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라비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비다인은 인도 아대륙의 언어, 문화, 민족 집단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드라비다어족은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등을 포함하며, 이 언어들은 인도 남부에서 주로 사용된다. 드라비다인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민으로 여겨지며, 인더스 문명과 관련이 깊다. 드라비다 문화는 종교, 건축, 예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인도-아리아인과의 교류를 통해 힌두교에 영향을 미쳤다. 드라비다 왕조들은 남인도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동남아시아 무역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인 - 칸나다인
    칸나다인은 인도 카르나타카 주에 거주하며 칸나다어를 사용하는 드라비다 민족으로, 다양한 예술과 전통을 통해 칸나다어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 드라비다인 - 케랄라주
    케랄라주는 인도 남서부의 락샤드위프 해와 서고츠 산맥 사이에 있는 주로서, 기원전 3000년부터 향신료 무역 중심지였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높은 문해율, 다양한 문화유산으로 알려져 있다.
  • 스리랑카의 민족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스리랑카의 민족 - 베다인
    베다인은 스리랑카의 원주민으로, 사냥꾼을 뜻하며 오스트랄로이드와 유사하고, 베다어를 사용했으나 언어적 변화를 겪었으며, 수렵과 채집을 통해 생활하고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조상 숭배를 하며, 현재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위협받고 있다.
  • 방글라데시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 방글라데시의 민족 - 카시족
    카시족은 인도 메갈라야 주에 주로 거주하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민족 집단으로, 모계 사회 구조와 독특한 문화, 빈랑 및 쌀 재배로 알려져 있고, 카시어를 사용하며 동남아시아 몬크메르족과 관련이 있고, 역사적으로 아삼 주의 일부였으며 다양한 종교적 신념과 전통적인 정치 구조를 유지한다.
드라비다인
지도 정보
드라비다어족 하위 그룹 분포
남아시아의 드라비다어 사용자 분포
기본 정보
민족명드라비다인
인구약 2억 5천만 명
주요 거주 지역남아시아 및 일부 동남아시아, 주로 남인도와 스리랑카
언어드라비다어족
종교주로 힌두교, 드라비다 민속 종교, 그리고 자이나교, 불교,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 등
하위 그룹
주요 민족타밀인
칸나다인
텔루구인
말라얄리인
툴루인
브라후이인
곤디인
기타 민족이룰라족
나가족 (멸종)
기라바루족 (멸종)
촐라나이칸족
콘드족
코다바족
쿠루크족
파니야족
말토족
솔리가족
코라가족

문화 및 역사
주요 왕조촐라 왕조
체라 왕조
판디아 왕조
사타바하나 왕조
라슈트라쿠타 왕조
찰루키아 왕조
팔라바 왕조
카카티야 왕조
호이살라 왕조
상가마 왕조
살루바 왕조
툴루바 왕조
아라비두 왕조
나야크 왕조
레디 왕조
아리아차크라바르티 왕조
서부 강가 왕조
동부 강가 왕조
종교적 전통드라비다 민속 종교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사마나
아지비카
차르바카
언어 정보
어족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원시 언어원시 드라비다어
하위 어족북부 드라비다어족
중부 드라비다어족
남부 드라비다어족
ISO 639-2dra
ISO 639-5dra
링구아49 (계통 발생 구역)
글롯토코드drav1251
글롯토레프네임드라비다어족

2. 어원

산스크리트어 ''drāviḍa|드라비다sa''의 어원은 타밀어이다.[21] 프라크리트어에서는 "Damela", "Dameda", "Dhamila", "Damila"와 같은 단어들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후에 "Tamila"에서 발전하여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23] 산스크리트 전통에서 ''drāviḍa|드라비다sa''라는 단어는 인도 남부의 지리적 지역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22]

이러한 민족 집단에 대한 비문 증거는 고대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발견된다. 기원전 2세기부터 "Damela" 또는 "Dameda" 사람들을 언급하는 많은 비문들이 발견되었다.[23] 하티굼파 비문에는 칼링가의 지배자 카라벨라가 기원전 150년에 언급한 "T(ra)mira samghata"(타밀 통치자들의 연합)가 나타나있다. 또한 타밀 왕국들의 연합이 그 당시까지 113년 동안 존재해 왔다고 언급한다.[23] 오늘날 안드라프라데시의 아마라바티에는 3세기경의 "Dhamila-vaniya"(타밀 상인)를 언급하는 비문이 있다.[23] 같은 시대의 나가르주나콘다의 또 다른 비문은 "Damila"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칸헤리 석굴의 세 번째 비문은 "Dhamila-gharini"(타밀 가구주)를 언급한다. 불교자타카 이야기인 "Akiti Jataka"에는 "Damila-rattha"(타밀 왕조)가 언급되어 있다.

영어 단어 "Dravidian"은 로버트 캘드웰이 비교 드라비다 문법에 관한 그의 저서에서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drāviḍa|드라비다sa''의 사용을 기반으로 한 것이며, Kumārila Bhaṭṭa|쿠마릴라 바타sa의 저서 ''Tantravārttika''에서 사용된 것이다.[22] 그러나 산스크리트어의 ''drāviḍa|드라비다sa''는 역사적으로 인도 남부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tamiḻ|타밀ta''와 ''drāviḍa|드라비다sa'' 사이의 파생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이론이 있는데, Zvelebil과 같은 언어학자들은 ''tamiḻ|타밀ta''에서 ''drāviḍa|드라비다sa''로의 방향이라고 주장한다.[24]

3. 민족 집단

드라비다인은 아리아인과 외모가 다르다. 아리아인보다 일반적으로 피부색이 검고 키는 작지만 팔다리가 길며, 곱슬거리는 머리카락 등의 특징을 보인다.

