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 US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브 USB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운영 체제를 부팅하는 기술이다. 라이브 CD와 유사하게 데이터를 변경하고 추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개인 파일과 설정을 휴대하여 여러 사용자가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 장점으로는 휴대성과 데이터 보호 강화, 빠른 프로그램 시작, 움직이는 부품이 없어 임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구형 컴퓨터의 BIOS 지원 부족, 파일 시스템 쓰기 제한, 인텔 기반 맥에서의 부팅 제한, 플래시 드라이브 수명 감소 등이 있다. 라이브 USB는 윈도우,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활용되며, 시스템 복구, 문제 해결, 윈도우 설치 등에 사용된다. 라이브 USB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며, USB 플래시 드라이브 연결, 파티션 생성, 부팅 플래그 설정, MBR 기록, 포맷, 부트로더 설치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이브 USB - 윈도우 투 고
윈도우 투 고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윈도우 기능으로, USB 드라이브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서 부팅하여 휴대용 윈도우 환경을 제공했지만, 업데이트 문제와 하드웨어 지원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고 윈도우 10에서 제거되었다. - 라이브 USB - 퍼피 리눅스
퍼피 리눅스는 배리 카울러가 개발한 가볍고 빠른 리눅스 배포판으로, 작은 크기와 빠른 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오래된 컴퓨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 USB - 윈도우 투 고
윈도우 투 고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윈도우 기능으로, USB 드라이브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서 부팅하여 휴대용 윈도우 환경을 제공했지만, 업데이트 문제와 하드웨어 지원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고 윈도우 10에서 제거되었다. - USB - USB 플래시 드라이브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로, 플래시 메모리 발명 후 상용화되어 플로피 디스크나 CD를 대체하며 데이터 저장, 운영 체제 부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위조 제품, 보안 위협, 제한적인 쓰기 횟수 등의 문제점도 있다.
라이브 USB | |
---|---|
라이브 USB | |
![]() | |
종류 | USB 저장 장치 |
용도 | 운영 체제 부팅 및 실행 |
기술 정보 | |
기반 | USB |
사용 사례 | 운영 체제 테스트 데이터 복구 시스템 관리 보안 개인 정보 보호 교육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휴대성 여러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 시스템 변경 없이 사용 가능 운영 체제 설치 없이 사용 가능 |
단점 | USB 드라이브의 수명 제한 쓰기 속도 제한 (특히 구형 USB) 영구 저장 공간 부족 (일반적으로) |
관련 기술 | |
관련 기술 | 라이브 CD 라이브 DVD 라이브 SD 카드 |
소프트웨어 지원 | |
소프트웨어 지원 | UNetbootin Rufus Etcher Ventoy |
운영 체제 지원 | |
지원 운영 체제 | 리눅스 윈도우 (Windows To Go) macOS 기타 BSD 계열 운영 체제 |
활용 예시 | |
활용 예시 | Kali Linux (보안 감사 및 침투 테스트) Tails (개인 정보 보호) Ubuntu (데스크톱 환경 체험) Clonezilla (디스크 복제) |
주의 사항 | |
주의 사항 | USB 드라이브의 안정성 부팅 순서 설정 (BIOS/UEFI) 데이터 손실 가능성 |
2. 배경
개인용 컴퓨터는 2000년대 초 USB 부팅을 도입했으며, 이는 매킨토시 컴퓨터들이 1999년 AGP 그래픽스를 갖춘 파워 맥 G4, 슬롯 로딩 아이맥 G3 모델을 기점으로 이 기능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20] 인텔 기반 맥은 USB로 macOS 부팅을 지원한다.[21] 2004년 IBM은 ''Reincarnating PCs with Portable SoulPads'', ''Boot GNU/Linux from a FireWire device''와 함께 특수한 USB 기반 부팅을 제안했다.[22][23]
라이브 USB는 라이브 CD와 많은 장점과 단점을 공유하지만, 자체적인 특징도 가지고 있다.
3. 장점 및 한계
페도라 같은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라이브 USB를 사용하면 추가적인 변경 사항이 재부팅 시 초기화되지만, 우분투 같은 특정 배포판은 라이브 USB로 부팅하여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업데이트 기록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모든 영역에 걸쳐 업데이트를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미지 영역에 대한 업데이트 시도는 예기치 못한 심각한 에러를 수반할 수 있다.[24]
3. 1. 장점
라이브 USB는 라이브 CD와 많은 장점과 단점을 공유하며, 자체적인 장점과 단점도 가지고 있다.3. 2. 한계
4. 활용
페도라 같은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라이브 USB를 사용하면 재부팅 시 추가적인 변경 사항이 초기화되지만, 우분투 같은 특정 배포판은 라이브 USB 부팅, 리눅스 운영체제 이용, 추가적인 업데이트 기록을 지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미지 영역에 대한 업데이트는 예기치 못한 심각한 에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4]
Live USB를 구현하려면 대상 시스템과 펌웨어(Open Firmware, BIOS, UEFI 등)가 USB 장치를 지원해야 한다. 설치 프로그램 자체도 USB에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USB 포트가 부족하거나 설치 프로그램이 USB 장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SATA나 NVMe 등 다른 연결 방법으로 대상 장치를 연결하고, 설치 후에 USB 연결로 변경하는 방법도 있다.
Live CD는 Live USB의 한 형태이며, 설정이나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별도의 저장 장치를 함께 사용한다.
