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신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신반은 야마모토 세이이치가 1988년경 결성한 일본의 밴드이다. 1997년 워너 뮤직 재팬에서 메이저 데뷔 후, 간사이 포크 밴드로 알려졌다. 감정 기복을 배제한 야마모토의 보컬과 서정적인 악곡을 특징으로 했으며, 2002년 멤버를 교체하고 사운드의 변화를 시도했다. 2005년 미국 투어 중 교통사고로 멤버 니시우라 마나가 사망하면서 해산했다. 이후 야마모토는 솔로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너 뮤직 재팬의 음악가 - 타케우치 마리야
    타케우치 마리야는 1978년 데뷔하여 'SEPTEMBER', 'Plastic Love'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시티팝 재조명에 영향을 미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 프로듀서이다.
  • 워너 뮤직 재팬의 음악가 - 캬리 파뮤파뮤
    캬리 파뮤파뮤는 하라주쿠 패션 문화 기반의 독특한 음악과 스타일로 국내외 인기를 얻고 있는 일본 가수 겸 모델이며, "폰폰폰"과 "패션 몬스터" 등의 히트곡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하라주쿠 팝 공주'라는 별칭을 얻으며 독자적인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라신반
기본 정보
이름羅針盤 (나침반)
원어 이름羅針盤 (라신반)
종류밴드
국적(일본)
장르포크 뮤직
활동 기간1988년 - 2005년
레이블워너 뮤직 재팬
P바인
관련 활동ROVO
웹사이트P-VINE 내 사이트
구성원
현재 구성원야마모토 세이이치
요시다 마사유키
니시우라 마나
이전 구성원반노 켄
스하라 케이조
시바타 아츠시

2. 역사

오모이데하토바는 포크록으로 시작했지만 멤버가 바뀌면서 음악이 실험 음악 쪽으로 이동되었다. 그 후 야마모토가 포크 음악을 하기 위해 1988년경에 라신반을 결성, 라이브나 카세트 테이프에서의 작품 발표 등 활동을 본격화한다.

1997년에 워너 뮤직 재팬에서 메이저 데뷔한다. LABCRY, 나기사니테 등과 함께 간사이 포크의 '우타모노'(歌モノ) 밴드로 알려졌다. 감정의 기복을 배제한 밍밍한 야마모토의 보컬에 서정적인 악곡을 입혔다. 반면 라이브에선 기타를 부수는 등 격렬한 폭주를 보여주곤 했다.

2002년, 멤버를 일신하여 리틀 모어에 이적, 『하지마리』를 릴리스한다. 드럼에 Jesus Fever의 니시우라, 베이스에 소년 나이프의 매니저였던 시바타 아츠시가 가입하여, 사운드는 음향계의 미니멀리즘에 접근했다.

2005년 11월, 미국 투어 이동 중 마주 오는 차선을 넘어온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멤버 전원이 부상을 입었으나, 유일하게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간 니시우라 마나가 급사했다. 야마모토는 "차이나가 없는 라신반은 생각할 수 없다"며 해산을 결정한다. 그 때문에 같은 해 8월에 릴리스한 『무스비』가 실질적으로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

이후, 야마모토에 의한 "노래하는" 활동은 잠시 침체되었지만, 2010년에 솔로 명의로 『PLAYGROUND』를 발표. 스하라 케이조, 센쥬 무네오미 (PARA, 우리치판 군, DCPRG)와 새롭게 결성한 야마모토 세이이치 & THE PLAYGROUND의 라이브에서는 라신반의 악곡인 "만날 수 없는 사람"이나 "컬러즈"가 피로되는 경우가 있다.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88년 ~ 1997년)

오모이데하토바는 포크록으로 시작했지만 멤버가 바뀌면서 음악이 실험 음악 쪽으로 이동되었다. 그 후 야마모토가 포크 음악을 하기 위해 1988년경에 라신반을 결성, 라이브나 카세트 테이프에서의 작품 발표 등 활동을 본격화한다.

