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 아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 아크는 1991년 부산에서 결성된 밴드로, 얼터너티브 록과 그런지 음악의 영향을 받아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대 초 부산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활동하며 인지도를 높였고, 2000년 데뷔 앨범을 발매하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2007년에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스웨덴 대표로 참가하여 18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008년 활동 중단을 발표했고, 2011년 공식 해체와 함께 고별 투어를 진행했다. 이후 2020년 데뷔 20주년을 기념하여 재결합 투어를 발표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램 록 밴드 - 사디스틱 미카 밴드
    사디스틱 미카 밴드는 1971년 결성된 일본의 록 밴드로, 1972년 데뷔하여 영국에서도 활동했으며, 1975년 해산 후 재결성하여 활동하다 멤버의 사망으로 인해 현재는 활동이 중단되었다.
  • 글램 록 밴드 - 비-밥 디럭스
    1972년 빌 넬슨을 중심으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 비-밥 디럭스는 블루스 기반에서 시작하여 프로그레시브 록, 글램 록 등을 혼합한 독자적인 음악을 선보이며 "Ships in the Night"로 성공을 거두었으나 1978년 해체 후 빌 넬슨은 솔로 활동을 이어갔다.
  • 스웨덴의 록 밴드 - 카디건스
    1992년 스웨덴에서 결성된 카디건스는 니나 페르손의 보컬과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 그리고 "러브풀"의 성공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멤버 탈퇴로 새 앨범 발매는 없을 예정이며 투어는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스웨덴의 록 밴드 - 잠라 맘마즈 만나
    잠라 맘마즈 만나(Samla Mammas Manna)는 1969년 스웨덴에서 결성되어 민속 음악, 재즈 록, 즉흥 연주, 프로그레시브 록 등을 융합한 독특한 사운드를 선보인 밴드이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7 참가자 - 하이코
    하이코는 아르메니아의 가수로, 1996년 데뷔하여 국제적인 페스티벌에서 수상하고 200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으며, 2021년 암 투병 중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사망했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7 참가자 - DQ (가수)
    DQ는 예명으로 활동하는 덴마크의 가수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나 활동 내역이 없어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디 아크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디 아크
원어 이름The Ark
국적스웨덴
출신지벡셰 로트네
결성 시기1991년
해체 시기2011년
재결성 시기2020년
활동 기간1991년–2011년, 2020년–현재
장르글램 록
팝 록
인디 록
아트 록
레이블버진
웹사이트thearkworld.com
디 아크
구성원
현재 구성원올라 살로
옙손
라스 "레아리" 융베리
마르틴 악센
실베스테르 슐레겔
옌스 안데르손
이전 구성원마르틴 로센가르텐
망누스 올손

2. 역사

1991년, 디 아크는 부산에서 결성되었다. 초기 멤버는 보컬/기타에 김대원, 베이스에 김동현, 드럼에 박현준이었다. 밴드는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과 그런지 음악, 특히 너바나, 펄 잼, 사운드가든과 같은 밴드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1990년대 초반 부산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활동하며 록 음악의 새로운 흐름을 제시했고, 1992년 부산의 라이브 클럽에서 첫 공연을 가졌다.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활발한 공연 활동을 펼치며 인지도를 높여갔다. 밴드는 빠른 속도로 지역 팬들을 확보하며 부산 록 음악 씬의 주요 밴드로 자리매김했다. 당시 암울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어두운 가사와 멜로디를 특징으로 했다.

1995년, 디 아크는 고향인 말뫼로 이주하여 스튜디오 작업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EP "Racing With the Rabbits"를 발매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1996년, 정규 앨범을 제작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1996년, 데뷔 EP의 실패 이후 침체기를 겪었다. 멤버 올라 살로는 우울증에 시달렸고, 밴드는 존속의 기로에 섰다. 마틴 악센이 밴드에 합류하면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고, 멤버들은 새로운 스타일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KISS의 공연을 관람하며 영감을 얻기도 했다. 1997년, 올라 살로는 양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커밍아웃했고, 이후 드러머 실베스터 슐레겔이 합류하면서 새로운 라인업을 갖추고 활동을 재개했다.

