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오디케이아 인 시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디케이아 인 시리아는 현재의 라타키아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그의 어머니 라오디케를 기려 건설했다. 페니키아 시대에는 라미타로, 그리스 시대에는 레우케 아크테로 불렸다. 로마 시대에는 '자유 도시'로 선포되었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메트로폴리스 지위를 부여하여 번영을 누렸다. 라오디케이아는 포도주, 직물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로마 도로 건설로 교역이 활발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기독교가 주 종교가 되었으며, 494년 지진 이후 비잔틴 제국의 테오도리아스 테마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아랍 정복 이후 한 세기 이상 테오도리아스의 중심 도시로 존재하다가 637년 아랍인에게 정복되었다. 도시에는 콜로네이드, 개선문 등의 유적이 남아있고, 라오디케이아의 주교 목록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타키아 - 바셀 알아사드 국제공항
    시리아 라타키아에 위치한 바셀 알아사드 국제공항은 단일 활주로를 갖춘 공항으로, 여러 항공사들이 다양한 국제 노선을 운항하며, 특히 인근의 흐메이밈 공군기지와 함께 러시아의 시리아 군사 개입의 주요 기지로 활용되고 있다.
  • 라타키아 - 알라위국
    알라위국은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내에 1920년부터 1936년까지 존재했던 자치 지역으로, 알라위파가 다수를 차지하며 프랑스의 보호 아래 시리아로부터 분리되어 운영되었고, 후에 시리아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나 시리아 내전 이후 재건설 논의가 있다.
  • 시리아의 로마 유적 - 두라 에우로포스
    두라-에우로포스는 유프라테스 강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셀레우코스 제국에 의해 건설되어 파르티아, 로마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 시설이 공존했으나, 256년 사산 제국에 의해 함락된 곳이다.
  • 시리아의 로마 유적 - 수와이다
    수와이다는 시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나바테아 왕국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 디오니시아스로 개명되었으며 다양한 시대의 유적이 남아 있다.
  • 기원전 4세기 설립 - 안타키아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에 위치한 안타키아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이자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중심지였으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며 지진 피해 복구를 노력 중이다.
  • 기원전 4세기 설립 - 티칼
    티칼은 과테말라에 있는 고대 마야 문명의 주요 도시 유적으로, 1세기경 건립된 왕조를 통해 800여 년간 번성했던 "야크 무탈"이라는 이름의 고전기 마야 문명 중심지 중 하나이다.
라오디케이아 인 시리아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라오디케이아
로마자 표기Laodikeia
위치시리아 연안
현대 위치라타키아
역사
기원셀레우코스 제국
건설기원전 3세기
건설자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이름 유래그의 어머니 라오디케
지리
특징비옥한 땅, 항구
중요 유적
유적원형 극장
수도교
항구
기둥
관련 정보
관련 사건기독교 전파의 중요한 중심지
관련 인물성경의 라오디게아 교회 언급

2. 역사

오늘날 라타키아의 바쿠스 신전 유적


로마 시대 라오디케이아 지도


원래 라미타라는 페니키아 도시가 있던 자리에 세워졌으며, 그리스인들에게는 ‘하얀 해안가’를 의미하는 ‘레우케 아크테’(Λευκὴ ἀκτή|레우케 아크테el)라고 알려졌다. 기원전 4세기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자신의 어머니 라오디케를 기리며 Λαοδίκεια ἡ Πάραλος|라오디케이아 헤 파랄로스el라는 이름으로 도시를 건설하였다.

기원전 64년 로마의 장군 폼페이우스가 티그라네스 대왕으로부터 이 도시를 정복하였고,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이곳을 "자유 도시"로 선포하였다. 3세기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라오디케이아에 ‘메트로폴리스’ 지위를 부여하고 세금 면제 혜택(Ius Italicum)을 주어 ‘로마의 식민지’로 불리기도 했다. 로마 시대에 라오디케이아는 인근 구릉지에서 생산된 포도주와 직물 생산으로 경제적으로 크게 번영했으며, 로마인들은 이곳에 뛰어난 항구 시설과 아나톨리아다마스쿠스로 이어지는 로마 도로를 건설하여 교역을 활성화시켰다. 로마 지배 초기부터 주화를 발행했으며, 특히 세베루스 황제 시기의 주화가 유명하다.[8]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기독교가 도시의 주요 종교로 자리 잡았고, 여러 주교들이 활동하며 비잔틴 시대의 세계 공의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494년 큰 지진으로 도시가 피해를 입었으나,[10] 6세기 초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라오디케이아를 비잔틴 제국의 테오도리아스 테마 중심 도시로 삼았다. 라오디케이아는 서기 637년 아랍인들에게 정복될 때까지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2. 1. 고대



