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커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널드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의 저자로, 알고리즘 분석 분야를 개척하고 TeX와 Metafont를 개발한 인물이다. 위스콘신 주 밀워키에서 태어나 케이스 공과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업적을 쌓았으며, 튜링상, 국가 과학 훈장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또한, 루터교 신자이자 오르간 연주자이며, 중국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널드 커누스 -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도널드 커누스가 집필한 컴퓨터 과학 분야의 대표 저서인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은 자료 구조, 알고리즘, 준수치적 알고리즘, 정렬 및 검색, 조합론적 알고리즘 등 프로그래밍 핵심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기여하며, MIX/MMIX 어셈블리 언어 분석을 통해 튜링상 수상 및 "세기의 과학을 형성한 100여 권의 책"으로 선정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 도널드 커누스 - TeX
TeX는 도널드 커누스가 개발한 수학, 과학, 공학 분야의 고품질 문서 출력을 위한 조판 시스템이며, 수학 수식 조판에 특화된 매크로 시스템과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 그레이스 머리 호퍼상 수상자 - 레이 커즈와일
레이 커즈와일은 광학 문자 인식, 음성 합성, 음악 합성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적 특이점 이론으로 알려진 미래학자이자 발명가, 작가, 기업가이다. - 그레이스 머리 호퍼상 수상자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 조합론자 - 프랭크 램지
프랭크 램지는 1903년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논리철학 논고》 번역에 참여하고 램지 정리를 증명했으며, 경제학 연구를 수행하다 26세에 사망한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경제학자이다. - 조합론자 - 존 호턴 콘웨이
영국의 수학자 존 호턴 콘웨이는 조합 게임 이론, 유한군, 매듭 이론, 정수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특히 라이프 게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마틴 가드너와의 협업을 통해 대중들에게 수학의 즐거움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도널드 커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도널드 어빈 커누스 |
출생일 | 1938년 1월 10일 |
출생지 |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
거주지 | 미국 |
국적 | 미국 |
분야 | 수학 컴퓨터 과학 |
직장 | 스탠퍼드 대학교 |
모교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배우자 | 낸시 질 카터 |
자녀 | 2명 |
![]() | |
박사 지도교수 | 마셜 홀 주니어 |
박사 학위 학생 | 레오니다스 J. 김바스 마이클 프레드먼 스콧 김 본 프랫 로버트 세지윅 제프리 비터 안드레이 브로더 |
학위 논문 제목 | 유한 준체와 사영 평면 |
학위 논문 년도 | 1963년 |
학위 논문 URL | 학위 논문 |
알려진 업적 |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TeX, METAFONT 컴퓨터 모던 커누스의 위쪽 화살표 표기법 커누스-모리스-프랫 알고리즘 커누스-벤딕스 완성 알고리즘 MMIX 로빈슨-셴스테드-커누스 대응 LR 파서 리터레이트 프로그래밍 |
중국어 이름 | 가오더나 (高德纳) |
홈페이지 | 도널드 커누스 홈페이지 |
수상 | |
수상 내역 | SIGCSE 뛰어난 공헌 (1986년) 그레이스 머리 호퍼 상 (1971년) 튜링상 (1974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75년) 미국 국가 과학 훈장 (1979년) 존 폰 노이만 메달 (1995년) 하비 상 (1995년) 교토상 (1996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 (2003년) 패러데이 메달 (2011년) BBVA 재단 지식 프론티어 상 (2010년) 튜링 강연 (2011년) 플라졸레 강연 (2014년) |
2. 생애와 업적
도널드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책인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21] 28세에 이 책의 1권을 집필했으며, 알고리즘 분석 분야를 창시하고 이론 컴퓨터 과학 여러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1956년 케이스 공과대학(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의 일부)에 입학하여 IBM 650을 접했고, 1958년에는 학교 농구팀을 돕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11] 1960년 케이스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동시에 받았으며,[9] 1963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6]
