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2년 창설되어 에스토니아와의 경기에서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발트컵에서 12회 우승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활동이 중단되었다. 소련 점령 기간에는 소련 민족 스파르타키아드에 참가했으며, 독립 이후인 1992년 재건되었다. 2004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했으나, 이후 월드컵과 유로 대회에서 예선 탈락했다.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리그 C로 승격했으며, 발트컵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는 스콘토 스타디움과 다우가바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TV3 그룹이 중계권을 가지고 있다. 마리스 베르파코프스키스가 최다 득점 선수이며, 비탈리스 아스타피에프스가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국가대표팀 - 라트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라트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30년대에 결성되어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으며, 202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26년 동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 라트비아의 축구 - 라트비아 축구 연맹
    라트비아 축구 연맹은 1921년 설립되어 소련 점령으로 해산되었다가 라트비아 독립 후 재건되었으며, 라트비아 축구의 관리 및 발전을 담당하는 기구이다.
  • 라트비아의 축구 - 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억압 속에서 창단되어 1993년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며, 발트컵에서 5회 우승했으나 월드컵과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고, 현재 로마스 크바초우스 감독이 이끌고 스콘토 및 다우가바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020년 유로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웸블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 -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1년 데뷔 후 월드컵 3위 2회, 올림픽 금메달 1회를 포함한 총 4개의 메달 획득, 유로 2016 8강 진출, 2022 월드컵 16강 진출 등의 성과를 냈으며,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간판스타로 활약하고 있다.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로고
별칭11 vilki (11마리의 늑대들)
FIFA 트리그램LVA
FIFA 최고 랭킹45
FIFA 최고 랭킹 날짜2009년 11월
FIFA 최저 랭킹148
FIFA 최저 랭킹 날짜2017년 9월
Elo 최고 랭킹45
Elo 최고 랭킹 날짜1938년 9월 25일
Elo 최저 랭킹155
Elo 최저 랭킹 날짜2019년 10월
홈 경기장스코onto 스타디움
다우가바 스타디움 (드문 경기)
협회 정보
협회라트비아 축구 연맹 (LFF)
대륙 연맹UEFA
대표팀 정보
감독파올로 니콜라토
주장크리스테르스 토베르스
최다 출장 선수비탈리스 아스타페우스 (167)
최다 득점 선수마리스 베르파코프스키스 (29)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pattern_la1: _lva24h
pattern_b1: _lva24h
pattern_ra1: _lva24h
pattern_sh1: _lva24h
leftarm1: AA0000
body1: AA0000
rightarm1: AA0000
shorts1: "000000"
socks1: AA0000
원정 유니폼pattern_la2: _lva24a
pattern_b2: _lva24a
pattern_ra2: _lva24a
pattern_sh2: _lva24a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첫 경기
첫 경기1–1 (리가, 라트비아; 1922년 9월 24일)
최대 점수차 승리6–1 (리가, 라트비아; 1935년 5월 30일)
5–0 (Võru, Estonia; 2012년 6월 1일)
0–5 (Gibraltar; 2016년 3월 29일)
0–5 (Andorra la Vella, Andorra; 2020년 11월 17일)}}
최대 점수차 패배12–0 (Stockholm, Sweden; 1927년 5월 29일)
대회 기록
유럽 선수권 대회출전 횟수: 1회
첫 출전: 2004년
최고 성적: 그룹 스테이지 (2004년)
발트컵출전 횟수: 29회
첫 출전: 1928년
최고 성적: 챔피언 (1928년, 1932년, 1936년, 1937년, 1993년, 1995년, 2001년, 2003년, 2008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8년)

2. 역사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초기 (1922년 ~ 1940년)이 시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초기 (1922년 ~ 1940년)' 하위 섹션을 참조.
소련 시대 (1940년 ~ 1991년)1940년 라트비아가 소련에 의해 점령 및 병합되면서 라트비아 축구의 성장은 중단되었다. 소련 점령 기간 동안 라트비아 SSR 축구 국가대표팀은 발트컵에 1976년까지 참가했다.

소련 민족 스파르타키아드에 축구가 포함된 일부 대회에서 라트비아는 FC 다우가바 리가를 통해 대표팀을 구성했다. 1956년 스파르타키아드에서는 3승 1패, 1979년에는 1승 5패를 기록했다. 이후에는 20세 미만 청소년 팀이 참가했다.
독립 이후 (1992년 ~ 현재)이 시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독립 이후 (1992년 ~ 현재)' 하위 섹션을 참조.

1997년 말, 야니스 길리스 감독과 유리우스 셰블라코브스 주장이 팀을 떠나면서 한 시대가 마감되었고, 이는 라트비아 축구의 국제 경쟁력 강화의 토대가 되었다.

