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출판문화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출판문화협회는 1947년 창립된 대한민국의 출판 관련 단체이다. 출판문화 향상과 출판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지원, 출판 인력 양성, 국제 교류, 독서 문화 진흥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서울국제도서전 개최, '출판문화' 등 간행물 발행, 우수 도서 선정 및 시상, 저작권 보호 지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설립된 단체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 1952년 설립된 단체 - 미국 국가안보국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국방부 소속의 정보기관으로, 해외 정보 수집 및 분석, 암호 해독, 미국 정부 정보 통신 시스템 보호를 주요 임무로 하며, 설립 사실이 오랫동안 비밀에 부쳐졌으나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 이후 대규모 감시 활동 논란이 일고 있다. - 서울 종로구 - 삼청공원
삼청공원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북한산과 북악산 자락의 울창한 숲, 약수터, 산책로 등을 갖춘 시민 휴식 공간이자 1940년 경성부 최초 공원 중 하나이며, 감사원, 총리공관 등 주요 기관과 인접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이다. - 서울 종로구 - 세종로공원
세종로공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 관아와 한성전보총국이 있던 곳으로, 1992년 지하 주차장 완공과 함께 한글글자마당 등 다양한 기념 조형물이 조성되어 있다. - 출판 -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은 권, 호, 절대 번호 등으로 구분되어 일정한 주기로 발행되는 간행물이며, ISSN으로 식별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편 서비스에서 특별 요금을 적용받는다. - 출판 - 매체 편향
매체 편향은 뉴스 보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패턴을 설명하는 가설로, 광고 편향, 내용 편향, 당파적 편향 등 여러 유형이 존재하며, 광고주, 독자 선호도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여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치적 극단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대한출판문화협회 | |
---|---|
기본 정보 | |
명칭 | 대한출판문화협회 |
영문 명칭 |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
약칭 | KPA |
설립 | 1947년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간동 105-2 |
주요 인물 | 노경태 |
산업 | 출판 및 유통 |
웹사이트 | 대한출판문화협회 공식 웹사이트 (영문) |
2. 주요 사업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출판문화 향상과 국제 교류 증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야 | 주요 사업 내용 |
---|---|
출판 진흥 | 출판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 출판 인력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간행물 납본 대행[1] |
국제 교류 | 서울국제도서전 개최[2] |
독서 문화 진흥 | 책의 날 등 독서 관련 기념일 제정 및 행사 개최, 우수 도서 선정 및 시상 (대한민국 어린이도서상, 대한민국 과학기술도서상, 대한출판문화대상 등) |
출판 지원 | 출판문화, 출판연감 등 정기 간행물 발행 |
2. 1. 출판 진흥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출판문화 향상 및 출판 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한다. 출판 관련 법규 및 제도를 개선하고, 출판 인력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독서 인구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며, '출판문화', '출판연감' 등 관련 간행물을 발행하고, 간행물 납본 대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1]2. 2. 국제 교류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서울국제도서전을 개최하여 한국 출판 산업을 세계에 알리고 국제적인 도서 거래를 촉진한다.[2]2. 3. 독서 문화 진흥
대한출판문화협회는 독서 인구 확대 및 독서 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책의 날 등 독서 관련 기념일을 제정하고 행사를 개최하며, 우수 도서를 선정하여 시상한다. 주요 시상 내역으로는 대한민국 어린이도서상, 대한민국 과학기술도서상, 대한출판문화대상 등이 있다.2. 4. 출판 지원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출판문화 향상, 국제 교류, 독서 인구 확대를 지원하고, 출판문화, 출판연감 등 정기 간행물을 발행하며, 간행물 납본 대행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 역사
