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다가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다가스트는 J.R.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로, 중간계로 파견된 다섯 명의 마법사 중 한 명이다. 아두나이어로 "짐승을 돌보는 자"라는 의미를 지니며, 갈색 옷을 입고 자연, 특히 동물들과 교감하는 성격을 가졌다. 영화 《호빗》 3부작에서 실베스터 매코이가 연기했으며, 원작보다 비중이 늘어나 자연과의 교감, 흑마술사와의 대립 등의 모습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마법사 - 사루만
《반지의 제왕》 등장인물 사루만은 백색 의회의 수장이자 마이아였으나 권력욕에 눈이 멀어 사우론과 결탁, 아이젠가르트를 산업화하고 군대를 양성했으나 몰락 후 부하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 가운데땅의 마법사 - 간달프
J.R.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마법사 간달프는 "미스란디르"라고도 불리며, 불, 빛, 연기를 다루는 능력과 여러 종족과의 관계를 통해 절대반지 파괴에 기여하고, 죽음 이후 백색의 간달프로 부활하여 사우론을 무찌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판타지 문학의 상징적인 캐릭터이다. - 호빗 - 발린 (가운데땅)
발린은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두린 가문의 드워프이며, 소린 오큰실드 일행으로서 에레보 탐험에 참여했고, 이후 모리아 재건을 시도했으나 고블린과 발로그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호빗 - 골룸
골룸은 J. R. R. 톨킨의 판타지 소설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스미골이라는 호빗에서 변한 인물로, 절대반지에 압도되어 잔인하고 기괴한 모습이 되었으며 "내 소중한 것"이라는 말버릇과 반지를 되찾기 위해 프로도를 추격하는 이중인격자이지만, 반지를 파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 톨킨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로서 여러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 1954년 창조된 가공인물 - 고지라
고지라는 고릴라와 고래 이름을 합쳐 만든 일본 거대 괴수 영화 주인공으로, 공룡 특징을 결합한 외형과 방사열선을 지녔으며, 수소폭탄 실험으로 탄생한 돌연변이 생물이라는 설정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크기와 설정 변화를 거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일본 대중문화의 상징이다. - 1954년 창조된 가공인물 - 글로인
라다가스트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명 | 아이웬딜 |
종족 | 마이아 (마법사) |
등장 작품 | "호빗" (1937) "반지 원정대" (1954) "실마릴리온" (1977) "끝나지 않은 이야기" (1980) |
인물 정보 | |
창조자 | 존 로널드 루엘 톨킨 |
첫 등장 |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
기타 | |
직업 | 마법사 |
2. 이름과 기원
라다가스트는 미르크우드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로스고벨에 살았으며, 그 이름은 싱다린어 ''rhosc gobel''에서 유래하여 "갈색 마을"을 의미한다.[1] 그는 야생 동물, 특히 새들과 강한 친화력을 가졌으며, 새들의 여러 언어를 구사했다.[3] 간달프는 라다가스트를 "큰 필요에 의해 몰리지 않는 한 여행을 하지 않는 사람", "훌륭한 마법사", 그리고 "정직한" 사람으로 묘사한다.[3]
''반지의 교우단''에서 엘론드 회의 동안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와의 만남을 이야기한다. 라다가스트는 사루만에 의해 간달프를 오르쌍크 탑으로 유인하는 데 이용되었고, 간달프는 그곳에서 붙잡혔다. 그러나 라다가스트는 그와이히르 독수리를 오르쌍크로 보내 사우론 군대의 움직임에 대한 소식을 전함으로써 간달프를 구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 ''반지의 제왕''에서 엘론드 회의 후 정찰병들이 파견될 때, 라다가스트는 로스고벨에 없었다는 보고가 있다.[4]
''실마릴리온''에서는 라다가스트가 "모든 새와 짐승들의 친구"이며,[5] 순진하게도 많은 새들을 포함한 "많은 간첩들을 모으는 것"을 도왔다고 언급한다.[5]
간달프의 말에 따르면, 그는 매우 성실한 성격이기 때문에 음모나 배신과는 무관한 존재이며, 사루만이 자신의 야망의 동료로 끌어들이려고 해도 절대로 응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호빗』에 등장한 까다로운 곰인 베오른도 그를 "마법사 치고는 나쁜 놈이 아니다"라고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반지 전쟁이 끝나고 사우론이 멸망하고 이스타리가 중간계에서의 임무를 완수한 후에도, 라다가스트가 간달프와 함께 발리노르로 향하는 배에 탔다는 기록은 어떤 자료에도 없다. 동물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중간계에 남아 있었다고 전해진다.
