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어 클라시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어 클라시커는 독일 축구에서 FC 바이에른 뮌헨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간의 라이벌전을 일컫는 말이다. 1970년대 바이에른 뮌헨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고, 1990년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부활하면서 바이에른의 강력한 대항마로 떠올랐다. 두 팀은 분데스리가, DFB-포칼, UEFA 챔피언스 리그 등 다양한 대회에서 맞붙으며 치열한 경쟁을 펼쳐왔다. 2012-13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서 두 팀이 만나 바이에른 뮌헨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후 선수 이적으로 인해 라이벌 관계가 더욱 심화되었다. 2023년 11월 4일 기준으로 분데스리가 통산 전적은 바이에른 뮌헨이 54승, 도르트문트가 25승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축구 더비 - 노르트 더비
노르트 더비는 함부르크 SV와 SV 베르더 브레멘 간의 북독일 지역을 대표하는 축구 더비 경기로, 오랜 라이벌 의식을 상징하며 분데스리가 출범 후 매 시즌 정기적으로 열리는 독일 축구에서 가장 치열한 라이벌전 중 하나이다. - 독일의 축구 더비 - 레비어 더비
레비어 더비는 독일 루르 지역을 연고로 하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샬케 04 간의 축구 더비 경기로, 1925년 첫 경기 이후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이어오며 독일 축구에서 가장 인기 있고 치열한 더비 중 하나로 여겨진다. - 독일의 축구단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독일 도르트문트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독일 챔피언십 8회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및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독일의 축구단 -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홈 구장으로, 독일 도르트문트에 위치하며 1974년 월드컵을 위해 건설된 후 확장되어 8만 명 이상을 수용하는 독일 최대 규모의 축구 경기장 중 하나이고, 주요 국제 대회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노란 벽"으로 유명하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율리안 브란트
율리안 브란트는 독일 프로 축구 선수로, SC 보르크펠트에서 축구를 시작해 VfL 볼프스부르크, 바이어 레버쿠젠을 거쳐 현재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활약하며 분데스리가 이달의 선수상 수상, DFB-포칼 우승 기여, 독일 국가대표팀으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 FIFA 월드컵 출전, 그리고 U-19 및 U-23 대표팀에서도 UEFA U-19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과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홈 구장으로, 독일 도르트문트에 위치하며 1974년 월드컵을 위해 건설된 후 확장되어 8만 명 이상을 수용하는 독일 최대 규모의 축구 경기장 중 하나이고, 주요 국제 대회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노란 벽"으로 유명하다.
데어 클라시커 | |
---|---|
기본 정보 | |
![]() | |
![]() | |
경기 정보 | |
다른 이름 | 독일 클라시코 (Doil Deutcheo Keullasiko) |
최다 승리 | 바이에른 (67승) |
최다 출전 선수 | 토마스 뮐러 (43회) |
최다 득점자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32골) |
가장 최근 경기 | 2024년 11월 30일 2024-25 분데스리가 도르트문트 1–1 바이에른 |
다음 경기 | 2025년 4월 12일 2024-25 분데스리가 바이에른 대 도르트문트 |
총 경기 수 | 136회 |
최대 점수차 승리 | 바이에른 11–1 도르트문트 1971-72 분데스리가 (1971년 11월 27일) |
도시 또는 지역 | 독일 (바이에른 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
첫 경기 | 1965년 10월 16일 1965-66 분데스리가 바이에른 0–2 도르트문트 |
관련 팀 | FC 바이에른 뮌헨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경기장 | 알리안츠 아레나 (뮌헨)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지리적 위치 |
2. 역사
1970년대 이후 FC 바이에른 뮌헨은 프란츠 베켄바우어, 게르트 뮐러 등 뛰어난 선수들을 보유하며 대부분의 시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당시 라이벌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였다. 1980년대에는 함부르크 SV, SV 베르더 브레멘, 1. FC 쾰른 등으로 라이벌이 자주 바뀌었다. 바이에른에 대항하는 팀이 오랫동안 나타나지 않자, 1986-87 시즌 바이에른은 리그 최다 기록인 10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독일 축구의 맹주가 되었다.
