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이터 의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터 의존성은 두 명령어의 병렬 실행 가능성을 결정하는 조건으로, 번스타인 조건에 따라 정의된다. 데이터 의존성은 진정한 의존성, 반의존성, 출력 의존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 유형은 명령어 수준 병렬성을 제한하거나, 읽기 후 쓰기(RAW), 쓰기 후 읽기(WAR), 쓰기 후 쓰기(WAW)와 같은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의존성은 프로세서 설계, 컴파일러 구축, 병렬 컴퓨팅 등 다양한 컴퓨팅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프로세서의 명령어 파이프라인, 컴파일러의 명령어 스케줄링, 병렬 처리 시스템의 안전한 연산 실행 등에 영향을 미친다.

2. 번스타인 조건의 정의

번스타인 조건은 두 개의 명령어 또는 연산 S1과 S2가 있을 때, 이들이 병렬로 실행될 수 있는지, 아니면 특정 순서대로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조건이다. 이 조건은 아서 J. 번스타인(Arthur J. Bernstei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구체적인 조건과 의존성의 종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조건

명제 S_1S_2가 주어졌을 때, S_2는 다음과 같은 경우 S_1에 의존한다.

:\left[I(S_1) \cap O(S_2)\right] \cup \left[O(S_1) \cap I(S_2)\right] \cup \left[O(S_1) \cap O(S_2)\right] \neq \varnothing

여기서:

  • I(S_i)S_i에 의해 읽혀지는 메모리 위치의 집합이고,
  • O(S_j)S_j에 의해 쓰여지는 메모리 위치의 집합이며,
  • S_1에서 S_2로 이어지는 실행 가능한 런타임 실행 경로가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아서 J. 번스타인(Arthur J. Bernstein)의 이름을 따서 번스타인 조건이라고 불린다.[1]

세 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 반의존성 (Anti-dependency): I(S_1) \cap O(S_2) \neq \varnothing. 이는 S_1 다음에 S_2가 실행(S_1 \rightarrow S_2)될 때, S_1이 특정 메모리 위치를 읽은 후 S_2가 그 위치에 값을 쓰는 경우를 말한다. 즉, S_2가 값을 덮어쓰기 전에 S_1이 먼저 읽어야 하는 상황이다.
  • 흐름 의존성 (Flow/Data dependency): O(S_1) \cap I(S_2) \neq \varnothing. 이는 S_1 다음에 S_2가 실행(S_1 \rightarrow S_2)될 때, S_1이 특정 메모리 위치에 값을 쓴 후 S_2가 그 위치의 값을 읽는 경우이다. 즉, S_1이 생성한 데이터를 S_2가 사용하는 상황이다. 이를 데이터 의존성이라고도 한다.
  • 출력 의존성 (Output dependency): O(S_1) \cap O(S_2) \neq \varnothing. 이는 S_1 다음에 S_2가 실행(S_1 \rightarrow S_2)될 때, 두 명제 모두 동일한 메모리 위치에 값을 쓰는 경우이다.

3. 데이터 의존성 유형

명령어(Instruction) S_1S_2가 주어졌을 때, S_2S_1에 의존하는 경우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이다.

:\left[I(S_1) \cap O(S_2)\right] \cup \left[O(S_1) \cap I(S_2)\right] \cup \left[O(S_1) \cap O(S_2)\right] \neq \varnothing

여기서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I(S_i): 명령어 S_i가 읽는 메모리 위치들의 집합
  • O(S_j): 명령어 S_j가 쓰는 메모리 위치들의 집합
  • 또한, S_1 이후에 S_2가 실행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해야 한다.


이 조건들은 아서 J. 번스타인(Arthur J. Bernstein)의 이름을 따서 번스타인 조건이라고 불린다.[1]

번스타인 조건에 따라 데이터 의존성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반의존성 (Anti-dependency): I(S_1) \cap O(S_2) \neq \varnothing 인 경우. 즉, S_1이 읽으려는 메모리 위치에 S_2가 값을 쓰는 경우이다. S_1S_2가 값을 덮어쓰기 전에 해당 위치의 값을 읽어야 한다.
  • 흐름 의존성 (Flow dependency 또는 True dependency): O(S_1) \cap I(S_2) \neq \varnothing 인 경우. 즉, S_1이 쓴 메모리 위치의 값을 S_2가 읽는 경우이다. S_1S_2가 값을 읽기 전에 해당 위치에 값을 써야 한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의존성 형태로, 데이터 의존성이라고도 불린다.
  • 출력 의존성 (Output dependency): O(S_1) \cap O(S_2) \neq \varnothing 인 경우. 즉, S_1S_2가 동일한 메모리 위치에 값을 쓰는 경우이다.


