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리앙엔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리앙엔 FC는 1917년 창단된 니카라과의 축구 클럽으로, 니카라과 리그 최상위 리그의 모든 시즌에 참가한 유일한 팀이다. 총 32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컵 대회 우승을 기록하며 니카라과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평가받는다. 1940년대 6연패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전성기를 누렸으며, 2017년에는 창단 100주년을 맞았다. 현재 에스타디오 카시케 디리앙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유니폼 스폰서와 여자 축구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카라과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CD 왈테르 페레티
CD 왈테르 페레티는 1984년 마나과에서 창단되어 산디니스타 혁명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1991년 발터 페레티 폰세카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니카라과 축구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 및 컵 대회 우승을 차지한 강팀이다. - 1917년 설립된 축구단 - 실케보르 IF
실케보르 IF는 1917년에 창단된 덴마크의 축구 클럽으로, 1994년 덴마크 수페르리가, 2001년 덴마크 컵,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우승했으며, 2024년 대서양컵에서도 우승했다. - 1917년 설립된 축구단 -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데포르티보 톨루카 FC는 1917년 창단되어 리가 MX에 참가하며 10회 리그 우승과 국내외 대회 우승을 거둔 멕시코의 대표적인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멕시코 시를 연고로 네메시오 디에스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고 빨간색을 상징색으로 한다. - 강등된 적이 없는 축구단 - FC 서울
FC 서울은 1983년 창단하여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으로 시작,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K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다. - 강등된 적이 없는 축구단 - CA 보카 주니어스
CA 보카 주니어스는 1905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보카 지역에서 창단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강등된 적 없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6회 우승 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파란색-금색 유니폼, 라 봄보네라 경기장, 리버 플레이트와의 수페르클라시코로 유명한 아르헨티나 대표 스포츠 클럽이다.
디리앙엔 FC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카시케 디리앙엔 풋볼 클럽 |
별칭 | "로스 카시케스" (족장들) "라 트리부" (부족) "엘 임페리오" (제국) "로스 블랑키네그로스" (검은색과 흰색) |
창단일 | 1917년 5월 17일 |
경기장 | 에스타디오 카시케 디리앙엔 |
수용 인원 | 7,500명 |
회장 | 아드리안 에스피노 |
감독 | 호세 지아코네 |
리그 | 리가 프리메라 |
2016-17 시즌 | 2016 아페르투라 |
시즌 순위 | 3위 |
웹사이트 | 디리앙엔 FC 공식 웹사이트 |
홈 유니폼 | 흰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 |
원정 유니폼 | 검은색 |
2. 역사
1917년에 창단된 디리앙엔 FC는 니카라과 최상위 리그의 모든 시즌에 참가한 유일한 클럽이다. 클럽은 Diriangén no tuvo infancia, porque nació grande|디리앙엔 노 투보 인판시아, 포르케 나시오 그란데es ("디리앙엔은 위대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유년기가 없었다")라는 모토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창단 초기부터 강팀이었음을 보여준다.
디리앙헨은 1940년대 이후 매 10년마다 최소 한 번 이상 우승하며 총 30개의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다. 특히 1940년대에는 6회 연속 우승(1940-45)을 포함하여 최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여러 차례 우승과 침체기를 겪었으며,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각각 리그 3연패를 달성하는 등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레알 에스텔리가 니카라과 축구의 강자로 부상하면서 디리앙헨은 13년간의 긴 우승 가뭄을 겪기도 했다. 이 가뭄은 2018년 클라우수라 시즌에 레알 에스텔리를 꺾고 우승하면서 마침내 깨졌다.
클럽은 2017년에 창단 100주년을 기념했다.
