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청다목적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청댐은 금강에 건설된 대한민국 세 번째로 긴 다목적 댐이다. 1960년대 후반 홍수와 가뭄을 방지하고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건설이 검토되어, 1980년에 완공되었다. 총 저수 용량은 14억 9천만 m³이며, 수력 발전 시설을 갖추고 있다. 댐 건설로 인해 대전광역시의 상수도 공급 체계가 변화하였으며, 주변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댐 주변에는 물 문화관, 자연생태관, 금강 자전거길 등의 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시의 관광지 - 청남대
    청남대는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 별장으로 건설되어 정책 결정 장소로 활용되다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시민에게 개방되어 현재는 충청북도의 관리 하에 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 금강의 댐 - 금강하구둑
    금강하구둑은 충청남도 서천군과 전라북도 군산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금강 하구에 위치하여 철새 도래지로 유명하다.
  • 금강의 댐 - 용담댐
    용담댐은 금강 본류에 건설된 콘크리트 차수벽형 석괴댐으로, 총저수용량 8억 1500만 톤의 저수지를 가지고 호남평야 등에 농업, 생활, 공업용수를 공급하며 홍수 피해를 예방하고 수력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 대전광역시의 관광지 - 유성온천
    유성온천은 백제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온천으로, 근대적 시설을 갖추고 1994년 관광 특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유성온천문화축제가 열리고 대전 도시철도 유성온천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대전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 대전광역시의 관광지 - 1993년 세계 박람회
    1993년 대전에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개발도상국 최초의 공인 엑스포로,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라는 주제 아래 과학 기술 대중화에 기여하며 대전의 과학 도시 이미지를 확립하고 지역 발전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운영 미숙 등의 문제점도 남겼다.
대청다목적댐
Daecheong Dam
대청댐
대청댐
국가대한민국
위치대전광역시
상태운영 중
착공1975년
개장1980년
소유주한국수자원공사
댐 형식흙댐 및 중력댐
댐 높이72m
댐 길이495m
금강
총 저수 용량14억 9천만 m³
유효 저수 용량7억 9천만 m³
저수지 표면적72.8km²
발전소 정보
터빈2 x 45 MW
설비 용량90 MW
추가 정보

2. 지리

대청댐은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긴 강인 금강에 건설되었다.[5] 댐의 위치는 좌안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 우안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덕유리에 위치한다.[8] 댐은 4166km2의 유역 면적을 배수하며, 유역의 토지 이용 패턴은 산림 및 구릉지가 74.5%, 벼농사와 기타 작물 재배지가 16.3%, 도시 지역이 9.2%이다.[4] 이 강은 5개의 주요 지류와 합류하며 수지상 (나무 가지 모양) 배수 패턴을 보인다. 유역은 연평균 1400mm의 강수량을 보이며, 이 중 50% 이상이 여름철인 7월부터 9월 사이에 기록되며, 하루에 100mm 이상을 기록하는 간헐적인 강수 현상이 여러 번 기록되었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의 수문학은 계절성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4] 호수 전체 주변에는 현암사와 문의향교가 위치한 아름다운 도로가 있다.[5]

3. 건설 과정

대청댐은 1960년대 후반부터 반복되는 홍수와 가뭄을 방지하고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건설이 검토되었다. 대청댐 상류인 전북 진안군·장수군, 충북 옥천군 등의 연 강수량은 한반도 평균 강수량보다 100mm가량 많았다. 대청댐은 경제성, 최대 저수량, 배수 능력을 고려해 수문 하단부에는 콘크리트 중력식 댐을 만들고 석괴댐을 결합한 혼합 방식으로 건설되었다.[9]

댐 건설로 대청호 수몰 예정 지역에 살고 있던 4,075세대 26,000명의 지역 주민들은 고향을 잃고 신탄진, 대전 시내를 비롯해 멀게는 경기도 남양 간척지, 산업단지 취락지 등으로 이주하였다.

사업 기간은 1975년 3월부터 1981년 6월까지이며, 총사업비는 1557억이 소요되었다.

4. 시설

대청댐은 중력식 콘크리트댐과 사력식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0년에 완공되었으며, 금강 본류를 막아 대전광역시충청북도 경계에 위치한다. 저수지 주변에는 물의 유출을 막기 위해 3개의 안장 댐이 설치되어 있다.[3][1]

4. 1. 본댐

댐의 형식은 중력식 콘크리트댐 및 사력식댐이다.[8] 길이는 495m, 높이는 72m, 체적은 123만m3, 표고는 EL83.00m이다.[8] 1980년에 완공되었으며, 총 저수 용량은 14억 9천만 세제곱미터이다. 저수지의 수표면 면적은 72km2이다. 댐 건설 이후 하류 지역의 홍수 피해가 실질적으로 예방되었으며 하류 토지의 염도 또한 감소했다.[3][1]

4. 2. 저수지 (대청호)

계획홍수위는 EL 80.00m, 상시만수위는 EL 76.50m, 홍수기 제한수위는 EL 72.00 ~ 76.50m, 저수위는 EL 60.00m이다.[8] 총저수용량은 14.9억m3이고, 유효저수용량은 7.9억m3이다.[8] 저수면적은 72.8km2이다.[8] 평균 수심은 20m이며 평균 체류 시간은 180일이다.[3][1]

