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트 데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스트 데블은 1992년에 개봉한 리처드 스탠리 감독의 호러 영화이다. 나미비아를 배경으로, 의인화된 사막 바람인 더스트 데블이 인간을 사냥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여러 편집 과정을 거쳤으며, 평론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미비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는 마이클 베이 감독, 마크 월버그 주연의 2017년 SF 액션 영화로, 트랜스포머와 인류의 오랜 역사 속에서 옵티머스 프라임이 사이버트론 재건을 위해 지구의 고대 유물을 찾는 갈등을 다루며, 아서 왕 전설, 제2차 세계 대전 등 다양한 시대적 배경과 화려한 시각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영화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이다. - 나미비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킹 솔로몬
킹 솔로몬은 솔로몬 왕의 광산을 찾아 모험을 떠나는 영화로, 실종된 아버지를 찾기 위해 모험가 앨런 쿼터메인이 독일군 대령과 노예 상인에게 맞서며 보물을 찾고 탈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나미비아에서 촬영한 영화 - 레드 스콜피온
레드 스콜피온은 냉전 시대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소련 특수부대원이 반공 게릴라 지도자 암살 임무 중 소련에 환멸을 느끼고 게릴라 편에 서는 액션 영화로, 리건 독트린 옹호 시각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지원 논란이 있었다. - 나미비아에서 촬영한 영화 - 더 셀
영화 《더 셀》은 아동 심리학자가 혼수상태에 빠진 연쇄 살인범의 정신 속으로 들어가 마지막 희생자를 구출하려는 스릴러 영화로, 강렬한 시각 효과와 독특한 미술이 특징이다. - 1992년 영화 - 붉은 사슴비
붉은 사슴비는 FBI 요원이 사우스다코타 원주민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을 수사하며 원주민 권리 운동과 관련된 음모에 휘말리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 1992년 영화 - 스쿨 타이
스쿨 타이(School Ties)는 1992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로, 1955년 미식축구 장학생으로 명문 사립학교에 입학한 유대인 데이비드 그린이 차별과 갈등을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더스트 데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 | |
제목 | 더스트 데블 |
원제 | Dust Devil |
감독 | 리처드 스탠리 |
제작 | 조앤 셀라 |
각본 | 리처드 스탠리 |
출연 | 로버트 존 버크 첼시 필드 자케스 모카에 존 마츠히키자 |
음악 | 사이먼 보스웰 |
촬영 | 스티븐 치버스 |
편집 | 데릭 트리그 폴 칼린 |
제작사 | 팰리스 픽처스 필름 포 인터내셔널 |
배급사 | 폴리그램 비디오 |
개봉일 | 1992년 |
상영 시간 | 108분 |
국가 | 영국 |
2. 줄거리
나미비아에서 상고마인 조 니먼드는 인간을 사냥하는 의인화된 사막 바람, 더스트 데블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이 더스트 데블은 자신을 차에 태워준 여성을 살해하고 집을 불태운 뒤 시신을 차에 유기한다.
한편, 나미비아의 베다니 마을의 벤 무쿠로브 경사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사는 웬디 로빈슨은 각각 이상한 목소리의 전화를 받는다. 다음 날, 더스트 데블은 살해한 여성의 집을 불태우고 그녀의 차를 타고 떠난다. 요하네스버그에서는 남편 마크가 외도를 의심하자 웬디는 그를 떠나 나미비아로 향한다. 살인 현장을 조사하던 벤 무쿠로브 경사와 베이먼 대위는 벽에서 기이한 그림 문자를 발견하고, 조 니먼드는 그것이 마법의 상징이라고 알려주지만 무쿠로브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도로 위에서 웬디는 더스트 데블을 우연히 차에 태워주게 된다. 더스트 데블은 자신과 같은 존재를 히치하이킹하는 것을 보고 웬디에게 그냥 지나치라고 말한 뒤 차에서 사라진다. 이후 경찰은 웬디가 더스트 데블을 태웠던 장소 근처 캠핑카에서 사람의 뼈를 발견한다. 웬디는 작은 모텔에서 밤을 보내며 자살을 시도하지만 스스로 멈춘다. 다음 날 아침, 차 안에서 더스트 데블을 다시 만난 웬디는 그로부터 전날 자신이 잠들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한편, 베이먼 대위는 무쿠로브에게 1908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사 살인 사건 기록을 전달한다.