2. 1. 창단과 초기 (1917년 ~ 1930년대)
디리앙엔 FC는 1917년에 창단되었다. 클럽은 Diriangén no tuvo infancia, porque nació grande|디리앙엔 노 투보 인판시아, 포르케 나시오 그란데es ("디리앙엔은 위대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유년기가 없었다")라는 모토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창단 초기부터 강팀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1917년부터 1930년대까지의 구체적인 활동 기록은 부족한 편이다.2. 2. 황금기 (1940년대 ~ 1950년대)
디리앙엔 FC의 최전성기는 1940년대였다. 이 시기 클럽은 니카라과 리그에서 1940년부터 1945년까지 6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1949년에도 다시 한번 정상에 오르며 1940년대에만 총 7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이러한 성공적인 시기는 클럽의 유명한 모토인 Diriangén no tuvo infancia, porque nació grande|디리앙헨은 위대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유년기가 없었다spa라는 말로 상징되기도 한다.황금기는 1950년대에도 이어져, 디리앙헨은 1953년, 1956년, 1959년에 각각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리그 강자로서의 면모를 이어갔다.
2. 3. 과도기와 반등 (1960년대 ~ 1970년대)
1940년대 6회 연속 우승(1940-45)과 1949년 우승, 1950년대 세 차례 우승(1953, 1956, 1959) 등 화려한 시기를 보낸 디리앙헨은 1960년대에 들어 긴 침체기를 겪었다. 이 시기 동안 클럽은 단 한 번의 리그 우승도 차지하지 못하며 '오랜 가뭄'을 보냈다.그러나 1960년대 말부터 반등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1969-70 시즌에 다시 리그 정상에 올랐고, 1974년에도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1970년대에 부활을 알렸다. 이는 1980년대 영광의 시대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다.
2. 4. 영광의 재현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는 디리앙엔 FC에게 영광의 시대로 회귀하는 시기였다. 리그 3연패(1981년, 1982년, 1983년)를 달성하며 강력한 면모를 보였고, 이후 1987년과 1989년에도 우승컵을 추가하며 1980년대에만 총 5번의 우승을 기록했다.1990년대에도 이러한 성공은 이어졌다. 1994-95 시즌부터 1996-97 시즌까지 다시 한번 리그 3연패를 달성했으며, 1999-2000 시즌에도 우승을 차지하며 1990년대에 총 4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이 시기는 클럽 역사상 또 다른 황금기로 평가받는다.
2. 5. 2000년대 이후 현재
1999-2000 시즌 우승으로 2000년대를 시작했지만, 이전 시대만큼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지는 못했다. 2004-2005 시즌과 2005-2006 시즌에 연속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건재함을 과시하기도 했다.그러나 이 시기 니카라과 리그의 새로운 강자로 레알 에스텔리가 급부상했다. 레알 에스텔리는 16년 동안 13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지배했고, 디리앙헨은 상대적으로 긴 침체기를 겪으며 13년 동안 우승 트로피를 추가하지 못했다.
