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곡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곡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에 속하는 면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마한, 백제,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변화해 왔다. 현재 12개의 법정리와 24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곡초등학교, 도곡중앙초등학교, 도곡중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화순읍
    화순읍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중앙에 위치한 읍으로, 화순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마한 시대 여래비리국의 일부였고 백제 시대 잉리아현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시대 화순현의 중심 역할을 하였고 현재는 24개의 법정리와 다양한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다.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백아면
    백아면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동복군 내북면과 외북면에서 1914년 화순군에 편입, 1932년 북면으로 통합되었다가 2020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이천리에 면사무소를 두고 16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된 청동기 시대 고인돌 유적과 마한 시대 두부지현의 중심지였던 역사적인 지역이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도곡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道谷面
영문 표기Dogok-myeon
면적38.17
세대1,573
세대 조사2016년 6월 30일
인구2844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리12
행정리25
59
면사무소도곡면 효자1길 20 (효산리)
홈페이지도곡면사무소

2. 역사

도곡면의 역사는 청동기 시대부터 시작된다. 고인돌 유적을 통해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1]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의 일부였으며, 백제 시대에는 이릉부리현(爾陵夫里縣)에 속했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는 잉리아현(仍利阿縣)이 여미현(汝湄縣)으로 개칭되어 릉성군의 일부가 되었고, 고려 태조 23년(940년)에는 여미현이 화순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현종 9년(1018년)에는 화순현과 능성현이 나주목에 속했으며, 고려 인종 21년(1143년)에는 능성현에 현령이 부임하면서 능성현에 속하게 되었다.[1]

조선 시대에는 1416년 (조선 태종 16년)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되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쳐져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가, 1418년 (조선 태종 18년)에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되었다. 1632년 (조선 인조 10년)에는 능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與地圖書)와 1789년 (조선 정조 13년)의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능주목의 서일면(西一面)과 북면(北面) 지역이었다. 1864년 (조선 고종 1년)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능주목의 망해면(望海面)과 북면(北面)으로 나타난다.

1895년 (조선 고종 32년) 나주부 능주군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으로 나뉘었고, 1896년(고종 33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전라남도 능주군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되었다. 1908년 10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주군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으로 나뉘었다. 1910년 10월 1일 칙령 제354호, 357호에 따라 면사무소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1913년 능주군이 화순군으로 개칭되면서 화순군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으로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과 남평군 저포면의 일부를 합하여 화순군 도곡면(道谷面)이 되었다.

1932년 1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화순군 도곡면이 되었고, 1950년 10월 5일 한국 전쟁으로 면사무소가 소실되어 임시청사를 사용하다가 1956년 9월 17일 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1980년 5월 5일 면사무소 청사를 콘크리트 슬라브 단층으로 신축하였고,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변경에 의해 주도리(周道里)가 화순읍으로 이관되었으며, 1990년 9월 18일 면사무소 청사를 2층으로 증축하였다.[1]

2. 1. 선사 시대

도곡면 일대에는 고인돌이 36기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1]

2. 2. 삼국 시대 ~ 고려 시대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의 일부에 속했다.[1] 백제 시대에는 이릉부리현(爾陵夫里縣)의 일부에 속했다.[1]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잉리아현(仍利阿縣)을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쳐 릉성군(陵城郡)의 일부가 되었다.[1] 940년 (고려 태조 23년)에는 여미현을 화순현(和順縣)으로 고쳤다.[1] 1018년 (고려 현종 9년)에는 화순현과 능성현(綾城縣)이 나주목(羅州牧)에 속했다.[1] 1143년 (고려 인종 21년)에는 능성현에 현령이 부임하면서 능성현에 속하게 되었다.[1]