각 의존성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예시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진정한 의존성 (True dependency, Read-After-Write, RAW)

진정한 의존성(True dependency)은 흐름 의존성(Flow dependency) 또는 데이터 의존성(Data dependency)이라고도 한다. 이는 한 명령어가 이전 명령어의 실행 결과에 의존할 때 발생한다. 진정한 의존성을 지키지 않으면 읽기 후 쓰기(Read-After-Write, RAW)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보자.

: 1. A = 3

: 2. B = A

: 3. C = B

위 코드에서 명령어 3은 명령어 2에서 계산된 B의 값에 의존하므로, 명령어 2에 진정한 의존성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명령어 2는 명령어 1에서 A에 할당된 값에 의존하므로, 명령어 1에 진정한 의존성을 가진다. 따라서 명령어 3은 명령어 2를 통해 명령어 1에도 진정한 의존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의존 관계 때문에 위 예시에서는 명령어 수준 병렬성을 적용하기 어렵다. 즉, 명령어들을 동시에 또는 순서를 바꿔 실행하는 것이 제한된다.

3. 2. 반의존성 (Anti-dependency, Write-After-Read, WAR)

반의존성은 어떤 명령어가 나중에 다른 명령어에 의해 값이 변경될 변수를 읽어야 할 때 발생한다. 이는 읽기 후 쓰기 (Write-After-Read, WAR) 위험이라고도 불린다.

다음 예시를 살펴보자.

```text

1. B = 3

2. A = B + 1

3. B = 7

```

여기서 명령어 2는 명령어 3에 대해 반의존성을 가진다. 명령어 2는 B의 값을 읽어야 하는데, 명령어 3에서 B의 값을 7로 덮어쓰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명령어 2와 3의 순서를 바꾸거나 병렬로 실행할 수 없다. 순서가 바뀌면 명령어 2가 B=7인 값을 읽게 되어 A의 최종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른 예시는 다음과 같다.

```text

MUL R3, R1, R2 // R3 = R1 * R2

ADD R2, R5, R6 // R2 = R5 + R6

```

이 두 명령어 사이에도 반의존성이 존재한다. 첫 번째 명령어(MUL)는 R2 레지스터의 값을 읽고, 두 번째 명령어(ADD)는 R2 레지스터에 새로운 값을 쓰기 때문이다.

반의존성은 변수 이름 때문에 발생하는 이름 의존성(name dependency)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변수 이름을 변경하는 변수 재명명(variable renaming) 기법을 사용하면 반의존성을 제거할 수 있다.

앞의 첫 번째 예시를 변수 재명명을 통해 수정하면 다음과 같다.

```text

1. B = 3

N. B2 = B // 새로운 변수 B2에 B의 값을 복사

2. A = B2 + 1 // B 대신 B2를 사용

3. B = 7

```

새로운 변수 B2를 도입하여 명령어 2가 B 대신 B2를 사용하도록 변경했다. 이렇게 하면 명령어 2와 명령어 3 사이의 반의존성이 사라져 두 명령어를 병렬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변수 재명명을 통해 반의존성을 해결하면 새로운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명령어 2는 새롭게 추가된 명령어 N에 흐름 의존성을 가지게 되고, 명령어 N은 다시 명령어 1에 흐름 의존성을 가진다. 이러한 흐름 의존성은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임의로 제거하기 어렵다.[2]

3. 3. 출력 의존성 (Output dependency, Write-After-Write, WAW)

출력 의존성은 명령어의 순서가 변수의 최종 값에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한다. 이는 '''쓰기 후 쓰기 (WAW)'''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래 예시를 보면, 명령어 3과 명령어 1 사이에 출력 의존성이 존재한다. 만약 이 명령어들의 순서가 바뀌면 변수 B의 최종 값이 달라지고, 이는 변수 A의 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명령어들은 순서를 지켜 실행해야 하며, 병렬로 동시에 실행할 수 없다.