라미타라는 페니키아 도시가 있었으며, 그리스인들에게는 ‘하얀 해안가’를 의미하는 ‘레우케 아크테’(Λευκὴ ἀκτήel)라고 알려졌다. 이 도시는 셀레우코스 제국 통치 시기인 기원전 4세기에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자신의 어머니 라오디케를 기리며 라오디케이아(Λαοδίκεια ἡ Πάραλοςel)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웠다. 이후 라오디케이아는 서기 637년 아랍인들에게 정복될 때까지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로마의 폼페이우스는 기원전 64년에 아르메니아 왕 티그라네스 대왕에게서 시리아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라오디케이아를 정복했다. 그 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이곳을 "자유 도시"로 선포하였다. 시리아 출신 황제들이 다스린 3세기 세베루스 왕조 기간에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서기 194년에 이 도시에 ‘메트로폴리스’ 지위를 부여하고, 세금 면제 혜택을 주는 ''이탈리아 법'' (Ius Italicum)을 허가하여 이후 ‘로마의 식민지’로 불리기도 했다. 아우구스투스 시기에는 일부 로마 상인들이 이주해 왔으나, 문화적으로는 항상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다. 로마인들은 라오디케이아 항구에 고대 레반트에서 가장 뛰어난 시설 중 하나로 알려진 ‘파룸’을 건설했으며, 아나톨리아 남부에서 베리투스와 다마스쿠스로 이어지는 로마 도로를 건설하여 항구를 통한 교역을 활발하게 만들었다.

오늘날 도시에는 콜로네이드, 개선문, 사르코파구스 등 과거 부유하고 잘 지어진 도시였음을 보여주는 일부 흔적이 남아있다 (스트라본. 16.2.9). 고대 작가들이나 그리스어 비문에 언급된 사원, 공중목욕탕, 원형극장, 경주장, 주화에 새겨진 성문 등은 대부분 사라졌다. 도시는 바위 곶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항구를 포함한 넓이는 대략 220ha이다. 로마 시대의 포르티코와 접한 넓은 대로가 반도 끝에서 안티오키아로 향하는 문까지 남북으로 뻗어 있었고, 이 도로와 수직으로 주랑이 있는 거리 세 개가 동서로 나 있었다. 북쪽에는 높은 언덕 위의 성채로 향하는 입구가 있었고, 중앙 도로는 아파메이아 도로가 있는 동쪽 문과 연결되었다. 오늘날 이 거리에는 거대한 수크(시장)가 들어서 있으며, 화강암 모놀리스 기둥 13개가 여전히 남아있다. 테트라필론(사면문)은 남북 도로와 중앙 대로의 교차점을 나타냈다. 남쪽 거리는 항구에서 시작하여 남동쪽 언덕 위 동쪽 거리에서 끝났는데, 이곳에는 네 방향으로 된 개선문(테트라필론으로 잘못 알려짐)이 있었다. 이 개선문은 네 개의 반구형 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석제 큐폴라를 떠받치고 있다. 벽기둥에 사용된 기둥들은 네 개의 석제 구조물 모서리에서 지지대 역할을 한다. 인근 모스크 내부는 주두와 엔타블러처를 갖춘 코린트식 페리스타일이다. 라오디케이아 극장은 남동쪽을 향해 지어졌고 카베아(객석) 지름은 약 100m였으나, 현재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다.

라오디케이아는 항구 인근의 구릉지에서 생산된 포도주를 제국 곳곳으로 수출하며 경제적으로 크게 번영했고, 직물 생산으로도 유명했다. 로마 지배 초창기부터 주화를 발행했으며, 특히 세베루스 시기의 주화가 유명하다.[8]

라타키아 국립 박물관의 고전 시기 조각상


1세기 동안 상당한 수의 유대인들이 라오디케이아에 살았다.[9]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기에 도시는 요새화되었고 몇 년간 시리아 속주의 주도 역할을 했다. 이 시기 라오디케이아는 인구가 거의 40,000명에 달하는 도시로 성장했으며, 경주장까지 갖추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기독교가 도시의 주 종교가 되었고, 비잔틴 시대의 여러 세계 공의회에 라오디케이아의 주교들이 참석했다. 이단자로 알려진 아폴리나리스는 4세기에 라오디케이아의 주교였으며, 당시 도시는 소수의 유대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히 기독교화되었다.

494년에 발생한 지진으로 도시가 피해를 입었고,[10]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6세기 초 라오디케이아를 비잔틴 제국의 테오도리아스 테마 중심 도시로 삼았다. 라오디케이아는 637년 아랍의 정복 때까지 한 세기 이상 테오도리아스의 중심 도시로 남아 있었다.

2. 2. 중세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기독교가 이곳의 주 종교였고, 주로 비잔틴 시대의 세계 공의회에 참석한 많은 라오디케이아의 주교들이 있었다. 이단자로 알려진 아폴리나리스는 4세기에 라오디케이아의 주교였으며, 당시에 라오디케이아는 소수의 유대인들을 제외하면 거의 완전히 기독교 도시였다.

494년에 일어난 지진으로 도시가 피해를 입었고[10] 그 뒤에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라오디케이아를 6세기 초에 비잔티움 제국의 테오도리아스 테마 중심 도시로 삼았다. 라오디케이아는 637년 아랍인들에게 정복될 때까지 한 세기 이상을 테오도리아스의 중심 도시로 있었다.