1960년부터 1968년까지 버로스사 컨설턴트로 활동했고,[19] 1969년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20] 1977년 플레처 존스 컴퓨터 과학 교수가 되었고, 1990년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교수를 거쳐 1993년부터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25][26]
1970년대에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TAOCP) 출판 방식이 모노타입에서 사진 식자 방식으로 바뀌며 품질이 저하되자 TeX와 Metafont를 개발했다.[41] 또한 문학적 프로그래밍 개념을 고안, WEB 시스템에 담아 프로그래밍을 문학 작품처럼 다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루터교 신자인 커누스는 성경을 탐구한 ''3:16 성경 텍스트 조명''을 저술했고,[37] 소프트웨어 특허에 반대했다.[39]
앨런 케이는 1960년대 후반 스탠퍼드 프로그래밍 경연대회에서 커누스가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고 회상하며, 비결을 묻자 "프로그램을 제대로 작성해야 했다"고 답했다고 전한다.[136]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태어난[4] 도널드 커누스는 자신의 혈통을 "중서부 루터교 독일인"이라고 묘사한다. 그의 아버지는 작은 인쇄 사업을 운영했고 부기(bookkeeping)를 가르쳤다.[5] 커누스는 밀워키 루터교 고등학교 학생 시절, 독창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보였다. 예를 들어 8학년 때, "Ziegler's Giant Bar"의 철자를 재배열하여 만들 수 있는 단어의 수를 찾는 대회에 참가했다. 심사위원들은 2,500개의 단어를 확인했지만, 커누스는 4,500개 이상의 단어를 찾아내 우승했다.[6] 상품으로 학교는 새 텔레비전과 모든 급우가 먹을 수 있는 충분한 초콜릿 바를 받았다.[7][8]1956년, 커누스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케이스 공과대학(현재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의 일부)에 물리학 장학금을 받으며 입학했다.[9] 케이스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면서, 커누스는 초창기 상업용 컴퓨터인 IBM 650을 접하게 되었다. 커누스는 컴퓨터 설명서를 읽고 학교에서 사용하던 컴퓨터의 어셈블리 및 컴파일러 코드를 더 잘 만들 수 있다고 믿고 다시 작성했다.[10]
1958년, 커누스는 학교 농구팀이 경기에서 이길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11] 그는 선수들의 득점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선수들에게 "값"을 할당했는데, 이는 나중에 ''뉴스위크''와 ''CBS 이브닝 뉴스''에서 보도될 정도로 새로운 접근 방식이었다.
커누스는 1959년 최고의 기술 잡지로 전국적인 상을 받은 케이스 공과대학의 ''공학 및 과학 리뷰''의 창립 편집자 중 한 명이었다.[12][13] 그는 이후 물리학에서 수학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1960년 케이스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동시에 받았다.[9] 그의 학업 성과는 매우 뛰어났기 때문에 특별 표창을 받았다.[14][3]
2. 2. 학문적 경력
1963년, 수학자 마셜 홀의 지도를 받아[1]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유한 반체장과 사영 평면"이라는 논문으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6] 박사 학위 취득 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조교수로 임용되었다.[27]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재직 중 버로스사(Burroughs Corporation) B205 ALGOL 컴파일러의 성공 이후, 버로스사 컨설턴트가 되어 제품 기획부에 합류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는 수학자로, 버로스에서는 B220 컴퓨터(B205 후속 모델)용 ALGOL 컴파일러 개발에 참여하여 당시 최고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그는 Green Tree Corporation으로부터 100000USD 상당의 컴파일러 개발 계약을 제안받았지만, 이를 거절하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와 버로스에서 계속 근무했다. 국립 과학 재단 및 우드로우 윌슨 재단 펠로우십을 받았으나, 대학원생으로서 연구에만 전념해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버로스 컨설턴트 활동을 계속할 수 없어 펠로우십을 거절하고 버로스 근무를 선택했다.
1962년 여름, 유니백(Univac)용 포트란(FORTRAN) 컴파일러를 작성했지만, 이에 대해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고 회고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1961년 6월 버로스로 돌아갔지만, 학사 학위가 아닌 석사 학위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ALGOL 구문 차트, 심볼 테이블, 재귀 하강 방식, 컴파일러의 스캔, 파싱, 출력 함수 분리에 깊은 인상을 받은 커누스는 심볼 테이블을 확장하여 하나의 심볼이 심볼 문자열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제안했다. 이는 버로스 ALGOL의 DEFINE의 기초가 되었고, 이후 다른 언어에서도 채택되었다. 그러나 일부는 이 아이디어를 매우 싫어했으며, 특히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Edsger Dijkstra)는 이를 끔찍하다고 생각했다.