한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1960년대 UEFA 컵 위너스 컵을 제패하며 옛 서독 클럽 중 처음으로 UEFA 주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지만, 1970년대에는 부진하여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기도 했다. 당시 도르트문트의 최대 더비 경기는 루르 지방을 연고로 하는 샬케 04와의 루르 더비였다.
1990년대에 들어, 오랫동안 부진했던 도르트문트가 부활했다. 오트마어 히츠펠트 감독이 이끄는 팀은 매년 분데스리가 우승 경쟁에 참여하면서 바이에른의 대항마로 단번에 이름을 알렸다. 1994-95 시즌 분데스리가 발족 후 첫 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이듬해 1995-96 시즌 2연패를 달성했다. 1996-97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를 제패하여 국제적으로도 강호 클럽으로 인정받았다.
도르트문트는 2001-02 시즌 리그 우승과 UEFA 컵 준우승을 마지막으로 재정 문제 등으로 다시 부진했지만, 2008-09 시즌부터 위르겐 클롭 감독이 젊은 선수들을 발굴하여 팀을 개혁했다. 2010-11 시즌 바이에른을 상대로 2연승을 거두는 등 쾌속 질주하며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11-12 시즌에도 리그 2연패를 달성했고, DFB-포칼 결승에서 바이에른을 5-2로 압도하여 2관왕을 달성하는 등, 1990년대의 기세를 되찾아 다시 바이에른의 최대 라이벌로 여겨지게 되었고, 바이에른 측도 도르트문트를 적대시하게 되었다.
이 시기 두 클럽의 라이벌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기는 UEFA 챔피언스 리그 2012-13 결승으로, 바이에른과 도르트문트의 자국 대결이 실현되었다. 바이에른은 도르트문트를 2-1로 꺾고 12년 만에 5번째 우승을 차지하는 동시에, 독일 클럽 최초로 3관왕을 달성했다.[43]
이후 마리오 괴체,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마츠 훔멜스 등 도르트문트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선수들이 바이에른으로 이적하면서 도르트문트 팬들의 바이에른에 대한 라이벌 감정이 더욱 커졌다.
2014 FIFA 월드컵에서 독일 대표팀이 4번째 우승을 차지할 당시, 바이에른에서 7명, 도르트문트에서 4명의 선수가 대표팀에 합류하여 두 클럽 선수들이 대표팀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2. 1. 초기 (1965년 ~ 1990년대 초)
도르트문트와 바이에른 뮌헨의 첫 경기는 1965년 10월 16일 뮌헨에서 열렸으며, 도르트문트가 2-0으로 승리했다.[6][7] 1966년 5월 5일, 도르트문트는 1965–66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결승에서 리버풀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유럽 대항전에서 우승한 최초의 독일 클럽이 되었다.[8] 바이에른 뮌헨은 다음 시즌 같은 대회에서 우승했다.1971년, 바이에른은 도르트문트를 11-1로 크게 이겼는데,[9] 이 경기는 바이에른의 분데스리가 역대 최고 점수차 승리이자, 도르트문트에게는 1978년 4월 29일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에게 12-0으로 패한 이후 두 번째로 큰 패배였다.[9]
두 팀 간의 분데스리가 경기에서 가장 많은 골이 터진 경기는 1983년 5월 21일에 열렸는데, 카를하인츠 루메니게가 후반 막판 동점골을 넣어 바이에른이 도르트문트 원정에서 4-4 무승부를 기록했다.[10]
1970년대 이후 FC 바이에른 뮌헨은 프란츠 베켄바우어, 게르트 뮐러 등 뛰어난 선수들을 보유하며 대부분의 시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1970년대 라이벌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였다. 1980년대에는 바이에른의 라이벌이 함부르크 SV, SV 베르더 브레멘, 1. FC 쾰른 등으로 자주 바뀌었다. 바이에른에 대항하는 팀이 오랫동안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1986-87 시즌 바이에른은 리그 최다 기록인 10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독일 축구의 맹주가 되었다.
