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아메이드 맥클로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아메이드 맥컬로흐는 영국의 역사학자이자 성공회 사제였으며, 튜더 시대와 종교 개혁 분야의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켄트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리버풀 대학교에서 기록 관리 학위를 받은 후 튜더 시대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성공회 부제로 서품되었으나, 동성애자임을 밝히면서 사제 서품을 거부하고 사역을 중단했다. 저서로는 《토마스 크랜머: 삶》, 《종교개혁: 역사의 분열된 유럽 1490–1700》, 《기독교의 역사: 최초의 3천 년》 등이 있으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2019년 교회 역사 교수로 은퇴하고 명예 교수가 되었으며, BBC 다큐멘터리에도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크로스 칼리지 교수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크로스 칼리지 교수 - 루치아노 플로리디
    이탈리아 철학자 루치아노 플로리디는 정보철학의 선구자로서 정보의 본질, 윤리적 함의, 인포스피어 개념을 연구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예일 디지털 윤리 센터 소장으로 정보 혁명의 사회적, 윤리적 영향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 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동문 - 팀 잉골드
    팀 잉골드는 영국의 인류학자이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다양한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환경 인식, 기술, 인간-동물 관계 등을 연구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동문 - 이언 스튜어트 (수학자)
    이언 스튜어트는 잉글랜드 출신의 수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워릭 대학교 수학 교수이며 리 대수 전공, 대중적인 수학 저술과 카오스 이론 연구, '디스크월드의 과학' 시리즈 집필, 그리고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수학적 오락" 칼럼 연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교회 역사가 - 클로드샤를 달레
    클로드샤를 달레는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로, 다블뤼 주교의 자료를 바탕으로 《조선교회사》를 편찬하여 조선의 다양한 모습을 기록하고 비판적으로 조명했으며, 베트남을 거쳐 통킹에서 병사했다.
  • 교회 역사가 - 데이비드 베빙턴
    데이비드 베빙턴은 영국의 역사학자로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스털링 대학교 교수를 거쳐 교회사 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저서 『현대 영국에서의 복음주의: 17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역사』에서 복음주의의 핵심 특징인 베빙턴 4각형을 제시했다.
디아메이드 맥클로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디어미드 맥클로흐
디어미드 맥클로흐
출생명디어미드 니니안 존 맥클로흐
출생일1951년 10월 31일
출생지켄트, 잉글랜드
종교기독교 (성공회)
소속 교회잉글랜드 교회
학력
모교처칠 칼리지, 케임브리지
리버풀 대학교
리폰 칼리지 커데스던
지도교수제프리 엘턴
경력
직장웨슬리 칼리지, 브리스톨
브리스톨 대학교
세인트 크로스 칼리지, 옥스퍼드
사제 서품1987년 (부제)
주목할 만한 제자이선 H. 섀건
알렉 라이리
저서
주요 저서종교개혁사
기독교 역사
수상
수상제임스 테이트 블랙 상
전국 도서 비평가 협회상
영국 아카데미 도서상
울프슨 역사상
헤셀-틸트먼 상
쿤딜 역사상

2. 생애

디아메이드 맥컬로흐는 성공회 사제인 아버지 나이젤 존 하워드 맥컬로흐와 어머니 제니 채플 사이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리버풀 대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987년 성공회 부제로 서품받았으나, 동성애 성향으로 인해 사제 서품을 거부하고 성공회와 갈등을 겪었다.[1] 이후 학자로서 종교개혁과 기독교 역사 연구에 매진하여 여러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다. 2001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토마스 크랜머: 삶》으로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을, 2003년 《종교개혁: 역사의 분열된 유럽 1490–1700》으로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영국 아카데미 도서상, 울프슨 역사상을 수상했다. 2009년 《기독교 역사: 최초의 3천 년》으로 쿤딜 역사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디아메이드 맥컬로흐는 켄트에서 성공회 사제인 나이젤 존 하워드 맥컬로흐 목사와 제니 채플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가 웨더든과 호글리의 교구 목사로 임명되면서 소년 시절에 서퍽으로 이사했다. 힐크로프트 예비학교, 호글리, 스토마켓 고등학교를 다녔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여 1972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6년에는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기간 동안 그는 대학의 오르간 장학생이기도 했다. 1973년 리버풀 대학교에서 기록 관리 학위를 마친 후, 케임브리지로 돌아와 제프리 엘턴의 지도하에 튜더 시대 역사를 연구하여 1977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처칠 칼리지에서 주니어 연구원 직을 겸임했다.