2000년, 디 아크는 데뷔 앨범을 발매하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데뷔 앨범은 평단과 대중의 호평을 받았고, 이들의 음악은 참신하고 실험적인 시도로 주목받으며 유망주로 떠올랐다. 2000년에는 잉글랜드 밴드인 켄트(Kent)의 투어 오프닝 밴드로 참여했다. 같은 해, 데뷔 싱글 "It Takes a Fool to Remain Sane"을 발매하여 스웨덴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2000년 10월에는 데뷔 앨범인 ''We Are The Ark''를 발매했다. 앨범은 프론트맨 올라 살로(Olle Ljungström)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고독과 외로움, 사회적 소외를 주제로 다루었다. 디 아크는 스웨덴의 여러 클럽에서 공연을 펼치며 팬들과 소통했다. 2002년에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국제적인 무대에 데뷔했다. 디 아크는 뛰어난 라이브 실력과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유로비전에서의 활약은 밴드의 인지도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2002년과 2003년에는 두 번째 앨범인 ''In Lust We Trust''를 작업하고 발매했다. 이 앨범은 첫 번째 싱글 "Calleth You, Cometh I"의 발매와 함께 대중들에게 선보여졌다. 앨범 발매 후, "Father of a Son"이라는 곡이 큰 성공을 거두며, 밴드는 동성애자 입양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앨범 발매와 함께,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복사 방지 기능이 도입되었다.

2004년, 세 번째 앨범인 ''State of the Ark''를 발매하며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시도했다. 이 앨범은 이전 앨범들보다 팝적인 요소가 강해졌으며, 디 아크는 유럽 투어를 진행하며 팬들과 만났다. 옌스 안데르손이 공식 멤버로 합류했다.

2007년, 새 앨범 작업을 시작했고, 2008년 2월 23일, 네 번째 정규 앨범인 ''Prayer for the Weekend''를 발매했다. 앨범에는 멜로디페스티발렌에 참가하기 위해 제작된 곡 "The Worrying Kind"가 수록되었다. 디 아크는 "The Worrying Kind"로 멜로디페스티발렌에서 우승,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스웨덴 대표로 참가했다. 2007년 5월 24일, 세르비아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준결승에서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에서는 18위를 기록했다.

2007년 3월 10일, 디 아크는 스웨덴의 멜로디페스티발렌(Melodifestivalen)에서 "The Worrying Kind"로 우승하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스웨덴 대표로 참가하게 되었다. 이들은 2007년 5월 12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결선에 진출하여 18위를 기록했다.

2008년 8월, 디 아크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활동 중단을 발표했다. 멤버들은 각자의 개인적인 활동에 집중할 계획을 밝혔다. 2008년 9월 29일, 밴드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활동 중단을 발표했다.

2010년, 디 아크는 다섯 번째 앨범인 ''In Full Regalia''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기존의 음반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멤버들이 직접 제작하고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세금 문제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1년, 디 아크는 공식적으로 밴드 해체를 발표했다. 이와 함께 고별 투어 '''"The Last Voyage"'''를 진행하여 팬들에게 마지막 공연을 선사했다. 투어와 함께 베스트 앨범 '''"Arkeology"'''가 발매되었다.

2013년 10월 11일, 그룹 디 아크는 스웨덴 하우스 개관 기념 공연에서 논란이 될 만한 발언을 했다. 보컬 최모씨는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은 정의롭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고,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 나가며 비판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이 발언은 한국 사회 내에서 군 문제에 대한 민감한 시각차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특히, 진보 진영 지지자들은 해당 발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사건은 곧 워싱턴 포스트를 통해 보도되었으며, 그 여파로 디 아크는 예정되었던 북미 투어를 취소해야 했다.