한편 도르트문트는 1960년대 UEFA 컵 위너스 컵을 제패하며 옛 서독 클럽 중 처음으로 UEFA 주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지만, 1970년대에는 부진하며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기도 했다. 당시 도르트문트의 최대 더비 경기는 루르 지방을 연고로 하는 샬케 04와의 루르 더비였다.
2. 2. 라이벌 관계의 심화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에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오랜 기간 우승 후보였던 FC 바이에른 뮌헨에 도전할 정도로 성장하면서 두 클럽 간의 라이벌 관계는 더욱 심화되었다.[11] 도르트문트는 1994-95와 1995-96 시즌에서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1996년, 바이에른의 주장 로타어 마테우스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동료 안드레아스 묄러를 '울보'라고 비난하며, 눈에서 상상의 눈물을 닦는 시늉을 했다.[12] 묄러는 이에 반발하여 마테우스를 때렸다. 그 시즌 말, 도르트문트는 1997년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우승했는데, 결승전은 바이에른의 홈 구장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9]
두 팀은 다음 시즌 챔피언스 리그 8강에서 만났고, 스테판 샤퓌자의 단 한 골에 힘입어 도르트문트가 1, 2차전 합산에서 승리했다. 그해 여름, 바이에른은 도르트문트를 성공으로 이끈 오트마어 히츠펠트 감독을 영입했다.[13] 1998–99 분데스리가에서 바이에른과 도르트문트가 두 번째로 만났을 때 두 차례나 감정이 격해졌다. 바이에른 골키퍼 올리버 칸은 먼저 샤퓌자에게 날아차기를 시도했고, 나중에는 하이코 헤를리히의 귀를 깨무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14][9][7]
2000년대 초, 두 클럽 모두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바이에른은 한 번의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1999)에서 패했지만, 또 한 번의 결승전(2001)에서 승리했고, 국내 대회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한편 도르트문트는 2001–02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했으며, 같은 해 UEFA컵 결승전에 진출했다. 2001년 리그 경기에서는 양 팀 선수들이 격렬하게 충돌하여, 10장의 옐로 카드와 3장의 레드 카드가 나왔는데, 이는 분데스리가 역사상 가장 많은 징계를 받은 경기였다.[7] 그러나 도르트문트는 곧 심각한 부채에 시달렸고, 2004년 바이에른으로부터 받은 200만유로의 대출은 파산 위기에서 벗어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15]
2008년 4월 19일, 두 팀은 처음으로 2008년 DFB-포칼 결승전에서 격돌했으며, 경기는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루카 토니가 11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믈라덴 페트리치가 추가 시간 동점골을 터뜨려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토니가 추가골을 기록하며 바이에른이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까지 도르트문트는 마츠 훔멜스, 마리오 괴체, 가가와 신지,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를 포함한 강력한 선수단을 구성하여 2011과 2012 분데스리가 우승을 이끌었다. 1990년대 중반 도르트문트 이후 바이에른을 제외한 다른 클럽이 2연패를 달성한 것은 처음이었다. 도르트문트는 2011-12 리그 챔피언십을 홈 경기에서 확정지었는데, 당시 바이에른 골키퍼 마누엘 노이어에게 바나나가 던져지기도 했다.[16] 도르트문트는 이후 더블을 달성했는데, 2012 DFB-포칼 결승전에서 레반도프스키의 해트트릭을 포함하여 바이에른을 5-2로 꺾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더블을 달성했으며, 이로써 상대팀을 상대로 5연승을 기록했다.[17][18][19]
이 시기의 두 클럽의 라이벌 관계의 하이라이트는 2012-13 시즌의 UEFA 챔피언스 리그였으며, 그 결승에서는 바이에른과 도르트문트의 자국 대결이 실현되었다. 여기에서 바이에른이 도르트문트를 2-1로 꺾고 12년 만에 5번째 우승을 차지하는 동시에, 독일 클럽으로 처음으로 3관왕을 달성했다.
