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루마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루마기는 고구려 시대부터 유래된 한국 전통 의복으로, 겉옷의 일종이다. 몽골의 영향을 받아 고려 시대에 외형이 변화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양반과 평민 모두에게 널리 사용되었다. 두루마기는 옆트임이 없고, 오른쪽으로 여미는 일자 깃, 좁은 소매, 긴 기장이 특징이며, 다양한 직물과 색상으로 제작된다. 홑겹, 겹, 솜 두루마기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현대에도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 중요한 의상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복 - 저고리
    저고리는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의 기본 상의로, 삼국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조선시대에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특별한 날에 입는 예복의 의미를 지닌다.
  • 한복 - 바지 (한복)
  • 조선의 복식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색동저고리
    색동저고리는 여러 색깔의 천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옷으로, 주로 아이들이 명절에 입었으며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색상으로 조화와 상생을 나타내고 어린이 인권 존중의 상징이기도 하다.
  • 의류 - 복장 규정
    복장 규정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의복에 대한 규칙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지위나 종교적 신념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현대 사회에서는 특정 환경에서의 규정, 성차별 및 자기 표현의 자유 침해 등의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 의류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두루마기
기본 정보
2005년 APEC 정상회담에서 두루마기를 입은 세계 지도자들
종류포 (덧옷), 한복
착용 지역한국
재료다양함
다른 이름주막의(Jumagui)
주차의(Juchaui)
주의(Juui)
개요
의미'두루 [닫힌] + 마기 [옷] = 온 사방이 막힌 옷'
용도저고리와 바지 위에 입는 겉옷
형태길이: 무릎 위아래
깃: 좁고 짧음
섶, 무, 부속
고름 또는 단추 여밈
특징뒷트임, 옆트임 없음
역사
기원방한용 덧옷 (포)
착용 시기조선 후기
사회적 변화평상복으로 정착
현대예복으로 착용
참고 문헌
참고 문헌한국복식사전

2. 역사

고려 시대에는 몽골의 영향으로 두루마기의 외형이 변화했다. 허리띠가 고름|한복 저고리한국어으로 바뀌었고, 전통적인 포|袍한국어의 짧은 길이와 넓은 소매는 몽골 코트인 후루막치mn 스타일로 길어지고 좁아졌다. '두루마기'라는 이름은 이러한 변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3]

조선 왕조 시대에 두루마기는 양반 계급의 실내복으로, 평민들은 실외복으로 사용했다. 1884년, 고종은 의복 통일을 위한 개혁법을 공포했지만,[14] 많은 반대에 부딪혔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10년이 지나서야 두루마기가 정식 복장으로 보편화되었다.[12]

2. 1. 기원

두루마기의 기원은 적어도 고구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고대 시대 추위를 막기 위해 북중국에서 입던 긴 코트에서 유래되었다.[3][4][5][6] 이러한 형태의 袍服|포복중국어(중국식 예복)는 무릎 아래까지 내려왔으며, 저고리한국어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깃을 가지고 있었다.[3] 이 예복은 상나라 시대부터 발전해온 直裾|직거중국어와 유사해 보였다. 직거(zhiju중국어)의 두 가지 발굴된 예는 BC 206–24년의 馬王堆|마왕퇴중국어와 BC 770–476년의 馬山楚墓|마산초묘중국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7][8]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주로 지안(集安|집안중국어)과 평양 두 지역에서 그려졌는데, 이곳은 각각 4세기 중반부터 7세기 중반까지 고구려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도였다.[9] 지안 지역의 이 시기 벽화는 일반적으로 도덕과 풍습 측면에서 고구려 사람들의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 평양 지역의 벽화는 약 400년 동안 이 지리적 지역을 통치했던 한나라의 문화적 영향을 보여주며, 漢服|한푸중국어(중국식) 의상을 입은 인물들이 등장한다.[9]

Samuel Lee에 따르면, 두루마기의 기원은 고구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3] 고구려 벽화는 남녀 모두 치마를 입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남녀 모두 입었던 것은 '상'이었고, 여자만 입었던 것은 '군'이었으며, 이는 길고 넓은 형태였다. 저고리 위에 입는 긴 겉옷인 두루마기의 기원은 고구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루마기는 고대 시대에 추위를 막기 위해 북중국에서 입던 긴 코트에서 유래되었다. 북중국에서 입던 긴 코트는 무릎 아래까지 내려왔으며 저고리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깃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이 긴 코트는 고구려 상류층이 다양한 형태로 의식과 의례에 사용하게 되었고, 일반 대중이 입는 변형된 형태는 '두루마기'로 알려지게 되었다.[3]

그러나 현재 두루마기로 알려진 것은 한국 민족의 고유 의복의 일부이다.[10] 한국 민족의 고유 의상은 저고리, 바지, 그리고 두루마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의상은 북방 호복과 관련이 있으며, 바지를 입는다는 것은 그들이 기마 민족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양 인근에서 발견된 감신총한국어(龕神塚|감신총중국어) 5세기 초 벽화와 같은 고구려 벽화를 바탕으로 볼 때, 감신총 묘의 주인이 입었던 고대 두루마기는 붉은색(또는 자주색)이었다.[11] 감신총 묘 주인은 붉은색 휘장 아래 평평한 벤치에 앉아 있으며, 넓은 소매 안에 두 손을 모으고 가슴에 대고 자주색 두루마기(한국 전통 남성 겉옷)를 입고 있다. 그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검은색 비단 모자를 쓰고 있다.