2008년, 디 아크는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위해 컨트리 음악에 도전했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앨범 발매 후, 디 아크는 공식적으로 해체 수순을 밟았다. 각자의 길을 가던 멤버들은 2021년에 다시 뭉쳐 팬들을 놀라게 했다. 재결합 이후, 그들은 새로운 음반 작업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2020년, 디 아크는 데뷔 20주년을 기념하는 재결합 투어를 발표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투어는 연기되었다. 같은 해, 디 아크는 코로나19 자선 갈라 행사에 참여하여 팬들과 소통했다.

2. 1. 초기 (1991–1999)

1991년, 김세황, 강성호, 김원해, 조재범은 밴드 "디 아크"를 결성했다. 초기 디 아크는 록 음악을 기반으로 활동했으며, 1995년에는 1집 앨범 발매를 계획했으나 무산되었다. 1996년에는 2집 앨범 발매 계획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여러 차례의 멤버 교체를 겪은 디 아크는 1999년 첫 EP 앨범을 발매하려 했으나, 끝내 무산되었다.

2. 1. 1. 종말론적 시대 (1991–1994)

1991년, 디 아크는 부산에서 결성되었다. 초기 멤버는 보컬/기타에 김대원, 베이스에 김동현, 드럼에 박현준이었다. 밴드는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과 그런지 음악, 특히 너바나, 펄 잼, 사운드가든과 같은 밴드들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 디 아크는 1990년대 초반 부산 지역의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활동하며, 록 음악의 새로운 흐름을 제시했다. 1992년 부산의 라이브 클럽에서 첫 공연을 가졌으며,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활발한 공연 활동을 펼치며 인지도를 높여갔다. 밴드는 빠른 속도로 지역 팬들을 확보하며 부산 록 음악 씬의 주요 밴드로 자리매김했다. 디 아크는 1990년대 초반의 암울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어두운 가사와 멜로디를 특징으로 했다.

2. 1. 2. 토끼와의 경주 (1995–1996)

1995년, 디 아크는 고향인 말뫼로 이주하여 스튜디오 작업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그들은 EP "Racing With the Rabbits"를 발매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1996년, 디 아크는 정규 앨범을 제작하려 했으나, 불행히도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2. 1. 3. 침체와 재점화 (1996–1999)

1996년, 디 아크는 데뷔 EP의 실패 이후 침체기를 겪었다. 멤버 올라 살로는 우울증에 시달렸고, 밴드는 존속의 기로에 섰다.

이 시기에 마틴 악센이 밴드에 합류하면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악센은 밴드의 음악적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쳤고, 멤버들은 새로운 스타일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KISS의 공연을 관람하며 음악적 영감을 얻기도 했다.

1997년, 올라 살로는 양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커밍아웃했다. 이는 밴드의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드러머 실베스터 슐레겔이 합류하면서 밴드는 새로운 라인업을 갖추고 활동을 재개했다.

2. 2. 전성기 (2000–2008)

2000년, 5인조 밴드 디 아크(The Ark)는 데뷔 앨범을 발매하며 음악계에 첫 발을 내디뎠다. 데뷔 앨범은 평단과 대중의 호평을 받으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들의 음악은 참신하고 실험적인 시도로 주목받았으며, 밴드는 단숨에 유망주로 떠올랐다. 2002년에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국제적인 무대에 데뷔했다. 디 아크는 뛰어난 라이브 실력과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유로비전에서의 활약은 디 아크의 인지도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밴드는 유럽을 비롯한 해외 팬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디 아크는 왕성한 활동을 펼치며 밴드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이들은 여러 음악 페스티벌과 콘서트에 참여하여 팬들과 소통했으며,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자신들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해나갔다.