하지만 그 후 마리오 괴체,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마츠 훔멜스 등 도르트문트의 황금기를 지탱했던 멤버들이 바이에른으로 이적하면서 타이틀 획득의 역할을 크게 담당하게 되어 도르트문트 측의 바이에른에 대한 라이벌 감정이 격화되었다. 두 팀의 대결은 얽히고설킨 관계가 되었다.[43]
독일 대표팀이 4번째 우승을 차지한 2014 FIFA 월드컵에는 바이에른이 7명, 도르트문트가 4명을 독일 대표팀에 보냈으며, 이 두 클럽의 선수들이 대표팀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2. 3. 한국 축구와의 관계
주어진 자료에는 한국 축구와 데어 클라시커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2013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독일 클럽 간의 첫 결승전이었으며, 아르연 로번이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89분에 결승골을 넣어 바이에른 뮌헨이 승리했다.[23]3. 주요 경기
1966년 5월 5일, 도르트문트는 1965–66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결승에서 리버풀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유럽 대항전에서 우승한 최초의 독일 클럽이 되었다.[8] 바이에른 뮌헨은 다음 시즌 같은 대회에서 우승했다.
도르트문트가 파산 위기에 처했을 때, 2004년 바이에른으로부터 받은 200만유로의 대출은 파산 위기에서 벗어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15]
바이에른은 1주일 뒤 2013년 DFB-포칼 결승전에서 구단 역사상 최초의 트레블을 달성했다.[24]
두 팀 간의 가장 큰 경기가 끝난 후, 여러 국내 결승전이 잇따라 열렸다. 2014년 DFL-슈퍼컵에서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도르트문트와의 계약이 만료된 후 자유 계약으로 바이에른으로 이적하여 출전했다. 경기는 도르트문트가 2-0으로 승리했다.[27]
가장 최근의 중요한 결과는 2021년 DFL-슈퍼컵에서 바이에른 뮌헨이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3-1로 꺾은 것이다.[33]
3. 1. 분데스리가
도르트문트와 바이에른 뮌헨의 첫 경기는 1965년 10월 16일 뮌헨에서 열렸으며, 도르트문트가 2-0으로 승리했다.[6][7] 1971년, 바이에른은 도르트문트를 11-1로 대파했는데,[9] 이는 바이에른의 분데스리가 역대 최다 점수 차 승리이자, 도르트문트에게는 1978년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전 0-12 패배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패배였다.[9]두 팀 간의 분데스리가 경기 중 가장 많은 골이 터진 경기는 1983년 5월 21일에 열린 경기로, 카를하인츠 루메니게의 후반 막판 동점골로 바이에른이 도르트문트 원정에서 4-4 무승부를 기록했다.[10]
1990년대에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FC 바이에른 뮌헨의 오랜 우승 독주에 도전할 정도로 성장하면서 두 팀 간의 경쟁은 심화되었다.[11] 도르트문트는 1994-95와 1995-96 시즌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바이에른의 주장 로타어 마테우스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동료 안드레아스 묄러를 '울보'라고 비난하며 눈물을 닦는 시늉을 했고,[12] 묄러는 마테우스를 때리며 반발했다.