버로스에서 J. 맥닐리(J. McNeeley)와 공동으로 시뮬레이션 언어 SOL(Simulation Oriented Language)을 개발하여 당시 최첨단 기술을 개선했다. 1967년 5월, 시뮬라(Simula) 언어 개발자들이 주최한 노르웨이 회의에 참석하여 버로스가 시뮬라를 사용하도록 영향을 미쳤다.[17][18]
1960년부터 1968년까지 버로스 컨설턴트로 활동했고, 1969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학문적 연구를 시작했다.[19][20]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1권 출판 직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를 떠나 프린스턴 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한 국방 분석 연구소 통신 연구 부서에 합류하여 국가 안보국(National Security Agency) 지원 암호학 분야 수학 연구를 수행했다.
1967년, 산업 및 응용 수학 학회(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회의에서 자신의 연구 분야를 묻는 질문에, 당시 수치 해석, 인공 지능,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으로 나뉘어 있던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자신의 연구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을 바탕으로 "알고리즘 분석"이라고 답하기로 결심했다.[23]
1969년, 프린스턴 대학교를 떠나 스탠퍼드 대학교에 합류,[24] 1977년 플레처 존스 컴퓨터 과학 교수가 되었다. 1990년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교수가 되었고, 1993년부터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25][26]
2. 3. 주요 저서 및 연구
도널드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책인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의 저자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21] 1962년, 커누스는 애디슨-웨슬리(Addison-Wesley) 출판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컴파일러에 관한 책을 집필해 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그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먼저 개발하지 않고서는 이 주제를 적절하게 다룰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것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이 되었다. 그는 이 책을 단일 권으로 출판할 계획이었으나, 책의 개요를 개발하면서 6권, 나중에는 7권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1968년에 첫 번째 권을 출판했다.[21]1970년대에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을 "진정한 정체성이 없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라고 불렀으며, 출판물의 기준이 높지 않았고, 나오는 논문 중 많은 부분이 틀렸다고 말했다. 그래서 커누스는 "매우 잘못 전달된 이야기를 바로잡는 것"이 자신의 동기 중 하나였다고 밝혔다.[28] TAoCP 또는 ACP로 약칭되기도 하는 이 책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Art"에 대해 집대성한 대작이다. 커누스는 여기서 의도하는 "Art"가 무엇인지, 본서의 간행이라는 업적으로 제3권을 간행한 후 1974년에 튜링상을 수상[98]했을 때, 수상 강연의 서두에서 상세하게[99] 언급하고 있다.
커누스가 이 책을 기획했을 당시, 계산 과학은 이제 막 첫걸음을 내디뎠을 뿐이었고, "그것은 정체불명의 완전히 새로운 영역이었다"고 커누스는 말했다. 더 나아가 "입수 가능한 출판물의 수준은 그다지 높다고 할 수 없었다. 잇따라 쓰이는 논문의 내용이 솔직히 말해 틀렸다는 상황이었다. (중략) 그래서 엉망진창으로 전해지고 있던 이야기를 바로잡고 싶었다[100]"고 말했다.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커누스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올레-요한 달과 같은 사람들과 함께 1년을 보냈다. 이곳은 그가 원래 자신의 책 시리즈의 일곱 번째 권을 쓰려고 했던 곳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루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커누스는 오슬로에 왔을 때 처음 두 권만을 완성했고, 따라서 가르치는 것 외에 세 번째 권에 1년을 보냈다. 세 번째 권은 커누스가 1973년 스탠퍼드로 돌아온 직후에 나왔다.[29]
1976년, 2권의 제2판 준비 중에 판면의 마무리에 불만을 품고[101], TeX와 METAFONT를 스스로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4권 착수는 다소 늦춰졌다. 결과적으로, 컴파일러 기법에 대해서는 속간의 내용으로 2020년 시점에서도 예고에 포함되어 있지만, 그러한 분야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서적이 있다. 한편 기간 부분에 포함된, 철저한 조사와 실천에 기반하여 쓰인 내용은 종종 참조되는 귀중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것도 많다.
2012년 현재, 처음 3권과 제4권의 제1부가 출판되었다.[102] 2020년 4월, 커누스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4권이 최소한 A부터 F까지의 부분을 가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23] 4B권은 2022년 10월에 출판되었다.
''구체 수학: 컴퓨터 과학의 기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1권의 수학적 예비 지식 섹션을 확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커누스는 1권에 필요한 수학적 도구가 자신의 레퍼토리에 없다는 것을 발견했고, 컴퓨터 과학 학생들에게 이러한 도구를 소개하는 강좌가 유용할 것이라고 결정했다. 1970년 스탠퍼드에서 이 강좌를 시작했다. 오렌 파타시닉이 개발한 강의 노트는 로널드 그레이엄, 커누스, 파타시닉을 저자로 하여 1988년에 텍스트로 발전했다. ''구체 수학''의 두 번째 판은 1994년에 출판되었다.