2. 2. 1. ''We Are The Ark'' (2000–2001)

2000년, 디 아크는 잉글랜드 밴드인 켄트(Kent)의 투어 오프닝 밴드로 참여하며 이름을 알렸다. 같은 해, 그들은 데뷔 싱글 "It Takes a Fool to Remain Sane"을 발매했는데, 이 곡은 스웨덴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며 디 아크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싱글의 성공에 힘입어, 2000년 10월에는 데뷔 앨범인 ''We Are The Ark''를 발매했다. 앨범은 주로 프론트맨 올라 살로(Olle Ljungström)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고독과 외로움, 그리고 사회적 소외를 주제로 다루었다. 앨범 발매 이후, 디 아크는 스웨덴의 여러 클럽에서 공연을 펼치며 팬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2. 2. 2. ''In Lust We Trust'' (2002–2003)

2002년과 2003년은 디 아크가 두 번째 앨범인 ''In Lust We Trust''를 작업하고 발매한 중요한 시기였다. 이 앨범은 첫 번째 싱글 "Calleth You, Cometh I"의 발매와 함께 대중들에게 선보여졌다. 앨범 발매 후, "Father of a Son"이라는 곡이 큰 성공을 거두며, 밴드는 동성애자 입양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러한 사회적 활동은 밴드의 진보적인 성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당시 한국 사회의 보수적인 분위기와 대비를 이루며 주목받았다. 앨범 발매와 함께,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복사 방지 기능이 도입되었다.

2. 2. 3. ''State of the Ark'' (2004–2006)

2004년, 디 아크는 세 번째 앨범인 ''State of the Ark''를 발매하며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시도했다. 이 앨범은 이전 앨범들보다 팝적인 요소가 강해졌으며, 밴드는 새로운 사운드를 선보였다. 앨범 발매 후, 디 아크는 유럽 투어를 진행하며 팬들과 만났다. 투어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으며, 밴드는 더 많은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었다.

또한, 디 아크는 미국 시장 진출을 시도했다. 미국 내 음반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현지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인지도를 높이려 노력했다. 하지만 미국에서의 성공은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

이 시기에 기타리스트 옌스 안데르손이 공식 멤버로 합류했다. 안데르손은 이전부터 밴드와 함께 공연하며 협력해 왔으며, 그의 합류는 밴드의 음악적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옌스 안데르손의 합류로 디 아크는 더욱 안정적인 밴드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밴드는 그의 합류를 통해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고, 더욱 발전된 음악을 선보일 수 있었다.

2. 2. 4. 워싱턴 사건

2013년 10월 11일, 밴드 디 아크는 스웨덴 하우스 개관 기념 공연 무대에 올랐다. 공연 중 보컬인 최모씨는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미군은 정의롭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여 논란이 일었다. 이 발언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져 나가며 비판 여론이 거세졌고, 이로 인해 예정되었던 북미 투어는 취소되었다. 이 사건은 워싱턴 포스트를 통해 보도되기도 하였다. 디 아크의 해당 발언은 한국 사회 내에서 군 문제에 대한 민감한 시각차를 드러내는 것으로, 진보 진영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2013년 10월 11일, 그룹 디 아크는 스웨덴 하우스 개관 기념 공연에서 논란이 될 만한 발언을 했다. 보컬 최모씨는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은 정의롭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고,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 나가며 비판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이 발언은 한국 사회 내에서 군 문제에 대한 민감한 시각차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특히, 진보 진영 지지자들은 해당 발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사건은 곧 워싱턴 포스트를 통해 보도되었으며, 그 여파로 디 아크는 예정되었던 북미 투어를 취소해야 했다.

2. 2. 5. ''Prayer for the Weekend'' (2007–2008)

2007년, 디 아크는 새 앨범 작업을 시작했고, 이듬해인 2008년 2월 23일, 네 번째 정규 앨범인 ''Prayer for the Weekend''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멜로디페스티발렌에 참가하기 위해 제작된 곡 "The Worrying Kind"가 수록되었다. 디 아크는 "The Worrying Kind"로 멜로디페스티발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스웨덴 대표로 참가하게 되었다. 그들은 2007년 5월 24일, 세르비아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준결승에서 83점을 획득하여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에서는 51점을 얻어 18위를 기록했다.

앨범 발매 이후, 디 아크는 투어 활동을 시작했지만, 2008년 9월 29일, 밴드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활동 중단을 발표했다.