1998-99 분데스리가에서 바이에른과 도르트문트의 두 번째 맞대결에서는 두 차례나 감정이 격해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바이에른 골키퍼 올리버 칸은 스테판 샤퓌자에게 날아차기를 시도하고, 하이코 헤를리히의 귀를 깨무는 듯한 행동을 보였다.[14][9][7]
2000년대 초, 두 팀은 모두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바이에른은 2001년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고, 도르트문트는 2001–02 분데스리가 우승과 UEFA컵 결승전 진출을 달성했다. 2001년 리그 경기에서는 양 팀 선수들이 격렬하게 충돌하여 10장의 옐로 카드와 3장의 레드 카드가 나왔는데, 이는 분데스리가 역사상 가장 많은 징계 기록이었다.[7]
2010년까지 도르트문트는 마츠 훔멜스, 마리오 괴체, 가가와 신지,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등을 앞세워 2011과 2012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90년대 중반 도르트문트 이후 바이에른 외 다른 팀이 최초로 2연패를 달성한 것이었다. 2011-12 리그 우승을 확정짓는 경기에서 바이에른 골키퍼 마누엘 노이어에게 바나나가 투척되기도 했다.[16]
2018년 3월, 바이에른은 2017-18 분데스리가에서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홈에서 6-0 대승을 거뒀는데, 이는 47년 전 11-1 승리 이후 양 팀 간의 가장 큰 점수 차 승리였다.[32]
도르트문트와 바이에른 뮌헨의 분데스리가 경기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날짜 | 홈 | 원정 | 결과 |
---|---|---|---|---|
2024–25 | 2025년 4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
2024년 11월 30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
2023–24 | 2024년 3월 3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2 |
2023년 11월 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4 | |
2022–23 | 2023년 4월 1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2 |
2022년 10월 8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 |
2021–22 | 2022년 4월 23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1 |
2021년 12월 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3 | |
2020–21 | 2021년 3월 6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2 |
2020년 11월 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3 | |
2019–20 | 2020년 5월 26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1 |
2019년 11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0 | |
2018–19 | 2019년 4월 6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5–0 |
2018년 11월 10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3–2 | |
2017–18 | 2018년 3월 31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6–0 |
2017년 11월 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3 | |
2016–17 | 2017년 4월 8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1 |
2016년 11월 1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0 | |
2015–16 | 2016년 3월 5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0 |
2015년 10월 4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5–1 | |
2014–15 | 2015년 4월 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1 |
2014년 11월 1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1 | |
2013–14 | 2014년 4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3 |
2013년 11월 2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3 | |
2012–13 | 2013년 5월 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2012년 12월 1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 | |
2011–12 | 2012년 4월 11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0 |
2011년 11월 1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1 | |
2010–11 | 2011년 2월 26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3 |
2010년 10월 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0 | |
2009–10 | 2010년 2월 13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1 |
2009년 9월 1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5 | |
2008–09 | 2009년 2월 8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1 |
2008년 8월 2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
2007–08 | 2008년 4월 13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5–0 |
2007년 10월 28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0 | |
2006–07 | 2007년 1월 26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3–2 |
2006년 8월 11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0 | |
2005–06 | 2006년 5월 13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3 |
2005년 12월 1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2 | |
2004–05 | 2005년 2월 1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5–0 |
2004년 9월 18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 |
2003–04 | 2004년 4월 1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0 |
2003년 11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1 | |
2002–03 | 2003년 4월 1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0 |
2002년 11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1 | |
2001–02 | 2002년 2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 |
2001년 9월 8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2 | |
2000–01 | 2001년 4월 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2000년 11월 4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6–2 | |
1999–2000 | 2000년 4월 2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1 |
1999년 12월 4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 | |
1998–99 | 1999년 4월 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
1998년 10월 4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2 | |
1997–98 | 1998년 5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0 |
1997년 11월 11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2 | |
1996–97 | 1997년 4월 1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1996년 10월 2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0 | |
1995–96 | 1996년 3월 3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0 |
1995년 10월 1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3–1 | |
1994–95 | 1995년 4월 2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1 |
1994년 10월 2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0 | |
1993–94 | 1994년 3월 2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0 |
1993년 9월 25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
1992–93 | 1993년 4월 1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0 |
1992년 9월 25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2 | |
1991–92 | 1992년 4월 10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3–0 |
1991년 10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3 | |
1990–91 | 1991년 5월 1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3 |
