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모드 브라우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1990년 팀 버너스리에 의해 개발된 최초의 웹 브라우저 중 하나로, 텍스트만 표시하고 줄 단위 텍스트 입력만 지원하여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제공했다. 이 브라우저는 플랫폼 독립성을 목표로 다양한 운영 체제를 지원했으며, 초기 웹의 확산에 기여했으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자이크 브라우저의 등장과 텍스트 기반 브라우저인 링크스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이후 libwww의 테스트 응용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으며, 웹의 초기 개발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HTTP 클라이언트 - 백그라운드 인텔리전트 전송 서비스
백그라운드 인텔리전트 전송 서비스(BITS)는 유휴 네트워크 대역폭을 활용하여 파일을 비동기적으로 전송하는 윈도우 서비스로, 네트워크 사용량이 적을 때 백그라운드에서 파일을 전송하며 중단된 부분부터 재개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에 활용되며, 작업 큐를 통해 전송을 관리하고, 윈도우 비스타 이후 운영체제에서는 `bitsadmin.exe` 명령 줄 유틸리티를 통해 관리가 가능하다. - HTTP 클라이언트 - 링크스 (웹 브라우저)
링크스는 캔자스 대학교에서 개발된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로, 낮은 시스템 자원 요구량과 높은 설정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도스용 웹 브라우저 - 아라크네 (웹 브라우저)
아라크네는 1996년 12월에 출시된 DOS 및 Linux용 웹 브라우저로, 다양한 이미지 형식과 HTML 4.0 및 CSS 1.0의 일부 기능을 지원하며, FTP, NNTP, POP3, SMTP, 고퍼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도스용 웹 브라우저 - 링크스 (웹 브라우저)
링크스는 캔자스 대학교에서 개발된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로, 낮은 시스템 자원 요구량과 높은 설정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 - 링크 (웹 브라우저)
링크 (웹 브라우저)는 텍스트 기반의 웹 브라우저로, 낮은 해상도에서도 가독성을 높이는 기술을 사용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 - 링크스 (웹 브라우저)
링크스는 캔자스 대학교에서 개발된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로, 낮은 시스템 자원 요구량과 높은 설정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라인 모드 브라우저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라인 모드 브라우저 |
종류 | 웹 브라우저 |
개발 | 팀 버너스리, 헨리크 프리스티크 닐센, 니콜라 펠로우 |
개발 기관 | W3C / CERN |
초기 버전 출시일 | 1991년 5월 14일 |
최신 버전 | 5.4.2 |
최신 버전 출시일 | 2017년 6월 24일 |
운영 체제 | Libwww와 동일 (크로스 플랫폼) |
프로그래밍 언어 | C |
라이선스 | W3C Software Notice and License |
웹사이트 | 라인 모드 브라우저 웹사이트 |
2. 역사
CERN에서 월드 와이드 웹 프로젝트가 시작될 당시,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보편적인 독자를 확보하는 것이었다.[10] 팀 버너스리는 1990년에 최초의 웹 브라우저인 WorldWideWeb을 개발했지만, 이는 NeXT 컴퓨터에서만 작동했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 기반의 라인 모드 브라우저 개발이 시작되었다. 개발은 1990년 11월에 시작되어 1990년 12월에 시연되었다.[12] 이 브라우저는 텔레타이프와 같은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텍스트만 표시하고 줄 단위 입력만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30][32]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1991년 3월 VAX, RS/6000, Sun-4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제한적으로 공개되었고,[14] 이후 고에너지 물리학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CERN 프로그램 라이브러리(CERNLIB)에 통합되었다.[8][37] 1991년 4월 8일에는 첫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다.[15]
1991년 8월, 버너스 리는 뉴스그룹 ''alt.hypertext''를 통해 라인 모드 브라우저를 공개적으로 알렸다.[16][17] 이로써 사용자들은 텔넷을 통해 ''info.cern.ch'' (최초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 어디에서든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웹의 소식이 퍼지면서 독일의 DESY 등 여러 연구소에서 관심을 보였고,[18][19] 1992년 1월에는 안정 버전 1.1이 출시되었다.[14][20] 이후 1.2l 버전부터는 libwww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되었고,[1] MacWWW와의 소스 코드 공유도 이루어졌다.[21]
1993년 5월, 버너스 리는 라인 모드 브라우저를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하였고,[22] 1995년 3월에는 버전 3.0 출시와 함께 유지보수 책임을 W3C로 이관하였다.[1]
그러나 모자이크 브라우저의 등장으로 라인 모드 브라우저의 사용자는 급감하였고,[25] 이후에는 링크스와 같은 텍스트 전용 브라우저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26]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libwww의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되었다.