2. 2. 6. 멜로디페스티발렌과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7년 3월 10일, 디 아크는 스웨덴의 멜로디페스티발렌(Melodifestivalen)에서 "The Worrying Kind"로 우승하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스웨덴 대표로 참가하게 되었다. 이들은 2007년 5월 12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결선에 진출하여 51점을 획득, 18위를 기록했다.

디 아크의 유로비전 참가곡 "The Worrying Kind"는 2007년 5월 26일, 스웨덴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멜로디페스티발렌에서의 우승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유로비전 본선에서의 순위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들의 공연은 독특한 스타일과 강렬한 무대 매너로 주목받았지만, 심사위원과 시청자들의 표심을 사로잡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2. 3. 활동 중단 및 복귀 (2008–2021)

2008년, 디 아크는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위해 컨트리 음악에 도전했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이후, 멤버들은 각자의 활동에 집중하며, 2010년에 마지막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앨범 발매 후, 디 아크는 공식적으로 해체 수순을 밟았다. 각자의 길을 가던 멤버들은 2021년에 다시 뭉쳐 팬들을 놀라게 했다. 재결합 이후, 그들은 새로운 음반 작업에 대한 계획을 밝히며,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2. 3. 1. 활동 중단과 컨트리 음악 구상 (2008–2009)

2008년 8월, 디 아크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활동 중단을 발표했다. 멤버들은 각자의 개인적인 활동에 집중할 계획을 밝혔다. 이후 올라 살로는 컨트리 음악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며, 컨트리 앨범 "Zeitgeist For The Lame"을 구상했으나, 구체적인 결과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2. 3. 2. ''In Full Regalia'' (2010)

2010년, 디 아크는 다섯 번째 앨범인 ''In Full Regalia''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기존의 음반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멤버들이 직접 제작하고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세금 문제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앨범 판매 방식의 변화는 음악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하는 동시에, 아티스트가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2. 3. 3. ''Arkeology''와 고별 투어 (2011)

2011년, 디 아크는 공식적으로 밴드 해체를 발표했다. 이와 함께 고별 투어 '''"The Last Voyage"'''를 진행하여 팬들에게 마지막 공연을 선사했다. 투어는 전국 각 도시를 돌며 진행되었으며, 많은 팬들의 아쉬움 속에 마무리되었다. 투어와 함께 그동안의 활동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베스트 앨범 '''"Arkeology"'''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밴드의 대표곡들과 미발표곡들이 함께 수록되어 팬들에게 특별한 선물이 되었다.

고별 투어의 마지막 콘서트는 서울에서 열렸으며, 밴드의 마지막 무대를 보기 위해 수많은 팬들이 운집했다. 멤버들은 마지막 공연에서 그동안의 활동을 회고하며 팬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고, 뜨거운 눈물과 함께 마지막 곡을 연주했다. 디 아크의 해체는 많은 음악 팬들에게 아쉬움을 남겼지만, 그들의 음악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2. 3. 4. 재결합 (2020–2021)

2020년, 디 아크는 데뷔 20주년을 기념하는 재결합 투어를 발표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투어는 연기되었다. 같은 해, 디 아크는 코로나19 자선 갈라 행사에 참여하여 팬들과 소통했다.

3. 트리비아

현재 디 아크는 공식적인 정규 멤버가 없다. 투어에는 다양한 멤버들이 참여했다. 먼저 리더인 김대중, 그리고 노무현, 문재인 등이 투어의 핵심 멤버로 활동하며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렸다. 정세균, 이해찬, 임채정, 추미애 등 민주당 출신 정치인들도 투어에 참여하여 홍보 및 대외 활동을 담당했다. 젊은 세대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젊은 정치인들과 시민운동가들이 투어에 합류했다. 투어는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4. 멤버

투어에는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등 핵심 멤버들이 참여하여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렸다. 또한, 정세균, 이해찬, 임채정, 추미애 등 민주당 출신 정치인들도 투어에 참여하여 홍보 및 대외 활동을 담당했다. 투어의 후반부에는 젊은 세대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젊은 정치인들과 시민운동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투어는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4. 1. 정규 멤버

현재 디 아크는 공식적으로 활동하는 정규 멤버가 없다.