웬디와 더스트 데블은 피쉬 리버 캐니언에 도착하고, 웬디의 남편 마크도 그녀를 찾아 나미비아에 도착한다. 조 니먼드는 무쿠로브에게 이 살인 사건이 '나흐트롤러'라는 형상 변환 악마의 소행이며, 그가 의식 살인을 통해 물질 세계에서 힘을 얻는다고 설명한다. 나흐트롤러는 의식을 위해 계속 이동해야 하지만, 노브키리인 키에리 스틱을 넘게 하면 한 곳에 묶어 힘을 빼앗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조는 무쿠로브에게 키에리 스틱과 신성한 뿌리를 주며, 나흐트롤러를 죽인 후 그에게 빙의되는 것을 막기 위해 태우라고 당부한다.
웬디는 더스트 데블의 소지품에서 사람의 손가락을 발견하고 그가 자신을 죽이려 하자 도망친다. 무쿠로브와 마크가 그들을 추격하지만, 더스트 데블이 일으킨 먼지 폭풍 속에서 차 사고를 당한다. 무쿠로브는 마크를 차에 남겨두고 "나흐트롤러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사람만 데려간다"며 자신에게 기회가 있다고 말하며 폭풍 속으로 들어간다. 그는 버려진 마을 콜만스코프에 도착한 웬디를 발견하지만 더스트 데블에게 칼에 찔린다. 무쿠로브는 죽기 전 키에리 스틱으로 더스트 데블의 길을 막고, 웬디는 무쿠로브의 산탄총으로 자신에게 사랑을 외치는 더스트 데블을 사살한다.
웬디는 마크와 차를 지나쳐 사막으로 걸어가고, 길에 누워 육군의 카스피르 장갑차를 세운다. 조 니먼드는 웬디가 더스트 데블에게 사로잡혔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2. 1. 주요 등장인물
- '''존 마시키자''' - '''조 니먼드''' / 내레이터: 나미비아의 상고마로, 영화의 해설자 역할을 한다. 더스트 데블의 정체와 약점을 벤 무쿠로브 경사에게 설명하며 그를 돕는다.
- '''로버트 존 버크''' - '''더스트 데블''': 인간의 형상을 한 사막의 악령. "나흐트롤러"라고도 불리며, 의식적인 살인을 통해 힘을 얻는다. 웬디 로빈슨을 만나 동행하지만 결국 그녀를 해치려 한다.
- '''첼시 필드''' - '''웬디 로빈슨''':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남편과의 불화 끝에 나미비아로 떠난 여성. 우연히 더스트 데블을 차에 태우게 되면서 사건에 휘말린다. 위기 속에서 강인한 모습을 보이며 결국 더스트 데블과 맞선다.
- '''자크스 모케''' - '''벤 무쿠로브''' 상사: 베다니 마을의 경찰 상사. 더스트 데블과 관련된 기이한 살인 사건을 수사한다. 처음에는 회의적이었으나 점차 사건의 초자연적인 본질을 받아들이고 조 니먼드의 도움을 받아 더스트 데블을 추적한다. 콜만스코프에서 더스트 데블에게 살해당한다.
- '''루퍼스 스와트''' - '''마크 로빈슨''': 웬디 로빈슨의 남편. 아내를 의심하고 다툰 후, 그녀를 찾아 나미비아로 온다. 더스트 데블을 쫓는 과정에 합류하지만 큰 역할은 하지 못하고 사고에 휘말린다.
- '''윌리엄 후트킨스''' - '''코르넬리우스 베이먼''' 대위: 벤 무쿠로브 상사의 동료 경찰관. 사건 초기 수사를 돕고 과거 유사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테리 노턴''' - '''사르케 하르호프''': 더스트 데블의 초기 희생자 중 한 명.