2. 1. 개발 배경
팀 버너스 리가 최초로 개발한 월드와이드웹 브라우저는 NeXT 컴퓨터에서만 작동하는 제한이 있었다.[7] 플랫폼 독립성을 중시했던 버너스 리는 더 많은 사용자가 웹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다 범용적인 브라우저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버너스 리와 그의 팀은 X 윈도 시스템 프로그래밍 경험이 부족하여 WYSIWYG 편집기 등의 기능을 이식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30]이러한 상황에서 CERN의 인턴 학생이었던 니콜라 펠로우가 프로젝트에 합류했다.[7] 버너스 리는 펠로우에게 당시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텍스트 기반의 "수동 브라우저" 개발을 요청했다.[7] 이 브라우저가 "라인 모드 브라우저"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텔레타이프와 같은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위해 텍스트만 표시하고 줄 단위 입력만 지원했기 때문이다.[30][32]
2. 2. 개발 과정
월드 와이드 웹 프로젝트의 주요 개념 중 하나는 보편적인 독자였다.[10] 1990년, 팀 버너스리는 최초의 브라우저인 WorldWideWeb(나중에 ''Nexus''로 이름 변경)를 작성했지만, 이는 NeXT 컴퓨터의 독점 소프트웨어에서만 작동하여 사용이 제한적이었다.[7] 버너스리와 그의 팀은 X 윈도 시스템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어, 그래픽 WYSIWYG 편집기를 포함한 WorldWideWeb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X 윈도 시스템으로 이식할 수 없었다.[30] 그들은 당시 CERN에서 일하던 수학과 인턴 학생 니콜라 펠로우를 영입하여,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본적인 "수동 브라우저"를 작성하도록 했다.[7] "라인 모드 브라우저"라는 이름은 텔레타이프 기계와 같은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위해 텍스트만 표시하고(이미지 없음) 줄 단위 텍스트 입력만 지원했기 때문에 붙여졌다.[30][32]개발은 1990년 11월에 시작되었고, 1990년 12월에 시연되었다.[12] 개발 환경은 CERN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 표준화를 위한 프로젝트인 "PRojet Interdivisionnaire d'Assistance aux Microprocesseurs"(PRIAM)의 자원을 사용했다.[13] C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순화된 방언으로 소프트웨어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공식 표준인 ANSI C가 아직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30]
1991년 3월,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VAX, RS/6000, Sun-4 컴퓨터에서 제한된 사용자에게 공개되었다.[14] 최초 공개 버전이 출시되기 전, 이 브라우저는 주로 고에너지 물리학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CERN 프로그램 라이브러리(CERNLIB)에 통합되었다.[8][37] 1991년 4월 8일, 브라우저의 첫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다.[15] 1991년 8월, 버너스리는 Usenet의 ''alt.hypertext'' 뉴스그룹에서 브라우저의 가용성을 발표했다.[16][17] 사용자는 telnet 프로토콜을 통해 ''info.cern.ch'' 머신(최초의 웹 서버)을 통해 인터넷 어디에서든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었다.