드라비다인의 Y염색체 해프로그룹은 다른 인도 민족과 마찬가지로 다양하다. 민족 정의에 사용되는 드라비다어 계열 언어가 어떤 계통에서 유래하는지는 현재로서는 불명확하다.

인도 드라비다인에게 많은 순서대로 H는 32.9%, O는 13.6%, L은 11.6%, R1a는 11.0%, J는 10.5%이다.[111]

3. 1. 주요 민족

가장 큰 드라비다 민족 집단은 안드라프라데시주와 텔랑가나주 출신의 텔루구인, 타밀나두주,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출신의 타밀인, 카르나타카주 출신의 칸나다인, 케랄라주 출신의 말라얄람인, 그리고 카르나타카주 출신의 툴루족이다.

이름아족인구참고
바다가족남부 드라비다어족133,500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에 거주한다.
브라후이족북부 드라비다어족700,000 (1996년)대부분 파키스탄발루치스탄 지역에 거주하며, 소수는 아프가니스탄 남서부에 거주한다.
첸추족중남부 드라비다어족65,000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오디샤주에 거주한다.
이룰라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3,382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 케랄라주에 거주한다.
기라바루족남부 드라비다어족100 미만 (멸종)몰디브에 거주했다.
곤디족중부 드라비다어족1,300만 (약)마디아프라데시주, 마하라슈트라주, 차티스가르주, 우타르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안드라프라데시주, 비하르주, 오디샤주에 걸쳐 퍼져 있다.
콘드족중남부 드라비다어족1,627,486 (2011년 인구조사)오디샤주에 거주한다.
칸나다인남부 드라비다어족4,370만[25]인도 카르나타카주 원주민이지만, 마하라슈트라주, 타밀나두주, 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케랄라주에도 상당한 인구가 거주한다.
코다바족남부 드라비다어족160,000 (약)코다구 지구 원주민이다.
코야족중부 드라비다어족안드라프라데시주와 오디샤주에 거주한다.
쿠룩족북부 드라비다어족360만 (약)[26]차티스가르주, 자르칸드주, 오디샤주 일부 지역에 퍼져 있다.
쿠룸바르족남부 드라비다어족타밀나두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에 거주한다.
말라얄람인남부 드라비다어족4,500만[27][25]케랄라주와 라크샤드위프 제도 원주민이지만, 푸두체리주와 타밀나두주 일부 지역에도 거주한다.
파니야족남부 드라비다어족케랄라주와 타밀나두주에 거주한다.
타밀인남부 드라비다어족7,800만[28]타밀나두주, 푸두체리 연방 준주, 그리고 스리랑카 북부와 동부 원주민이지만, 케랄라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일부 지역에도 거주하며, 광범위한 디아스포라를 가지고 있다.[29]
텔루구인중부 드라비다어족8,510만[30]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야남(푸두체리 연방 준주) 원주민이지만, 타밀나두주, 카르나타카주, 오디샤주, 마하라슈트라주 일부 지역에도 거주한다. 또한 광범위한 디아스포라를 가지고 있다.[31]
토다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02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에 거주한다.
툴루바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0만 (약)인도 해안 카르나타카주와 케랄라주 북부(카사라코드 지구)에 거주한다.


3. 2. 소수 민족

이름아족인구참고
바다가족남부 드라비다어족133,500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에 거주한다.
브라후이족북부 드라비다어족700,000 (1996년)대부분 파키스탄발루치스탄 지역에 거주하며, 소수는 아프가니스탄 남서부에 거주한다.
첸추족중남부 드라비다어족65,000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오디샤주에 거주한다.
이룰라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3,382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 케랄라주에 거주한다.
기라바루족남부 드라비다어족100 미만 (멸종)몰디브에 거주했다.
곤디족중부 드라비다어족1,300만 (약)마디아프라데시주, 마하라슈트라주, 차티스가르주, 우타르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안드라프라데시주, 비하르주, 오디샤주에 걸쳐 퍼져 있다. 그들을 대표하는 곤드와나주가 인도에서 제안되었다.
콘드족중남부 드라비다어족1,627,486 (2011년 인구조사)오디샤주에 거주한다.
코다바족남부 드라비다어족160,000 (약)코다구 지구 원주민이다.
코야족중부 드라비다어족안드라프라데시주와 오디샤주에 거주한다.
쿠룩족북부 드라비다어족360만 (약)[26]차티스가르주, 자르칸드주, 오디샤주 일부 지역에 퍼져 있다. 부탄네팔의 오라온족은 쿠룩어, 쿠룩스어, 오라온어 또는 우란우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쿠룸바르족남부 드라비다어족타밀나두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에 거주한다.
파니야족남부 드라비다어족케랄라주와 타밀나두주에 거주한다.
토다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02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에 거주한다.
툴루바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0만 (약)인도 해안 카르나타카주와 케랄라주 북부(카사라코두 지구)에 거주한다. 그들을 대표하는 툴루 나두주가 인도에서 제안되었다.