1997년에 워너 뮤직 재팬에서 메이저 데뷔한다. LABCRY, 나기사니테 등과 함께 간사이 포크의 '우타모노'(歌モノ) 밴드로 알려졌다. 감정의 기복을 배제한 밍밍한 야마모토의 보컬에 서정적인 악곡을 입혔다. 반면 라이브에선 기타를 부수는 등 격렬한 폭주를 보여주곤 했다.

2002년, 멤버를 일신하여 리틀 모어에 이적, 『하지마리』를 릴리스한다. 드럼에 Jesus Fever의 니시우라, 베이스에 소년 나이프의 매니저였던 시바타 아츠시가 가입하여, 사운드는 음향계의 미니멀리즘에 접근했다.

2005년 11월, 미국 투어 이동 중 마주 오는 차선을 넘어온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멤버 전원이 부상을 입었으나, 유일하게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간 니시우라 마나가 급사했다. 야마모토는 "차이나가 없는 라신반은 생각할 수 없다"며 해산을 결정한다.

2. 2. 메이저 데뷔 및 전성기 (1997년 ~ 2002년)

1997년에 워너 뮤직 재팬에서 메이저 데뷔하였다. LABCRY나 나기사니테와 함께 간사이 포크의 '우타모노'(歌モノ) 밴드로 알려졌다. 감정의 기복을 배제한 밍밍한 야마모토의 보컬에 서정적인 악곡을 입혔다. 반면 라이브에서는 때때로 기타를 파괴하는 등 격렬한 폭주를 보여주곤 했다.

2002년, 멤버를 교체하고 레이블을 리틀 모어로 이적하여, 앨범 『하지마리』를 발매하였다. 음악적으로는 어쿠스틱 미니멀리즘을 지향했다.

2. 3. 리틀 모어 이적 및 음악적 변화 (2002년 ~ 2005년)

오모이데 하토바가 멤버 변화로 실험 음악으로 방향을 전환한 후, 야마모토는 포크 음악을 하기 위해 1988년경 라신반을 결성했다. 1997년 워너 뮤직 재팬에서 메이저 데뷔했으며, LABCRY, 나기사니테 등과 함께 간사이 포크의 '우타모노'(歌モノ) 밴드로 알려졌다. 감정 기복을 배제한 밍밍한 야마모토의 보컬과 서정적인 악곡이 특징이었으나, 라이브에서는 기타를 부수는 등의 격렬한 퍼포먼스를 보이기도 했다.

2002년, 멤버와 레이블을 모두 바꾸어 리틀 모어에서 앨범 《하지마리》를 발매했다. Jesus Fever의 니시우라 마나, 소년 나이프의 매니저였던 시바타 아츠시가 합류하여, 음악적으로는 어쿠스틱 미니멀리즘을 지향했다. 2005년 미국 투어 도중, 록 밴드 DMBQ와 같은 교통사고를 당해 멤버 전원이 부상당하고, 차 밖으로 튕겨 나간 니시우라 마나가 사망했다. 야마모토는 "차이나가 없는 라신반은 생각할 수 없다"며 해산을 결정했다.

2. 4. 니시우라 마나 사망과 밴드 해산 (2005년)

1997년에 워너 뮤직 재팬에서 메이저 데뷔하였다. LABCRY나 나기사니테와 함께 간사이 포크의 '우타모노'(歌モノ) 밴드로 알려졌다. 감정의 기복을 배제한 밍밍한 야마모토의 보컬에 서정적인 악곡을 입혔으나, 라이브에서는 기타를 부수는 등의 격렬한 폭주를 보여주기도 했다.

2002년에는 멤버와 레이블을 모두 바꾸어 앨범 はじまり를 발매하였다. 음악적으로는 어쿠스틱 미니멀리즘을 지향했다. Jesus Fever의 니시우라, 소년 나이프의 매니저였던 시바타 아츠시가 가입하여, 사운드는 음향계의 미니멀리즘에 접근했다.