3. 제작
리처드 스탠리 감독은 전작 ''하드웨어''(Hardware)가 100만파운드의 저예산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57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성공을 거두었다.[4] 스탠리는 이 성공을 바탕으로 차기작을 준비했으며, ''더스트 데블''은 나미비아에서 전적으로 현지 촬영되었다. 영화는 '나디에프'(Nhadiep)로 알려진 남아프리카의 실제 연쇄 살인범 이야기와[4] 스탠리 감독 자신이 1984년에 촬영했던 미완성 16mm 학생 단편 영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10] 이 단편은 나미비아 베타니 마을 주변의 미해결 연쇄 살인 사건을 다루었으며, 당시 주민들은 초자연적인 존재의 소행이라 믿었다.[5]
스탠리 감독은 ''더스트 데블''이 특정 장르에 국한되지 않지만, 이탈리아 지알로 영화나 세르지오 레오네의 스파게티 웨스턴 등 다양한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5][6] 그는 영화의 배경을 나미비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던 시기로 설정하여 역사적 맥락을 더했다.[6]
영화 제작은 1990년 3월 나미비아의 독립 이후 본격화되었다.[5] 스탠리는 ''하드웨어''의 프로듀서 조앤 셀라(JoAnne Sellar)와 다시 협력하여 280만파운드의 제작비를 확보했다.[5] 시나리오는 나미비아 정보방송부의 승인을 받았으며,[5]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력과 장비를 활용하여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출신의 다국적 제작진이 구성되었다.[5]
3. 1. 제작 과정

리처드 스탠리 감독은 전작인 ''하드웨어''(Hardware)가 100만파운드의 예산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57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거두는 성공을 경험했다.[4] 그는 첫 시나리오가 거절당한 후, 제작자들에게 자신이 상업 영화를 만들 능력이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드웨어''를 만들었다고 밝혔다.[4] ''더스트 데블''은 그의 이러한 성공 이후 만들어진 작품으로, 나미비아 현지에서 전체 촬영이 진행되었다. 영화는 나디에프(Nhadiep)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남아프리카의 실제 연쇄 살인범 이야기를 바탕으로 재구성되었다.[4] 이 이야기는 이전에 데이비드 위치(David Wicht) 감독의 영국 영화 ''윈드프린츠''(Windprints, 1989)에도 영감을 주었다.[5]
''더스트 데블''의 직접적인 기원은 스탠리 감독이 1984년에 촬영했던 미완성 16mm 학생 단편 영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단편은 나미비아의 베타니 마을 주변에서 발생한 기이한 연쇄 살인 사건을 다루었다.[10] 당시 당국이 범인을 잡지 못하자, 지역 주민들은 이 살인이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저질러졌다고 믿게 되었다.[5] 결국 경찰은 범인으로 추정되는 남성의 시신을 가지고 마을로 돌아왔으나, 시신에는 머리가 없어 주민들이 신원을 확인할 수 없었다.[5] 이 남성은 이후 "나디에프"라고 표시된 무덤에 묻혔다.[5]
스탠리 감독은 자신의 영화가 처음부터 호러 영화로 기획된 것은 아니지만, 장르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했다.[5] 그는 이탈리아 지알로 영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으며,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의 ''엘 토포'', 루이스 부뉴엘의 ''사막의 시몬'',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의 ''성 마태오 복음'', 그리고 세르지오 레오네의 ''옛날 옛적 서부에서''와 같은 작품들에서도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5] 특히 스탠리는 ''더스트 데블''을 이탈리아 ''지알로''와 세르지오 레오네의 스파게티 웨스턴의 결합으로 묘사했다. 그는 석양의 무법자를 예로 들며, 레오네 영화 속 인물들이 미국 남북 전쟁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금을 찾아 헤맸던 것처럼, ''더스트 데블''의 인물들은 1989년 나미비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이라는 유사한 역사적 격동기를 배경으로 살인 사건과 엮이게 된다고 설명했다.[6] 또한, 미켈레 소아비 감독의 영화 ''악마의 딸''에서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는 푸른 빛깔을 사용하여 신성한 힘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방식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덧붙였다.[6]
