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Hapalemur griseus)는 젠틀여우원숭이속에 속하는 종으로, 회색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길버트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라노마파나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의 3아종으로 분류된다. 1795년 처음 기술되었으며, 몸길이는 약 284mm, 꼬리 길이는 370mm, 몸무게는 0.8kg 정도이다.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며, 대나무 숲과 덩굴 지역을 선호한다.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1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5년 기재된 포유류 - 아프리카매너티
아프리카매너티는 서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최대 4.5m에 달하는 해우류로, 수생 식물과 조개류 등을 섭취하는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 취약종이다. - 1795년 기재된 포유류 - 흰입술페커리
흰입술페커리는 중남미에 분포하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돼지 유사 외형의 유제류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취약종으로 분류된 잡식성 동물이다. -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 동물 -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식육목 동물로, 4개의 속과 6종의 몽구스를 포함하며, 민첩한 몸과 긴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숲과 열린 서식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 동물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 여우원숭이 - 잔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
- 여우원숭이 - 베칠레오족제비여우원숭이
베칠레오족제비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중동부 판드리안나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회색 또는 붉은 갈색 몸과 검은 꼬리를 가진 여우원숭이의 일종으로, 농업과 사냥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로 위협받고 있으며 베모사리 분류 숲이 유일한 보호 구역이다.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apalemur griseus |
명명자 | 링크, 1795년 |
상태 | 취약종 |
상태 기준 | IUCN 3.1 |
CITES | 부록 I |
아종 | H. g. griseus (링크, 1795년) H. g. gilberti (라바리볼 외, 2007년) H. g. ranomafanensis (라바리볼 외, 2007년) |
이명 | cinereus (데마레, 1820년) olivaceus (I. 조프루아, 1851년) schlegeli (포콕, 1917년) |
![]() | |
일반 정보 | |
영명 | eastern lesser bamboo lemur (동부 작은 대나무 여우원숭이) gray bamboo lemur (회색 대나무 여우원숭이) gray gentle lemur (회색 제نتる 여우원숭이) |
설명 | 눈과 손의 협응력을 가지고 있다. |
웹사이트 | 듀크 레무르 센터 |
2. 분류
젠틀여우원숭이속의 모식종이다.[18] 종소명 ''griseus''는 라틴어로 '회색'(gray)을 의미한다.[17]
과거에는 더 많은 아종을 포함하는 분류 체계도 있었으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일부 아종이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아 분리되었다. 예를 들어, 1994년 분류에서는 4개의 아종을 인정했지만,[18] 이후 알라오트라젠틀여우원숭이(''H. alaotrensis'', 2001년), 북부젠틀여우원숭이(''H. occidentalis'', 2005년),[18] 남부젠틀여우원숭이(''H. meridionalis'', 2006년)가 각각 독립된 종으로 승격되었다.[19] 이후 2007년에 새로운 두 아종이 기재되었으며,[20] 현재는 일반적으로 3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종 문단 참고)
2. 1. 아종
2024년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따르면,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는 다음의 3개 아종으로 나뉜다.[12]
- ''Hapalemur griseus griseus'' (Link, 1795) — 회색 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 ''Hapalemur griseus gilberti'' (Rabarivola, Prosper, Zaramody, Andriaholinirina & Hauwy, 2007) — 길버트 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 ''Hapalemur griseus ranomafanensis'' (Rabarivola, Prosper, Zaramody, Andriaholinirina & Hauwy, 2007) — 라노마파나 대나무여우원숭이
모식아종인 회색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H. g. griseus'')는 1795년에 처음 기술되었으며,[4][21] 나머지 두 아종인 길버트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H. g. gilberti'')와 라노마파나대나무여우원숭이(''H. g. ranomafanensis'')는 2007년에 기술되었다.[6][23][25] 길버트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는 한때 별도의 종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8][24] 현재는 다시 아종으로 간주된다.[7][23] 각 아종의 구체적인 특징과 현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1. 회색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apalemur griseus griseus'')
회색 대나무여우원숭이, 동부 회색 대나무여우원숭이 또는 회색 온순 여우원숭이라고도 불린다. 1795년 요한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링크에 의해 기술된 모식종이다.[4][21]털 색깔은 회색이며, 머리에 붉은 반점이 있는 경우도 있다. 몸길이는 평균 284mm이고, 꼬리 길이는 370mm이며, 몸무게는 0.8kg이다.
