운드 방향으로 길이 20m, 폭 4.5m, 높이 2.6m)[14]
  • 응원단석 외야 이동


이러한 리모델링을 통해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는 한국 프로야구장 최초로 외야 비대칭 펜스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2. 4. 2015년

2015년, 외야 응원석을 확장하고 구장 명칭을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로 변경했다. 메인 전광판 상단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3루 외야 쪽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했다. 또한 구장 도색, 조형물 설치, 한화 이글스 30주년 현판 설치 등을 진행했다.

2. 5. 2016년

응원단상이 내야로 복귀하였고, 백보드에 광고판이 설치되었으며, 외야에는 한화L&C 홈클라우드존이 신설되었다.

2. 6. 2017년

3루측 외야의 과거 식음료 판매점이었던 곳을 스카이 라운지로 개조했고, 내야 테이블석 전체에 Qi 규격 휴대전화 무선 충전기를 설치했으며, 내야 1층 좌석 전체에 컵 홀더를 설치했다.

2. 7. 2022년

2022년, 홈팀 클럽하우스를 리뉴얼하고, 그라운드의 흙을 교체했으며, 내야와 외야 펜스를 교체했다.

3. 교통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또는 중구청역에서 도보로 1km 거리에 있다.[8] 대전역에서 버스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 시내버스(802번, 119번, 513번, 604번, 52번, 4번)를 이용하여 한화생명이글스파크 정류장 또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8] 대전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타슈'를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장 인근에 100개 이상의 거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9]

4. 기타

대전의 새 야구장 '''대전베이스볼드림파크'''는 개방형 부지면적 88000m2, 건축면적 17500m2(연면적 52100m2) 부지에 총 2만 2000석[15] 규모로 한밭종합운동장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대전일보 :: 대전일보에 비친 험난했던 대전공설운동장 조성 http://www.daejonilb[...]
[2] 웹사이트 交通部(교통부)팀눌러 美軍(미군)『팀』得勝(득승) https://newslibrary.[...]
[3] 웹사이트 대전일보 :: 충청 60년, 대전일보 60년-(13) 대전공설운동장 조성 http://www.daejonilb[...]
[4] 웹사이트 한화, 8일 대전구장 개막전 이벤트 http://news.naver.co[...]
[5] 웹사이트 2009 프로야구 최강 거포군단은 누구? http://news.naver.co[...]
[6] 웹사이트 KBO preseason starts Saturday https://www.koreatim[...] 2012-03-14
[7] 웹사이트 이글스 홈 한밭야구장 그랜드 오픈 http://news.naver.co[...]
[8] 웹사이트 한화생명이글스파크 https://place.map.ka[...] 2024-06-17
[9] 웹사이트 Bike Share Map: Daejeon (Tashu) https://bikesharemap[...] 2024-06-17
[10] 문서 これでネクセンヒーローズ|ヒーローズの本拠地木洞野球場を除いては、全ての球場で『'''BSO'''』表示に変更された。
[11] 뉴스 61年目のリーグ最古の球場で最終戦 通算1000試合超えの左腕も最後の登板<韓国KBOリーグ>(室井昌也)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エキスパート) 2024-09-29
[12] 뉴스 한밭야구장 2013년 시즌 천연잔디 입힌다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13] 뉴스 한밭야구장 천연잔디구장으로 https://news.naver.c[...] 뉴시스
[14] 뉴스 한밭야구장 3차 리모델링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4-02-02
[15] 문서 내야 1만 8300석, 외야 3700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