라트비아는 2004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1무 2패로 탈락했다.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0년 ~ 1988년소련에 강제 병합
1992년없음[18]
1996년 ~ 2000년예선 탈락
2004년조별리그14위3012151
2008년 ~ 2020년예선 탈락
합계1회 진출(1/7[19])조별리그(1회)3012151
순위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33위


2. 1. 초기 (1922년 ~ 1940년)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2년 9월 24일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첫 공식 경기를 치렀으며, 결과는 1-1 무승부였다. 팀 역사상 첫 골은 공격수 에드빈스 바르다가 기록했다.[2] 1920년 라트비아 축구 연맹(현재 라트비아 축구 연맹)이 설립되면서 국가대표팀이 창설되었다. 라트비아는 1924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 참가했으나,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0-7로 패했다. 1924년 10월 18일,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팀의 첫 승리를 기록했다.[2]

1928년, 라트비아는 초대 발트컵에서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를 꺾고 우승했다. 1920년대 뛰어난 선수로는 골키퍼 아르비즈 유르겐스와 바르다 형제(에드빈스, 아르비즈, 루돌프스)를 비롯하여 볼데마르스 그라벨리스, 아르놀즈 타우리슈, 알베르츠 셰이벨리스 등이 있었다.

1930년대는 라트비아 국가대표팀의 성장기였으며, 특히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오스트리아 출신 코치 루돌프 스탄즐의 지휘 아래 뚜렷한 성장을 보였다. 라트비아는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스웨덴, 폴란드 등과 친선 경기를 자주 가졌다. 1937년, 라트비아는 193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여 오스트리아, 리투아니아와 함께 8조에 편성되었다. 리가에서 열린 리투아니아와의 경기에서 프리치스 카네프스의 해트트릭과 일리야 베스테르만스의 골로 4-2 승리를 거두었고, 카우나스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카네프스, 바츨라브스 보르두슈코, 일리야 베스테르만스가 각각 2골을 기록하며 5-1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와의 결정적인 원정 경기에서는 베스테르만스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1-2로 패했다.

1938년 4월, 오스트리아가 안슐루스로 인해 FIFA 월드컵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라트비아는 조 2위를 기록했지만, FIFA는 오스트리아를 대신하여 라트비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라트비아는 1922년부터 1940년까지 전쟁 전 기간 동안 99번의 공식 경기를 치렀고, 발트컵에서 12번 우승했다. 전쟁 전 라트비아 국가대표팀의 마지막 경기는 1940년 7월 18일 에스토니아와의 경기로, 1-2로 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팀 활동은 প্রথমে 제한되었다가 결국 완전히 중단되었다. 독일과 소련 점령 기간 동안 라트비아 국가대표팀은 독립 당시의 형태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1930년대 최고의 선수로는 야니스 리드마니스, 에릭스 라이스터스, 야니스 로지티스, 프리치스 카네프스, 일리야 베스테르만스, 알렉산드르스 바나그스 등이 있었다. 에릭스 페테르손스는 전쟁 전 시대 최고의 라트비아 축구 선수로 평가받으며, 국가대표팀에서 63경기 21골을 기록했다. 라트비아 축구의 뚜렷한 성장은 1940년 라트비아가 소련에 의해 점령 및 병합되면서 갑작스럽게 중단되고 파괴되었다.

2. 2. 소련 시대 (1940년 ~ 1991년)

1940년 소비에트 연방에 강제 병합되면서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활동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1991년 독립을 되찾으면서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2. 3. 독립 이후 (1992년 ~ 현재)

Latvijalv는 1991년 독립을 회복한 후, 1992년 4월 8일에 부쿠레슈티에서 루마니아를 상대로 복원 후 첫 경기를 가졌으며, 0-2로 패했다.[1] 이 경기는 라트비아 축구 역사상 100번째 경기였으며, 1만 명의 관중이 참석했다.[1] 선수들은 최상급 숙소, 케이터링, 훈련 시설 등 익숙하지 않은 환경을 경험했다.[1]

야니스 길리스 감독은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구성하고, 두 명의 프리 수비수를 배치하여 미드필더와 공격수에게 추가적인 압박을 가하는 전술을 사용했다.[1] 전반전은 희망적이었지만, 후반전에는 집중력 부족으로 루마니아에게 주도권을 내주었다.[1]

경기 초반, 골키퍼 라이몬즈 라이잔스의 실수로 선제골을 허용했다.[1] 아르바르스 드루파스가 동점골 기회를 잡았지만, 루마니아 골키퍼 보그단 스테레아의 선방에 막혔다.[1] 후반 초반 또 다른 수비 실수로 추가 실점을 허용했다.[1] 롤란드 불더스도 득점 기회를 잡았으나 무산되었다.[1]

길리스 감독은 일부 선수들의 부상과 경기력에 실망감을 표하며, 승리를 위해서는 강력한 공격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 루마니아 관찰자들은 라트비아 선수 중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이나 소비에트 탑 리그에서 뛴 경험이 있는 선수가 없다는 점에 놀라움을 표했다.[1]

초창기 라트비아 국가대표팀 코치의 연봉은 8,500 루블(약 55달러)에 불과했다.[1]

발트 3국에서 열리는 발틱컵에서는 대회 최다인 13번의 우승을 달성했다.