2005년, 미국 투어 도중 교통사고로 멤버인 니시우라 마나가 사망했다. 록 밴드 DMBQ가 미국 투어 이동 중 마주 오는 차선을 넘어온 차량과 충돌하여, 멤버 전원이 부상당하고 치료를 받았지만, 유일하게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간 니시우라 마나가 사망한 것이다. 야마모토는 "차이나가 없는 라신반은 생각할 수 없다"며 해산을 결정했다.

2. 5. 해산 이후 (2005년 ~ 현재)

2005년 11월, 록 밴드 DMBQ가 미국 투어 중 교통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멤버 전원이 부상당했지만, 드럼을 맡았던 니시우라 마나(별명 차이나)가 사망했다. 야마모토 세이이치는 "차이나가 없는 라신반은 생각할 수 없다"며 해산을 결정했다. 그 때문에 같은 해 8월에 발매한 『무스비』가 사실상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

이후, 야마모토의 "노래하는" 활동은 잠시 침체되었지만, 2010년에 솔로 명의로 『PLAYGROUND』를 발표했다. 스하라 케이조, 센쥬 무네오미 (PARA, 우리치판 군, DCPRG)와 새롭게 결성한 야마모토 세이이치 & THE PLAYGROUND의 라이브에서는 라신반의 악곡인 "만날 수 없는 사람"이나 "컬러즈"가 연주되기도 한다.

3. 멤버


  • 야마모토 세이이치(Vocal, Guitar)
  • 요시다 마사유키(Keyboard)
  • 니시우라 마나(차이나)(Drums) 2000년 가입, 2005년 급서
  • 반노 켄(드럼)
  • 스하라 케이조(베이스)
  • 시바타 아츠시(베이스)

3. 1. 활동 당시 멤버


  • 야마모토 세이이치(Vocal, Guitar)
  • 요시다 마사유키(Keyboard)
  • 니시우라 마나(차이나)(Drums) 2000년 가입, 2005년 급서

3. 2. 이전 멤버


  • 반노 켄(드럼)
  • 스하라 케이조(베이스)
  • 시바타 아츠시(베이스)

4. 음악 스타일

5. 음반 목록


  • '''라고''' (1997년 11월 25일, WEA 재팬)
  • '''세이카''' (1998년 9월 25일, WEA 재팬)
  • '''송 라인''' (2000년 6월 21일, WEA 재팬)
  • '''시작''' (2002년 10월 23일, 리틀모어)
  • '''이치고 이치에 Sweets for my SPITZ''' (2002년 10월 17일)
  • '''만날 수 없는 사람''' (2003년 9월 18일, 리틀모어)
  • '''복음''' (2003년 10월 22일, 리틀모어)
  • '''이루미''' (2004년 7월 22일, 리틀모어)
  • '''무스비''' (2005년 8월 15일, 리틀모어)


WEA 재팬 시대의 음원은 P-VINE에서 2009년 7월 15일에 SHM-CD로 일제히 재발매되었다.

5. 1. 정규 앨범


  • '''라고''' (1997년 11월 25일, WEA 재팬)
  • * 영원의 노래 / 쿠키 / 하울링 선 - 필그림스 프로그레스 - / 플랫 / 돌아가는 노래 / 라이프 워크스 / 생명 / 다시 태어나는 곳
  • '''세이카''' (1998년 9월 25일, WEA 재팬)
  • * 세이카 / 어쿠스틱 / 쿨다운 / 빛의 손 / 아침에 부르는 밤의 노래 / 드라이버 / 컬러즈 / 마지막 종
  • '''송 라인''' (2000년 6월 21일, WEA 재팬)
  • * 폐허의 하늘 / 서클 / 리프레인 / 조용한 장소 / 마스라 / 파도 / 혼자만의 나라 / 송 라인 / 라신반
  • '''시작''' (2002년 10월 23일, 리틀모어)
  • * 소리 / 소원 / fire song / 무한의 노래 / 있는 곳 / 시작 / 내일의 상자
  • '''이치고 이치에 Sweets for my SPITZ'''(2002년 10월 17일)
  • '''만날 수 없는 사람'''(2003년 9월 18일、리틀모어)
  • '''복음''' (2003년 10월 22일, 리틀모어)
  • * 새로운 사람 / 첫 번째 노래 / 만날 수 없는 사람 (달) / 아라베스크 / 가스펠 / 보물 / 불명의 발라드 / 작은 것
  • '''이루미''' (2004년 7월 22일, 리틀모어)
  • * 이루미 / 구름 / Seeds / 별의 소리 / 부족한 것 / Souls / 힘 / 교회
  • '''무스비''' (2005년 8월 15일, 리틀모어)
  • * millenium / 모래밭 / 문어 / 수요일의 노래 / 낮이 되면 / 무스비 / 문

