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송 리메인즈 더 세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송 리메인즈 더 세임》은 1976년에 개봉한 영국의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콘서트 영화이다. 1969년부터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려는 계획으로 시작되었으나, 여러 문제와 제작비 초과로 인해 1973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촬영된 콘서트 실황과 멤버들의 개인적인 모습, 판타지 시퀀스를 결합한 복합적인 구성을 갖게 되었다. 영화는 밴드의 강압적인 성공을 패러디하는 오프닝 장면과 멤버들의 개성을 표현한 판타지 시퀀스를 포함하며, 1970년대 레드 제플린의 인기와 그들을 둘러싼 여러 상황을 보여준다. 비평가들로부터 아마추어적인 제작 방식과 자만심 넘치는 내용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2007년에는 새로운 DVD판이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영상 음반 - Live aus Berlin
Live aus Berlin은 독일 밴드 람슈타인의 라이브 앨범이자 비디오로, 다양한 버전으로 발매되었으며, 1999년 발매 이후 여러 국가에서 차트 진입 및 판매량 인증을 받았다. - 1999년 영상 음반 - S&M (음반)
메탈리카가 마이클 케이먼 지휘 아래 샌프란시스코 심포니와 협연하여 샌프란시스코 커뮤니티 극장에서 라이브로 공연한 실황을 담은 음반인 S&M은 오케스트라와 함께 편곡한 기존 곡들과 두 개의 신곡을 포함하여 상업적 성공과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콘서트 영화 - 샤인 어 라이트
《샤인 어 라이트》는 마틴 스콜세지 감독이 롤링 스톤스의 2006년 비컨 극장 공연 실황을 담아 2008년에 개봉한 콘서트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콘서트 영화 - 루드 보이 (영화)
《루드 보이》는 펑크 록 밴드 더 클래시의 투어 매니저가 된 레이 갱의 이야기를 따라가며 공연 실황과 인터뷰를 담은 1980년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지만 밴드 멤버들에게 비판받았다. - 피츠버그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나와 친구, 그리고 죽어가는 소녀
《나와 친구, 그리고 죽어가는 소녀》는 백혈병에 걸린 친구 레이첼을 돕기 위해 친구 얼과 함께 단편 영화를 만드는 17세 고등학생 그렉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우정, 성장, 삶과 죽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감동을 자아낸다. - 피츠버그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내겐 너무 과분한 그녀
《내겐 너무 과분한 그녀》는 제이 바루첼과 앨리스 이브 주연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피츠버그 국제공항 TSA 요원 커크 케트너와 파티 플래너 몰리 매클리시의 만남과 사랑, 커크의 고민과 성장을 그리고 있으며, 비평가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더 송 리메인즈 더 세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피터 클리프턴 조 마소 |
출연 | 존 본햄 존 폴 존스 지미 페이지 로버트 플랜트 |
음악 | 레드 제플린 |
촬영 | 어니스트 데이 |
편집 | 험프리 딕슨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
상영 시간 | 138분 |
국가 | 영국 미국 |
언어 | 영어 |
흥행 수익 | 1200만 달러 |
2. 제작 배경
1969년 말부터 레드 제플린은 라이브 공연을 촬영하여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려는 계획을 세웠다.[4] 피터 그랜트는 텔레비전의 음질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여겨, 텔레비전보다는 대형 스크린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다.[4] 1970년 1월 9일, 로열 앨버트 홀 공연이 촬영되었으나, 밴드는 공연에 만족하지 못해 프로젝트가 보류되었다.[4] 이 영상은 2003년 레드 제플린 DVD에 포함되었다.
영화는 단순한 콘서트 실황을 넘어, 밴드 멤버들의 개인적인 모습과 환상적인 장면들을 함께 보여준다. 1973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 실황을 중심으로, 각 멤버들의 음악적 비전과 개성을 담은 판타지 시퀀스가 삽입되어 독특한 구성을 이룬다.
1973년 밴드의 미국 투어 중 매니저 피터 그랜트는 감독 조 매소트에게 영화 제작을 제안했다.[7] 1973년 7월 27일, 7월 28일, 7월 29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세 번의 콘서트가 35mm 필름으로 촬영되었다.[7] 촬영 후, 제작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감독이 피터 클리프턴으로 교체되었다.[7] 1974년 8월, 셰퍼턴 스튜디오에서 매디슨 스퀘어 가든 무대를 재현하여 부족한 영상을 추가 촬영했다.[10] 존 폴 존스는 머리를 짧게 잘랐기 때문에 가발을 써야 했다.[7][11] 1975년, 로버트 플랜트의 교통사고로 인해 추가 촬영 계획이 무산되었다.[9]
영화는 예정보다 18개월 늦어진 1976년에 완성되었으며, 제작비 초과로 인해 "역대 가장 비싼 홈 비디오"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4]
3. 영화 내용
영화는 매니저 피터 그랜트와 투어 매니저 리처드 콜이 갱스터로 분장하여 해적판 업자를 처단하는 장면으로 시작하는데, 이는 레드 제플린의 강압적인 성공을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7] 이후 멤버들은 각자의 가족과 함께하는 모습, 전용기를 타고 뉴욕으로 향하는 모습 등 개인적인 장면들을 보여준다.