2. 1. 어원
라다가스트라는 이름은 톨킨이 창작한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아두나이어로는 "짐승을 돌보는 자"를 뜻한다.[1] 쿠에냐어로는 "새 친구"를 뜻하는 '아이웬딜'이라고 불렸다.[1] 톨킨은 이 어원을 변경하여 안두인 계곡 인간들의 고대 언어와 연관시키려 했으나, 명확한 의미는 밝혀지지 않았다.[1] 실제로 톨킨은 그 이름이 "이제는 명확하게 해석될 수 없다"고 말했다.[1] 그의 칭호인 "갈색의"는 단순히 그의 갈색 옷을 가리키는 것이다.[1]슬라브 신화에는 라데가스트라는 신이 있는데, 이는 "환영받는 손님"으로 해석된다.[6] 톨킨의 마법사는 이 슬라브 전통의 반향을 나타낼 수 있다.[7] 이는 톨킨 작품에 영향을 준 다양한 요소들 중 드문 출처이다.[10]
2. 2. 기원
''미완의 이야기''에 따르면, 라다가스트는 다른 마법사들처럼 제3시대 1000년경에 발리노르에서 온 천사와 같은 존재인 마이아 중 하나였다.[1] 그의 원래 이름은 톨킨이 만든 쿠에냐어로 "새 친구"를 뜻하는 ''아이웬딜''이었다.[1] 발라 중 한 명인 야반나는 라다가스트의 동료 마법사인 사루만에게 그를 동료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했는데, 이는 사루만이 그를 경멸하고 "단순한" "바보"라고 조롱한 이유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톨킨은 말한다.[1]
아만 땅에서 발라르를 섬기던 시절, 그의 이름은 '''아이웬딜'''(Aiwendilqya, 새를 사랑하는 자라는 뜻)이었다. 그는 중간계의 자유민에 의한, 두 번째 흑마왕사우론 타도를 돕기 위해 파견된 다섯 명의 마이아 중 한 명이었으며, 그를 추천한 이는 야반나였다. 그는 백색의 사루만과 함께 중간계로 왔다.
매우 괴짜 마법사였던 그는 숲과 중간계의 동물들을 사랑하여 숲에 살았다. 그 때문에 사루만의 노여움을 사서 주의를 받았지만 고쳐지지 않았다. 그리고 사루만에게 경멸받아 "어리석은 자"라고 불렸다. 그 때문에 백색의 회의에도 초대받지 못했다.
3. 중간계에서의 행적
라다가스트는 제3시대 1000년경 발리노르에서 중간계로 온 마이아 중 하나이다. 발라 중 한 명인 야반나의 강요로 사루만의 동료가 되었지만, 사루만은 그를 경멸했다.[1]
간달프의 동맹이자 친구였으며, 미르크우드 서쪽 가장자리의 로스고벨에 정착하여 야생 동물들과 강한 친화력을 보였다. 새들의 여러 언어를 구사했으며, 가죽을 바꾸는 베오른과도 친구였다.[2][10]
아만 땅에서 발라르를 섬기던 시절, 그의 이름은 '''아이웬딜'''(Aiwendilqya, 새를 사랑하는 자라는 뜻)이었다. 그는 중간계의 자유민에 의한, 두 번째 흑마왕사우론 타도를 돕기 위해 파견된 다섯 명의 마이아 중 한 명이었다.
엘론드 회의에서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와 이전에 만났던 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사루만은 라다가스트를 이용하여 간달프를 오르쌍크 탑으로 유인했고, 간달프는 그곳에서 붙잡혔다. 다행히도 라다가스트는 그와이히르 독수리를 오르쌍크로 보내 간달프를 구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
《실마릴리온》에서는 라다가스트가 "모든 새와 짐승들의 친구"라고 간략하게 언급된다.[5]
피터 잭슨(Peter Jackson)의 ''호빗: 뜻밖의 여정''에서 라다가스트는 실베스터 매코이(Sylvester McCoy)가 연기했으며, 원작 소설보다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13] 영화에서 라다가스트는 숲의 변화를 감지하고 돌굴두르(Dol Guldur)를 방문하여 흑마술사(사우론(Sauron))의 존재를 확인한다. 그는 앙마르의 마왕(Witch-king of Angmar)의 모르굴 검(Morgul blade)을 빼앗아 간달프에게 전한다.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에서 라다가스트는 간달프와 함께 빈 무덤을 조사하며 나즈굴(Nazgûl)의 부활을 확인한다.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에게 갈라드리엘(Galadriel)에게 알리고, 백색 의회(White Council)가 돌 굴두르에 먼저 공격해야 한다고 말한다.