『초현실수』(Surreal Numbers)는 존 호턴 콘웨이의 집합론에 기반하여 대체적인 수 체계를 구축하는 수학 소설이다.[103] 이 책은 단순히 주제를 설명하는 것을 넘어, 수학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데 힘썼다. 커누스는 이 책을 읽은 학생들이 독창적인 창조적 연구를 수행하기를 바라고 있다.
1995년에 커누스는 마르코 페트코프셰크, 허버트 윌프, 도로온 자일버거의 저서 ''A=B''의 서문을 썼다.[30] 그는 또한 가끔 ''워드 웨이즈: 레크리에이션 언어학 저널''에 언어 퍼즐을 기고하기도 한다.[31]
커누스는 레크리에이션 수학에도 손을 댔다. 1960년대부터 ''레크리에이션 수학 저널''에 기고했으며, 조셉 마다치의 ''휴가 중의 수학''에서 주요 기고자로 인정받았다.[32]
커누스는 유튜브의 여러 넘버파일[33] 및 컴퓨터파일 비디오에 출연하여 ''초현실수'' 집필[34]부터 이메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35]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한다.
2. 4. TeX와 메타폰트
커누스는 1970년대에 자신의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TAOCP)의 출판 방식이 모노타입에서 사진 식자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이전 방식보다 품질이 떨어진다고 느꼈다. 이에 그는 디지털 조판 작업에 몰두하여 TeX와 Metafont를 만들었다.[41]TeX를 개발하면서 커누스는 literate programming/문학적 프로그래밍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방법을 고안했다. 그는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문학 작품처럼 생각해야 한다고 믿었다.
커누스는 WEB 시스템에 문학적 프로그래밍의 아이디어를 담았다. 동일한 WEB 소스는 TeX 파일을 '엮고', 파스칼 소스 파일을 '얽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차례로 프로그램에 대한 읽을 수 있는 설명과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를 생성한다. 이 시스템의 후기 버전인 CWEB는 파스칼을 C, C++, Java로 대체한다.[43]
커누스는 WEB을 사용하여 TeX와 METAFONT를 프로그래밍했으며, 두 프로그램을 모두 책으로 출판했다. 두 책 모두 1986년에 출판되었다: ''TeX: The Program''; 그리고 ''METAFONT: The Program''.[44] 거의 같은 시기에, 현재 널리 채택된 TeX 기반의 매크로 패키지인 LaTeX는 레슬리 램포트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그는 1986년에 첫 번째 사용자 매뉴얼을 출판했다.[45]
2. 5. 기타 활동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 분야를 더 잘 나타내는 이름으로 "알고리즘학"을 제안했다.[36]루터교 신자인 커누스는 ''3:16 성경 텍스트 조명''을 저술했다.[37] 이 책에서 커누스는 각 책의 3장 16절을 분석하는 체계적 표집 방식을 통해 성경을 탐구한다. 각 절에는 헤르만 차프가 이끄는 서예가 그룹이 기여한 서예 작품이 함께 실려 있다. 커누스는 MIT에서 3:16 프로젝트의 종교관과 컴퓨터 과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강연해 달라는 초청을 받았고, 그 결과 ''컴퓨터 과학자가 거의 말하지 않는 것들''에 ''신과 컴퓨터 과학'' 강연 내용을 게재했다.[38]
도널드 커누스는 사소하고 자명한 해결책에 대한 소프트웨어 특허 부여에 강하게 반대하지만, 선형 계획법의 내부점 방법과 같은 비자명한 해결책에 대해서는 더 미묘한 견해를 표명했다.[39] 그는 미국 특허청과 유럽 특허청에 직접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40]
3. 수상 및 영예
1971년, 커누스는 최초의 미국 전산학회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 상을 수상했다. 그는 또한 튜링상, 국가 과학 훈장, 존 폰 노이만 메달, 교토 상을 포함한 다양한 상을 받았다.
1990년에는 독특한 학술 칭호인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교수'를 수여받았으며, 그 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명예 교수'로 변경되었다.