1990년 11월 1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3 | |
1989–90 | 1990년 5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0 |
1989년 11월 18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 |
1988–89 | 1989년 4월 15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1988년 10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 | |
1987–88 | 1987년 11월 28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3 |
1987년 8월 1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3 | |
1986–87 | 1987년 2월 21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
1986년 8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2 | |
1985–86 | 1986년 4월 1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3 |
1985년 11월 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1 | |
1984–85 | 1985년 3월 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1984년 9월 15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0 | |
1983–84 | 1984년 5월 1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1983년 12월 3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0 | |
1982–83 | 1983년 5월 21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4–4 |
1982년 11월 27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0 | |
1981–82 | 1982년 3월 13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1 |
1981년 9월 26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0 | |
1980–81 | 1981년 1월 2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
1980년 8월 19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5–3 | |
1979–80 | 1980년 5월 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0 |
1979년 11월 24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2 | |
1978–79 | 1979년 2월 1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0 |
1978년 8월 1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0 | |
1977–78 | 1978년 3월 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1 |
1977년 10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0 | |
1976–77 | 1977년 3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2 |
1976년 10월 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3–3 | |
1971–72 | 1972년 6월 24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1 |
1971년 11월 27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1 | |
1970–71 | 1971년 5월 4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 |
1970년 8월 28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0 | |
1969–70 | 1970년 2월 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3 |
1969년 9월 1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3–0 | |
1968–69 | 1969년 4월 1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1 |
1968년 10월 3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1 | |
1967–68 | 1968년 4월 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0 |
1967년 9월 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6–3 | |
1966–67 | 1967년 6월 3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4–0 |
1966년 12월 17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0 | |
1965–66 | 1966년 3월 1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3–0 |
1965년 10월 16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2 | |
3. 2. DFB-포칼
2008년 4월 19일,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8년 DFB-포칼 결승전에서 두 팀은 처음으로 맞붙었다.[11] 루카 토니가 11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믈라덴 페트리치가 추가 시간에 동점골을 터뜨려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토니가 추가골을 기록하며 바이에른이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11]2012 DFB-포칼 결승전에서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해트트릭을 포함하여 도르트문트가 바이에른을 5-2로 꺾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더블을 달성했다.[17][18][19]
2014년 DFB-포칼 결승전에서 바이에른은 연장전에서 2골을 기록하며 대회에서 1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25][26]
2016년 DFB-포칼 결승전은 바이에른으로 이적하기 전 도르트문트 주장 마츠 훔멜스의 마지막 경기였으며, 그는 바이에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바이에른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8][29]
두 팀은 DFB-포칼에서 다음과 같은 경기들을 치렀다.
시즌 | 날짜 | 홈 | 원정 | 결과 |
---|---|---|---|---|
2017–18 | 2017년 12월 20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1 |
2016–17 | 2017년 4월 26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3 |
2015–16 | 2016년 5월 21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0–0 (4–3 승부차기) |
2014–15 | 2015년 4월 28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1 (0–2 승부차기) |
2013–14 | 2014년 5월 17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0–2 |
2012–13 | 2013년 2월 27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1–0 |
2011–12 | 2012년 5월 1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5–2 |
2007–08 | 2008년 4월 19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1–2 |
1992–93 | 1992년 9월 12일 | 도르트문트 | 바이에른 | 2–2 (5–4 승부차기) |
1981–82 | 1982년 12월 5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4–0 |
1965–66 | 1966년 2월 2일 | 바이에른 | 도르트문트 | 2–0 |
3. 3. UEFA 챔피언스 리그
1990년대에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오랫동안 우승 후보였던 FC 바이에른 뮌헨에 대항할 정도로 성장하면서 두 클럽 간의 라이벌 관계는 더욱 심화되었다.[11] 1996년, 도르트문트는 1997년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우승했는데, 결승전은 바이에른의 홈 구장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9]두 팀은 다음 시즌 챔피언스 리그 8강에서 만났고, 스테판 샤퓌자의 골로 도르트문트가 1, 2차전 합산 스코어에서 승리했다.[13]
2000년대 초, 두 클럽은 모두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바이에른은 1999년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패했지만, 2001년 결승전에서 승리했다.

20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첼시에게 홈 구장인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패배한 후, 바이에른은 2012-13 분데스리가에서 기록적인 속도로 우승을 차지하며, 전년도에 도르트문트가 세웠던 승점 기록을 깼다. 그 시즌 말에 라이벌 팀들은 2013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만났다. 독일 클럽들은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를 차례로 꺾었고,[20][21], 이로 인해 당시 엘 클라시코를 기반으로 "독일 클라시코"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이 경기는 도르트문트의 마리오 괴체가 몇 주 안에 바이에른에 합류하기로 합의했지만,[22] 부상으로 인해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사상 첫 독일 클럽 간의 유럽 결승전에서 아르연 로번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89분에 결승골을 넣었다.[23]
4. 경기장
(명명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