2017년에는 클럽 창단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
오랜 우승 가뭄은 2018년 클라우수라 시즌에 마침내 깨졌다. 결승전에서 숙명의 라이벌인 레알 에스텔리를 만나 합계 3-1로 승리하며 통산 28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3. 우승 기록
디리앙엔은 니카라과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니카라과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니카라과 컵 등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3. 1. 리그
- '''니카라과 프리메라 디비시온 및 그 전신'''
우승 (32회):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9, 1953, 1956, 1959, 1969, 1970, 1974, 1981, 1982, 1983, 1987, 1989, 1992, 1995, 1996, 1997, 2000, 2005, 2006, 2018 클라우수라, 2021 클라우수라, 2021 아페르투라, 2022 클라우수라, 2023 아페르투라, 2024 클라우수라
3. 2. 컵 대회
디리앙엔 FC는 니카라과 컵에서 총 3회 우승하였다.- '''니카라과 컵''' (3회)
- * 우승: 1996, 1997, 2020
4. 선수
디리앙엔 FC의 선수단 구성 및 역대 주요 선수에 대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3년 11월 13일 기준)
''2023년 11월 13일 기준''등번호 | 국적 | 이름 | 포지션 | 비고 |
---|---|---|---|---|
골키퍼 (GK) | ||||
26 | -- 코스타리카 | 알폰소 케사다 | GK | |
수비수 (DF) | ||||
2 | -- 니카라과 | Anyelo Velasquez | DF | |
3 | -- 니카라과 | Justin Cano | DF | |
21 | -- 니카라과 | Francisco Flores | DF | |
미드필더 (MF) | ||||
14 | -- 니카라과 | Jason Coronel | MF | 주장 |
포지션 미정 | ||||
4 | -- 니카라과 | Melvin Hernandez | 미정 | |
7 | -- 니카라과 | Leonel Torres | 미정 | |
8 | -- 니카라과 | Jonathan Moncada | 미정 | |
10 | -- 아르헨티나 | Matias Galvaliz | 미정 | |
11 | -- 니카라과 | Joao Caceres | 미정 | |
12 | -- 니카라과 | Jonathan Zapata | 미정 | |
13 | -- 니카라과 | William Espana | 미정 | |
16 | -- 니카라과 | Jorge Garcia | 미정 | |
17 | -- -- | 리차드 로드리게스 | 미정 | 이중 국적 (니카라과, 우루과이) |
18 | -- 파라과이 | Renzo Carballo | 미정 | |
20 | -- 아르헨티나 | Leonel Butler | 미정 | |
25 | -- 니카라과 | Esdras Gonzalez | 미정 | |
27 | -- -- | 루이스 코페테 | 미정 | 이중 국적 (니카라과, 콜롬비아) |
46 | -- 니카라과 | Andres Reyes | 미정 | |
54 | -- 니카라과 | Oliver Orozco | 미정 |
4. 2. 역대 주요 선수
1917년 창단 이후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국제 대회에서 활약한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에 이름을 올리려면, 선수는 클럽 소속으로 최소 100경기 이상 공식 경기에 출전했거나, 자국 국가대표팀에 발탁된 경력이 있어야 한다.- 란비르 싱
- 리비오 벤다냐
- 마우리시오 크루스
- 마누엘 쿠아드라
5. 국제 대회 기록
디리앙엔 FC는 CONCACAF가 주관하는 다양한 국제 클럽 대회에 참가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주요 참가 대회로는 CONCACAF 챔피언스컵(현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CONCACAF 컵 위너스컵, CONCACAF 리그 등이 있다. 자세한 대회별 기록 및 타 클럽과의 전적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CONCACAF 챔피언스컵/리그
- '''CONCACAF 컵 위너스컵''': 2회 출전
:* 1994년: 8강 진출
:* 1997년: 예선 탈락 (중앙 지역)
5. 2. 타 클럽과의 전적
''2013년 9월 13일 기준''아래 CONCACAF 상대 팀과의 공식 토너먼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대 | 마지막 경기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득실차 |