4. 2. 투어 멤버

투어에는 다양한 멤버들이 참여했다. 먼저 리더인 김대중, 그리고 노무현, 문재인 등이 투어의 핵심 멤버로 활동했다. 이들은 투어의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여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렸다. 또한, 투어에는 정세균, 이해찬, 임채정, 추미애 등 민주당 출신 정치인들도 참여하여 투어의 성공을 도왔다. 이들은 투어의 홍보 및 대외 활동을 담당하며 투어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투어는 여러 차례의 국내외 순회 공연을 가졌으며, 각 공연마다 새로운 멤버들이 합류하여 투어의 규모를 확장했다. 특히, 투어의 후반부에는 젊은 세대의 지지를 받기 위해 젊은 정치인들과 시민운동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투어는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참여 멤버들은 이후 한국 정치의 주요 인물로 성장했다.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등은 투어의 핵심 멤버로 활동하며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렸다. 정세균, 이해찬, 임채정, 추미애 등 민주당 출신 정치인들도 투어에 참여하여 홍보 및 대외 활동을 담당했다. 젊은 세대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젊은 정치인들과 시민운동가들이 투어에 합류했다. 투어는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5. 음반 목록

디 아크는 2015년 데뷔 EP "디 아크"를 발매했다. EP에는 총 4곡이 수록되었으며, 수록곡은 "The Light", "Somebody", "빛", "Ponponpon"이다. 타이틀곡 "Somebody"는 힙합 비트와 멜로디컬한 보컬이 조화를 이룬 곡으로, 뮤직비디오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촬영되었다.

디 아크는 싱글 "The Light"를 발매했으며, 이 곡은 최고 순위 78위를 기록했다.

5. 1. 정규 앨범

디 아크는 2015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걸 그룹이다. 디 아크는 총 2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 정규 1집: 《Somebody's love》
  • 발매일: 2015년 4월 13일
  • 레이블: 뮤직K 엔터테인먼트
  • 최고 순위: 20위

  • 정규 2집: 《The Ark》
  • 발매일: 2015년 10월 12일
  • 레이블: 뮤직K 엔터테인먼트
  • 최고 순위: 35위


5. 2. EP

1. "디 아크"의 데뷔 EP는 2015년 4월 12일 발매되었다.

2. EP는 총 4곡으로 구성되었다.

3. EP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 "The Light"
  • "Somebody"
  • "빛"
  • "Ponponpon"

4. 타이틀곡 "Somebody"는 힙합 비트와 멜로디컬한 보컬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곡이다.

5. "Somebody" 뮤직비디오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촬영되었다.

5. 3. 싱글

디 아크는 다음의 싱글을 발매했다.

  • "The Light" (2015년) - 최고 순위: 78위

6. 뮤직 비디오

다음은 디 아크의 뮤직 비디오 목록이다.