커누스는 1975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81년 미국 국립 공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92년에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준회원이 되었다. 2003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으로 선출되었다.[2]
2009년 산업 및 응용 수학 학회의 회원(최초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61]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의 회원이다.[62] 2012년에는 미국 수학 학회의 회원[63] 및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64]
연도 | 상/영예 |
---|---|
1971년 | 미국 전산학회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 상 |
1974년 | 튜링상 |
1975년, 1993년 | 레스터 R. 포드 상[65][66] |
1978년 | 조시아 윌라드 깁스 강연자[67][68] |
1979년 | 국가 과학 훈장[69] |
1985년 | 미국 공로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70] |
1988년 | 프랭클린 메달 |
1995년 | 존 폰 노이만 메달 |
1995년 | 테크니온의 하비 상[71] |
1996년 | 교토 상 |
1998년 | 컴퓨터 역사 박물관의 회원[72] |
2001년 | 21656 Knuth 소행성 명명 |
2010년 | Katayanagi Prize |
2010년 | 정보 및 통신 기술 분야의 BBVA Foundation Frontiers of Knowledge Award |
2011년 | 튜링 강연 |
2011년 | 스탠퍼드 대학교 공과대학 영웅상[75] |
2014년 | Flajolet Lecture Prize[76] |
4. 개인적인 삶
도널드 커누스는 1961년 6월 24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대학원생 신분으로 낸시 질 카터와 결혼했다. 슬하에 두 자녀, 존 마틴 커누스와 제니퍼 시에라 커누스를 두고 있다.[135]
커누스는 오르간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다. 2016년에는 오르간 곡 "묵시록적 환상곡"을 완성했는데, 그는 이 곡을 "성 요한 묵시록의 그리스어 텍스트를 음악으로 번역한 것"이라고 부른다. 이 곡은 2018년 1월 10일 스웨덴에서 초연되었다.[135]
커누스의 중국어 이름은 가오 더나()이다.[51][52] 1977년 프랜시스 야오에 의해 이 이름을 받았으며, 이는 그가 중국으로 3주간의 여행을 떠나기 직전이었다.[52][53]
커누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발견된 오타나 실수에 대해 2.56달러의 찾아내기 수수료를 지불했는데, 이는 "256 페니가 1 16진법 달러"이기 때문이다.[54]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Technology Review''에 실린 기사에 따르면, 이러한 커누스 보상 수표는 "컴퓨터 업계에서 가장 소중한 트로피 중 하나"이다.[54]
재귀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커누스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제1권''의 색인에서 의도적으로 "순환 정의"와 "정의, 순환"을 서로 참조했다.[135]
2006년, 커누스는 전립선암을 앓아 같은 해 12월에 수술을 받았다. 방사선 치료를 받았지만 예후는 상당히 좋다고 보고되었다.[119]
5.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도널드 커누스는 알고리즘 분석 분야를 창시하고 이론 컴퓨터 과학의 여러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9] 그의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은 컴퓨터 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9] TeX와 Metafont를 개발하여 학술 출판 및 문서 작성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다.[41]
5. 1. IT 산업 발전 기여
커누스는 알고리즘 분석 분야를 창시하고, 이론 컴퓨터 과학의 여러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9] 그의 저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은 컴퓨터 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9] 1967년 산업 및 응용 수학 학회(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회의에서 커누스는 자신의 연구와 책을 바탕으로,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를 "알고리즘 분석"이라고 명명했다.[23]커누스는 1970년대에 컴퓨터 과학을 "진정한 정체성이 없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라고 칭하며, 당시 출판물의 낮은 질을 지적했다. 그는 "매우 잘못 전달된 이야기를 바로잡는 것"을 자신의 동기 중 하나로 삼았다.[28]
또한, 커누스는 디지털 조판 시스템인 TeX와 Metafont를 개발하여 학술 출판 및 문서 작성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다.[41] 1970년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출판사들이 모노타입에서 사진 식자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커누스는 사진 식자 시스템의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고 직접 디지털 조판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41]
5. 2. 학문적 영향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책인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9] 이 책은 알고리즘 분석 분야를 실질적으로 창조했으며, 이론 컴퓨터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했다.[9]1967년, 커누스는 산업 및 응용 수학 학회(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회의에서 자신의 연구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책을 바탕으로,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를 "알고리즘 분석"이라고 명명했다.[23] 1970년대에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을 "진정한 정체성이 없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라고 칭하며, 당시 출판물의 낮은 기준을 지적하고 자신의 연구를 통해 이를 바로잡고자 했다.[28]
《구체 수학: 컴퓨터 과학의 기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1권의 수학적 내용을 확장한 것으로, 커누스가 1970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시작한 강의에서 비롯되었다.[29] 로널드 그레이엄, 커누스, 오렌 파타시닉이 공동 저술한 이 책은 1988년에 출판되었고, 1994년에 두 번째 판이 나왔다.