1991년에 월드 와이드 웹에 대한 소식이 퍼지면서 CERN과 독일의 DESY와 같은 다른 연구소,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7][18][19]
최초의 안정 버전인 1.1은 1992년 1월에 출시되었다.[14][20] 1992년 10월 출시된 1.2l 버전부터 브라우저는 ''공통 코드 라이브러리''(나중에 libwww라고 불림)를 사용했다.[1] 주요 개발자인 펠로우는 MacWWW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두 브라우저는 일부 소스 코드를 공유했다.[21] 1993년 5월, 버너스리는 ''월드 와이드 웹 뉴스레터''에서 새로운 클라이언트 작업을 줄이기 위해 브라우저를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다고 발표했다.[22] 1995년 3월 21일, 3.0 버전을 출시하면서 CERN은 라인 모드 브라우저 유지에 대한 모든 책임을 W3C에 넘겼다.[1] 라인 모드 브라우저와 libwww 라이브러리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별도 브라우저 구성 요소의 마지막 독립 릴리스는 1995년이었으며, 이후 브라우저는 libwww의 일부가 되었다.[23]
Agora 월드 와이드 웹 이메일 브라우저는 라인 모드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했다.[24]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웹 초창기에 모든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웹 브라우저였기 때문에 매우 인기가 있었다. 1994년 1월 통계에 따르면 모자이크가 웹 브라우저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키면서, 전체 월드 와이드 웹 사용자 중 라인 모드 브라우저로 검색하는 사용자는 2%에 불과했다.[25] 텍스트 전용 웹 브라우저의 새로운 틈새는 링크스가 채웠고, 이로 인해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브라우저로서 거의 쓸모없게 되었다. 링크스가 라인 모드 브라우저보다 훨씬 더 유연했기 때문이다.[26] 이후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libwww의 테스트 응용 프로그램이 되었다.
2. 3. 초기 배포 및 확산
월드 와이드 웹 프로젝트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보편적인 독자였다.[10] 1990년, 팀 버너스리는 최초의 브라우저인 WorldWideWeb(나중에 ''Nexus''로 이름이 변경됨)를 개발했지만, 이는 NeXT 컴퓨터의 독점 소프트웨어에서만 작동하여 사용이 제한적이었다.[7] 버너스리와 그의 팀은 X 윈도 시스템으로 이식할 프로그래밍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래픽 WYSIWYG 편집기를 포함한 WorldWideWeb의 기능을 더 널리 사용되는 X 윈도 시스템으로 이식할 수 없었다.[30] 그들은 당시 CERN에서 일하던 수학과 인턴 학생인 니콜라 펠로우를 영입하여,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본적인 "수동 브라우저"를 작성하도록 했다.[7] "라인 모드 브라우저"라는 이름은 프로그램이 텍스트만 표시하고(이미지 없음) 줄 단위의 텍스트 입력만 지원했기 때문에(커서 위치 지정 없음), 텔레타이프 기계와 같은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붙여졌다.[30][32]1990년 11월에 개발이 시작되어, 1990년 12월에 브라우저가 시연되었다.[12] 개발에는 CERN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을 표준화하기 위한 프로젝트인 "PRojet Interdivisionnaire d'Assistance aux Microprocesseurs"(PRIAM)의 자원이 사용되었다.[13] 짧은 개발 기간 동안 C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순화된 방언으로 소프트웨어가 제작되었다. 공식 표준인 ANSI C는 아직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30]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1991년 3월에 VAX, RS/6000, Sun-4 컴퓨터에서 제한된 사용자에게 공개되었다.[14] 최초의 공개 버전이 출시되기 전에는, 주로 고에너지 물리학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CERN 프로그램 라이브러리(CERNLIB)에 통합되었다.[8][37] 브라우저의 첫 번째 베타 버전은 1991년 4월 8일에 출시되었다.[15] 1991년 8월, 버너스리는 Usenet의 ''alt.hypertext'' 뉴스그룹에서 브라우저의 가용성을 발표했다.[16][17] 사용자들은 telnet 프로토콜을 통해 ''info.cern.ch'' 머신(최초의 웹 서버이기도 함)을 통해 인터넷 어디에서든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이는 최초의 웹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1991년에 월드 와이드 웹에 대한 소식이 퍼지면서 CERN과 독일의 DESY와 같은 다른 연구소,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7][18][19] 최초의 안정 버전인 1.1은 1992년 1월에 출시되었다.[14][20]