맥컬로흐는 1976년 게이 기독교 운동에 가입하여 두 번이나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잠시 명예 비서로 활동했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브리스톨 대학교 웨슬리 칼리지에서 튜터를 했고, 브리스톨 대학교 신학과의 교회사를 가르쳤다. 리펀 칼리지 커즈던에서 옥스퍼드 신학 디플로마(1987년 수여)를 받기 위해 교직을 중단했다. 1987년 성공회에서 부제로 서품되었고,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브리스톨 교구의 올 세인츠' 클리프턴에서 무급 사역자로 활동했다. 그러나 1987년 토니 히그턴이 사제의 성적 정체성에 대해 영국 성공회 총회에 제출한 안건에 따라, 사제 서품을 거부하고 클리프턴에서의 사역을 중단했다.

그의 동성애와 성공회 사이의 갈등과 정통주의로부터의 탈피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부제로 서품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게이 남성으로서 성공회 체제 내에서는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누구인지에 대해 숨기는 일이 없도록 결심했기 때문입니다. 나는 정직하게 자랐고, 진실은 항상 나에게 중요했습니다. 교회는 감당할 수 없었고 그래서 우리는 갈라섰습니다. 그것은 비참한 경험이었습니다.[1]

2. 2. 성공회와의 관계 및 갈등

맥컬로흐는 1976년 게이 기독교 운동에 가입하여 두 번이나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잠시 명예 비서로도 활동했다. 1987년 성공회에서 부제로 서품되었고,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브리스톨 교구의 올 세인츠' 클리프턴에서 무급 사역자로 활동했다. 그러나 1987년 토니 히그턴이 사제의 성적 정체성에 대해 영국 성공회 총회에 제출한 안건에 따라, 사제 서품을 거부하고 클리프턴에서의 사역을 중단했다.

동성애와 성공회 사이의 갈등과 정통주의로부터의 탈피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부제로 서품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게이 남성으로서 성공회 체제 내에서는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누구인지에 대해 숨기는 일이 없도록 결심했기 때문입니다. 나는 정직하게 자랐고, 진실은 항상 나에게 중요했습니다. 교회는 감당할 수 없었고 그래서 우리는 갈라섰습니다. 그것은 비참한 경험이었습니다.[1]

2. 3. 학문적 경력 및 업적

맥컬로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여 1972년에 문학사 학위를, 1976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 리버풀 대학교에서 기록 관리 학위를 받은 후, 케임브리지에서 제프리 엘턴의 지도하에 튜더 시대 역사를 연구하여 1977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브리스톨 대학교 웨슬리 칼리지에서 튜터로 일했고, 브리스톨 대학교 신학과에서 교회사를 가르쳤다. 리펀 칼리지 커즈던에서 옥스퍼드 신학 디플로마(1987년 수여)를 받았다. 2001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DD) 학위를 받았다.

1996년 그의 저서 ''토마스 크랜머: 삶''은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을 수상했다. 2003년 그의 저서 ''종교개혁: 역사의 분열된 유럽 1490–1700''은 2004년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2004년 영국 아카데미 도서상 및 울프슨 역사상을 수상했다. 2009년에 출판된 ''기독교 역사: 최초의 3천 년''은 맥길 대학교의 쿤딜 역사상을 수상했으며, 당시 캐나다에서 가장 큰 상금인 75000USD를 받았다.[3]

2011년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기독교 역사 속의 침묵: 홈스의 개 증언''에 대한 기포드 강좌를 진행했다.[4] 2012년에는 영국 정체성의 역사를 암흑 시대부터 현재까지 추적하는 3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 ''신이 어떻게 영국을 만들었는가''를 쓰고 발표했다.[5] 2013년 토마스 크롬웰과 그의 영국 교회 및 정치사에서의 위치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발표했다. 2015년 BBC Two에서 방영된 그의 시리즈 ''성과 교회''는 기독교가 역사 전반에 걸쳐 서구의 성, 젠더 및 성적 취향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했다.[6]

2018년, 맥컬로흐는 전기 ''토마스 크롬웰: 삶''을 출판했다.[7]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의 유럽 자문 위원회 위원이기도 하다.[8]