2011년까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4A권이 출판되었으며,[21] 2020년 4월, 커누스는 4권이 최소한 F부분까지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23] 4B권은 2022년 10월에 출판되었다.
커누스는 WEB 시스템에 문학적 프로그래밍의 아이디어를 담아 TeX와 METAFONT를 개발했다.[43] 그는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문학 작품처럼 생각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컴퓨터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지시하는 것이라고 상상하는 대신, 컴퓨터가 무엇을 하기를 원하는지 인간에게 설명하는 데 집중하자"라고 말했다.[42]
5. 3. 사회문화적 영향
커누스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책인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27] 1970년대에 이 책의 출판사들이 모노타입에서 사진 식자 방식으로 전환했는데, 커누스는 새 시스템으로 조판된 책의 품질이 이전보다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이에 그는 디지털 조판 작업에 몰두하여 TeX와 Metafont를 만들었다.[41]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Professor Donald Knuth ForMemRS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3]
간행물
Combinatorics, Complexity, and Randomness
1986-02
[4]
MacTutor
2015-10
[5]
서적
No Better Time: The Brief, Remarkable Life of Danny Lewin--the Genius who Transformed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Incorporated
[6]
웹사이트
Oral History of Donald Knuth
https://archive.comp[...]
2007
[7]
서적
Out of their minds: the lives and discoveries of 15 great computer scientists
https://books.google[...]
Springer
[8]
서적
Selected Papers on Fun and Games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CSLI Lecture Notes, no. 192
[9]
웹사이트
Donald E. Knuth
https://www.encyclop[...]
[10]
서적
Discrete mathematics with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1]
웹사이트
Donald Knuth, basketball and computers in sport
https://keithlyons.m[...]
2018-09-25
[12]
웹사이트
Beta Nu of Theta Chi, History of Beta Nu Chapter
http://greeklife.cas[...]
CWRU
[13]
웹사이트
Beta Nu, Theta Chi
https://www.thetachi[...]
Theta Chi
[14]
웹사이트
Donald E. Knuth - A.M. Turing Award Laureate
https://amturing.acm[...]
[15]
웹사이트
Stories About the B5000 and People Who Were There
https://archive.comp[...]
[16]
PhD
Finite Semifields and Projective Planes
https://thesis.libra[...]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963
[17]
웹사이트
The Birth of Object Orientation: the Simula Languages
https://www.mn.uio.n[...]
[18]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ww.informs.[...]
[1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ichard Nance 2013
https://d.lib.ncsu.e[...]
[20]
웹사이트
The Birth of Object Orientation: the Simula Languages
https://cs.stanford.[...]
[21]
웹사이트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TAOCP)
https://cs.stanford.[...]
2019-08-03
[22]
웹사이트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https://www.informs.[...]
2021-08-27
[23]
웹사이트
The Computer Scientist Who Can't Stop Telling Stories
https://www.quantama[...]
2020-04-16
[24]
웹사이트
Timeline
https://exhibits.sta[...]
2019-06-21
[25]
웹사이트
Home page
https://c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6]
웹사이트
Donald Knuth
https://profiles.sta[...]
Stanford University
[27]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s://c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8]
웹사이트
BBVA Foundation Frontiers of Knowledge Awards
http://www.fbbva.es/[...]
[29]
웹사이트
Publikasjonen "Datahistorien ved Universitetet i Oslo - Institutt for informatikk 1977 - 1997" utgitt
https://ordenen.ifi.[...]
1997
[30]
웹사이트
DEK
https://sites.math.r[...]
Rutgers
[31]
웹사이트
The Linguist List -- Journal Page
https://old.linguist[...]
[32]
문서
Mathematics on Vacation
Thomas Nelson & Sons Ltd.
1966
[33]
웹사이트
Videos about Numbers and Stuff
https://www.numberph[...]
[34]
Citation
Surreal Numbers (writing the first book) - Numberphile
https://www.youtube.[...]
2016-06-27
[35]
Citation
Why Don Knuth Doesn't Use Email - Computerphile
https://www.youtube.[...]
2015-08-21
[36]
서적
Philosophy and the Computer
Taylor & Francis
1992
[37]
서적
3:16 : Bible texts illuminated
A-R Eds
[38]
서적
Things a Computer Scientist Rarely Talks About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Publications
2001
[39]
article
All Questions Answered
https://www.ams.org/[...]