5. 2. 미니 앨범


  • '''라신반''' (1997년 11월 25일, WEA 재팬)
  • '''せいか''' (1998년 9월 25일, WEA 재팬)
  • '''송 라인''' (2000년 6월 21일, WEA 재팬)
  • '''시작''' (2002년 10월 23일, 리틀 모어)
  • '''이치고 이치에 Sweets for my SPITZ''' (2002년 10월 17일)
  • '''만날 수 없는 사람''' (2003년 9월 18일, 리틀 모어)
  • '''복음''' (2003년 10월 22일, 리틀 모어)
  • '''いるみ''' (2004년 7월 22일, 리틀 모어)
  • '''むすび''' (2005년 8월 15일, 리틀 모어)

5. 3. 싱글


  • '''らご''' (1997년 11월 25일, WEA 재팬)
  • '''せいか''' (1998년 9월 25일, WEA 재팬)
  • '''ソングライン''' (2000년 6월 21일, WEA 재팬)
  • '''はじまり''' (2002년 10월 23일, 리틀모어)
  • '''이치고 이치에 Sweets for my SPITZ''' (2002년 10월 17일)
  • '''会えない人''' (2003년 9월 18일, 리틀모어)
  • '''福音''' (2003년 10월 22일, 리틀모어)
  • '''いるみ''' (2004년 7월 22일, 리틀모어)
  • '''むすび''' (2005년 8월 15일, 리틀모어)


모두 WEA 재팬에서 발매되었으며, 재발매반은 2개의 작품을 1장의 CD에 커플링한 것이다.

  • '''영원의 노래''' (1997년 10월 25일)
  • 영원의 노래/차임/영원의 노래 (오리지널 가라오케)
  • '''아드레날린 드라이브''' (1999년 5월 25일)
  • 영화 아드레날린 드라이브 주제가로, 후에 편곡되어 "리프레인"으로 개제되었다.
  • 아드레날린 드라이브/한여름의 사건 '99/아드레날린 드라이브 (another version)

5. 4. 참여 작품

라신반은 1997년 11월 25일에 WEA 재팬을 통해 'らご'를 발매했고, 1998년 9월 25일에는 'せいか'를 발매했다. 2000년 6월 21일에는 'ソングライン'을 발매했다. 2002년 10월 23일에는 리틀모어를 통해 'はじまり'를 발매했다. 2003년 9월 18일에는 '会えない人'을, 10월 22일에는 '福音'을 발매했다. 2004년 7월 22일에는 'いるみ', 2005년 8월 15일에는 'むすび'를 발매했다.

2000년 9월 30일에 발매된 'so far songs'에는 야마모토 세이이치 with RASHINBAN 명의의 "부재의 노래"가 17번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다. 또한, 2002년 10월 17일에 발매된 이치고 이치에 Sweets for my SPITZ에는 스피츠의 로빈슨 커버가 2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이벤트 "귬 여름 축제" 특전 CD-R인 'YOUNG PERSON'S GUIDE TO GYUUNE CASSETTE'에는 '박쥐가 날아다닐 무렵'이 수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