감신총 벽화는 5세기 전후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으며, 넓은 소매의 의상은 평양 지역 인근에서 발견되는 묘 벽화의 특징을 반영한다.[11] 고대 두루마기는 허리띠와 함께 착용되었으며 넓은 소매를 가지고 있었다.[12]

2.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몽골의 영향으로 두루마기의 외형이 변화했다.[12] 허리띠가 고름|한복 저고리한국어으로 바뀐 것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포|袍한국어의 짧은 길이와 넓은 소매가 몽골 코트인 후루막치|mn 스타일로 길어지고 좁아졌는데, 두루마기|한국어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3]

2. 3. 조선 시대

조선 왕조 시대에는 두루마기가 외투보다는 양반 계급의 실내복으로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평민들은 실외에서 착용했다. 1884년, 고종은 개혁법을 통해 모든 사회 계급의 의복 통일을 공포했다.[14] 그러나 이 법은 많은 반대에 부딪혔고, 1894년의 갑오개혁 이후 10년이 지나서야 두루마기가 정식 복장으로 보편화되었다.[12]

3. 디자인 및 구성

두루마기는 전체를 감싸는 겉옷으로, 옆트임과 뒷트임이 없다.[2][1] 앞면이 겹쳐져 오른쪽으로 여미는 일자 깃, 옆 가세, 가슴 끈, 깃과 좁은 소매가 있으며, 길이는 종아리 아래에서 발목 위까지 온다.[1]

두루마기를 만들 때 다양한 직물과 재료가 사용된다. 겨울에는 명주, 모직, 면, 다양한 종류의 실크를 사용하고, 여름에는 모시, 고운 모시와 실크 거즈를 사용하며, 봄과 가을에는 다양한 실크와 명주를 사용한다.[2] 흰색, 회색, 감색이 흔히 사용된다.[15]

4. 종류

푸른색 두루마기를 입은 여성 모델과 흰색 두루마기를 입은 남성 모델


두루마기에는 홑단 두루마기(홑겹 두루마기), 겹 두루마기, 솜 두루마기, 까치두루마기, 어린이용 오방장 두루마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6]

5. 현대적 사용

두루마기는 여전히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 중요한 전통 의상의 일부로 여겨지며,[17]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다. 2005년 부산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에게 화려한 두루마기가 선물로 증정되었다.[18]

2005년 APEC 정상회의 각국 정상들의 화려한 두루마기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https://folkency.nfm[...]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 웹사이트 두루마기 https://terms.naver.[...] 2022-03-21
[3] 서적 Hanbok: Timeless Fashion Tradition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2013
[4] 서적 唐会要 新罗 TangHuiYao – Silla https://zh.m.wikisou[...] 961
[5] 서적 魏书 百济 Book of Wei – Baekje https://zh.m.wikisou[...] 551–554
[6] 서적 冊府元龜 Cefu Yuangui-chapter 936&975 https://ctext.org/wi[...] 1013
[7] 웹사이트 3.3.1 直裾长衣 http://www.hnmuseum.[...] Hunan Provincial Museum
[8] 서적 长沙马王堆一号汉墓发掘简报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Archaeology,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1972-07-01
[9] 간행물 National Museum of Korea Vol.07 https://www.museum.g[...] 2022-06-26
[10] 웹사이트 두루마기 http://m.koreatimes.[...] 2022-07-10
[11] 간행물 National Museum of Korea Vol.07 https://www.museum.g[...] 2022-06-26
[12] 웹사이트 '두루마기' - 네이트 백과사전 https://100.nate.com[...] 2023-06-20
[13] 서적 한국사 이야기 7 – 몽골의 침략과 30년 항쟁 Hangilsa
[14] 웹사이트 갑신의복개혁령 https://terms.naver.[...] 2023-06-20
[15] 뉴스 New hanbok Herald Biz 2010-03-30
[16] 뉴스 Obangjang durumagi Daum Communications and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
[17] 뉴스 Durumagi a must bnt news 2010-02-14
[18] 뉴스 Leaders in durumagi Nocut News 2005-11-25
[19] 웹인용 두루마기 https://terms.naver.[...] 201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