4. 언어

산스크리트어 단어 ''drāviḍa|드라비다sa''의 어원은 타밀어이다.[21] 프라크리트어에서는 "Damela", "Dameda", "Dhamila", "Damila"와 같은 단어들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후에 "Tamila"에서 발전하여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23] 산스크리트 전통에서 ''drāviḍa|드라비다sa''라는 단어는 인도 남부의 지리적 지역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22]

영어 단어 "Dravidian"은 로버트 캘드웰이 그의 저서 《비교 드라비다 문법》에서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Kumārila Bhaṭṭa|쿠마릴라 바타sa의 저서 ''Tantravārttika''에서 사용된 산스크리트어 단어 ''drāviḍa|드라비다sa''를 기반으로 한다.[22] ''tamiḻ|타밀sa''와 ''drāviḍa|드라비다sa'' 사이의 파생 방향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있는데, 즈벨레빌과 같은 언어학자들은 ''tamiḻ|타밀sa''에서 ''drāviḍa|드라비다sa''로의 방향이라고 주장한다.[24]

드라비다어족에는 텔루구어(తెలుగు), 타밀어(தமிழ்), 칸나다어(ಕನ್ನಡ), 말라얄람어(മലയാളം), 브라후이어(براہوئی), 투루어(തുളു), 곤디어 및 코다바어 등 다양한 언어가 포함된다.

드라비다 민족
이름아족인구참고
바다가족남부 드라비다어족133,500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 거주
브라후이족북부 드라비다어족700,000 (1996년)대부분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지역 거주, 소수는 아프가니스탄 남서부 거주
첸추족중남부 드라비다어족65,000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오디샤주 거주
이룰라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3,382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 케랄라주 거주
기라바루족남부 드라비다어족100 미만 (멸종)몰디브 거주
곤디족중부 드라비다어족1,300만 (약)마디아프라데시주, 마하라슈트라주, 차티스가르주, 우타르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안드라프라데시주, 비하르주, 오디샤주에 걸쳐 분포
콘드족중남부 드라비다어족1,627,486 (2011년 인구조사)오디샤주 거주
칸나다인남부 드라비다어족4,370만[25]인도 카르나타카주 원주민, 마하라슈트라주, 타밀나두주, 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케랄라주에도 상당수 거주
코다바족남부 드라비다어족160,000 (약)코다구 원주민
코야족중부 드라비다어족안드라프라데시주와 오디샤주 거주
쿠룩족북부 드라비다어족360만 (약)[26]차티스가르주, 자르칸드주, 오디샤주 일부 지역에 분포. 부탄네팔의 오라온족은 쿠룩어, 쿠룩스어, 오라온어 또는 우란우어를 모국어로 사용
쿠룸바르족남부 드라비다어족타밀나두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거주
말라얄람인남부 드라비다어족4,500만[27][25]케랄라주와 락샤드위프 제도 원주민, 푸두체리주와 타밀나두주 일부 지역에도 거주. 중동 국가, 아메리카 대륙, 호주에도 다수 거주
파니야족남부 드라비다어족케랄라주와 타밀나두주 거주
타밀인남부 드라비다어족7,800만[28]타밀나두주, 푸두체리 연방 준주, 스리랑카 북부와 동부 원주민, 케랄라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일부 지역에도 거주. 광범위한 디아스포라 존재
텔루구인중부 드라비다어족8,510만[30]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야남 (푸두체리 연방 준주) 원주민, 타밀나두주, 카르나타카주, 오리사주, 마하라슈트라주 일부 지역에도 거주. 광범위한 디아스포라 존재
토다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02 (2011년 인구조사)타밀나두주 거주
툴루바족남부 드라비다어족200만 (약)인도 해안 카르나타카주와 케랄라주 북부(카사라코두 지구) 거주



드라비다어족 계통도

4. 1. 드라비다어족과 인도-아리아어족의 관계

드라비다어족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어족 중 하나이며, 인도에서 고전어로 인정받는 여섯 개의 언어 중 네 개(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가 드라비다어족에 속한다.

인도아리아어의 구조와 통사론에 대한 드라비다어의 문법적 영향은 인도아리아어가 드라비다어에 미친 영향보다 훨씬 큰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중세 및 신 인도아리아어가 드라비다어 기층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하며,[32] 인도아리아어에는 수백 개의 드라비다어 차용어가 존재한다.

데이비드 맥앨핀의 엘람-드라비다어 가설에 따르면, 드라비다어는 현재 남서부 이란에 위치한 엘람에서 인도로 전래되었다.[33][34] 1990년대에는 렌프루와 카발리-스포르자가 원시 드라비다어가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이란 지역 출신 농부들에 의해 인도로 전래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5] 그러나 최근 헤거티와 렌프루는 맥앨핀의 주장이 정설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언급했고, 풀러는 드라비다어가 다른 언어와의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으므로 인도 원산이라고 가정한다고 덧붙였다.[36]

원시 언어인 원시 드라비다어는 역사적 기록에 나타나 있지 않으며, 기원전 4천년경에 사용되었고 기원전 3천년경에 분화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크리슈나무르티는 원시 드라비다어가 인더스 문명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남부 드라비다어 I(원시 타밀어 포함)와 남부 드라비다어 II(원시 텔루구어 포함)가 기원전 11세기경에 분리되었다고 주장한다.

인더스 문명은 드라비다인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유리 크놀로조프 등 소련의 연구자들은 인더스 문자드라비다어족 언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라바탐 마하데반은 드라비다어 가설을 제창했고, 시카리푸라 랑가나타 라오는 이에 반대했다. 이러한 대립에는 Self-Respect Movement|드라비다 운동영어의 정치적인 측면도 영향을 미쳤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110]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에 가장 가까웠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인더스 문명에서는 초기부터 농업·목축을 시작했지만, 아리아인의 이동 이후 일부는 남하하고 일부는 동화되어 갔다.