''호빗: 다섯 군대 전투''에서 라다가스트는 돌 굴두르에 도착하여 부상당한 간달프를 썰매에 태운다.[16] 마지막 전투에서 대독수리들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한다.
3. 1. 제3시대 초기
라다가스트는 제3시대 1000년경 발리노르에서 중간계로 온 마이아 중 하나이다. 원래 이름은 쿠에냐어로 "새 친구"를 뜻하는 ''아이웬딜''이었다. 발라 중 한 명인 야반나의 강요로 사루만의 동료가 되었지만, 사루만은 그를 경멸하며 "단순한", "바보"라고 조롱했다.[1]그럼에도 라다가스트는 간달프의 동맹이자 친구였으며, 미르크우드 서쪽 가장자리의 로스고벨에 정착하여 야생 동물들과 강한 친화력을 보였다. 새들의 여러 언어를 구사했으며, 간달프는 그를 "훌륭한 마법사"이자 "정직한" 사람으로 묘사했다.[3] 가죽을 바꾸는 베오른과도 친구였다.[2][10]
아만 땅에서 발라르를 섬기던 시절, 그의 이름은 '''아이웬딜'''(Aiwendilqya, 새를 사랑하는 자라는 뜻)이었다. 그는 중간계의 자유민에 의한, 두 번째 흑마왕사우론 타도를 돕기 위해 파견된 다섯 명의 마이아 중 한 명이었으며, 야반나가 그를 추천했다. 그는 백색의 사루만과 함께 중간계로 왔다.
매우 괴짜 마법사였던 그는 숲과 중간계의 동물들을 사랑하여 숲에 살았다. 그 때문에 사루만의 노여움을 사서 주의를 받았지만 고쳐지지 않았다. 그리고 사루만에게 경멸받아 "어리석은 자"라고 불렸다. 그 때문에 백색의 회의에도 초대받지 못했다.
간달프의 말에 따르면, 그는 매우 성실한 성격이기 때문에 음모나 배신과는 무관한 존재이며, 사루만이 자신의 야망의 동료로 끌어들이려 해도 절대로 응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호빗』에 등장한 까다로운 곰인 베오른도 그를 "마법사 치고는 나쁜 놈이 아니다"라고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3. 2. 《반지의 교우단》
엘론드 회의에서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와 이전에 만났던 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사루만은 라다가스트를 이용하여 간달프를 오르쌍크 탑으로 유인했고, 간달프는 그곳에서 붙잡혔다. 다행히도 라다가스트는 그와이히르 독수리를 오르쌍크로 보내 사우론 군대의 움직임에 대한 소식을 전해 간달프를 구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와이히르는 탑 꼭대기에 갇혀 있는 간달프를 보고 안전한 곳으로 데려갔다.[3] 엘론드 회의 후 정찰병들이 파견되었을 때, 라다가스트가 로스고벨에 있는 그의 집에 없다는 보고가 올라왔다.[4]3. 3. 《실마릴리온》
《실마릴리온》에서는 라다가스트가 "모든 새와 짐승들의 친구"이며,[5] 순진하게도 많은 간첩(새)들을 모으는 것을 도왔다고 간략하게 언급된다.[5]
3. 4. 《호빗》 3부작 (영화)
피터 잭슨(Peter Jackson)의 ''호빗: 뜻밖의 여정''에서 라다가스트는 실베스터 매코이(Sylvester McCoy)가 연기했으며, 원작 소설보다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13] 매코이는 라다가스트를 자연과 깊이 교감하는 존재이며, 중간계의 아시시의 프란체스코(St Francis of Assisi)와 같다고 보았다. 그는 라다가스트가 건망증이 있지만, "서투른 영웅"이라고 덧붙였다. 영화에서 라다가스트는 숲의 변화를 감지하고 돌굴두르(Dol Guldur)를 방문하여 흑마술사(사우론(Sauron))의 존재를 확인한다. 그는 앙마르의 마왕(Witch-king of Angmar)의 모르굴 검(Morgul blade)을 빼앗아 간달프에게 전한다.