1980년에 완공된 대청댐 저수지의 수표면 면적은 72km2이다.[3][1] 저수지로의 연간 유입량은 24.51억m3이다.[3][1] 저수지에서 공급되는 물은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청주시, 전라북도 지역, 군산시, 전주시, 익산시 등을 포함한다.[5][6]

호수의 유기물질 부하(식물과 동물이 기여하여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물 속 유기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척도), Mn (망간))의 변화를 일으킴)는 강우가 많은 6월부터 9월까지 약 78.3%이다.[4]

4. 3. 수력 발전

대청댐에는 설치 용량 90MW의 수력 발전 시설이 있으며, 연간 발전량은 약 2억 4천만 kWh이다.[5][6]

5. 영향

대청댐 비후


댐 건설로 하류 지역의 홍수 피해가 실질적으로 예방되었고, 하류 토지의 염도가 감소했다.[3][1]

대전광역시의 상수도 공급체계는 대청호로 인해 변화했다. 일제강점기인 1934년 현재의 세천 지역에 세워진 하루 평균 3400m3의 수돗물을 생산하는 정수장과 1950~1960년대 건설된 유등천 등에서 수돗물을 얻는 산성취수장, 중리취수장, 신탄진취수장 등이 폐쇄되었다. 이후 대청댐에서 공급되는 물을 월평정수장과 회덕정수장에서 정수하여 시내 전역에 수돗물로 공급하게 되었다. 또한 대전 동구 직동의 작은 산이던 통뫼가 섬이 되었고, 대덕구 황호동에도 2개의 섬이 생겼다.

5. 1. 긍정적 영향

대청다목적댐은 충청, 대전, 청주, 전라 지역, 군산, 전주, 익산 등에 물을 공급한다.[5][6] 댐에는 90MW 용량의 수력 발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약 2억 4천만 kWh의 전력을 생산한다.[5][6]

5. 2. 부정적 영향

댐 건설로 이 지역의 연간 안개 일수가 증가하였고, 가뭄 시에는 호수에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등 환경 변화가 생겼다.[3][1] 저수지의 영양 물질 부하( 부영양화에 대한 기여)는 유역의 농업 유출과 가축 농장에서 발생했다. 호수의 유기물질 부하(식물과 동물이 기여하여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물 속 유기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척도) 변화를 일으킴)는 강우가 많은 6월부터 9월까지 약 78.3%이다.[4]

6. 주변 시설

대청댐 주변에는 대청댐 물 문화관, 대청호 자연생태관, 금강 자전거길 등의 시설이 있다. 대청댐 물 문화관은 2004년 7월 6일 개관하였으며, 대청댐과 물, 금강 주변 지역, 수몰된 마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청호 자연생태관은 대청호에 서식하는 생물과 이주민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금강 종주 자전거길은 대청댐에서 시작되며, 대청댐 자연생태관 앞에 종주인증센터가 있다.

6. 1. 대청댐 물 문화관

대청댐 물 문화관


2004년 7월 6일 대청댐 물 문화관이 건립되었다. 물 문화관은 세 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청댐에 대한 정보, 물의 활용, 금강 주변 지역의 환경적 특징, 대청호 건설로 수몰된 마을의 문화적 측면과 주변 지역 주민들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고 있다. 또한 물 문화관에는 극장, 정보센터, 전망대가 갖춰져 있다.[1]

6. 2. 대청호 자연생태관

대청호 자연생태관에서는 대청호에 서식하는 어류, 곤충, 식물에 관한 표본과 입체 영상 자료를 전시한다. 또한 자연생태관 내 향토관에서는 당시 댐 건설로 이주한 주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6. 3. 금강 종주 자전거길

금강 자전거길은 4대강 자전거길의 하나로, 대청다목적댐에서 시작된다. 대청댐 자연생태관 앞에 종주인증센터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ter Resources Facilities http://english.kwate[...] KOrean Water Resources Organization 2015-11-27
[2] 웹사이트 대전 재발견-대청댐 http://daejonilbo.co[...] Daejeon Libo 2009-10-14
[3] 웹사이트 Application of CE-QUAL-W2 Model to Eutrophication in Daecheong Reservoir Stratified by Turbidity Srorms https://web.archive.[...] National Informatics Centre 2015-11-27
[4] 웹사이트 Effect of a seasonal diffuse pollution migration on natural organic matter http://www.jesc.ac.c[...]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015-11-27
[5] 웹사이트 Daecheong Dam http://tour.cheongju[...] Chengju City, Government of Korea 2015-11-27
[6] 웹사이트 Hydroelectric power station at the Daecheong Dam in South Korea https://web.archive.[...] Asia Europe Energy Policy Network 2015-11-27
[7] 웹사이트 Daecheong Dam Water Culture Center https://web.archive.[...] Official Website of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5-11-27
[8] 웹사이트 한국수자원공사 http://www.k-water.c[...] 한국수자원공사
[9] 뉴스 대전 재발견-대청댐, 홍수·가뭄 걱정 덜고 전기·용수 공급하고…중부권 30년 지켜온 '삶의 젖줄' http://daejonilbo.co[...] 대전일보
[10] 문서 아산호/평택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