4. 2. 엘람-드라비다어 가설

엘람-드라비다어 가설에 따르면, 드라비다어는 현재 남서부 이란에 위치한 엘람에서 인도로 전래되었다고 한다.[33][34] 데이비드 맥앨핀이 이 가설을 주장했다. 1990년대에 렌프루와 카발리-스포르자는 원시 드라비다어가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이란 지역 출신 농부들에 의해 인도로 전래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5]

그러나 최근 헤거티와 렌프루는 맥앨핀의 언어 데이터 분석과 주장이 정설과는 거리가 멀다고 언급했다. 풀러는 드라비다어가 다른 언어와의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고, 따라서 인도 원산이라고 가정한다고 덧붙였다.[36] 렌프루와 반은 여러 시나리오가 데이터와 호환되며, 언어학적 결론은 아직 매우 불확실하다고 결론짓는다.[36]

5. 역사

드라비다인의 기원은 매우 복잡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이다.[37] 드라비다인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민으로 여겨지지만,[7][38][39] 서아시아, 특히 이란 고원에서 신석기 이전의 더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의 기원은 종종 인더스 문명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41]

고대 인더스 문명 사람들은 유전적으로 주로 이란계 수렵 채집인(또는 농부) 조상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역 수렵 채집인 집단의 조상이 다양한 정도로 섞여 있었다. 현대 드라비다어 사용자들은 유사한 유전적 구성을 보이지만, 서부 스텝 유목민 조상의 작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 수렵 채집인 집단으로부터 추가적인 기여가 있었을 수도 있다.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브라후이 인구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언어적 측면에서 잔존 인구와 같은 것으로 여겨지며, 아마도 드라비다어가 이전에 훨씬 더 널리 퍼져 있었고 들어온 인도-아리아어에 의해 대체되었음을 나타낼 것이다.[51]

메소포타미아수메르 문명과의 관련성도 지적되고 있다. 인도에서는 드라비다어와 수메르어에 공통점이 보인다는 논의가 있어, 드라비다인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이주해왔다는 설도 존재한다.

5. 1. 인더스 문명과의 관계

드라비다인의 기원은 복잡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이다.[37] 드라비다인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민으로 여겨지지만,[7][38][39] 서아시아, 특히 이란 고원에서 신석기 이전의 더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40] 그들의 기원은 종종 인더스 문명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며, 인더스 문명이 기원전 2천년기 초에 멸망한 후 인구와 언어가 동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고 추정된다.[42]

약 기원전 2500년경 인더스 문명 도시 모헨조다로에서 만들어진 춤추는 소녀 청동 조각


아스코 파르폴라는 하라파인이 드라비다인이라고 생각하며, 인더스 강 계곡 서쪽에 있는 메르가르(기원전 7000~2500년)[52]가 인더스 문명의 전조이며, 그 주민들이 인더스 계곡으로 이주하여 인더스 문명이 되었다고 지적한다.[53] 메르가르는 남아시아에서 농업과 목축의 증거가 있는 가장 초기 유적지 중 하나이다.[54]

인더스 문명의 파슈파티 인장


인더스 문명은 드라비다인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동 문명의 유적에서 발견된 해독되지 않은 인더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가, 마야 문자로 유명한 유리 크놀로조프 등 소련의 연구자들에 의해 드라비다어족 언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인더스 문자의 연구에서 이라바탐 마하데반은 드라비다어 가설을 제창했고, 시카리푸라 랑가나타 라오는 이에 반대했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110]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에 가장 가까웠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인더스 문명에서는 초기부터 농업과 목축을 시작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리아인의 이동이 시작된 후에는, 일부는 남하하고, 일부는 동화되어 갔다.

  • 기원전 2600년경, 인더스강 유역(현재의 파키스탄)에 인더스 문명을 형성한다.
  • 기원전 18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에 걸쳐 인더스 문명의 도시들은 버려진다. 기후 변화가 원인이라고 여겨진다.

5. 2. 인도-아리아인과의 상호작용

드라비다인의 기원은 복잡하고 논쟁적인 주제이다.[37] 드라비다인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민으로 여겨지지만,[7][38][39] 서아시아, 특히 이란 고원에서 신석기 이전의 더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40] 그들의 기원은 종종 인더스 문명과 관련이 있으며,[41] 인더스 문명이 기원전 2천년기 초에 멸망한 후 인구와 언어가 동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고 여겨진다.[42] 일부 학자들은 드라비다어족이 기원전 4천년기 또는 3천년기에 이란 고원에서의 이주로 인도에 전래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45] 또는 그 이전이었을 수도 있다.[46][47]

현대에 다양한 드라비다어 사용자들이 주로 인도 남부에 거주하고 있지만, 인도-아리아인이 아대륙으로 이주하기 전에는 인도 아대륙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을 것이다.[49] 아스코 파르폴라는 하라파인이 드라비다인이라고 생각하며, 인더스 강 계곡 서쪽에 있는 메르가르(기원전 7000~2500년)[52]가 인더스 문명의 전조이며, 그 주민들이 인더스 계곡으로 이주하여 인더스 문명이 되었다고 지적한다.[53]

인더스 문명은 드라비다인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동 문명의 유적에서 발견된 해독되지 않은 인더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가, 마야 문자로 유명한 유리 크놀로조프 등 소련의 연구자들에 의해 드라비다어족 언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110]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에 가장 가까웠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인더스 문명에서는 초기부터 농업·목축을 시작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리아인의 이동이 시작된 후에는, 일부는 남하하고, 일부는 동화되어 갔다.