2. 4. 기술 발전 및 한계
팀 버너스리는 1990년에 최초의 브라우저인 WorldWideWeb을 작성했지만, 이는 사용이 제한적인 NeXT 컴퓨터의 독점 소프트웨어에서만 작동했다.[7] 니콜라 펠로우가 개발에 참여하여, 1990년 11월 개발이 시작되어 1990년 12월에 시연되었다.[12] 당시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을 정도로 기본적인 "수동 브라우저"를 작성하도록 했고, "라인 모드 브라우저"라는 이름은 텔레타이프 기계와 같은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텍스트만 표시하고 줄 단위의 텍스트 입력만 지원했기 때문에 붙여졌다.[30][32]1992년 10월 출시된 버전 1.2l부터 브라우저는 ''공통 코드 라이브러리''(나중에 libwww라고 불림)를 사용했다.[1] 니콜라 펠로우는 MacWWW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두 브라우저는 일부 소스 코드를 공유하기 시작했다.[21] 1993년 5월, 버너스리는 새로운 클라이언트에 대한 작업을 줄이기 위해 브라우저를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다고 발표했다.[22] 1995년 3월 21일, 버전 3.0을 출시하면서 CERN은 라인 모드 브라우저 유지에 대한 모든 책임을 W3C에 넘겼다.[1]
모자이크가 웹 브라우저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키면서, 1994년 1월 통계에 따르면 전체 월드 와이드 웹 사용자 중 라인 모드 브라우저로 검색하는 사용자는 2%에 불과했다.[25] 텍스트 전용 웹 브라우저의 새로운 틈새는 링크스에 의해 채워졌고, 이로 인해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브라우저로서 거의 쓸모없게 되었다.[26] 이후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libwww의 테스트 응용 프로그램이 되었다.
3. 작동 방식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편집할 수 없었고, 오직 읽기만 가능했다. 개발자 중 한 명인 로베르 카이요는 이를 문제점으로 여겨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돌이켜보면 전체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실수는 라인 모드 브라우저를 공개적으로 출시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인터넷 해커들에게 즉각적인 접근을 제공했지만, 수동적인 브라우저의 관점에서만 접근을 제공했습니다. 즉, 편집 기능은 제공하지 않았습니다."[30]
3.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모든 운영 체제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덤" 터미널이라고 불리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능한 한 단순하게 만들어졌다. 사용자는 명령줄 인터페이스에서 URL을 입력하여 시작했다. 요청된 웹 페이지는 전신 타자기처럼 화면에 한 줄씩 인쇄되었다. 웹사이트는 초기 버전의 HTML을 사용하여 표시되었다. 서식 지정은 대문자, 들여쓰기, 줄바꿈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제목 요소는 대문자로 표시되고 중앙 정렬되었으며 빈 줄로 일반 텍스트와 구분되었다.[27]탐색은 마우스나 화살표 키와 같은 포인팅 장치가 아닌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텍스트 명령으로 제어되었다.[28] 각 링크에는 대괄호 안의 숫자가 표시되었고, 사용자는 해당 숫자를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링크를 열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당시 한 기자는 "웹은 숫자를 입력하여 정보를 찾는 방법"이라고 적었다.[6]
빈 명령(캐리지 리턴)을 입력하면 페이지가 아래로 스크롤되었고, "u" 명령을 입력하면 위로 스크롤되었다. "b" 명령은 기록에서 뒤로 이동했고, 새 페이지는 "g http://..." (go to)와 같이 URL을 입력하여 탐색했다.[29]
3. 2. 탐색 방법
탐색은 마우스나 화살표 키와 같은 포인팅 장치가 아니라 프로그램에 입력된 텍스트 명령으로 제어되었다.[28] 각 링크에는 대괄호 안의 숫자가 표시되었으며, 해당 숫자를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링크를 열 수 있었다.이로 인해 당시 한 기자는 "웹은 숫자를 입력하여 정보를 찾는 방법"이라고 적었다.[6]
빈 명령(캐리지 리턴)을 입력하면 페이지가 아래로 스크롤되었고, "u" 명령으로 위로 스크롤되었다. "b" 명령은 기록에서 뒤로 이동했고, 새 페이지는 "g http://..." (go to)와 URL로 탐색되었다.[29]