라다가스트는 거대한 토끼들이 끄는 썰매를 타고 다닌다. 에레보르(Erebor)로 가는 길에 간달프, 빌보 배긴스(Bilbo Baggins), 드워프들을 만나 돌 굴두르에서 발견한 사실을 알린다. 소린의 일행이 워그를 탄 오크들에게 공격받자, 썰매를 타고 그들의 주의를 끈다. 브라이언 시블리(Brian Sibley)는 톨킨이 라다가스트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아 잭슨의 각본가들이 자유롭게 캐릭터를 만들 수 있었다고 말한다. 썰매 추격 장면은 뉴질랜드 남섬(South Island)의 스트래스 테이에리(Strath Taieri)에서 촬영되었다.[15]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에서 라다가스트는 간달프와 함께 빈 무덤을 조사하며 나즈굴(Nazgûl)의 부활을 확인한다.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에게 갈라드리엘(Galadriel)에게 알리고, 백색 의회(White Council)가 돌 굴두르에 먼저 공격해야 한다고 말한다.
''호빗: 다섯 군대 전투''에서 라다가스트는 돌 굴두르에 도착하여 부상당한 간달프를 썰매에 태운다.[16] 마지막 전투에서 대독수리들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한다.
4. 성격 및 특징
라다가스트는 자연, 특히 동물들을 사랑하고 그들과 깊이 교감하는 성격을 지녔다. 간달프는 그를 "정직한" 마법사라고 평가했고,[3] 베오른은 "마법사 치고는 나쁜 놈이 아니다"라고 호의적으로 평가했다.[2] 그는 새들의 여러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으며, "모양과 색깔을 바꾸는 대가"였다.[3] 그의 칭호는 "갈색의"인데, 이는 그의 갈색 옷을 가리킨다.[1]
아만 땅에서 발라르를 섬기던 시절, 그의 이름은 '''아이웬딜'''(Aiwendil|새를 사랑하는 자qya)이었다. 그는 중간계의 자유민에 의한, 두 번째 흑마왕사우론 타도를 돕기 위해 파견된 다섯 명의 마이아 중 한 명이었으며, 야반나가 그를 추천했다. 그는 백색의 사루만과 함께 중간계로 왔다.
괴짜 마법사였던 그는 숲과 중간계의 동물들을 사랑하여 미르크우드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로스고벨(싱다린어 ''rhosc gobel''에서 유래하여 "갈색 마을"을 의미한다[1])에 살았다. 그 때문에 사루만의 노여움을 사서 주의를 받았지만 고쳐지지 않았다. 사루만은 그를 경멸하여 "어리석은 자"라고 불렀고, 백색의 회의에도 초대받지 못했다.
사루만에게 속아 회색의 간달프를 오르쌍크의 탑으로 유인하는 데 가담했지만, 그의 성실한 성격은 사루만의 의도를 넘어 간달프를 도왔다. 위험한 임무를 떠나는 간달프를 돕기 위해 친구인 동물들에게 협력을 요청했고, 그 결과 사루만에게 갇힌 간달프가 그와이히르 독수리의 도움으로 탈출하는 데 일조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라다가스트는 사루만의 배신을 간달프가 알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 배신을 주변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간달프는 그의 성실함에 감사하며 "위대한 마법사라고 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3]
간달프의 말에 따르면, 그는 매우 성실한 성격이기 때문에 음모나 배신과는 무관한 존재이며, 사루만이 자신의 야망의 동료로 끌어들이려고 해도 절대로 응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반지 전쟁이 끝나고 사우론이 멸망하고 이스타리가 중간계에서의 임무를 완수한 후에도, 라다가스트가 간달프와 함께 발리노르로 향하는 배에 탔다는 기록은 없다. 동물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중간계에 남아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색채와 형태의 대가였으며, 약초와 동물들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대독수리인 그와이히르 등의 새들과 친분이 깊었다.
영화에서 그는 헝클어진 머리와 수염, 새 둥지가 있는 모자 등 괴짜 같은 외모로 묘사된다.