영화의 나미비아 현지 촬영은 1990년 3월 나미비아의 독립 이후 가능해졌다.[5] 스탠리는 ''하드웨어''에서 함께 작업했던 프로듀서 조앤 셀라(JoAnne Sellar)에게 시나리오를 제안했고, 셀라는 ''더스트 데블'' 제작을 위해 280만파운드의 예산을 확보했다.[5] 시나리오는 나미비아 정보방송부의 승인을 거쳤으며,[5] 제작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어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출신의 다국적 제작진이 구성되었다.[5]
후반 작업은 1991년 런던에서 시작되었으나 순탄치 않았다.[7] 스탠리 감독은 처음에 120분 분량으로 편집했지만, 이를 110분으로 줄였다.[7] 그는 이 편집본이 유럽과 영국 개봉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영국의 투자자들은 동의하지 않고 영화를 95분으로 다시 편집했다. 이 95분 버전은 윔블던에서 시사회를 가졌으나, 스탠리는 첫 장면 상당 부분이 잘려나가 관객들이 "분명 혼란스러워했다"고 회상했다.[7] 시사회 이후 스탠리는 이전 편집본이 더 낫다고 주장하며 110분에서 120분 사이의 "확장된 유럽판"을 요구했지만,[7] 결국 영화는 87분으로 더욱 축소되었다.[7] 설상가상으로 1992년 4월, 배급사였던 팰리스 픽처스(Palace Pictures)가 재정난에 부딪히면서 영국 내 영화 배급이 철회되는 어려움을 겪었다.[7]
3. 2. 편집 과정
''더스트 데블''의 후반 작업은 1991년 런던에서 시작되었다.[7] 리처드 스탠리 감독은 처음에 120분 분량의 영화를 편집했으나, 이후 110분으로 줄였다.[7] 스탠리는 이 110분 편집본이 유럽과 영국 배급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했지만,[7] 영국 재정 지원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영화를 95분으로 다시 편집했다. 이 95분 버전은 윔블던에서 시사회를 가졌으나, 스탠리에 따르면 첫 장면 상당 부분이 잘려나가 관객들이 혼란스러워했다.[7] 스탠리는 이 시사회 이후 원래 편집본이 더 낫다고 주장하며 110분에서 120분 사이의 "확장된 유럽판"을 요구했다.[7] 하지만 그의 요구와 달리 영화는 추가 편집을 거쳐 87분으로 더욱 축소되었다.[7]
이 영화는 영국의 팰리스 픽처스(Palace Pictures) 산하 투자자들과 스탠리의 전작 ''하드웨어''의 배급사였던 미라맥스(Miramax)의 공동 자금 지원으로 제작되었다.[8] 1991년 12월, 스탠리는 영국 텔레비전 계약 조건을 맞추기 위해 120분 길이의 초벌 편집본을 제출했다.[8] 이 버전은 검토를 위해 미라맥스로 보내졌고, 미라맥스는 이를 85분 길이로 대폭 축소하여 돌려보냈다.[8]
1992년 2월,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한 팰리스 픽처스는 스탠리에게 원본과 미라맥스 편집본 사이의 절충안을 수용해달라고 요청했다.[8] 하지만 스탠리는 "팰리스는 절충안이 재정적으로 유리하다고 설명했지만, 나는 이미 촬영 분량을 잃었고 편집실로 돌아갈 의향이 없었다"며 이를 거부했다.[8] 1992년 4월, 재정난에 빠진 팰리스 픽처스는 영국 내 영화 배급을 포기했다.[7]
영화는 원래 1992년 12월 영국 개봉 예정이었으나,[4] 그해 8월에 94분 길이의 편집본으로 시사회를 가졌고, ''Shivers'' 잡지의 마크 커모드는 "반응이 좋지 않았다"고 평가했다.[8][10] 미라맥스가 편집한 단축 버전은 'Demonica'라는 다른 제목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상영되었고, 아보리아즈 영화제에서도 소개되었다.[8] 또 다른 요약 버전이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도 상영되었다.[10]
팰리스 픽처스가 자금 지원을 중단하자, 스탠리는 Polygram을 설득하여 새로운 편집본 제작 기회를 얻었고, 이를 위해 개인적으로 1.5만파운드를 투자했다.[8] 이렇게 완성된 ''더스트 데블: 최종 편집''은 1993년 4월 7일, 런던 킹스 크로스의 스칼라 영화관에서 초연되어 일주일간 상영되었고, 홈 비디오 출시 몇 주 전에 2836GBP의 수익을 올렸다.[8][9][2][10] 한편, 색상 보정이 완료되지 않은 80분 길이의 편집본이 1994년 이전에 일부 유럽 지역에서 상영되기도 했는데, 스탠리는 이를 "묶여 있던 자금을 풀려는 시도였으며, 이후 모든 당사자의 동의하에 철회되었다"고 설명했다.[11]
미라맥스는 1994년 1월 미국에서 ''더스트 데블''을 배급할 계획이었으며,[11] 이 미국판은 원본에서 약 20분 분량의 장면이 삭제된 버전이었다.[2]
2006년, 서브시브 시네마(Subversive Cinema)는 리처드 스탠리 감독의 승인을 받은 108분 길이의 "최종 편집본" 딜럭스 한정판 DVD 세트를 출시했다. 이 세트에는 영화 본편 외에도 스탠리가 지난 15년간 연출한 희귀 다큐멘터리 3편(''달의 목소리'', ''비밀의 영광'', ''하얀 어둠'')과 감독 해설, 인터뷰 등이 특별 부록으로 포함되었다.[12][13] 또한 115분 길이의 워크프린트, 사이먼 보스웰(Simon Boswell)의 사운드트랙 CD, 스탠리의 제작 일지가 담긴 책자, ''더스트 데블'' 코믹 북 등 다양한 자료가 함께 제공되었다.