4. 기능 및 특징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크로스 플랫폼으로 설계되었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고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HTTP),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 (NNTP), 광역 정보 서버 (WAIS)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1][37][36]
rlogin,[37] 텔넷,[37] 하이퍼링크 기능을 지원하며, 1994년 11월 25일 버전 2.15부터 키릴 문자를 지원한다.[1] 프록시 클라이언트로 설정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38][26]
4. 1. 크로스 플랫폼 지원
운영 체제 |
---|
아폴로/도메인[31] |
IBM RS6000[31] |
DECstation/Ultrix[31] |
VAX/VMS[31] |
VAX/Ultrix[31] |
MS-DOS[32] |
유닉스[32][33] |
윈도우[33] |
클래식 Mac OS[33] |
리눅스[33] |
MVS[34] |
VM/CMS[34] |
FreeBSD[35] |
솔라리스[35] |
macOS[35] |
4. 2. 프로토콜 지원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고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NNTP), 광역 정보 서버(WAIS)와 같은 많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1][37][36]4. 3. 기타 기능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rlogin[37] 및 텔넷[37] 하이퍼링크 기능을 지원한다. 1994년 11월 25일 버전 2.15부터 키릴 문자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며,[1] 프록시 클라이언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38]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26]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문자 엔티티, 공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표 및 프레임을 지원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39]
4. 4. 한계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문자 엔티티, 공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표 및 프레임을 지원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39]5. 평가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 편집 기능이 없어 읽기만 가능했다. 개발자 중 한 명인 로베르 카이요는 이를 문제로 여겼다.[68]
돌이켜보면 전체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실수는 라인 모드 브라우저를 공개적으로 출시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인터넷 해커들에게 즉각적인 접근을 제공했지만, 수동적인 브라우저의 관점에서만 접근을 제공했습니다. 즉, 편집 기능은 제공하지 않았습니다.|영어 [30]
6. 의의 및 영향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초창기 웹의 플랫폼 독립성이라는 개념을 실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0] 팀 버너스리가 최초로 개발한 월드와이드웹(Nexus) 브라우저는 NeXT 컴퓨터에서만 작동했기 때문에[7] 일반적인 사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하여 텔레타이프와 같은 초기 컴퓨터 터미널과의 호환성을 확보했고,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30][32] 이는 더 많은 사람들이 웹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이후 웹 브라우저 개발의 기반이 된 libwww 라이브러리의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 라인 모드 브라우저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공통 코드 라이브러리는 이후 libwww로 발전하여, 다양한 웹 브라우저 및 관련 기술 개발에 활용되었다.
한국의 초기 인터넷 환경은 텍스트 기반 통신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라인 모드 브라우저와 같은 텍스트 기반 브라우저가 웹 접근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그래픽 기반의 모자이크 브라우저 등장 이후 그 사용량이 급감했지만,[25] 라인 모드 브라우저는 초기 웹 환경에서 다양한 플랫폼 사용자들을 웹으로 이끄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ange History of Line Mode Browser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8-04-23
[2]
웹사이트
Getting the W3C libwww Source
https://www.w3.org/L[...]