시기사건
기원전 53000년경아프리카 동해안에서 인도 남서부로 이주한다. 그리고 북쪽과 동쪽으로 계속 퍼져나간다.
기원전 2600년경인더스강 유역(현재의 파키스탄)에 인더스 문명을 형성한다. 여러 도시로 이루어진 문명이었다.
기원전 18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인더스 문명의 도시들은 버려진다. 기후 변화가 원인이라고 여겨진다.
기원전 1500년경이란 고원에서 아리아인의 인도 북서부 이주가 시작된다.
기원전 1300년경아리아인들은 일부 지역의 일부 드라비다인들을 지배하고, 카스트 제도를 만들어 아리아인들은 사제 계급인 브라만, 왕족·귀족인 크샤트리아, 일반 시민인 바이샤를 독점하고, 드라비다계 민족은 노예 계급인 수드라에 갇히게 되었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리아인과 드라비다인 모두 다양한 계급으로 나뉘어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기원전 1000년경아리아인의 갠지스강 유역 이주와 함께 드라비다계 민족과의 혼혈이 시작된다. 아리아인의 인식은 인종이 아니라 언어와 종교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드라비다계 사람들은 인도 전역에 거주하고 있지만, 오래된 문화를 유지하는 민족은 남인도를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5. 3. 드라비다 왕조

기원전 3세기 이후로 콜라, 판디아, 라슈트라쿠타, 비자야나가라, 찰루키아, 서찰루키아, 체라, 추투, 아이, 알루파, 팔라바, 호이살라, 서간가, 동간가, 카담바, 칼라브라, 안드라 익슈바쿠, 비슈누쿤디나, 동찰루키아, 세나, 카카티야, 레디, 마이소르, 자프나, 트라반코르, 베나드, 코친, 카난노어, 칼리컷, 나야카와 같은 드라비다 제국과 왕국들이 발전하였다.

5. 4. 중세 무역과 영향력

중세 시대에 아야볼레(Ayyavole)와 마니그라마(Manigramam) 같은 타밀 길드와 무역 조직은 동남아시아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9] 상인들과 종교 지도자들은 동남아시아로 여행하여 문화적 인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란타 문자와 팔라바 문자와 같은 현지에서 개발된 문자는 크메르 문자, 자바 문자, 카위 문자, 바이바인 문자, 타이 문자와 같은 많은 토착 문자의 발전을 촉진했다.

이 무렵 드라비다인들은 무슬림 상인들과 만났고, 최초의 타밀 무슬림과 스리랑카 무어인들이 등장했다.

5. 5. 유럽과의 접촉

바스쿠 다 가마와 같은 포르투갈 탐험가들은 주로 오늘날 케랄라 주의 코지코데(옛 이름 칼리컷) 향신료 시장을 확장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망갈로르를 포함하여 카르나타카와 케랄라 서해안을 따라 일련의 포르투갈 식민지가 건설되었다.[1] 이 시기에 포르투갈 예수회 사제들도 도착하여 케랄라, 카르나타카, 타밀나두의 소수 민족을 가톨릭으로 개종시켰는데, 특히 파라바르족이 대표적이다.[1]

6. 문화

인더스 문명은 드라비다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리 크놀로조프를 비롯한 소련 학자들은 인더스 문명의 유적에서 발견된, 아직 해독되지 않은 인더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가 드라비다어족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10]

이러한 배경에서 이라바탐 마하데반은 드라비다어 가설을 주장했고, 시카리푸라 랑가나타 라오는 이에 반대했다. 이러한 대립에는 드라비다 운동의 정치적 영향도 있었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에 가장 가까웠다는 것은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인더스 문명 초기부터 농업과 목축이 이루어졌지만, 아리아인의 이동 이후 일부 드라비다인들은 남쪽으로 이동하거나 아리아인에게 동화되었다. 산스크리트 문학 이전부터 상가 문학과 타밀 문학이 존재했으며, 무루간 신앙(이후 스칸다 신앙으로 발전)과 같은 종교, 건축, 음악, 윤리관, 식생활 등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보인다.

타밀인은 주로 타밀나두주 출신으로 타밀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타밀 문화를 계승하는 사람들이다. '타밀(தமிழ்; Tamil)'이라는 단어는 '드라비다(திராவிட; 산스크리트어 द्रविड, द्रमिल, द्राविड; Dravida)'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타밀나두주 중심의 정치 운동인 드라비다 운동에서는 타밀인을 드라비다인의 대표, 혹은 드라비다인 그 자체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6. 1. 종교

고대 드라비다 종교는 정령숭배적이며 비베다적인 종교 형태였다. 이는 아가마와 베다 경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74][75] 아가마는 사원 건설, 무르티 제작, 신 숭배 방식, 철학적 교리, 명상 수행 등을 다루는 타밀어산스크리트어 경전이다.[76] 힌두교에서 마을 신과 신성한 동식물을 숭배하는 것은 베다 이전 드라비다 종교의 잔재로 여겨진다.[77]

타밀 문학의 아버지 아가스티야


고대 타밀 문법서 톨카피얌, 10개의 안토로지 파투파트, 8개의 안토로지 에투토카이는 초기 드라비다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무루간(세이욘)은 "타밀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신"[78]으로 숭배받았다. 시반 또한 최고의 신으로 여겨졌다.[78] 무루간[79]시반[80][81][82]의 초기 조각상과 토착 동식물과의 연관성은 인더스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3][84] 상감 시대 풍경은 ''티나이''라는 5가지 범주로 분류되었고, 톨카피얌은 각 티나이마다 관련된 신이 있었다고 언급한다.