4. 주제와 상징
영화 《더스트 데블》은 단순한 공포 영화를 넘어 여러 상징과 주제를 탐구한다. 영화의 핵심에는 나미비아의 광활하고 황량한 사막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초자연적인 존재 '더스트 데블'과 그에게 맞서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있다.
더스트 데블의 상징성:영화 속 '더스트 데블' 또는 '나흐트롤러'는 단순한 악령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는 의인화된 사막 바람이자, 형상을 바꾸며 인간, 특히 소외되거나 상처받은 이들을 먹이로 삼는 존재로 묘사된다. 이는 사회에 만연한 폭력성, 특히 여성에게 가해지는 억압과 착취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성관계를 가진 여성을 살해하고 집을 불태우는 등 파괴적인 행위를 일삼으며, 이는 인간 내면의 어두운 욕망이나 통제되지 않는 파괴 충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상고마 조 니먼드가 설명하듯, 그는 의식적인 살인을 통해 힘을 얻는데, 이는 현실 세계의 권력 구조나 폭력적인 지배 시스템을 은유하는 것으로 볼 여지도 있다.
개인의 자유와 억압:웬디 로빈슨의 여정은 영화의 또 다른 중요한 축을 이룬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남편 마크의 의심과 비난에 지쳐 도망친 그녀는 나미비아로 향하는 길에서 더스트 데블을 만난다. 이는 가부장적인 억압에서 벗어나려 했지만, 또 다른 형태의 위험하고 강력한 남성적 폭력(더스트 데블)과 마주하게 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웬디가 더스트 데블의 소지품에서 사람의 손가락을 발견하고 도망치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에 더스트 데블을 직접 처치하는 모습은 수동적인 희생자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존과 자유를 위해 능동적으로 저항하는 주체로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특히 영화의 결말에서 남편 마크를 지나쳐 홀로 사막으로 걸어가는 웬디의 모습은 기존의 관계와 속박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독립적인 자아를 찾아 나서는 여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전통과 현대, 문화적 맥락:영화는 나미비아라는 구체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서구적 관점과 아프리카 토착 문화 사이의 긴장과 접점을 보여준다. 벤 무쿠로브 경사는 처음에는 조 니먼드의 초자연적인 설명을 회의적으로 받아들이지만, 사건을 파헤치면서 점차 그의 지혜와 전통적인 방식(키에리 스틱, 신성한 뿌리)을 수용하게 된다. 이는 서구적 합리주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앞에서 토착 문화와 지혜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1908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사 살인 사건 기록은 이러한 초자연적 존재와 그에 얽힌 폭력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암시하며, 나미비아의 복잡한 역사적, 사회적 맥락과 연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콜만스코프와 같은 버려진 유령 도시는 과거의 상처와 현재의 황량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활용된다.
결론적으로 《더스트 데블》은 표면적인 공포 요소 너머에 개인의 자유를 향한 투쟁, 억압적인 힘에 대한 저항,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탐구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특히 여성 주인공 웬디의 여정을 통해 억압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주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비중 있게 다루며, 나미비아라는 특수한 배경 속에서 전통과 현대, 토착 문화와 서구 문명의 관계를 성찰하게 한다.