2022-09-20
[3]
웹사이트
LM_Availability – /Talk_Feb-91
http://www.w3.org/Ta[...]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1-02-01
[4]
웹사이트
How can I download a Document?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5-04-01
[5]
웹사이트
2005 Text Mode Browser Roundup
http://www.linuxjour[...]
2005-03-08
[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What were the first browsers?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1-07-26
[7]
웹사이트
Ten Years Public Domain for the Original Web Software
http://tenyears-www.[...]
CERN
2003-04-30
[8]
웹사이트
How the web began
http://public.web.ce[...]
CERN
2008
[9]
웹사이트
WWW – The Libwww Line Mode Browser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8-05-04
[10]
웹사이트
W3 Concepts
http://www.w3.org/Ta[...]
World Wide Web Consortium
[11]
서적
Weaving the Web
https://archive.org/[...]
HarperSanFrancisco
1999
[12]
웹사이트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Wide Web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5
[13]
간행물
PRIAM and VMEbus at CERN
http://www.iaea.org/[...]
1985-12-01
[14]
웹사이트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Wide Web
http://ref.web.cern.[...]
CERN
2001-04-05
[15]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6]
웹사이트
Tim Berners-Lee, Robert Cailliau, and the World Wide Web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17]
웹사이트
Re: Qualifiers on Hypertext links...
http://www.w3.org/Pe[...]
1991-08-06
[18]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9]
웹사이트
Public Domain CERN WWW Software
http://1997.webhisto[...]
1993-05-07
[20]
문서
The PC-NFS version (dated 92.01.16) for MS-DOS: wwwpcnfs.zip (NOTE: Firefox browsers may refuse to download the file, claiming that "file contains a virus or malware". VirusTotal results.).
https://www.w3.org/2[...]
[21]
웹사이트
Macintosh Browser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11-03
[22]
웹사이트
May World-Wide Web News
http://www.w3.org/Ne[...]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3-05-01
[23]
웹사이트
WWW-Browsers for Linux
http://www.helgefjel[...]
2010-01-06
[24]
웹사이트
World Wide Web Clients
http://www.w3.org/Cl[...]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5-03-29
[2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eb
http://www.w3c.rl.ac[...]
Oxford Brookes University
2002
[26]
서적
The HTML Sourcebook: The Complete Guide to HTML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995
[27]
웹사이트
Line Mode Browser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11-03
[28]
웹사이트
Features_of_LM – /Talk_Feb-91
http://www.w3.org/Ta[...]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1-02-01
[29]
웹사이트
Commands
http://www.w3.org/Hi[...]
CERN/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11-03
[30]
웹사이트
Interview Robert Cailliau on the WWW Proposal: "How It Really Happened."
http://www.computer.[...]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997-11-01
[31]
웹사이트
Installation
http://www.slac.stan[...]
[32]
웹사이트
Web Browser History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33]
웹사이트
List of Platforms for libwww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9-04-01
[34]
웹사이트
WWW people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35]
웹사이트
W3C libwww libraries
http://physionet.inc[...]
University of São Paulo
2008-03-19
[36]
웹사이트
Defining a News Server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6-12-09
[37]
웹사이트
What's new in '92
http://www.w3.org/Ne[...]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01
[38]
웹사이트
Libwww – the W3C Sample Code Library README
http://www.w3.org/RE[...]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7-08-09
[39]
웹사이트
'"Brand-X" Browsers – Alphabetical List: A-G'
http://webtips.dan.i[...]
2010-04-04
[40]
웹사이트
Change History of Line Mode Browser
https://www.w3.org/L[...]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8-04-23
[41]
웹사이트
Release Notes for Libwww
https://www.w3.org/L[...]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5-10-21
[42]
웹사이트
LM_Availability -- /Talk_Feb-91
https://www.w3.org/T[...]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1-02
[43]
웹사이트
How can I download a Document?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5-04
[44]
웹사이트
2005 Text Mode Browser Roundup
http://www.linuxjour[...]