티나이
쿠린지(언덕)세이욘 (무루간)
뮬라이(숲)티루말
마루탐(평원)코트라바이
네이탈(해안과 바다)반지코
기타마이욘(크리슈나), 발리(발라마)



미낙시 아만 사원


타밀라캄에서 왕은 신성시되었고,[85] 왕에게도 의례적인 숭배가 행해졌다.[86][87] 톨카피야르는 삼왕을 "하늘의 영광을 받은 세 사람"으로 언급한다.[89] 드라비다어를 사용하는 남인도에서는 신성한 왕권 개념으로 인해 국가와 사원이 주요 역할을 맡게 되었다.[90]

여신 숭배는 여성성을 존중하는 사회의 지표로 간주된다. 이 여신은 샤크티즘과 관련이 있었다.[91] 상감 시대의 사원에는 여사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92]

초기 드라비다인들 사이에서 나투칼과 비라갈을 세우는 관습이 나타났으며,[94]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영웅석을 숭배했다.[95]

6. 2. 건축과 예술

나타라자, 촐라 제국의 청동상의 예시로 힌두교의 상징으로 유명해졌다.


전형적인 드라비다 사원 건축 양식, 서기 9세기


5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유통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야마타』(Mayamata)와 『마나사라 실파』(Manasara shilpa)는 드라비다 양식의 바스투 샤스트라 설계, 건축, 조각 및 목재 접합 기술에 대한 안내서이다.[96][97] 『이사나시바구루데바 파다티』(Isanasivagurudeva paddhati)는 9세기의 또 다른 저술로, 인도 남부와 중부의 건축술을 설명하고 있다.[96][98] 북인도에서는 바라하미히라의 『브리하트 삼히타』(Brihat-samhita)가 6세기의 널리 인용되는 고대 산스크리트어 설명서로, 나가라 양식의 힌두 사원의 설계와 건축을 설명한다.[99][100][101] 전통적인 드라비다 건축과 상징주의는 아가마(Agamas)에 기반을 두고 있다. 아가마는 비베다 기원이며,[74] 베다 이후의 경전[75] 또는 베다 이전의 작품[102]으로 거론된다. 아가마는 주로 사원 건축과 무르티 제작, 신 숭배 방식, 철학적 교리, 명상 수행, 육욕 달성 및 네 가지 요가의 방법을 구성하는 타밀어와 산스크리트어 종교 경전의 모음이다.[76]

촐라 양식의 사원은 배치 방식은 다르지만, 건립 시대에 따라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103]

구성 요소설명
현관 또는 만타파(Mantapas)문을 덮고 있으며, 내실로 이어지는 문 앞에 있다.
문탑(Gopuras)유명한 사원을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울타리의 주요 특징이다. 드라비다 사원에서 매우 흔하다.
기둥이 있는 홀(Chaultris 또는 Chawadis)여러 목적으로 사용되며 사원의 불가결한 부속물이다.



남인도 사원에는 일반적으로 칼리아니(Kalyani) 또는 푸슈카르니(Pushkarni)라고 불리는 연못이 있는데, 신성한 목적이나 사제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모든 계급의 사제를 위한 주택과 국가 또는 편의를 위한 다른 건물들이 부속되어 있다.[103]

6. 3. 문학과 음악

전통적인 연극, 무용 및 음악 형태에 대한 문헌적 증거는 기원전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04] ''칠라파티카람''과 같은 고대 문헌에는 음악 시스템이 묘사되어 있다.[104] 초기 상감 시대에 연극 문화가 번성했다. 연극 무용 전통은 길고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원은 거의 2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코투콧티'', 카팔람, ''판다랑감''과 같은 연극 무용 형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이는 칼리토카이라는 고대 시집에 언급되어 있다.[105] 바라타나티얌과 같은 무용 형태는 ''차티르 카체리''로 알려진 오래된 사원 무용 형태를 기반으로 하며, 기생과 ''데바다시''로 알려진 여성 계층이 실천했다.[106]

카르나틱 음악은 드라비다 지역에서 유래했다. 페르시아와 수피 음악이 인도 음악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에 따라 12세기부터 스타일의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카르나틱 스타일로 많은 문학 작품이 작곡되었고 곧 드라비다 지역에 널리 퍼졌다. 가장 주목할 만한 카르나틱 음악가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크리슈나데바라야의 궁정에서 살았던 푸란다라 다사이다. 그는 카르나틱 음악의 기본 구조를 공식화했으며 카르나틱 음악의 ''피타마하''(''문자 그대로''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로 여겨진다. 카나카다사는 푸란다라다사의 동시대인이었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카르나틱 음악가이다.

주요 드라비다어 각각은 코왈리우드(타밀어), 톨리우드(텔루구어), 산달우드(칸나다어), 몰리우드(말라얄람어)와 같이 자체 영화 산업을 가지고 있다. 코왈리우드와 톨리우드는 인도에서 가장 많은 영화를 제작한다.[107]

6. 4. 무술과 스포츠

마하바라타에서 비슈마는 남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뛰어난 검술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샤하데바는 그의 검술 실력 때문에 남부 왕국 정복을 위해 선택받았다.[108] 남인도에서는 칼리파야투와 실람밤과 같은 다양한 무술이 행해진다.