매디슨 스퀘어 가든 콘서트 장면에서는 각 곡에 맞춰 멤버들의 환상 장면이 삽입된다. 존 폴 존스는 복면을 쓴 괴한으로 등장하여 폭력을 행사하지만, 집에서는 따뜻한 가장의 모습을 보여준다.[7] 로버트 플랜트는 켈트 신화 속 왕자처럼 귀부인을 구출하려 하지만, 결국 환상처럼 사라지는 장면을 연기한다.[7] 지미 페이지는 산 정상에서 타로 카드의 은자를 만나고, 그 은자의 얼굴이 자신의 얼굴로 변하는 환상을 경험한다.[7] 존 보넘은 환상 장면 대신, 농장 관리, 오토바이 질주 등 자신의 실제 모습을 보여준다.[7]
영화에는 백스테이지 모습, 무허가 상품 판매에 분노하는 피터 그랜트의 모습, 호텔에서 발생한 매출금 도난 사건을 보도하는 뉴스 필름 등도 삽입되어 있다.[7][9] 드레이크 호텔 도난 사건은 결국 해결되지 못했고, 범인으로 의심되는 호텔 직원은 사건 직후 자메이카로 도망갔다는 의혹이 있다.[9]
이처럼 영화는 콘서트 실황, 멤버들의 개인적인 모습, 환상적인 장면들을 통해 레드 제플린의 음악 세계를 다각도로 보여주며, 그들의 인기와 성공 이면에 감춰진 이야기들을 엿볼 수 있게 한다.
3. 1. 세트리스트
영화에 포함된 곡들은 다음과 같다. 콘서트 연주곡 외에 "Autumn Lake", "브론-이-어", "천국으로 가는 계단" (엔딩) 등이 사용되었다.[1]
4. 개봉 및 평가
이 영화는 1976년 10월 21일 뉴욕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1977년까지 약 100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흥행에 성공했다.[4] 뉴욕 초연에는 Showco에서 임대한 쿼드러포닉 음향 시스템이 장착되었다.[7] 그러나 비평가들은 영화의 아마추어적인 제작 방식과 자만심 넘치는 내용, 특히 판타지 시퀀스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4][13]
조세 회피로 인해 2년 넘게 라이브 공연을 하지 못했던 영국에서는 특히 성공하지 못했다.[14] 하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Led Zeppelin DVD가 출시되기 전까지 밴드의 라이브 공연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공식 영상 자료였기 때문에 심야 영화관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고,[9] 이후 비디오와 DVD로 출시되면서 팬층이 꾸준히 증가했다.[4]
일부 밴드 멤버들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이 평균 수준에 불과하다고 평가했지만, 1976년 New Musical Express와의 인터뷰에서 페이지는 이 영화가 그 당시 밴드의 모습을 솔직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존스는 이 영화가 "엄청난 타협"이라고 인정했고, 플랜트는 "엉터리"라고 비난했다.[15]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이 영화가 밴드의 전성기를 포착한 역사적 문서이자, 1970년대 음악 및 쇼 비즈니스 산업의 과잉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한다.[16] Mojo 잡지는 2007년 재개봉 리뷰에서 별 다섯 개 중 네 개를 부여했다.[17] 로튼 토마토에서는 1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75%의 평점을 받았다.[18]
2007년 11월 20일, 워너 홈 비디오는 오리지널 콘서트의 15곡을 모두 담은 새로운 DVD 버전을 발매했다. 이 DVD는 새롭게 리믹스 및 리마스터링된 사운드와 5.1 돌비 디지털 및 DTS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며, 미공개 공연 영상과 BBC 인터뷰 등 40분 이상의 보너스 자료가 추가되었다. 블루레이 및 HD DVD로도 출시되었다. 법적인 문제로 인해 밴드는 재발매를 위해 영화의 비디오 부분을 변경하지 않기로 결정했다.[9] 대신, 사운드 엔지니어 케빈 셜리가 오디오 부분을 새롭게 믹스하여 영화의 화면과 더 잘 맞도록 만들었다.[23]
5. 출연진
출연진은 레드 제플린의 멤버들과 그들의 매니저, 투어 매니저 등 주변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 하위 섹션에서 주연과 조연의 구분이 의미가 없으므로, 테이블 하나로 통합하고 "주연" 헤더만 남겼습니다.
- 중복되는 내용을 제거하고 간결하게 작성했습니다.