1. B = 3

2. A = B + 1

3. B = 7



출력 의존성은 반의존성처럼 변수 이름 때문에 발생하는 ''이름 의존성''이다. 즉, 변수 이름을 바꿔주는 것(변수 재명명)으로 의존성을 제거할 수 있다. 아래는 변수 B의 이름을 B와 B2로 구분하여 출력 의존성을 제거한 예시이다.



1. B2 = 3

2. A = B2 + 1

3. B = 7


4. 이름 의존성

데이터 의존성 중 반의존성과 출력 의존성은 변수의 이름을 변경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의존성을 이름 의존성(Name Dependency)이라고 한다. 이름 의존성은 실제 데이터 흐름과는 관계없이 단순히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반의존성 (Anti-dependency) ===

반의존성은 어떤 명령어가 나중에 다른 명령어에 의해 갱신될 값을 먼저 읽어야 할 때 발생한다. 이는 '''읽기 후 쓰기(Read-After-Write, WAR)'''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음 예시를 보자.



1. B = 3

2. A = B + 1 // 명령어 3보다 먼저 B를 읽음

3. B = 7 // 명령어 2가 읽은 후 B에 새로운 값을 씀



여기서 명령어 2는 명령어 3에 대해 반의존성을 가진다. 즉, 명령어 2는 명령어 3이 B의 값을 바꾸기 전에 B의 원래 값을 읽어야 한다. 따라서 이 명령어들의 순서는 바뀔 수 없으며, 순서 변경 가능성이 있는 병렬 실행도 어렵다. 순서가 바뀌면 A의 최종 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른 예시는 다음과 같다.



MUL R3, R1, R2 // R2 레지스터 값을 읽음

ADD R2, R5, R6 // R2 레지스터에 새로운 값을 씀



이 두 명령어 사이에는 명백한 반의존성이 존재한다. 첫 번째 명령어가 R2를 읽고, 두 번째 명령어에서 R2에 새로운 값을 쓰기 때문이다.

반의존성은 이름 의존성이므로, 변수 이름(여기서는 레지스터 이름)을 변경하면 의존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레지스터 리네이밍이라고도 한다. 앞의 첫 번째 예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



1. B = 3

N. B2 = B // 새로운 변수 B2에 B의 값을 복사

2. A = B2 + 1 // B 대신 B2를 사용

3. B = 7



새로운 변수 B2를 도입하여 명령어 2와 3 사이의 반의존성을 제거했다. 이제 명령어 2와 3은 병렬로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수정으로 인해 새로운 의존성이 생겼다. 명령어 2는 명령어 N에 흐름 의존성을 가지게 되고, 명령어 N은 명령어 1에 흐름 의존성을 가진다. 이러한 실제 데이터 흐름에 따른 의존성은 제거할 수 없다.[2]

=== 출력 의존성 (Output Dependency) ===

출력 의존성은 두 명령어가 동일한 변수(메모리 위치 또는 레지스터)에 값을 쓰는 경우, 명령어의 실행 순서가 해당 변수의 최종 값에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한다. 이는 '''쓰기 후 쓰기(Write-After-Write, WAW)'''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음 예시를 보자.



1. B = 3 // B에 값을 씀

2. A = B + 1

3. B = 7 // 다시 B에 값을 씀



여기서 명령어 1과 명령어 3 사이에는 출력 의존성이 있다. 두 명령어 모두 변수 B에 값을 쓰기 때문에, 실행 순서가 바뀌면 B의 최종 값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 명령어들은 순서를 유지해야 하며 병렬 실행이 제한된다.

출력 의존성 역시 이름 의존성이므로, 변수 이름을 변경하여 해결할 수 있다.



1. B2 = 3 // B 대신 새로운 변수 B2 사용

2. A = B2 + 1

3. B = 7



변수 B의 첫 번째 쓰기를 새로운 변수 B2에 하도록 변경함으로써, 명령어 1과 3 사이의 출력 의존성이 제거되었다.

5. 컴퓨팅에서의 중요성

데이터 의존성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올바른 실행 순서를 보장하고 병렬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컴퓨팅의 다양한 분야, 특히 프로세서 설계, 컴파일러 구축, 병렬 컴퓨팅 및 동시성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다.[2] 프로그램 내 명령어들이 서로 의존하는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해야만, 여러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하거나 순서를 변경하는 최적화를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위험)를 방지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5. 1. 프로세서 설계

데이터 의존성은 현대 프로세서 설계에서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프로세서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들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의존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대표적인 예로 명령어 파이프라인 기술이 있다. 파이프라인 방식에서는 여러 명령어가 동시에 다른 단계에서 처리되는데, 이때 명령어 간의 진정한 데이터 의존성(RAW)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는 파이프라인 정지나 피연산자 전달과 같은 기법을 통해 해결한다.