2004년부터 2009년 사이에 실시된 100건 이상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라노마파나 국립공원에는 약 818마리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사냥과 서식지 파괴이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부속서 1에 등재되어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5]
2. 1. 2. 길버트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apalemur griseus gilberti'')
길버트 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H. g. gilberti'')는 길버트 온순 여우원숭이 또는 베아나말라오 대나무여우원숭이라고도 불린다. 2007년에 아종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나,[6][22] 2008년에는 별도의 종으로 인정받았다.[8][24] 그러나 2010년에 다시 아종의 지위로 돌아왔다.[7][23]정확한 분포 지역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마다가스카르의 베아나말라오를 기준 산지로 하여, 네시볼로 강 북쪽의 작은 지역과 망고로 강 및 오니베 강 남쪽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주로 빽빽한 대나무 숲이나 대나무 덩굴이 있는 곳에서 생활한다.[8][9] 주요 위협 요인은 서식지 손실과 훼손이다.[8][9]
IUCN은 길버트 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를 '자료 부족'(Data Deficient) 상태로 분류하고 있으며,[9]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포함되어 국제 거래가 엄격히 제한된다.[9]
2. 1. 3. 라노마파나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apalemur griseus ranomafanensis'')
라노마파나 대나무 여우원숭이(''Hapalemur griseus ranomafanensis'') 또는 라노마파나 온순한 여우원숭이는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의 세 아종 중 하나로, 2007년에 처음 기술되었다.[23][25] 이 아종은 서로 멀리 떨어진 세 개의 개체군으로 나뉘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정확한 전체 분포 범위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마다가스카르 섬 서부에서는 베마라하 칭기 숲에서 발견되며, 북쪽으로는 베치부카 강까지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섬 남서부의 마카이 산괴 지역에서도 서식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동부 개체군은 라노마파나 국립공원 내 맹고로 강과 오니베 강 남쪽의 숲 지역에서 발견된다.[10]
주요 서식지는 열대 습윤 저지대 및 산지 숲 속에 빽빽하게 자란 대나무 숲이나 대나무 덩굴 지역이다. 식단의 약 4분의 3을 대나무가 차지하며, 그 외에도 무화과 잎, 꽃, 곰팡이류, 풀 줄기, 작은 과일, 사탕수수 등 다양한 식물성 먹이를 섭취한다.[10]
서식지 파괴 및 감소로 인해 개체수가 위협받고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VU)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11] 또한, CITES 부록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거래가 엄격히 금지된다.[11]
3. 서식지 및 생태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의 세 아종은 마다가스카르 내 서로 다른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빽빽한 대나무 숲이나 대나무 덩굴이 우거진 환경에서 서식한다.
-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apalemur griseus griseus''): 라노마파나 국립공원 등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 '''길버트 대나무여우원숭이''' (''H. g. gilberti''): 베아나말라오를 기준 산지로 하며, 네시볼로 강 북쪽의 작은 지역과 망고로 강 및 오니베 강 남쪽 지역에서 발견된다.[8][9] 이 아종은 빽빽한 대나무 숲과 대나무 덩굴 지역을 선호한다.[8][9]
- '''라노마파나 대나무 여우원숭이''' (''H. g. ranomafanensis''): 서부와 동부의 분리된 지역에 서식한다. 서부 개체군은 베마라하 칭기 숲에서 베치부카 강 북쪽까지 분포하며, 마카이 산괴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동부 개체군은 라노마파나 국립공원 내 맹고로 강과 오니베 강 남쪽의 숲에서 확인된다.[10] 이들은 열대 습윤 저지대 및 산지 숲 내의 빽빽한 대나무와 대나무 덩굴에서 생활한다.[11]
식성은 주로 대나무에 의존한다. 특히 라노마파나 대나무 여우원숭이의 경우, 식단의 약 4분의 3이 대나무이며, 이 외에도 무화과 잎, 꽃, 곰팡이, 풀 줄기, 작은 과일, 사탕수수 등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4. 보전 상태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는 전반적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 회색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apalemur griseus griseus''): 2004년과 2009년 사이에 실시된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아종을 취약종(VU)으로 분류하였다.[5]
- 길버트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 g. gilberti''): 서식지 손실과 훼손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9] IUCN은 관련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이 아종을 자료 부족(DD)으로 분류하였다.[9]
- 라노마파나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H. g. ranomafanensis''): 서식지 감소가 주요 위협 요인이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VU)으로 분류되었다.[11]
모든 동부작은대나무여우원숭이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어 국제적인 거래가 엄격히 규제된다.[5][9][11]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Hapalemur griseus'
2021-11-19
[3]
웹사이트
Eastern lesser bamboo lemur
http://lemur.duke.ed[...]
2016-10-20
[4]
간행물
[5]
간행물
'Hapalemur griseus ssp. griseus'
2020-07-18
[6]
학술지
Cytogenetics and taxonomy of the genus Hapalemur
[7]
간행물
[8]
학술지
Lemur Diversity in Madagascar
2008-12
[9]
간행물
'Hapalemur griseus ssp. gilberti'
2020-07-18
[10]
간행물
[11]
간행물
'Hapalemur griseus ssp. ranomafanensis'
2020-07-18
[12]
뉴스
'Hapalemur griseu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13]
웹사이트
Checklist of CITES Species
http://checklist.cit[...]
世界自然保全モニタリングセンター
2015-03-18
[14]
문서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18年11月版
http://www.j-monkey.[...]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霊長類和名編纂ワーキンググループ
2024-04-22
[15]
웹사이트
どうぶつ図鑑「ハイイロジェントルキツネザル」
https://www.tokyo-zo[...]
東京ズーネット
2016-05-30
[16]
웹사이트
Bamboo lemur (Hapalemur)
http://pin.primate.w[...]
ウィスコンシン国立霊長類センター
2016-05-30
[17]
학술지
サルの分類名 (その8:原猿)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1989
[18]
서적
Order Primates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
학술지
キツネザル類はどのように分類されてきたか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2006
[20]
간행물
Cytogenetics and taxonomy of the genus Hapalemur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2007
[21]
서적
Lemurs of Madagascar
Conservation International
[22]
학술지
Cytogenetics and taxonomy of the genus Hapalemur
[23]
문서
Lemurs of Madagascar
[24]
학술지
Lemur Diversity in Madagascar
2008-12
[25]
웹사이트
Hapalemur griseus ssp. ranomafanensis
http://www.iucnredli[...]
国際自然保護連合
2016-05-30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웹인용
Duke Lemur Center
http://lemur.duke.ed[...]
2008-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