2019년, 교회 역사 교수로 은퇴하고 명예 교수가 되었다.[9] 2020년부터 캠피온 홀, 옥스퍼드에서 교회사 선임 연구원 및 기록 보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9][10]

2. 4.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작품비고
1996년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토마스 크랜머: 생애》[1]
2004년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종교개혁: 역사의 분열된 유럽 1490–1700》[3]
2004년영국 학사원 도서상《종교개혁: 역사의 분열된 유럽 1490–1700》[3]
2004년울프슨 역사상《종교개혁: 역사의 분열된 유럽 1490–1700》[3]
2010년컨딜 역사상《기독교 역사: 최초의 3천 년》[3]
2010년헤셀-틸트만 상《기독교 역사: 최초의 3천 년》


  • 1978년 런던 골동품 협회 회원 (FSA) 선출[11]
  • 1982년 왕립 역사 학회 회원 (FRHistS) 선출[11]
  • 2001년 대영 학사원 회원 (FBA) 선출[11]
  • 2003년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DLitt) 학위 수여[11]
  • 2012년 신년 서훈에서 학문에 대한 공로로 기사 서임[11]
  • 2021년, "기독교 역사에서 정통성에 도전하기: 디어미드 맥컬로흐 경의 헌정 에세이"라는 제목의 ''헌정 논문집''을 수여받음[15]

3. 주요 저작

디아메이드 맥클로흐는 역사, 특히 종교 개혁과 기독교 역사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이다. 그의 저서들은 학문적이면서도 대중적으로 읽히기 쉬워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맥클로흐의 대표작으로는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을 받은 ''토마스 크랜머: 삶''(1996),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등 여러 상을 받은 ''종교 개혁: 역사''(2003) 등이 있다. 2009년에는 ''기독교 역사: 처음 3천 년''을 출간하여 맥길 대학교 쿤딜 역사상을 수상했다.[3]

맥클로흐는 저술 활동 외에도 BBC 다큐멘터리 ''기독교 역사''(2009), ''신이 어떻게 영국을 만들었는가''(2012), ''성과 교회''(2015) 등을 통해 기독교 역사 지식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3. 1. 단행본


  • ''서퍽과 튜더: 잉글랜드 카운티의 정치와 종교, 1500–1600'' (옥스퍼드, 클래런던 출판, 1986)
  • ''기독교 역사 입문'' (런던, 에프워스 출판, 1987)
  • ''잉글랜드의 후기 종교 개혁'' (1990)
  • ''헨리 8세: 정치, 정책, 그리고 경건'' (1995)
  • ''토마스 크랜머: 생애'' (1996)
  • ''튜더 교회 무장: 에드워드 6세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1999)
  • * 재출판: ''소년 왕: 에드워드 6세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2001)
  • ''종교 개혁: 유럽의 분열된 집 1490–1700'' (2003)
  • * 재출판: ''종교 개혁: 역사'' (2005)
  • A History of Christianity: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기독교 역사: 처음 3천 년영어 (런던, 알렌 레인, 2009)
  • ''침묵: 기독교 역사'' (런던, 알렌 레인, 2013)
  • ''모든 것이 새롭게 만들어지다: 종교 개혁과 그 유산'' (런던, 알렌 레인, 2016)
  • ''토마스 크롬웰: 생애'' (런던, 알렌 레인, 2018)
  • ''천사보다 낮게: 성과 기독교의 역사'' (2024)
  • ''기독교의 역사'' (2009)
  • ''신이 영어를 만든 방법'' (2012)
  • ''헨리 8 세의 집행자 : 토마스 크롬웰의 흥망'' (2013)
  • ''섹스 앤 더 교회'' (2015)

3. 2. 영화


  • 기독교의 역사 (2009)
  • 신이 어떻게 영국을 만들었는가 (2012)
  • 헨리 8세의 해결사: 토마스 크롬웰의 부상과 몰락 (2013)
  • 성과 교회 (2015)

4. 미디어 출연

디아메이드 맥클로흐는 텔레비전과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역사 관련 지식을 전달했다.