3. 라오디케이아의 주교 목록

사도 바울로가 라오디케이아를 방문하여 이곳의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라오디케이아의 주교들은 점차 중요성이 커졌으나, 항상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다. 주요 주교들은 다음과 같다.

주교 이름활동 시기 / 사망 연도비고
키레나이카의 루키오스1세기사도행전 언급, 전승상 초대 주교
텔리미드레스 (Thelymidres)250년–251년 활동데키우스 박해 시기 주교 [11]
헬리오도로스 (Heliodorus)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시기 (251년–253년) 주교 임명[11]
소크라테스264년경 사망[11]
에우세비오스268년경 사망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출신 [11]
아나톨리오스268년경 – 282/283년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출신 [11]
스테파노스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시기 (303년–313년)기독교 신앙 배교 [11]
테오도토스303/313년 – 335년경아리우스파 [11]
게오르기오스359년 사망아리우스파 [11]
게오르기오스 이후 대립 주교
펠라기오스360년–381/394년아리우스파 [11]
아폴리나리스360년경 – 392년경아폴리나리스 교단 창립 [11]
이후 주교
엘피디오스394년경 주교 임명, 404년 파직, 416년 복위[11]
마카리우스429년–451년
막시무스458년경
니키아 (Nicia)
콘스탄티노스510년–518년
스테파노스 (Stephanus)553년


4. 유적 및 유물



오늘날 도시 내에는 콜로네이드, 개선문, 사르코파구스 등 과거 부유하고 훌륭하게 지어졌던 도시의 흔적이 일부 남아있다. Στράβων|스트라본el과 같은 고대 작가들이나 그리스어 비문에 언급된 사원, 공중목욕탕, 원형극장, 경주장, 그리고 주화에 새겨진 성문 등은 대부분 사라졌다.

로마 시대의 도시 구조를 엿볼 수 있는 유적이 남아있다. 로마 시대의 포르티코들과 접하고 있는 넓은 대로가 반도 끝에서 안티오키아로 향하는 도로가 있는 문까지 도시를 가로질러 남북으로 뻗어 있었고, 이 도로에 수직으로 주랑이 있는 거리 세 개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었다. 중앙 거리에는 오늘날 거대한 수크(시장)가 들어서 있으며, 그곳에는 화강암으로 된 모놀리스 기둥 13개가 일직선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남북 대로와 중앙 대로의 교차점에는 테트라필론이 있었다.

남쪽 거리 끝에는 '테트라필론'이라고 잘못 알려진 네 방향으로 된 개선문이 있다. 이 개선문은 네 개의 반구형 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당 하나씩 석제 큐폴라를 떠받치고 있다. 벽기둥에 쓰인 기둥들은 네 개의 석제 몰(Mole) 모서리에서 지지대 역할을 한다. 개선문에서 멀지 않은 곳의 모스크 내부는 주두(柱頭)와 엔타블러처를 갖춘 코린트식 페리스타일이다.

극장 유적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남동쪽을 향해 지어졌으며 카베아의 지름은 대략 100m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라타키아 국립 박물관에는 고전 시기의 조각상들이 소장되어 있다.

5. 경제

로마인들은 라오디케이아의 항구를 고대 레반트에서 가장 뛰어난 것 중 하나로 만들었으며, 아나톨리아 남부에서 베리투스와 다마스쿠스로 향하는 로마 도로를 건설하여 교역을 향상시켰다. 아우구스투스 시기 일부 로마 상인들이 이곳으로 살기 위해 이주했으나, 문화적으로는 항상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서기 194년 라오디케이아에 ‘메트로폴리스’라는 지위를 부여했고 ''이탈리아 법'' (Ius Italicum, 면세권)을 허가하여, 후에 이곳은 ‘로마의 식민지’로 불렸다. 라오디케이아는 로마 지배 초창기부터 주화를 찍어냈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세베루스 시기의 것들이었다.[8]

라오디케이아는 항구 인근의 구릉지에서 생산되어 제국의 곳곳으로 수출된 포도주 덕에 상당한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며, 직물 생산 때문에 유명하기도 하였다.

상당한 수의 유대인들이 1세기 동안 라오디케이아에서 살았다.[9]

참조

[1] 서적 Monuments of Syria: A Guid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6-06-11
[2] 웹사이트 Featured Coin http://www.forumanci[...] 2016-06-11
[3] 웹사이트 LAODICEA - JewishEncyclopedia.com http://www.jewishenc[...] 2016-06-11
[4] 서적 For the Freedom of Zion: the Great Revolt of Jews against Romans, 66-74 CE Yale University Press 2021
[5] 간행물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Fitzroy Dearborn
[6] 논문 The Eusebian Alliance: the Case of Theodotus of Laodicea https://www.academia[...]
[7] 웹인용 Monuments of Syria: A Guid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6-06-11
[8] 웹인용 Featured Coin http://www.forumanci[...] 2016-06-11
[9] 웹인용 LAODICEA - JewishEncyclopedia.com http://www.jewishenc[...] 2016-06-11
[10] 인용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Fitzroy Dearborn
[11] 인용 The Eusebian Alliance: the Case of Theodotus of Laodicea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