4. 1. 성격
라다가스트는 자연, 특히 동물들을 사랑하고 그들과 깊이 교감하는 성격을 지녔다. 간달프는 그를 "정직한" 마법사라고 평가했고,[3] 베오른은 "마법사 치고는 나쁜 놈이 아니다"라고 호의적으로 평가했다.[2] 그는 새들의 여러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으며, "모양과 색깔을 바꾸는 대가"였다.[3]아만 땅에서 발라르를 섬기던 시절, 그의 이름은 '''아이웬딜'''(Aiwendil|새를 사랑하는 자qya)이었다. 그는 중간계의 자유민에 의한, 두 번째 흑마왕사우론 타도를 돕기 위해 파견된 다섯 명의 마이아 중 한 명이었으며, 야반나가 그를 추천했다. 그는 백색의 사루만과 함께 중간계로 왔다.
괴짜 마법사였던 그는 숲과 중간계의 동물들을 사랑하여 숲에 살았다. 그 때문에 사루만의 노여움을 사서 주의를 받았지만 고쳐지지 않았다. 사루만은 그를 경멸하여 "어리석은 자"라고 불렀고, 백색의 회의에도 초대받지 못했다.
사루만에게 속아 회색의 간달프를 오르쌍크의 탑으로 유인하는 데 가담했지만, 무능한 것은 아니었다. 그의 성실한 성격은 사루만의 의도를 넘어 간달프를 도왔다. 위험한 임무를 떠나는 간달프를 돕기 위해 친구인 동물들에게 협력을 요청했고, 그 결과 사루만에게 갇힌 간달프가 탈출하는 데 일조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라다가스트는 사루만의 배신을 간달프가 알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 배신을 주변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간달프는 그의 성실함에 감사하며 "위대한 마법사라고 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3]
간달프의 말에 따르면, 그는 매우 성실한 성격이기 때문에 음모나 배신과는 무관한 존재이며, 사루만이 자신의 야망의 동료로 끌어들이려고 해도 절대로 응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반지 전쟁이 끝나고 사우론이 멸망하고 이스타리가 중간계에서의 임무를 완수한 후에도, 라다가스트가 간달프와 함께 발리노르로 향하는 배에 탔다는 기록은 없다. 동물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중간계에 남아 있었다고 전해진다.
4. 2. 능력
라다가스트는 모양과 색깔을 바꾸는 능력을 지녔으며,[3] 약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고,[9] 새들의 언어를 이해하고 구사한다.[3] 간달프는 그를 "훌륭한 마법사"이자 "정직한" 사람으로 묘사했다.[3]그는 색채와 형태의 대가였으며, 약초와 동물들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대독수리인 귄하이어 등의 새들과 친분이 깊었다.
4. 3. 외모
라다가스트의 칭호는 "갈색의"인데, 이는 그의 갈색 옷을 가리킨다.[1] 각 마법사는 서로 다른 색깔의 망토를 가지고 있었다.[1] 영화에서 그는 헝클어진 머리와 수염, 새 둥지가 있는 모자 등 괴짜 같은 외모로 묘사된다.5. 해석 및 평가
라다가스트는 동물과의 친화력, 약초 지식, 변신 능력으로 샤먼과 비교되기도 하고, 슬라브 신화의 신과 연결되어 중간계의 이교도 신앙의 사례로 해석되기도 한다. 톨킨은 라다가스트가 동물과 식물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마법사로서의 임무를 포기했다고 언급했으나, 크리스토퍼 톨킨은 그가 발라 야반나에 의해 특별히 선택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실패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보았다.
5. 1. 샤먼과의 유사성
라다가스트는 "형태의 대가이자 색채의 변화자"이며 동물들과 우정을 나누고 소통하며 약초에도 능숙하다는 점에서 샤먼과 유사하다.[9][10] 특히 대독수리인 귄하이어 등의 새들과 친분이 있었다.
5. 2. 임무 실패?
톨킨은 한 편지에서 라다가스트가 동물과 식물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마법사로서의 임무를 포기했다고 언급했다.[12] 그러나 라다가스트의 실패가 사루만의 실패만큼 크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12] 크리스토퍼 톨킨은 라다가스트가 식물과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임무를 위해 발라 야반나에 의해 특별히 선택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실패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1]5. 3. 이교적 신앙?