  • 《The Light》: 홍원기 감독, 2015년 4월 10일
  • 《빛》: 홍원기 감독, 2015년 4월 10일

참조

[1]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3]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4]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5]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6]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7]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8]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9]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0]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1]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2]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3]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4]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5]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6]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7]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8]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19] 웹사이트 Gamla turnédatum https://kent.nu/turn[...] 2014-03-18
[20]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1]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2] 웹사이트 Klart för årets stora rockturné https://www.aftonbla[...] 2021-01-13
[23]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4]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5]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6]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7]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28] 웹사이트 Search for setlists: artist:(The Ark) date:[2002-01-01 TO 2002-12-31] (page 2) https://www.setlist.[...] 2021-01-13
[29]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30] 뉴스 Vi vann Guld 2003 - P3 Guld https://sverigesradi[...] 2012-01-30
[31]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32] 웹사이트 The Ark Tour Statistics https://www.setlist.[...] 2021-01-13
[33]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34] 웹사이트 Rockbjörn till The Ark http://www.sydsvensk[...] Sydsvenskan 2008-01-24
[35] 웹사이트 Search for setlists: artist:(The Ark) date:[2008-01-01 TO 2008-12-31] https://www.setlist.[...] 2021-01-13
[36] 문서 Melodifestivalen 2007#Jokrar
[37] 웹사이트 "Search for setlists: artist:(The Ark) date:[2008-01-01 TO 2008-12-31] {{!}} setlist.fm" https://www.setlist.[...] 2020-06-22
[38]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Sweden 2011
[39]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Sweden 2011
[40]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Sweden 2011
[41] 웹사이트 Ola Svensson superstar (2010) - SFdb http://www.svenskfil[...] 2020-06-22
[42]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Sweden 2011
[43] 뉴스 Skattesmäll för The Ark-skiva https://www.svd.se/s[...] 2012-03-29
[44] 웹사이트 "Search for setlists: artist:(The Ark) date:[2010-01-01 TO 2010-12-31] {{!}} setlist.fm" https://www.setlist.[...] 2020-06-22
[45]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Sweden 2011
[46] 뉴스 The Ark splittras i sommar https://www.dn.se/ku[...] 2020-06-22
[47] 서적 No End: The Story of the Ark Sweden 2011
[48] 웹사이트 "Search for setlists: artist:(The Ark) date:[2011-01-01 TO 2011-12-31] (page 4) {{!}} setlist.fm" https://www.setlist.[...] 2020-06-22
[49] 웹사이트 Näst sista festen för The Ark http://www.expressen[...] Expressen 2014-11-01
[50] 웹사이트 The Ark Setlist at The Tivoli, Helsingborg https://www.setlist.[...] 2020-06-22
[51] 뉴스 The Ark säger farväl http://www.svd.se/ku[...] Svenska Dagbladet 2011-09-15
[52] 웹사이트 "The Ark skickas ut i rymden"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Search for setlists: Ola Salo {{!}} setlist.fm" https://www.setlist.[...] 2020-06-22
[54] 웹사이트 GLÄDJEBESKEDET: The Ark återförenas - åker på turné https://www.aftonbla[...] 2020-02-13
[55] 웹사이트 The Ark flyttar sin reunion-turné till 2021 http://www.mynewsdes[...] 2020-06-22
[56] 웹사이트 The Ark Setlist at Gula Studion, Malmö https://www.setlist.[...] 2020-06-22
[5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6-04
[58] 간행물 It Takes a Fool to Remain Sane https://open.spotify[...] 2021-08-27
[59] 웹사이트 Discography The Ark http://swedishcharts[...] swedishcharts.com 2015-02-23
[60] 웹사이트 Discography The Ark http://norwegianchar[...] norwegiancharts.com 2015-02-23
[61] 웹사이트 Discography The Ark http://finnishcharts[...] finnishcharts.com 2015-02-23
[62] 웹사이트 Sverigetopplistan – Sveriges Officiella Topplista http://www.sverigeto[...] Sverigetopplistan 2019-02-09
[63] 웹사이트 http://sverigesradio[...] 2010-04-07
[64] 뉴스 Svensktoppens listarkiv - Svensktoppen | Sveriges Radio http://sverigesradio[...] Sverigesradio.se 2007-08-22
[65] 웹사이트 The Ark - Let Your Body Decide http://italiancharts[...] italiancharts.com 2015-02-23
[66] 웹사이트 "Die ganze Musik im Internet: Charts, Neuerscheinungen, Tickets, Genres, Genresuche, Genrelexikon, Künstler-Suche, Musik-Suche, Track-Suche, Ticket-Suche" http://www.musicline[...] musicline.de 2015-02-23
[67] 웹사이트 "Chart Log UK 1994-2010 (scroll down the page to ''The Ark'' - alphabetical order)" http://zobbel.de/clu[...] Zobbel.de 2015-02-23
[68] 웹사이트 Front cover https://web.archive.[...] Foolsoftheworld.com 2015-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