고대에는 상반된 통치자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앙캄''이라는 공개적인 결투가 있었다.[109] 일부 공동체에서는 어린 소녀들이 사춘기가 시작될 때까지 예비 훈련을 받았다.[109] ''바다칸 파투칼'' 발라드에서 적어도 몇몇 여성 전사들은 계속해서 수련을 하여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달성했다.[109]

캄발라, 잘리카투, 카바디, 발람 칼리, 양과 호랑이, 마라마디와 같은 스포츠는 드라비다 민족 집단 사이에서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6. 5. 의복

남인도 드라비다어 사용자들은 지역 관습과 전통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전통 의상을 입는다. 드라비다 남성의 가장 전통적인 의복은 렁기 또는 보다 정장인 도티이며, 타밀어로는 ''베슈티'', 칸나다어와 텔루구어로는 ''판체'', 말라얄람어로는 ''문두''라고 한다. 렁기는 다채로운 체크 무늬의 면직물로 구성된다. 렁기는 많은 경우 관 모양으로 허리에 묶으며, 더 격렬한 활동을 위해 무릎 위로 쉽게 묶을 수 있다. 렁기는 일반적으로 일상복으로 노동을 할 때 사용되며, 도티는 보다 공식적인 경우에 사용된다. 많은 마을 사람들은 옷으로 렁기만 가지고 있다. 도티는 일반적으로 흰색이며, 때때로 빨간색, 녹색 또는 금색 테두리가 있다. 도티는 주로 면으로 만들어지지만, 더 비싼 실크 도티는 축제나 결혼식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사용된다.

드라비다 여성의 전통 의상은 대부분의 인도 여성의 전통 의상인 사리와 유사하다. 사리는 허리에 둘러서 어깨 위로 드리운 천으로 구성된다. 원래 사리는 속옷 없이 착용되었지만, 빅토리아 시대에 여성들은 사리와 함께 블라우스(라비케라고 함)를 입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까지 대부분의 케랄라 여성들은 어떤 상의도 입지 않았거나 법에 의해 강요되었으며, 많은 마을, 특히 부족 공동체에서는 블라우스 없이 사리를 입는다. 인도-아리아어 사용자와 달리, 대부분의 드라비다 여성들은 북부 카르나타카 지역을 제외하고는 머리를 팔루로 가리지 않는다. 사리를 두르는 복잡성 때문에 어린 소녀들은 ''파바다''라는 치마를 먼저 입는다. 사춘기가 시작될 무렵에는 허리에 묶는 치마와 블라우스 위에 드리운 천으로 구성된 ''랑가 보니'' 또는 반 사리로 바꾼다. 성인이 된 후 소녀들은 사리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지역과 공동체에 따라 다양한 사리 두르는 스타일이 있다. 예를 들어 타밀 브라민 공동체에 특유한 마디사르와 문둠 네리야툼이 있다.

