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결핵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결핵협회는 결핵예방법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결핵 및 호흡기 질환 예방과 퇴치를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1953년 창립 이후, 결핵균 검사 사업, 결핵연구원 설립, BCG 백신 생산 등 결핵 관련 연구와 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왔다. 현재는 결핵 및 호흡기 질환 예방 홍보, 학술 연구, 백신 생산, 금연 교육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국 지부와 결핵연구원을 두고 있다.

2. 설립 근거

결핵예방법[4]

3. 연혁

연도내용
1953년 11월 6일대한결핵협회 창립
1954년(IUATLD) 가입
1955년사단법인 등기, 시·도 지부 설치 착수
1961년시·도 지부 설치 완료
1962년중앙결핵검사소 창설, 결핵균 검사사업 착수
1963년본회 청사 신축 이전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3가 59-11)
1964년9개 시도 결핵 검사소 설치, 검사요원 배치
1965년제1차 전국결핵실태조사 실시 (결핵 유병률 5.1%)
1970년결핵연구원 설립, 제2차 전국결핵실태조사 실시 (결핵 유병률 4.2%)
1974년현 본부청사 준공 이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6가 121-150)
1976년제10차 (IUATLD) 동부지역 회의 개최
1980년UN 아시아 및 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에 개발도상국을 위한 결핵관리 훈련기관으로 결핵연구원 등재
1984년국제결핵관리 정보조사기구(TSRU) 가입
1987년비시지 생산 시설 준공 (서울특별시 우면동 14번지)
1989년결핵연구원 청사 준공 (서울특별시 우면동 14번지)
1995년결핵연구원, WHO 결핵연구, 교육훈련 및 자문검사소 역할·협력기관 및 WHO 약제 내성감시체계국제자문검사소 지정
1996년한국국제협력단(KOICA)과의 공동협력으로 국제결핵관리 간호사연수과정 신설
1997년국제결핵관리정보조사기구(TSRU) 국제회의 개최
1998년"한국결핵사" 발간, WHO와 국제 결핵균 검사 연수 실시
2000년결핵정보감시체계 출범, 남북협력위원회 발족, 국가결핵관리 정보감시체계 구축
2001년학교순회 흡연예방교육 사업 시작
2005년 2월 16일국제결핵연구센터(ITRC) 설립
2006년 11월 16일국제결핵관리 영상정보시스템(PACS) 출범
2007년 11월 6일국민보건향상을 위한 고객헌장 제정
2008년전국 환자발견사업용 이동검진차량 25대 현대식 Digital 영상진단장치 설치운영
2010년결핵연구원 오송생명과학단지 이전 및 본부 청사(우면동) 이전
2011년노숙인 결핵시설 「미소꿈터」 개소, 취약계층 one-stop 결핵검진 실시
2012년에티오피아 결핵예방 및 퇴치사업 착수


4. 주요 사업


  • 결핵 및 호흡기질환의 예방과 퇴치를 위한 계몽, 홍보, 교육을 실시한다.
  • 결핵 및 호흡기질환에 관한 학술 연구, 발표 및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결핵예방접종 백신(BCG) 및 결핵감염진단시약(PPD)의 생산과 연구를 수행한다.
  •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 홍보를 실시한다.
  • 금연 홍보 및 교육을 진행한다.
  •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의 승인 또는 위탁 사업을 수행한다.

5. 조직

(현재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 없음)

5. 1. 감사

(감사 관련 내용 없음)

6. 소속기관

결핵연구원

7. 지부


참조

[1] 뉴스 대한결핵협회, 2014 크리스마스 씰 증정식 가져 http://www.watcherda[...] 왓처데일리 2014-12-12
[2] 뉴스 대한결핵협회, 북한 해주에 결핵병원 설립 추진 http://www.dailynk.c[...] 데일리NK 2013-11-05
[3] 뉴스 대한결핵협회 “양성 결핵균 재검사 발견율 20% 웃돈다” http://www.lawissue.[...] 로이슈 2014-10-13
[4] 문서 제21조(대한결핵협회)
① 결핵에 관한 조사·연구와 예방 및 퇴치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한결핵협회를 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