5. 1. 주연
5. 2. 조연
6. 제작진
레드 제플린 | 추가 인원 |
---|---|
7. 차트 순위 및 인증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하여 1977년까지 약 10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4] 그러나 비평가들은 아마추어적인 제작과 자만심 넘치는 내용, 특히 판타지 시퀀스에 대해 혹평했다.[4][13] 밴드가 조세 회피로 인해 2년 넘게 라이브 공연을 하지 못했던 영국에서는 특히 성공하지 못했다.[14]
하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인기를 유지했으며, 심야 영화관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고,[9] 이후 비디오와 DVD로 출시되면서 팬층이 꾸준히 증가했다.[4] 로튼 토마토에서는 1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75%의 평점을 받았다.[18]
7. 1. DVD
2007년 11월 20일, 워너 홈 비디오는 오리지널 매디슨 스퀘어 가든 콘서트의 15곡을 모두 담은 새로운 DVD판 《더 송 리메인즈 더 세임》을 처음으로 발매했다.
이와 동시에 영화의 사운드트랙을 재발매하여 CD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DVD는 새롭게 리믹스 및 리마스터링된 사운드, 5.1 돌비 디지털 및 DTS 서라운드 사운드를 오리지널 마스터 트랙으로 제공하며, "오버 더 힐스 앤드 파 어웨이"와 "셀러브레이션 데이"의 미공개 공연 영상과 "미스티 마운틴 홉" 및 "더 오션" 공연, 희귀한 1976년 BBC 인터뷰, 드레이크 호텔 강도 사건의 빈티지 TV 영상, 카메론 크로우 라디오 쇼 등 40분 이상의 보너스 자료가 추가되었다. 이 버전은 일반 DVD뿐만 아니라 블루레이 및 HD DVD로도 출시되었다.
오리지널 앨범 커버가 있는 티셔츠, 뉴욕 공연의 플래카드, 여러 개의 광택 사진이 포함된 콜렉터스 에디션 박스 세트도 출시되었다.
법적인 문제로 인해 밴드는 재발매를 위해 영화의 비디오 부분을 변경하지 않기로 결정했다.[9] 대신, 사운드 엔지니어 케빈 셜리는 1973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콘서트 3개의 오디오 부분을 영화의 화면과 더 잘 맞도록 완전히 새로운 믹스를 만들었다. 새로운 CD 발매의 오디오는 새로운 DVD 발매의 사운드트랙과 거의 동일하다. 한 가지 차이점은 오리지널 영화에 포함되지 않은 노래가 DVD의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는 것이다.[23]
7. 2. 인증
지역 | 제목 | 음악가 | 형식 | 인증 | 판매량 | 인증 연도 |
---|---|---|---|---|---|---|
영국 | 더 송 리메인즈 더 세임 | 레드 제플린 | 비디오 | 6× 플래티넘 | 6 | 2014 |
참조
[1]
간행물
Top Concert/Performance Films Released in U.S. – 1969–90
1990
[2]
서적
Led Zeppelin
Orion Books
1994
[3]
웹사이트
Led Zeppelin Readies Fall Reissue Bonanza
https://www.billboar[...]
2021-05-17
[4]
서적
Led Zeppelin: The Story of a Band and Their Music: 1968–1980
https://archive.org/[...]
Backbeat Books
[5]
웹사이트
20-30 minutes of colour footage of Led Zeppelin performing at Bath Festival in 1970 exists
https://ledzepnews.c[...]
2023-06-10
[6]
서적
Led Zeppelin: The Concert File
Omnibus Press
1997
[7]
서적
Peter Grant: The Man Who Led Zeppelin
Omnibus Press
2002
[8]
서적
Peter Grant: The Man Who Led Zeppelin
Omnibus Press
2010-10-14
[9]
문서
The Song Remains the Same
2007
[10]
웹사이트
Inside the filming of Led Zeppelin at Shepperton Studios: The Genesis of the project
https://ledzepnews.c[...]
2024-11-07
[11]
간행물
The Secret Life of a Superstar
2007-12
[12]
간행물
Jimmy Page, 'Mission Accomplished.'
2008-05
[13]
웹사이트
Led Zeppelin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08-11-11
[14]
서적
The Tight But Loose Files: Celebration II
Omnibus Press
2003
[15]
간행물
The Keeper of the Flame
2007-12
[16]
서적
St. James Encyclopedia of Popular Culture
St. James Press
1999
[17]
간행물
Vanity Fair!
2007-12
[18]
웹사이트
The Song Remains the Same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19]
웹사이트
The Top 100 - 2003
http://lista.vg.no/a[...]
lista.vg.no
2009-01-19
[20]
웹사이트
The Top 100 - 30 March 2005
http://pop.yle.fi/li[...]
pop.yle.fi
2009-01-19
[21]
웹사이트
Top 20–20 March 2008
http://www.fimi.it/c[...]
FIMI
2009-01-19
[22]
웹사이트
Top 20 DVDs - 6 April 2008
http://www.mahasz.hu[...]
MAHASZ
2009-01-19
[23]
뉴스
Kevin Shirley Talks about Revisiting Led Zeppelin's The Song Remains The Same
http://www.moderngui[...]
Modern Guitars Magazine
2007-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