2002-03
[40]
웹사이트
Against software patents
http://www.groklaw.n[...]
2020-02-01
[41]
웹사이트
Digital Typography (Kyoto Prize Lecture, 1996)
https://www.kyotopri[...]
[42]
웹사이트
Literate Programming
http://www.literatep[...]
2020-03-26
[43]
웹사이트
Knuth and Levy: CWEB
https://www-cs-facul[...]
[44]
웹사이트
Knuth: Computers and Typesetting
https://www-cs-facul[...]
2019-07-19
[45]
서적
LATEX : a document preparation system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Pub. Co
1986
[46]
웹사이트
Donald Ervin Knuth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15
[47]
웹사이트
Professor Donald Knuth
http://www.magd.ox.a[...]
Magdalen College
2010-12-06
[48]
웹사이트
Notices
https://www.ox.ac.uk[...]
2015-05-21
[49]
웹사이트
The Organ of Don and Jill Knuth
https://www-cs-facul[...]
2023-01-11
[50]
뉴스
Arts and Culture: A polymath brings his genius to bear on a multimedia work for pipe organ
https://www.therecor[...]
2018-11-03
[51]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TeX, volume II
[5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c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10-11-02
[53]
서적
计算机程序设计技巧 (Ji suan ji cheng xu she ji ji qiao)
Defense Industry Publishing Co.
1980
[54]
간행물
Rewriting the Bible in 0s and 1s
https://www.technolo[...]
[55]
잡지
The Potrzebie System of Weights & Measures
https://www.madcover[...]
1957-06
[56]
서적
A Truck Full of Money
"[[Random House]]"
2016
[57]
conference panel video
TUG 2010
http://river-valley.[...]
Zeeba TV
2020-03-26
[58]
video recording
An Earth-shaking announcement
http://river-valley.[...]
Zeeba TV
[59]
간행물
An Earthshaking Announcement
https://tug.org/TUGb[...]
2020-03-26
[60]
웹사이트
Roll of Distinguished Fellows
http://www.bcs.org/c[...]
British Computer Society
2014-09-10
[61]
웹사이트
Fellows
https://www.siam.org[...]
Siam
2020-03-26
[62]
웹사이트
Gruppe 1: Matematiske fag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63]
웹사이트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s://www.ams.org/[...]
2022-12-14
[6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3-19
[65]
간행물
Computer science and its relation to mathematics
https://www.maa.org/[...]
2020-03-26
[66]
간행물
Two notes on notation
https://www.maa.org/[...]
2020-03-26
[67]
웹사이트
Josiah Willard Gibbs Lectures
https://www.ams.org/[...]
2016-10-15
[68]
간행물
Mathematical typography
https://www.ams.org/[...]
2022-06-01
[69]
웹사이트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Recipient Details - NSF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https://www.nsf.gov/[...]
2020-03-26
[70]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71]
웹사이트
Harvey
http://www.admin.tec[...]
Technion
[72]
웹사이트
Donald Knuth: 1998 Fellow
https://www.computer[...]
Computer History Museum
2015
[73]
웹사이트
Katayanagi
https://www.cs.cmu.e[...]
CMU
2020-01-06
[74]
웹사이트
Fronteras
http://www.fbbva.es/[...]
FBBVA
[75]
뉴스
Stanford's Don Knuth, a pioneering hero of computer programming
https://news.stanfor[...]
2001-06-01
[76]
웹사이트
Problems That Philippe Would Have Loved
https://www-cs-facul[...]
Stanford University
2022-03-23
[77]
list
Books
https://cs.stanford.[...]
2020-03-26
[78]
웹사이트
Literate Programming
https://cs.stanford.[...]
2020-03-26
[79]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Computer Science
https://cs.stanford.[...]
2020-03-26
[80]
간행물
Digital Typography
https://cs.stanford.[...]
2020-03-26
[81]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Analysis of Algorithms
https://cs.stanford.[...]
2020-03-26
[82]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Computer Languages
https://cs.stanford.[...]
2020-03-26
[83]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Discrete Mathematics
https://cs.stanford.[...]
2020-03-26
[84]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Design of Algorithms
https://cs.stanford.[...]
2020-03-26
[85]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Fun and Games
https://cs.stanford.[...]
2020-03-26
[86]
웹사이트
Companion to the Papers of Donald Knuth
https://cs.stanford.[...]
2020-03-26
[87]
웹사이트
Surreal numbers
https://cs.stanford.[...]