톨킨 학자 패트릭 커리는 슬라브 신화의 라다가스트가 체코 베스키디 산맥의 이교 수호신으로, 머리 위에 새가 앉아 있는 뿔투구를 쓴 모습으로 묘사된다고 적었다. 커리는 이를 통해 톨킨의 라다가스트가 중간계의 이교도 신앙의 여러 사례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9]6.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피터 잭슨의 영화 ''호빗: 뜻밖의 여정''에서 실베스터 매코이(Sylvester McCoy)가 연기한 라다가스트는 원작 소설보다 비중이 크게 늘었다.[13] 매코이는 라다가스트를 아시시의 프란체스코(St Francis of Assisi)에 비유하며, 자연과 교감하는 초월적인 존재로 묘사했다. 그는 라다가스트가 다소 건망증이 있지만, "서투른 영웅"이라고 덧붙였다. 영화에서 라다가스트는 숲에 악의 세력이 퍼지고 있음을 감지하고 돌굴두르(Dol Guldur)를 방문하여 흑마술사(사실은 사우론(Sauron))의 존재를 확인한다. 그는 앙마르의 마왕(Witch-king of Angmar)에게서 빼앗은 모르굴 검을 가지고 도망친다. 라다가스트는 거대한 토끼들이 끄는 썰매를 타고 다니는데, 이는 영화에서 새롭게 창작된 설정이다.
에레보르(Erebor)로 가는 길에 간달프 일행을 만난 라다가스트는 돌굴두르에서 발견한 사실을 알린다. 워그를 탄 오크들의 공격을 받자, 라다가스트는 썰매를 몰아 그들을 유인한다. 브라이언 시블리(Brian Sibley)는 톨킨이 라다가스트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아, 영화 제작진이 자유롭게 캐릭터를 구상할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라다가스트의 묘사가 톨킨의 "희박하고 빈약한" 묘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14] 썰매 추격 장면은 뉴질랜드 남섬(South Island)의 스트래스 테이에리(Strath Taieri)에서 촬영되었다.[15]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에서 라다가스트는 간달프와 함께 나즈굴(Nazgûl)이 깨어났음을 확인한다.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에게 백색 의회(White Council)에 이 사실을 알리고 돌굴두르에 선제공격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호빗: 다섯 군대 전투''에서 라다가스트는 부상당한 간달프를 썰매에 태워 피신시키고, 전투 막바지에 대독수리들을 이끌고 참전한다.[16]
게임즈 워크숍의 게임을 비롯한 여러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에도 라다가스트가 등장한다.[17] ''반지의 제왕 온라인''에서는 중간계의 한 지역 지도자로 등장하여 플레이어와 상호작용한다.[18][19]
6. 1. 영화
피터 잭슨의 ''호빗: 뜻밖의 여정''에서 라다가스트는 실베스터 매코이(Sylvester McCoy)[13]가 연기하며, 원작 소설에서의 짧은 역할보다 훨씬 확장된 모습을 보여준다. 매코이는 라다가스트를 "톨킨이 묘사했듯이 자연과 공감대와 친밀감을 가지고, 매우 초월적인 존재, 중간계의 아시시의 프란체스코(St Francis of Assisi) 버전"으로 보았다고 말했다. 매코이는 라다가스트가 다소 건망증이 있지만, "서투른 영웅"으로 나온다고 덧붙였다. 그의 집에 대해 매코이는 나무가 집을 관통해서 자라기로 결정했고, 라다가스트는 자신과 나무가 함께 살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영화에서 라다가스트는 자신이 사는 숲에 악의 세력이 감염되었다는 것을 깨달은 후 돌굴두르(Dol Guldur)를 처음 방문하는 마법사이다. 그는 흑마술사(사실은 사우론(Sauron)임이 밝혀짐)가 폐허가 된 요새에 거주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돌굴두르에서 그는 앙마르의 마왕(Witch-king of Angmar)의 영혼과 흑마술사 자신의 그림자를 만나고, 앙마르의 마왕에게서 빼앗은 모르굴 검(Morgul blade)을 가지고 도망친다. 라다가스트의 이동 수단은 거대한 토끼들이 끄는 썰매인데, 이것은 영화에서 완전히 새롭게 창작된 개념이다.