2012년에는 암흑 시대부터 현재까지 영국 정체성의 역사를 다룬 3부작 다큐멘터리 ''신이 어떻게 영국을 만들었는가''를 쓰고 발표했다.[5] 2013년에는 토마스 크롬웰과 그의 영국 교회 및 정치사에서의 위치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발표했고, 2015년에는 BBC Two에서 ''성과 교회'' 시리즈를 통해 기독교가 서구의 성, 젠더, 성적 취향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탐구했다.[6]

맥클로흐는 BBC 라디오 4의 ''In Our Time''에 출연하여 멜빈 브래그와 함께 다양한 역사적 주제를 논의하기도 했다.

4. 1. 멜빈 브래그와의 In Our Time 라디오 에피소드

방송인이자 라디오 진행자인 멜빈 브래그는 맥컬러를 포함한 여러 게스트와 함께 BBC 라디오 4에서 다양한 역사적 주제에 대해 논한다.

  • 2003년 11월 27일,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45분)
  • 2006년 10월 12일, 보름스 국회 (45분)
  • 2008년 3월 27일, 수도원 해산 (45분)
  • 2009년 11월 5일, 뮌스터 공방전 (45분)
  • 2010년 2월 25일, 칼뱅주의 (45분)
  • 2010년 11월 18일, ''폭스의 순교자 열전'' (45분)
  • 2012년 2월 9일, 에라스무스 (42분)
  • 2013년 10월 17일, ''공동 기도문'' (42분)
  • 2015년 11월 12일, 레판토 해전 (43분)
  • 2018년 1월 11일, 몰타 공방전 (50분)
  • 2019년 3월 7일, 윌리엄 세실 (51분)

4. 2. 헹크 더 베르흐와의 인터뷰 (2018)

2018년 헹크 더 베르흐는 디아메이드 맥클로흐와 3부작 비디오 인터뷰를 진행했다. 2부에서는 동성 결혼과 여성 사제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18] 맥클로흐는 인터뷰에서 자신의 동성애성공회 신앙 사이의 갈등을 언급하며, 성직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지 않기로 결심했기 때문에 성공회 체제 내에서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정직하게 자랐고, 진실은 항상 나에게 중요했습니다. 교회는 감당할 수 없었고 그래서 우리는 갈라섰습니다. 그것은 비참한 경험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BBC - Press Office - Network TV Programme Information BBC Week 45 Feature name http://www.bbc.co.uk[...] BBC 2019-06-24
[2]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s://www.cambridg[...] 2018-12-21
[3] 뉴스 Search https://web.archive.[...] The Globe and Mail 2010-11-15
[4] 웹사이트 Gifford Lectures https://www.ed.ac.uk[...] University of Edinburgh 2024-05-23
[5] 웹사이트 BBC Two - How God Made the English https://www.bbc.co.u[...] BBC 2019-06-24
[6] 웹사이트 Sex and the Church http://www.bbc.co.uk[...] BBC 2 2015-04
[7] 뉴스 Thomas Cromwell by Diarmaid MacCulloch review – what Hilary Mantel left out https://www.theguard[...] 2018-09-22
[8] 웹사이트 Princeton University Press, European Advisory Board http://press.princet[...]
[9] Crockford
[10] 웹사이트 Revd Professor Diarmaid MacCulloch https://www.campion.[...] University of Oxford
[11] 간행물 2011-12-31
[12] 웹사이트 Prof Sir Diarmaid MacCulloch's Biography http://www.debretts.[...] Debrett's 2012-04-11
[13] 뉴스 Please, not Sir https://www.telegrap[...] 2012-01-09
[14] 웹사이트 Behind the shining armour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Oxford 2012-01-05
[15] 서적 Contesting Orthodoxie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essays in honour of Diarmaid MacCulloch Boydell Press 2021
[16] 논문 Review of ''Silence : a Christian history'' http://www.historyto[...] 2013-11-11
[17] 웹사이트 Lower than the Angels by Diarmaid MacCulloch: 9781984878670 {{!}} PenguinRandomHouse.com: Books https://www.penguinr[...] 2024-09-14
[18] 웹사이트 Professor Henk de Berg, School of Languages and Cultures, Professor of German, Head of Germanic Studies https://www.sheffiel[...] The University of Sheffield 2024-01-06
[19] 웹인용 BBC - Press Office - Network TV Programme Information BBC Week 45 Feature name http://www.bbc.co.uk[...] 2019-06-24
[20] 웹인용 Editorial board https://www.cambridg[...] 2018-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