1947년 3월 15일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창립된 이후[1] 한국 출판 산업과 함께 성장하며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창립 초기에는 1948년 2월 월간 출판문화를 창간하고,[1] 1952년 3월 26일 법인 인가를 받았으며,[1] 1957년 4월 국제출판협회(IPA) 회원으로 가입하고,[1] 1962년 1월 도서 납본 기관으로 지정되는[1] 등 협회의 기틀을 다졌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출판문화회관 건립, 대한민국 어린이도서상 및 대한민국 과학기술도서상 제정, '이달의 청소년 도서' 선정, '국민 독서의 날' 지정,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APPA) 회원 가입, 서울국제도서전 개최 등 출판 문화 진흥을 위한 사업을 추진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한국복제전송권센터 설립,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 회장 선출, 도서 유통 시스템 현대화 사업, '출판 및 인쇄산업 진흥법' 제정, 국제출판협회 서울 회의 개최, 대한출판문화대상 제정,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설립 추진 등 출판 산업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선정과 2008년 국제출판협회 서울 총회 유치는 한국 출판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3. 1. 창립 초기 (1947년 ~ 1960년대)
1947년 3월 15일,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창립되었다.[1] 1948년 2월에는 월간지 '출판문화'를 창간하였고,[1] 1952년 3월 26일에는 법인 인가를 받았다.[1] 1957년 4월, 국제출판협회(IPA) 회원으로 가입하였으며,[1] 1962년 1월에는 도서 납본 기관으로 지정되었다.[1]3. 2. 발전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5년 6월,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출판문화회관을 설립하였다.[2] 1980년 3월에는 대한민국 어린이도서상을 제정하였고, 1983년 2월에는 대한민국 과학기술도서상을 제정하였다.[2] 1984년 6월부터는 '이달의 청소년 도서' 선정을 시작하였다.[2]1987년 10월 11일, '국민 독서의 날'이 지정되었고,[2] 같은 해 12월에는 '대한출판문화협회 40년사'를 발간하였다.[2] 1992년 8월 25일에는 1993년을 '올해의 책'으로 지정하였다.[2]
1994년 1월 26일,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APPA)에 회원으로 가입하였다.[2] 1995년 5월 17일에는 서울국제도서전을 개최하기 시작했다.[2] 1998년 9월에는 '한국출판협회 50년사'를 발간하였고,[2] 1999년 6월 25일에는 대한출판문화협회 홈페이지(www.kpa21.or.kr)를 개설하였다.[2] 1999년 10월에는 "Books from Korea"를 발간하였다.[2]
3. 3. 도약기 (2000년대 이후)
2000년 6월, 한국복제전송권센터가 설립되었다.[2] 같은 해 8월, 나춘호가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APPA) 회장으로 선출되었다.[2] 2001년 1월에는 도서 유통 시스템 현대화 사업(3개년 계획)에 착수했고,[2] 5월 30일에는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 연례 총회를 개최했다.[2] 10월에는 국제출판협회(IPA) 집행위원회 회원으로 가입했다.[2]2002년 8월 26일, '출판 및 인쇄산업 진흥법'이 공포되었다.[2] 2003년 2월에는 월간지 '출판저널'이 재창간되고 '출판 및 인쇄산업 진흥법'이 제정되었다.[2] 10월에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한국 조직위원회가 공식 발족했다.[2]
2004년 3월, 대한민국은 2004년 방콕 국제 도서전 주빈국으로 선정되었다.[2] 6월에는 2008년 국제출판협회 서울 회의 개최가 공식 발표되었고, 제10회 서울국제도서전이 개최되었다.[2] 10월에는 대한출판문화대상이 제정되었다.[2]
2005년 2월, 대한민국은 2005년 타이베이 국제 도서전 주빈국으로 선정되었고, 박맹호가 제45대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으로 당선되었다.[2] 6월에는 제11회 서울국제도서전이 개최되었다.[2] 10월에는 대한민국이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으로 선정되었다.[2] 11월에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설립을 위한 사업설명회가 개최되었다.[2]
2006년 4월, 2008년 국제출판협회 서울 출판인 회의 조직위원회 및 집행위원회가 구성되었다.[2] 5월에는 나춘호가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 회장으로 연임되었고,[2] 6월에는 2008년 국제출판협회 서울 출판인 회의 조직위원회가 공식 발족하고 'Books from Korea' 웹사이트가 개설되었으며, 제12회 서울국제도서전이 개최되었다.[2]
4. 역대 회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제45대 | 박맹호 | 2005년 2월 ~ ? |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Publisher Association (KPA)
http://www.londonboo[...]
2014-04-13
[2]
웹사이트
Driving the Content Industry Forward: Digital Publishing in Korea 2014
http://www.publisher[...]
Publishers Weekly
2014-04-13
[3]
웹사이트
History
http://eng.kpa21.or.[...]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14-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