---|---|---|---|---|---|---|---|---|---|
아길라 | CONCACAF 1976 | 2 | 0 | 0 | 2 | 2 | 11 | 0 | -9 |
알라후엘렌세 | CONCACAF 1997 | 2 | 1 | 0 | 1 | 4 | 5 | 3 | -1 |
알리안사 | CONCACAF 1993 | 2 | 0 | 0 | 2 | 1 | 5 | 0 | -4 |
아라베 우니도 | CONCACAF 1998 | 2 | 0 | 1 | 1 | 1 | 2 | 1 | -1 |
아틀레티코 마르테 | CONCACAF 1970 | 2 | 0 | 0 | 2 | 1 | 8 | 0 | -7 |
코크 밀프로스 | CONCACAF 1989 | 2 | 0 | 1 | 1 | 1 | 4 | 1 | -3 |
코무니카시오네스 | CL 2022 | 3 | 1 | 0 | 2 | 2 | 15 | 0 | -13 |
유로 키커스 | CONCACAF 1997 | 2 | 1 | 0 | 1 | 6 | 5 | 3 | +1 |
FAS | UNCAF 2004 | 2 | 0 | 0 | 2 | 0 | 9 | 0 | -9 |
에레디아노 | CONCACAF 1994 | 2 | 0 | 0 | 2 | 2 | 9 | 0 | -7 |
라 빅토리아 FC | CONCACAF 1992 | 2 | 0 | 1 | 1 | 1 | 2 | 1 | -1 |
마라톤 | CL 2021 | 2 | 0 | 0 | 2 | 1 | 3 | 0 | -2 |
무니시팔 | CONCACAF 1977 | 2 | 0 | 0 | 2 | 2 | 16 | 0 | -14 |
올림피아 | UNCAF 2006 | 2 | 0 | 0 | 2 | 1 | 5 | 0 | -4 |
레알 마야 | CONCACAF 1994 | 2 | 0 | 0 | 2 | 0 | 3 | 0 | -3 |
레알 에스파냐 | CONCACAF 1990 | 2 | 0 | 0 | 2 | 1 | 7 | 0 | -6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CONCACAF 1998 | 6 | 0 | 0 | 6 | 1 | 29 | 0 | -28 |
수치테페케스 | UNCAF 2006 | 2 | 0 | 0 | 2 | 2 | 4 | 0 | -2 |
우니베르시타리오 | CL 2018 | 2 | 0 | 0 | 2 | 1 | 7 | 0 | -6 |
6. 경기장
디리앙헨 FC의 홈 구장은 에스타디오 카시케 디리앙헨이다.
6. 1. 개요
에스타디오 카시케 디리앙헨은 '''디리앙헨 FC'''의 홈 구장으로, 7,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1] 수년 동안 니카라과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많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1] '''디리앙헨 FC'''는 이 경기장에서 중앙 아메리카의 여러 팀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바 있다.[1]6. 2. 역사
에스타디오 카시케 디리앙헨은 7,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디리앙헨 FC'''의 홈 구장이다. 이 경기장은 오랜 기간 동안 니카라과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디리앙헨 FC는 이 역사적인 경기장에서 중앙 아메리카의 여러 팀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7. 경영진 및 코칭 스태프
구단의 운영을 책임지는 경영진과 선수단을 지도하는 코칭 스태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7. 1. 경영진
wikitext
7. 2. 코칭 스태프 (2024년 9월 기준)
직책 | 이름 |
---|---|
감독 | 니카라과 에드워드 우로스 (임시) |
수석 코치 | 아르헨티나 미정 |
2군 코치 | 니카라과 리카르도 아레발로 |
2군 코치 보조 | 니카라과 알레한드로 무뇨스 |
골키퍼 코치 | 니카라과 카를로스 멘디에타 |
스포츠 단장 | 니카라과 알베르토 카스트로 |
피트니스 코치 | 니카라과 프란시스코 올리바레스 |
팀 닥터 | 니카라과 레이날도 크루즈 |
유틸리티 | 니카라과 세사르 티노코 |
8. 역대 감독
디리앙엔 FC는 1917년 나폴레온 파랄레스 벤다냐를 초대 감독으로 임명하며 정식 감독 체제를 시작했다. 구단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팀을 이끈 감독은 마우리시오 크루즈 히론으로, 그는 1992년부터 2006년까지 14년간 감독직을 수행했다. 마우리시오 크루즈 히론은 재임 기간 동안 7번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이끌며 구단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헝가리 출신의 에두아르도 코소비치와 같이 외국인 감독이 팀을 맡은 경우도 있었다.