4. 1. 윈도우에서의 활용
리눅스와 같은 오픈 소스 운영 체제를 부팅하는 데 많은 라이브 USB가 사용되지만, Diskpart[11] 또는 WinToUSB를 사용하여 윈도우용 라이브 USB를 만들 수도 있다.[12]5. 설치 및 생성
개인용 컴퓨터는 2000년대 초 USB 부팅을 도입했으며, 이는 매킨토시 컴퓨터들이 1999년 AGP 그래픽스를 갖춘 파워 맥 G4, 슬롯 로딩 아이맥 G3 모델을 기점으로 이 기능을 도입함과 함께 시작되었다.[20] 인텔 기반 맥들은 USB로 macOS 부팅을 지원한다.[21]
라이브 USB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https://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Universal USB Installer], Rufus, Fedora Live USB Creator, UNetbootin 등이 있다. 또한 멀티부팅 라이브 USB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도 있는데, [https://pendrivelinux.com/yumi-multiboot-usb-creator/ YUMI Multiboot 부팅 가능 USB 생성기][10]와 Ventoy 등이 그 예이다. 리눅스 배포판들은 특히 그놈 데스크탑의 경우, 일반 USB를 라이브 USB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타트업 디스크 크리에이터'(Startup Disk Creator) 프로그램을 공식 지원한다.[25]
일반 PC 하드웨어용 라이브 USB 시스템을 설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시스템에 연결하고 시스템에서 감지해야 한다.
-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생성해야 할 수 있다.
-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주 파티션에 "부팅 가능" 플래그를 설정해야 한다.
- MBR을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주 파티션에 기록해야 한다.
- 파티션을 포맷해야 한다 (가장 흔하게는 FAT32 형식으로, 다른 파일 시스템도 사용할 수 있다).
- 부트로더를 파티션에 설치해야 한다 (대부분 리눅스 시스템을 설치할 때 syslinux를 사용).
- 부트로더 구성 파일(사용하는 경우)을 작성해야 한다.
- 운영 체제 및 기본 응용 프로그램의 필수 파일을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복사해야 한다.
- 언어 및 키보드 파일(사용하는 경우)을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기록해야 한다.
- BIOS의 부팅 메뉴에서 USB를 지원해야 한다.
Live USB를 구현하려면 대상 시스템의 커널 등이 USB 장치를 지원해야 하며, Open Firmware, BIOS, UEFI 등의 펌웨어가 USB 장치를 지원해야 한다.
설치 프로그램 자체도 설치 대상 시스템과 공통의 커널 등을 사용하여 USB에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17]
6. 구현
개인용 컴퓨터는 2000년대 초에 USB 부팅을 도입했으며, 이는 매킨토시 컴퓨터들이 1999년 AGP 그래픽스를 갖춘 파워 맥 G4, 슬롯 로딩 아이맥 G3 모델을 기점으로 이 기능을 도입함과 함께 시작되었다.[20] 인텔 기반 맥들은 USB로 macOS 부팅을 지원한다.[21]
Live USB를 구현하려면 대상 시스템의 커널 등이 USB 장치를 지원해야 하며, BIOS, UEFI 등의 펌웨어가 USB 장치를 지원해야 한다.
설치 프로그램 자체도 설치 대상 시스템과 공통의 커널 등을 사용하여 USB에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USB 포트가 부족하거나 설치 프로그램이 USB 장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SATA나 NVMe 등 다른 연결 방법으로 대상 장치를 연결해두고, 설치 후에 USB 연결로 변경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SB Info and Benefits of Dual-Channel USB
https://support.appl[...]
2003-09-16
[2]
웹사이트
Starting from an external USB storage device (Intel-based Macs)
https://support.appl[...]
2016-03-22
[3]
웹사이트
IBM brains capture a PC's soul
https://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5-08-15
[4]
웹사이트
Boot Linux from a FireWire device
http://www-128.ibm.c[...]
IBM
2004-07-15
[5]
웹사이트
Boot from a USB Drive Even If Your BIOS Won't Let You
http://www.howtogeek[...]
2010-05-06
[6]
웹사이트
Plop Boot Manager
https://www.plop.at/[...]
2012-02-07
[7]
웹사이트
Universal USB Installer - Bootable USB Software - UUI
https://pendrivelinu[...]
2010-02-10
[8]
웹사이트
MactelSupportTeam/EFI-Boot-Mactel
https://help.ubuntu.[...]
Canonical Ltd.
2013-12-14
[9]
웹사이트
XFCE minimum install HD
https://forums.linux[...]
[10]
웹사이트
YUMI - Multiboot USB Creator {{!}} Easily Boot from USB Windows
https://pendrivelinu[...]
2011-03-13
[11]
웹사이트
Create a Bootable USB Flash Drive
https://docs.microso[...]
[12]
웹사이트
How to Run a Portable Version of Windows from a USB Drive
http://lifehacker.co[...]
Gawker Media
2014-04-21
[13]
URL
https://clonezilla.o[...]
[14]
URL
https://gparted.org/[...]
[15]
URL
https://www.debian.o[...]
[16]
URL
https://docs.fedorap[...]
[17]
URL
https://docs.freebsd[...]
[18]
URL
https://www.debian.o[...]
[19]
URL
fedora
https://docs.fedorap[...]
[20]
웹인용
USB Info and Benefits of Dual-Channel USB
https://support.appl[...]
2003-09-16
[21]
웹인용
Starting from an external USB storage device (Intel-based Macs)
https://support.appl[...]
2016-03-22
[22]
웹인용
IBM brains capture a PC's soul
https://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5-08-15
[23]
웹인용
Boot Linux from a FireWire device
http://www-128.ibm.c[...]
IBM
2004-07-15
[2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howtogee[...]
2018-06-17
[25]
문서
우분투 Tutorials -Create a bootable USB stick on Ubuntu ,3.Launch Startup Disk Creator
https://ubuntu.com/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