라다가스트는 에레보르(Erebor)로 가는 길에 간달프, 빌보 배긴스(Bilbo Baggins)와 드워프들을 만나 돌굴두르에서 발견한 사실을 알려준다. 소린의 일행이 워그를 탄 오크들의 공격을 받자, 라다가스트는 썰매를 타고 그들의 주의를 딴 곳으로 돌린다. 나중에 사루만은 간달프, 엘론드(Elrond), 갈라드리엘(Galadriel)과의 회의에서 라다가스트에 대해 경멸적인 발언을 한다. 작가 브라이언 시블리(Brian Sibley)는 톨킨이 라다가스트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잭슨의 각본가들에게 그 캐릭터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고 말한다.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갈색 라다가스트가 톨킨의 "희박하고 빈약한" 묘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보도했다.[14] 썰매 추격 장면은 뉴질랜드 남섬(South Island)의 스트래스 테이에리(Strath Taieri) 빙하 계곡에서 실제 바위들을 사용하여 촬영되었다.[15]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에서 라다가스트는 간달프와 함께 몇몇 장면에 등장한다. 두 마법사는 빈 무덤을 조사하여 나즈굴(Nazgûl)이 다시 깨어나 소환되었다는 것을 알아낸다. 간달프는 라다가스트에게 그들이 발견한 모든 것을 갈라드리엘(Galadriel)에게 알리고, 백색 의회(White Council)가 돌굴두르에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폐허 안에서 간달프는 흑마술사와 맞서 싸우고 그가 라다가스트가 생각했던 대로 사우론임을 알게 된다.
''호빗: 다섯 군대 전투''에서 백색 의회가 사우론과 나즈굴과 싸울 때 라다가스트는 돌굴두르에 도착하여 부상당한 간달프를 썰매에 태우고 간다.[16] 최종 전투에서 라다가스트는 드워프, 중간계의 인간(Men in Middle-earth), 중간계의 엘프(Elves in Middle-earth)을 오크들에 맞서 돕기 위해 전투가 끝날 무렵 대독수리들을 이끌고 돌격한다.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 《반지의 제왕》(2001년 영화)에서는 라다가스트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그의 출연도 없다. 영화에서 구이히르(Gwaihir)의 방문 징조는 나방 한 마리가 담당하지만, 《호빗: 뜻밖의 여정》에는 등장한다. 라다가스트는 미스티 마운틴(Mirkwood)과 돌 골두르의 변화를 가장 먼저 감지하고 간달프에게 경고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6. 2. 게임
라다가스트는 게임즈 워크숍의 게임 등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에 등장한다.[17] 그는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인 ''반지의 제왕 온라인''에서 확장된 역할을 수행하며, 중간계의 한 지역에서 지도자 역할을 맡아 플레이어들이 그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18][19]참조
[1]
서적
Unfinished Tales
1980
[2]
서적
The Hobbit
1937
[3]
서적
The Fellowship of the Ring
1954
[4]
서적
The Fellowship of the Ring
1954
[5]
서적
The Silmarillion
1977
[6]
서적
Modern Pagan and Native Faith Movement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7]
논문
Some Slavic Echos in J. R. R. Tolkien's Middle-earth
1994
[8]
서적
J. R. R. Tolkien: A Biography
Allen & Unwin
1977
[9]
서적
The Origins of Tolkien's Middle-earth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
[10]
논문
The Enigma of Radagast: Revision, Melodrama, and Depth
https://dc.swosu.edu[...]
2007
[11]
뉴스
In Defense of 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https://www.huffpost[...]
HuffPost
2013-03-05
[12]
서적
Letters
2023
[13]
웹사이트
Sylvester McCoy is Radagast the Brown
http://filmonic.com/[...]
Filmonic
2010-10-27
[14]
뉴스
An unexpected disappointment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2-12-11
[15]
웹사이트
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2012
https://www.movie-lo[...]
2020-06-04
[16]
웹사이트
The Hobbit: The Battle of the Five Armies Quotes – 'Will you follow me, one last time?'
https://www.moviequo[...]
2020-06-19
[17]
서적
Middle-earth Envisioned: The Hobbit and The Lord of the Rings: On Screen, On Stage, and Beyond
https://books.google[...]
Race Point
2013
[18]
서적
Dungeons, Dragons, and Digital Denizens: The Digital Role-Playing Game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2
[19]
서적
The Evolution of Fantasy Role-Playing Gam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