또한, 최신 프로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방식은 명령어 처리 순서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성능을 높인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 의존성뿐만 아니라 이름 의존성(WAR, WAW) 문제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레지스터 재명명이나 스코어보딩과 같은 기술로 처리한다. 더불어 메모리 접근 순서 변경으로 인한 데이터 의존성 문제는 메모리 모호성 제거 기술을 통해 관리하여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보장하면서 성능을 개선한다.

5. 1. 1. 명령어 파이프라인

명령어 파이프라인에서는 여러 명령어가 여러 단계에 걸쳐 동시에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 레지스터 사이의 데이터 의존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파이프라인 내에서 이를 관리해야 한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실제 데이터 값에 대한 의존성(진정한 종속성)으로, 이는 파이프라인 정지 또는 피연산자 전달과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5. 1. 2. 아웃 오브 오더 실행

최신 프로세서는 성능 향상을 위해 명령어를 원래 프로그램 순서와 다르게 실행하는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 종속성 외에도 레지스터 간의 이름 종속성을 해결해야 하며, 이는 레지스터 재명명이나 스코어보딩과 같은 기술을 통해 이루어진다. 데이터 종속성은 메모리 접근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프로그램 순서와 다른 순서로 메모리 접근 명령어(로드 및 저장)를 실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모리 모호성 제거 기술이 사용된다.

5. 1. 3. 메모리 모호성 제거

데이터 종속성은 메모리 접근에서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아웃 오브 오더 실행과 같이 프로세서가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에 명시된 순서와 다르게 명령어를 처리하는 경우, 메모리 접근 순서에 따른 종속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메모리 모호성 제거는 이러한 상황에서 메모리 접근 명령어(로드 및 저장)를 원래의 프로그램 순서와 다르게 실행하면서도 데이터 종속성을 올바르게 지키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메모리 접근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최적화하여 전반적인 처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5. 2. 컴파일러 구축

데이터 의존성은 다양한 컴파일러 최적화 기법을 적용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컴파일러는 코드 성능 향상을 위해 명령어 스케줄링, 루프 변환, 코드 이동 등 여러 최적화를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 의존성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원래 의미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각 최적화 기법 적용 시 데이터 의존성 제약을 지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5. 2. 1. 명령어 스케줄링

컴파일러는 데이터 의존성을 고려하여 명령어 스케줄링을 해야 한다. 이는 더 나은 성능을 위해 코드를 재배열하는 최적화 컴파일러에서 매우 중요하다.

5. 2. 2. 루프 변환

루프를 최적화할 때, 컴파일러는 데이터 의존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프로그램의 의미를 변경하지 않고 루프 언롤링, 루프 융합 또는 루프 타일링과 같은 변환을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5. 2. 3. 코드 이동

코드 이동은 컴파일러가 코드의 일부를 이동하는 최적화를 수행할 때, 기존의 데이터 의존성을 해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경우와 관련된다.

5. 3. 병렬 컴퓨팅 및 동시 프로그래밍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순차 실행 모델을 가정하고 작성된다. 이 모델에서는 명령어가 하나씩, 원자적으로(즉, 특정 시점에는 하나의 명령어만 실행됨), 그리고 프로그램에 지정된 순서대로 실행된다.

그러나 문장이나 명령어 사이에 존재하는 종속성병렬 처리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병렬 처리란 병렬 컴파일러나 명령어 수준 병렬 처리를 활용하는 프로세서가 여러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이러한 종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러 명령어를 무분별하게 병렬로 실행하면,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hazard)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의존성을 분석하는 것은 여러 연산이 동시에 안전하게 실행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

6. 한국의 관점

주어진 원본 소스 내용은 데이터 의존성의 일반적인 개념과 병렬 처리의 어려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관점"이라는 특정 섹션 제목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기 어렵습니다.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상황이나 특정 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공된 원본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Analysis of Programs for Parallel Processing 1966-10-01
[2] 서적 Computer Architecture: a quantitative approach (3rd ed.) "[[Morgan Kaufmann]]"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