8. 1. 목록
디리앙엔은 1917년 나폴레온 파랄레스 벤다냐를 감독으로 임명한 이후 정식 감독 체제를 유지해 왔다. 마우리시오 크루즈 히론은 1992년부터 2006년까지 14년간 팀을 이끌며 최장 기간 재임 기록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7번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이끌며 가장 성공적인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헝가리 출신의 에두아르도 코소비치는 구단의 외국인 감독 중 한 명이었다.국적 | 이름 | 재임 기간 |
---|---|---|
니카라과 | 나폴레온 파랄레스 벤다냐 | 1917년–미정 |
니카라과 | 미겔 쿠아드라 곤잘레스 | |
니카라과 | 알베르토 다빌라 "엘 티코" | |
니카라과 | 카를로스 마린 | 1940년대 |
헝가리 | 에두아르도 코소비치 | 1940년대 |
온두라스 | 루리오 마르티네스 | 1950년대 |
헝가리 | 에두아르도 코소비치 | 1956년 |
코스타리카 | 루이스 앙헬 "피필라" 우마나 | 1958년 |
코스타리카 | 산티아고 보니야 | 1950년대 |
아르헨티나 | 산티아고 베리니 | 1960년대 |
아르헨티나 | 오마르 무라코 | |
니카라과 | 마르틴 "엘 칸탄테" 가르시아 | |
니카라과 | 마누엘 "카타로" 쿠아드라 | 1960년대 |
니카라과 | 아르만도 루이스 | 1960년대 |
니카라과 | 오마르 히론 루가마스 | 1960년대 |
니카라과 | 로베르토 과르디아 | 1960년대 |
니카라과 | 리비오 벤다냐 에스피노사 | 1966년–1972년 |
엘살바도르 | 오스카 피게로아 크리스탈레스 "코코로코" | 1973년 |
니카라과 | 페드로 호세 히론 | 1970년대 |
니카라과 | 훌리오 로차 이데아케즈 "엘 네그로 훌리오" | 1970년대 |
니카라과 | 아르만도 멘디에타 파랄레스 "밀루이" | 1980년대 |
니카라과 | 호세 마누엘 피게로 "체마넬" | 1980년대 |
니카라과 | 윌리엄 파랄레스 킨타니야 | 1980년대 |
니카라과 | 벤하민 파랄레스 | 1980년대 |
니카라과 | 마리오 차베스 모랄레스 | 1980년대 |
니카라과 | 밀턴 쿠아드라 세라노 | 1990년–1991년 |
니카라과 | 마우리시오 크루즈 히론 | 1991년–2006년 |
니카라과 | 로제르 "피노초" 로드리게스 | 2006년 8월–2006년 |
니카라과 | 마르틴 메나 | 2007년 |
니카라과 | 마우리시오 크루즈 히론 | 2008년–2010년 |
온두라스 | 에드가르도 소자 | 2010년 |
니카라과 | 롤란도 멘데스 | 2010년–2011년 |
코스타리카 | 글렌 블랑코 | 2011년 7월 – 2011년 10월 |
니카라과 | 마르틴 메나 | 2011년 10월 – 2012년 2월 |
엘살바도르 | 안헬 에우제니오 오레야나 | 2012년 2월 – 2012년 6월 |
온두라스 | 프란시스코 누네즈 | 2012년 6월 – 2012년 9월 |
니카라과 | 루이스 베가 | 2012년 9월 – 2012년 10월 |
아르헨티나 | 카를로스 알베르토 데 토로 | 2012년 10월 – 2013년 11월 |
브라질 | 플라비오 다 실바 | 2013년 11월 – 2014년 5월 |
니카라과 | 플로렌시오 레이바 | 2014년 6월 – 2014년 8월 |
아르헨티나 | 로베르토 차남페 | 2014년 8월 – 2015년 7월 |
아르헨티나 | 안드레스 노바라 | 2015년 7월 – 2015년 10월 |
콜롬비아 | 하비에르 론도뇨 | 2015년 10월 – 2016년 1월 |
스페인 | 마리오 레이그 | 2016년 1월 – 2016년 2월 |
엘살바도르 | 호세 루이스 루가마스 | 2016년 2월 – 2016년 8월 |
니카라과 | 타이론 아세베도 | 2016년 8월 – 2017년 5월 |
니카라과 | 마우리시오 크루즈 히론 | 2017년 5월 – 2019년 9월 |