Linux Journal
2005-03-08
[4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What were the first browsers?
https://www.w3.org/P[...]
World Wide Web Consortium
[46]
웹사이트
Ten Years Public Domain for the Original Web Software
http://tenyears-www.[...]
CERN
2003-04-30
[47]
웹사이트
How the web began
http://public.web.ce[...]
CERN
2008
[48]
웹사이트
WWW - The Libwww Line Mode Browser
https://www.w3.org/L[...]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8-05-04
[49]
웹사이트
W3 Concepts
https://www.w3.org/T[...]
World Wide Web Consortium
[50]
서적
Weaving the Web
[51]
웹사이트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Wide Web
https://www.w3.org/H[...]
World Wide Web Consortium
[52]
간행물
PRIAM and VMEbus at CERN
https://inis.iaea.or[...]
1985-12
[53]
웹사이트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Wide Web
http://ref.web.cern.[...]
CERN
2001-04-05
[54]
서적
How the Web Was Born
[55]
웹사이트
Tim Berners-Lee, Robert Cailliau, and the World Wide Web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56]
웹사이트
Re: Qualifiers on Hypertext links...
https://www.w3.org/P[...]
1991-06-06
[57]
서적
How the Web Was Born
[58]
웹사이트
Public Domain CERN WWW Software
http://1997.webhisto[...]
1993-05-07
[59]
웹사이트
Macintosh Browser
https://www.w3.org/H[...]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11-03
[60]
웹사이트
May World-Wide Web News
https://www.w3.org/N[...]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3-05
[61]
웹사이트
WWW-Browsers for Linux
http://www.helgefjel[...]
2010-01-06
[62]
웹사이트
World Wide Web Clients
https://www.w3.org/C[...]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5-03-29
[6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eb
http://www.w3c.rl.ac[...]
Oxford Brookes University
2002
[64]
서적
The HTML Sourcebook: The Complete Guide to HTML
John Wiley & Sons
[65]
웹사이트
Line Mode Browser
https://www.w3.org/H[...]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11-03
[66]
웹사이트
Features_of_LM -- /Talk_Feb-91
https://www.w3.org/T[...]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1-02
[67]
웹사이트
Commands
https://www.w3.org/H[...]
CERN/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11-03
[68]
웹사이트
Interview Robert Cailliau on the WWW Proposal: "How It Really Happened."
http://www.computer.[...]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997-11
[69]
웹사이트
Installation
http://www.slac.stan[...]
[70]
웹사이트
Web Browser History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71]
웹사이트
List of Platforms for libwww
https://www.w3.org/L[...]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9-04-01
[72]
웹사이트
WWW people
https://www.w3.org/H[...]
World Wide Web Consortium
[73]
웹사이트
W3C libwww libraries
http://physionet.inc[...]
University of São Paulo
2008-03-19
[74]
웹사이트
Defining a News Server
https://www.w3.org/L[...]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6-12-09
[75]
웹사이트
What's new in '92
https://www.w3.org/N[...]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2-01
[76]
웹사이트
Libwww - the W3C Sample Code Library README
https://www.w3.org/R[...]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7-08-09
[77]
웹사이트
'"Brand-X" Browsers -- Alphabetical List: A-G'
http://webtips.dan.i[...]
2010-04-04
[78]
웹인용
How can I download a Document?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8-10
[79]
웹인용
2005 Text Mode Browser Roundup
http://www.linuxjour[...]
2010-08-05
[80]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 What were the first browsers?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1-07-26
[81]
웹인용
Ten Years Public Domain for the Original Web Software
http://tenyears-www.[...]
CERN
2005-07-21
[82]
웹인용
How the web began
http://public.web.ce[...]
CERN
2010-07-25
[83]
웹인용
WWW – The Libwww Line Mode Browser
http://www.w3.org/L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