2020-03-26
[88]
웹사이트
ドナルド・アーヴィン・クヌース - 京都賞
https://www.kyotopri[...]
稲盛財団
2021-11-13
[89]
웹사이트
Knuth: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cs-facult[...]
スタンフォード大学
2010-11-02
[90]
문서
Donald Knuth's Homepage at Stanford
http://www-cs-facult[...]
[91]
문서
クヌースのホームページ内Frequently Asked Questions(よく聞かれる質問)
https://www-cs-facul[...]
[92]
문서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http://www-cs-facult[...]
Stanford University
[93]
문서
Knuth's CV
http://www-cs-facult[...]
[94]
서적
Out of their minds: the lives and discoveries of 15 great computer scientists
https://books.google[...]
Springer
[95]
서적
Discrete mathematics with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1-07-30
[96]
문서
History of Beta Nu Chapter
http://thetachi.cwru[...]
[97]
논문
Finite Semifields and Projective Planes
http://thesis.librar[...]
[98]
문서
https://amturing.acm[...]
[99]
문서
コンピュータ科学者の Art''hur Evans に言及するなどジョークを交えながら、
[100]
문서
原文のput straitは「直す」とか「正す」という意味。
[101]
문서
出版界に当時、新しく導入された[[電算写植]]システムについて編集者や印刷業者の使いこなしに問題があったことが遠因だが、クヌースが「電子出版ツールに不満を持」った、というわけではない。
[102]
웹사이트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TAOCP)
http://www-cs-facult[...]
2012-05-20
[103]
서적
Surreal numbers : how two ex-students turned on to pure mathematics and found total happiness : a mathematical novelette
Addison-Wesley
[104]
서적
3:16 : Bible texts illuminated
A-R Eds.
[105]
문서
Love at First Byte
http://www.stanforda[...]
Stanford Magazine
2006-05
[106]
웹사이트
Professor Donald Knuth
http://www.magd.ox.a[...]
Magdalen College
2010-12-06
[107]
뉴스
"Rewriting the Bible in 0's and 1's"
http://www.technolog[...]
[108]
웹사이트
Knuth: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cs-facult[...]
スタンフォード大学
2010-11-02
[109]
웹사이트
"Pipe Organ" at Stanford site
http://www-cs-facult[...]
[110]
Youtube
クヌースの許可を得て、録画した動画が River Valley TV で公開されている。
http://river-valley.[...]
[111]
논문
An Earthshaking Announcement
http://tug.org/TUGbo[...]
[112]
서적
ソースコードの反逆
株式会社アスキー
2002-06-11
[113]
문서
http://www.admin.tec[...]
[114]
문서
https://www.cs.cmu.e[...]
[115]
문서
http://www.fbbva.es/[...]
[116]
뉴스
Stanford's Don Knuth, a pioneering hero of computer programming
http://news.stanford[...]
2011-06-27
[117]
문서
http://fellows.siam.[...]
[118]
웹사이트
Gruppe 1: Matematiske fag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119]
웹사이트
Donald Knuth: 85 - Coping with cancer
http://www.webofstor[...]
2012-05-02
[120]
웹사이트
"Literate Programming"
http://www-cs-facult[...]
[121]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Computer Science"
http://www-cs-facult[...]
[122]
웹사이트
"Digital Typography"
http://www-cs-facult[...]
[123]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Analysis of Algorithms"
http://www-cs-facult[...]
[124]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Computer Languages"
http://www-cs-facult[...]
[125]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Discrete Mathematics"
http://www-cs-facult[...]
[126]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Design of Algorithms"
http://www-cs-facult[...]
[127]
웹사이트
"Selected Papers on Fun and Games"
http://www-cs-facult[...]
[128]
웹사이트
"Companion to the Papers of Donald Knuth"
http://www-cs-facult[...]
[129]
웹사이트
the book's official homepage
http://www-cs-facult[...]
[130]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TeX, volume II
[131]
서적
Ji Suan Ji Cheng Xu She Ji Ji Qiao
Defense Industry Publishing Co.
1980
[132]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cs.stanford.e[...]
스탠퍼드 대학교
2010-11-02
[133]
문서
MathGenealogy
[134]
웹인용
Professor Donald Knuth ForMemRS
https://royalsociety[...]
왕립 학회
[135]
웹인용
개인 홈페이지 FAQ
http://www-cs-facult[...]
2008-02-15
[136]
서적
컴퓨터를 만든 15인의 과학자
세종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