2. 3. 조선 시대 ~ 일제 강점기


  • 1416년(조선 태종 16년): 화순현과 동복현이 분리되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쳐져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1]
  • 1418년(조선 태종 18년): 순성현이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되었다.[1]
  • 1632년(조선 인조 10년): 능주목으로 승격되었다.[1]
  •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與地圖書)에 의하면 능주목의 서일면(西一面)과 북면(北面) 지역이었다.[1]
  • 1789년(조선 정조 13년):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능주목의 서일면(西一面)과 북면(北面) 지역이었다. 서일면은 4개리 (大谷里, 唐谷里, 中登里, 甘方里)를, 북면은 12개리 (竹靑里, 周道里, 龜思里, 五道里, 栗峙里, 花南里, 月峙里, 溫泉里, 白巖洞里, 虎洞里, 耳谷里)를 관할했다.[1]
  • 1864년(조선 고종 1년):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의하면 능주목의 망해면(望海面)과 북면(北面)이었다.[1]
  • 1895년(조선 고종 32년): 나주부(羅州府) 능주군(綾州郡, 3등군) 오도면(吾道面), 화남면(花南面), 대곡면(大谷面)으로 나뉘었다.[1]
  • 1896년(조선 고종 33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전라남도 능주군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되었다.[1]
  • 1908년 10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주군 오도면(吾道面), 화남면(花南面), 대곡면(大谷面)으로 나뉘었다. 오도면은 8개리 (周道里, 竹靑里, 九思里, 吾道谷, 栗峙, 德里, 美洞, 柳信洞)를, 화남면은 8개리 (白巖里, 元洞, 溫泉里, 月峙, 花南里, 德山, 耳谷, 虎洞)를, 대곡면은 14개리 (內大谷, 中大谷, 外大谷, 孝子村, 茅山里, 月谷, 柳谷里, 楊亭里, 玉溪村, 坪村, 路口店, 石橋村, 店村, 雙亭里)를 관할했다.[1]
  • 1910년 10월 1일: 칙령 제354호, 357호에 따라 면사무소를 설치하기 시작했는데, 오도면사무소는 오도실 356번지, 화남면사무소는 백암리 412번지 (현 문대식집), 대곡면사무소는 월곡리 513번지 장판각(현재 이축하였음)에 각각 설치하였다.[1]
  • 1913년: 능주군이 화순군으로 개칭되면서 화순군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되었다.[1]
  • 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으로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과 남평군 저포면의 일부를 합하여 화순군 '''도곡면'''(道谷面)이 되었다. 면사무소는 효산리 745-1번지 (현 김영춘집)에 설치되었고, 13개리 (信德里, 美谷里, 竹靑里, 周道里, 大谷里, 孝山里, 月谷里, 雙玉里, 坪里, 新星里, 元花里, 泉巖里, 德谷里)를 관할하게 되었다.[1]

2. 4. 대한민국 시대


  • 1932년 1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화순군 도곡면이 되었다.[1]
  • 1950년 10월 5일: 한국 전쟁으로 면사무소가 소실되자 신덕리 종방마을 934-1, 854-61번지 잠사창고를 임시청사로 사용하였다.[1]
  • 1956년 9월 17일: 효산리 763번지(옛 도곡지서자리)에 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1]
  • 1980년 5월 5일: 면사무소 청사를 콘크리트 슬라브 단층으로 신축하였다.[1]
  •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변경(1983. 1. 10 대통령령 제110-27호)에 의해 주도리(周道里)가 화순읍으로 이관되었다.[1]
  • 1990년 9월 18일: 면사무소 청사를 2층으로 증축하였다.[1]

3. 행정 구역

도곡면은 12개의 법정리와 24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1]

3. 1. 법정리 및 행정리 목록

법정리한자명행정리비고
대곡리大谷里대곡1구, 대곡2구, 대곡3구
덕곡리德谷里덕곡1구, 덕곡2구
미곡리美谷里미곡1구, 미곡2구
신덕리信德里신덕1구, 신덕2구, 신덕3구
신성리新星里신성1구, 신성2구
쌍옥리雙玉里쌍옥1구, 쌍옥2구
원화리元花里원화1구, 원화2구
월곡리月谷里월곡1구, 월곡2구, 월곡3구
죽청리竹靑里죽청1구, 죽청2구
천암리泉岩里천암리
평리坪里평리
효산리孝山里효산1구, 효산2구면사무소 소재지


4. 교육

도곡면에는 초등학교 2개소, 중학교 1개소가 있으며, 도곡초등학교 죽청분교는 폐교되었다.[1]

4. 1. 학교 목록

4. 2. 폐교

도곡초등학교 죽청분교(폐교) - 도곡면 죽청길 31-2 (죽청리)

5. 문화/관광

도곡면에는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410호인 세계문화유산 화순고인돌공원과 중요민속자료 제152호 양동호 가옥, 제154호 양승수 가옥이 있다.[1] 도곡온천단지, 클럽900 골프장, 조아벨리 골프장이 관광지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