브라질 | 플라비오 다 실바 | 2019년 9월 – 2022년 4월 |
니카라과 | 타이론 레이바 | 2022년 4월 – 2022년 6월 |
아르헨티나 | 로베르토 차남페 | 2022년 6월 – 2023년 5월 |
아르헨티나 | 호세 지안코네 | 2023년 6월 – 2024년 9월 |
니카라과 | 에드워드 우로즈 (임시) | 2024년 9월 – 현재 |
8. 2. 주요 감독
다음은 디리앙헨 FC의 감독으로서 최소한 하나의 트로피를 획득한 감독들이다.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수상 경력 |
---|---|---|---|
에두아르도 코소비치 | 헝가리 | 1956 | 프리메라 디비시온 1956 |
리비오 벤다냐 에스피노사 | 니카라과 | 1966–1972 | 프리메라 디비시온 1969, 1970 |
마우리시오 크루스 히론 | 니카라과 | 1992–2006 |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2, 1995, 1996, 1997, 2000, 2005, 2006, 2018 클라우수라 |
플라비오 다 실바 | 브라질 | 2019–2022 | 코파 프리메라 2020, 2021 클라우수라, 2021 아페르투라 |
타이론 레이바 | 니카라과 | 2022년 4월 – 2022년 6월 | 2022 클라우수라 |
호세 지안코네 | 아르헨티나 | 2023년 6월 – 현재 | 2023 아페르투라, 2024 클라우수라 |
9. 클럽 기록 및 통계
(내용 없음)
9. 1. 최다 득점자
호세 마리아 베르무데스는 1997년 실레테펠트(Xiletepelt)와의 경기에서 9골을 기록하며 한 경기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다음은 디리앙엔 FC 소속으로 뛰면서 리그 최다 득점상을 수상하며 팀의 명성을 높이고 니카라과 축구 발전에 기여한 선수들의 목록이다.
선수 | 시즌 | 득점 수 |
---|---|---|
마누엘 쿼드라 | 1968 | - |
마누엘 쿼드라 | 1969 | - |
마우리시오 크루스 | 1983 | - |
마우리시오 크루스 | 1984 | - |
마우리시오 크루스 | 1985 | - |
마우리시오 크루스 | 1987 | - |
리비오 벤다나 | 1990 | - |
호세 마리아 베르무데스 | 1997-1998 | - |
세르지오 가고 | 1998-1999 | - |
레스터 곤잘레스 | 1999-2000 | - |
카를로스 노보아 | 2002-2003 | - |
에밀리오 팔라시오스 | 2004 아페르투라 | 8 |
헤르베르트 카브레라|헤르베르트 카브레라hon | 2010-2011 | 15 |
마이콘 산타나|마이콘 산타나por | 2021 | 10 |
루이스 코로넬 | 2024 클라우수라 | 11 |
9. 2. 한 경기 최다 골 기록
호세 마리아 베르무데스는 1997년 Xiletepelt와의 경기에서 9골을 기록하며 한 경기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0. 유니폼 스폰서
디리앙엔 FC의 유니폼 스폰서 및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주요 스폰서
- 클라로: 2001년–2006년, 2015년–현재
- 모비스타: 2007년–2015년
- 토토: 2014년–현재
- U de M: 2014년–현재
- 디리암바 시청: 2014년–현재
- CrediFacil
- Proplasa
- betcris
- Victoria Frost
- Iresa
- Flor de Cana
유니폼 제조사
- 조마: 2003년–2022년
- 마크론: 2022년–현재 마크론 공식 발표
11. 여자 축구팀
여자 팀은 니카라과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000년, 2001년, 2003년, 그리고 2010년에 우승하여 총 4번의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