5. 평가
Sight & Sound의 킴 뉴먼은 이 영화를 "''하드웨어''보다 더 개인적인 작품"이자 "상당히 주목할 만한 영화"로 평가하며 환각적인 이미지에 주목했다.[2] 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훌륭한 혼돈"이라 칭하면서도 각본의 약점을 지적했다.[10] 도널드 C. 윌리스는 아름다운 촬영을 인정하면서도 "허세 부린다"고 평하며 결말이 진부하다고 언급했다.
5. 1. 비평
Sight & Sound의 킴 뉴먼은 이 영화를 "''하드웨어''보다 더 개인적인 작품"으로 평가했다. 그는 "강력한 공포 영화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주로 환각적인 그림"이라며, 감독인 스탠리가 "기이한 사막 이미지와 다른 불안한 터치에 더 관심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뉴먼은 여러 편집본을 검토한 후, ''더스트 데블''을 "상당히 주목할 만한 영화"라고 결론 내렸다.[2]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이 영화를 "훌륭한 혼돈"이라 칭하며, "아이디어, 시각적 발명, 장르적 언급으로 넘쳐나지만, 약하고 초점이 없는 각본으로 고통받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10]
도널드 C. 윌리스는 그의 저서 ''Horror and Science Fiction Film IV''에서 ''더스트 데블''이 "아름답게 촬영"되었지만 "허세를 부리는" 작품이며 "진부한" 결말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6. 출연진
wikitext
배우 | 배역 |
---|---|
존 마시키자 | 조 니먼 / 내레이터 |
로버트 존 버크 | 더스트 데블 |
테리 노턴 | 사르케 하르호프 |
첼시 필드 | 웬디 로빈슨 |
루퍼스 스와트 | 마크 로빈슨 |
윌리엄 후트킨스 | 코르넬리우스 베이먼 대위 |
자크스 모케 | 벤 무쿠로브 상사 |
러셀 코플리 | 뒤투아 하사 |
앙드레 오덴달 | 보테스 하사 |
루크 코넬 | 병사 1 |
필립 헨 | 병사 2 |
로버트 스티븐슨 | 소총병 |
피터 할러 | 마리스트 수도사 |
스테판 언하트 | 캠퍼 운전사 |
마리안네 제게브레히트 | 라이징거 박사 |
7. 제작진
감독은 리처드 스탠리이다.[4] 그는 자신의 이전 영화 ''하드웨어''의 성공 이후 이 영화를 제작했다.[4] 프로듀서 조앤 셀라는 스탠리와 ''하드웨어''에서 함께 작업했으며, ''더스트 데블'' 제작을 위해 280만파운드의 자금을 확보하고 나미비아 정보방송부로부터 제작 승인을 받았다.[5]
주요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 | 이름 |
---|---|
협력프로듀서 | 다니엘 루피 |
미술 | 조셉 베넷 |
의상 | 미쉘 클랩턴 |
배역 | 조리 웨이츠 |
참조
[1]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Graham Humphreys Film on Paper
https://www.filmonpa[...]
[2]
간행물
Dust Devil
British Film Institute
1993-06-01
[3]
웹사이트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http://bufvc.ac.uk/2[...]
Adventures in Cult Cinema: Richard Stanley's Dust Devil (1992)
2020-01-30
[4]
간행물
Blow Up a Storm: The Making of Dust Devil
British Film Institute
1992-09-01
[5]
간행물
Blow Up a Storm: The Making of Dust Devil
British Film Institute
1992-09-01
[6]
간행물
The Devil and Mr Stanley
1992-06
[7]
간행물
Blow Up a Storm: The Making of Dust Devil
British Film Institute
1992-09-01
[8]
간행물
Dust to Dust
1993-06
[9]
간행물
Devil's brew
1993-04-23
[10]
간행물
Reviews: Dust Devil: The Final Cut
https://variety.com/[...]
2022-10-03
[11]
간행물
Starliner Letters
1994-01
[12]
웹사이트
Fangoria.com
http://www.fangoria.[...]
Fangoria.com
2011-03-28
[13]
간행물
News
http://www.fangoria.[...]
2011-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