7. 한국과의 관계

드라비다인과 관련된 한국과의 관계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참조

[1]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doi.org/10.4[...] Routledge
[2]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15
[3] 학술지 Language situation in Bangladesh https://www.academia[...]
[4] 서적 Learner English: A Teacher's Guide to Interference and Other Problem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4-26
[5] 서적 History and Archaeology, Volume 1, Issues 1–2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Ancient History, Culture, and Archaeology, University of Allahabad
[6] 문서
[7] 서적 Ancient India: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 to AD 1200 https://archive.org/[...] Routledge
[8]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Comparative Politics: Interest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in a Changing Global Orde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10]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1] 문서
[12] 학술지 200-Year Drought Doomed Indus Valley Civilization http://www.scientifi[...] 2014-03-03
[13] 웹사이트 The Dravidianization of India https://www.gnxp.com[...]
[14]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5-07-08
[15] 서적 Tamil Culture https://books.google[...] Academy of Tamil Culture 1963
[16] 학술지 High-resolution analysis of Y-chromosomal polymorphisms reveals signatures of population movements from central Asia and West Asia into India Springer India 2001-12
[17]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8] 학술지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2019-09-06
[19] 서적 The Emporium of the World: Maritime Quanzhou, 1000–1400
[20] 웹사이트 Tiruvarangam Divya Desam http://www.indiantem[...]
[21] 서적 Tamil Harvard University Press
[22] 문서
[23] 서적 The Evolution of an ethnic identity: The Tamils of Sri Lanka
[24] 문서
[25] 웹사이트 Census 2011: Languages by state http://censusindia.g[...] Censusindia.gov.in
[26] 웹사이트 A-11 Individual Scheduled Tribe Primary Census Abstract Data and its Appendix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7] 서적 The World's Religions in Figure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igious Demography John Wiley & Sons
[28] 웹사이트 World Tamil Population http://tamilo.com/ta[...] 2008-08
[2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amil Diaspora http://murugan.org/r[...]
[30] 웹사이트 Telugu People around the world http://www.friendsof[...] Friends of Telugu
[31] 뉴스 Do you speak Telugu? Welcome to America https://www.bbc.com/[...] 2018-10-21
[32] 문서
[33]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34] 논문 Toward Proto-Elamo-Dravidian, Elamite and Dravidian, Further Evidence of Relationships, Linguistic prehistory: the Dravidian situation, Proto-Elamo-Dravidian: The Evidence and its Implications
[35] 학술지 High-resolution analysis of Y-chromosomal polymorphisms reveals signatures of population movements from central and western Asia into India 2001-12
[36] 서적 The Cambridge World Pre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38]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Comparative Politics: Interest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in a Changing Global Orde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40]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1-25
[41] 서적
[42] 학술지 200-Year Drought Doomed Indus Valley Civilization http://www.scientifi[...] 2014-03-03
[43] 웹사이트 The Dravidianization of India https://www.gnxp.com[...]
[44]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5-07-08
[45] 서적 Tamil Culture https://books.google[...] Academy of Tamil Culture 2008-11-25
[46] 학술지 High-resolution analysis of Y-chromosomal polymorphisms reveals signatures of population movements from central Asia and West Asia into India Springer India 2001-12
[47]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1-25
[48] 학술지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2019-09-06
[49]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5-07-08
[50] 서적
[51] 서적
[52] 뉴스 Stone age man used dentist drill http://news.bbc.co.u[...] 2006-04-06
[53]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of Mehrgarh https://whc.unesco.o[...] UNESCO 2004
[54] 웹사이트 Mehrgarh http://archaeology.a[...] Guide to Archaeology
[55] 웹사이트 Stone celts in Harappa http://www.harappa.c[...] 2006-05-06
[56] 학술지 Ancestral Dravidian languages in Indus Civilization: ultraconserved Dravidian tooth-word reveals deep linguistic ancestry and supports genetics https://osf.io/u3xmd[...] 2021-08-03
[57] 뉴스 Pot route could have linked Indus & Vaigai https://timesofindia[...] 2018-10-05
[58] 웹사이트 Peoples and languages in pre-Islamic Indus valley http://asnic.utexas.[...] 2008-11-20
[59]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Elsevier 2006
[60] 웹사이트 A Note on the Muruku Sign of the Indus Script in light of the Mayiladuthurai Stone Axe Discovery http://www.harappa.c[...]
[61] 뉴스 Significance of Mayiladuthurai find http://www.hinduonne[...] 2015-08-09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The Indo-Aryan Migration Debate Oxford
[65] 서적
[66] 학술지 200-Year Drought Doomed Indus Valley Civilization http://www.scientifi[...] 2014-03-03
[67] 뉴스 How climate change ended world's first great civilisations https://www.independ[...] 2014-03-02
[68] 뉴스 Climate change caused Indus Valley civilization collapse http://timesofindia.[...] 2014-02-28
[69] 웹사이트 The Dravidianization of India https://www.gnxp.com[...]
[70] 서적
[71]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1997
[72] 서적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The Indo-Aryan Migration Debate Oxford University Press
[73]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74] 서적 Āgamaprāmāṇya of Yāmunācārya Oriental Institute, Maharaja Sayajirao University of Baroda 1976
[75] 서적 Psycho-Religious Studies Of Man, Mind And Nature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2001
[76]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77] 서적 The Modern review: Volume 28; Volume 28 Prabasi Press Private, Ltd.
[78] 서적 Kārttikeya in Indian art and literature Sundeep Prakashan
[79] 서적 A Note on the Muruku Sign of the Indus Script in light of the Mayiladuthurai Stone Axe Discovery https://web.archive.[...] harappa.com
[80] 서적 The Making of India: A Historical Survey https://archive.org/[...] M.E. Sharpe
[81] 서적 Ancient Indian Civilization Arnold-Heinemann
[82] 서적 Essential Hinduism Greenwood Publishing Group
[83] 서적
[84] 서적 Plants of life, plants of death
[85] 서적 The sacred marriage of a Hindu goddess Motilal Banarsidass
[86] 서적 Splendours of Tamil Nadu https://books.google[...] Marg Publications
[87] 서적 History of South India S. Chand
[88] 서적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89] 서적 Tamil culture: religion, culture, and literature Bharatiya Kala Prakashan
[90]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Volume 1 https://archive.org/[...] Scribner
[91] 서적 Ideology, caste, class, and gender Vikas Pub. House
[92] 서적 A glimpse of Tamilology https://books.google[...] Academy of Tamil Scholars of Tamil Nadu
[93]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Sahitya Akademi
[94] 서적 Encyclopaedia Indica: India, Pakistan, Bangladesh: Volume 100 Anmol Publications
[95] 서적 Śaṅgam polity: the administration and social life of the Śaṅgam Tamils Ennes Publications
[96] 서적 The Hindu Temple Volume 1 & 2 1976
[97] 간행물 Svastika Mansion: A Silpa-Sastra in the 1930s 1997
[98] 서적 Īśānaśivagurudeva paddhati
[99] 학술지 Geometry and Measure in Indian Temple Plans: Rectangular Temples
[100] 서적 Hinduism and the Religious Arts Bloomsbury Academic
[101] 서적 The Brhat Sanhita of Varaha-mihara http://www.wilbourha[...]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102] 서적 The Religion of the Agamas http://www.siddha.co[...] Siddhanta Publications 2009
[103] 서적 History of Indian and Eastern Architecture Low Price Publications
[104] 서적 Indian Music: History and Structure Brill
[105] 서적 Fine Arts and Crafts in Pattu-p-pāṭṭu and Eṭṭu-t-tokai Annamalai University
[106] 서적 Roles and rituals for Hindu women
[107] 뉴스 Tamil leads as India tops film production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7-08-05
[108] 웹사이트 Mahabharata Text http://www.sacred-te[...]
[109] 서적 When the Body Becomes All Eyes: Paradigms, Discourses and Practices of Power in Kalaripayattu, a South Indian Martial Art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10] 웹사이트 미해독의 인더스 문자를, 인공지능으로 해석 http://wired.jp/wv/2[...]
[111] 논문 Polarity and Temporality of High-Resolution Y-Chromosome Distributions in India Identify Both Indigenous and Exogenous Expansions and Reveal Minor Genetic Influence of Central Asian Pastoralists 2006
[112] 서적 Tudu 2008
[113] 서적 Ancient India: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 to AD 1200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7
[114]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15] 서적 Comparative Politics: Interest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in a Changing Global Orde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