3. 경기장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2년 복원 이후 다양한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초기에는 리가의 ASK 경기장을 비롯한 여러 경기장을 사용했다. 1992년부터 2000년까지는 다우가바 스타디움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스콘토 스타디움이 임시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2018년에는 다우가바 스타디움의 개축 공사가 완료되어 다시 홈 경기장으로 복귀했지만, 잔디 문제로 인해 다시 스콘토 스타디움으로 임시 이전되기도 했다.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전쟁 기간에는 리가의 육군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1992년 이후 라트비아의 홈 경기장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장도시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승률마지막 홈 경기
스콘토 경기장리가7021153430.0%2024
다우가바 경기장리가391571738.5%2022
다우가바 경기장리예파야850362.5%2024
올림픽 경기장벤츠필스1100100.0%2002
ASK 경기장리가10010.0%1994
오졸니에키 경기장오졸니에키10100.0%1994
합계12042235535.0%


3. 1. 홈 경기장

최근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은 스콘토 스타디움과 리가의 다우가바 스타디움을 번갈아 사용하고 있다. 다우가바 스타디움은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라트비아 대표팀의 주 경기장이었으나, 다우가바 스타디움의 개축 계획으로 인해 스콘토 스타디움이 임시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10] 2017년부터 다우가바 스타디움의 개축 공사가 시작되어 1년 후 1단계 공사가 완료되었다.

2018년 여름, 라트비아 대표팀은 18년 만에 에스토니아와의 경기를 통해 다우가바 스타디움으로 복귀했다.[10] 그러나 2022년 중반부터 잔디 문제 등으로 인해 홈 경기가 다시 스콘토 스타디움으로 임시 이전되었다. 2023년 10월부터 잔디 교체 및 개선 작업이 시작되었다.[11] 당시 라트비아 축구 연맹 회장 바딤스 랴센코는 스콘토 스타디움이 남자 대표팀의 주 경기장이 되고, 다우가바 스타디움은 예비 경기장 및 여자 및 유소년 대표팀 경기를 개최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12]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전쟁 기간에는 리가의 육군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등 다양한 장소에서 경기가 열렸다.

1992년 이후 라트비아의 홈 경기장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장도시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승률마지막 홈 경기
스콘토 경기장리가7021153430.0%2024
다우가바 경기장리가391571738.5%2022
다우가바 경기장리예파야850362.5%2024
올림픽 경기장벤츠필스1100100.0%2002
ASK 경기장리가10010.0%1994
오졸니에키 경기장오졸니에키10100.0%1994
합계12042235535.0%


4. 유니폼

라트비아 대표팀의 전통적인 유니폼 색상은 진홍색 상의와 진홍색 하의에 흰색 테두리를 두른 형태이며, 원정 유니폼은 주로 흰색을 사용한다.[14]

역대 유니폼 공급 업체와 현재 유니폼 공급 업체는 다음과 같다.

기간공급 업체
1990년대 초–1996년엄브로
1996년–2001년아디다스
2001년–2008년엄브로
2008년–현재아디다스


4. 1. 엠블럼

2018년 7월까지 사용된 라트비아 축구 연맹 로고는 현재 사용되는 방패 모양 엠블럼으로 대체되었다. 이 엠블럼은 축구공과 라트비아 국기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ATVIJA'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보조 로고로는 '#11vilki'(11마리의 늑대)를 상징하는 울부짖는 늑대 머리 엠블럼이 사용된다.

5. 미디어 중계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는 현재 스포츠 채널 Go3와 TV3 그룹 채널을 통해 중계된다.[1] 과거에는 LTV7과 TV6에서 중계되었다.[1] 2022년, 비아플레이 그룹이 라트비아를 포함한 발트 3국의 중계권을 인수했으나, 이후 발트 3국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TV3 그룹에 중계권을 이전했다.[1]

6. 국제 대회 경력

라트비아는 1922년 대표팀을 처음 구성하여 경기를 가졌으며, 1940년 소비에트 연방에 병합되면서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1991년 독립과 함께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UEFA 유로 2004 본선에는 진출하여 조별 리그에서 1무 2패를 기록, 14위를 차지했다.[19]

발트 3국이 참가하는 발틱컵에서는 13번 우승하여 이 대회 최다 우승국이다.[1] 하계 올림픽 축구 종목에서는 192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2라운드에서 탈락, 15위를 기록했다.

소련 강제 병합 시기(1940~1991)에는 소련 민족 스파르타키아드에 참가하기도 했다. 1956년 스파르타키아드에서는 FC 다우가바 리가가 라트비아 대표로 참가하여 3승 1패, 1979년 스파르타키아드에서는 1승 5패를 기록했다.

UEFA 네이션스리그에서는 2018-19 시즌 리그 D에서 4무 2패(51위), 2020-21 시즌 리그 D에서 1승 4무 1패(53위), 2022-23 시즌 리그 D에서 4승 1무 1패(50위)를 기록하며 리그 C로 승격했다.

6. 1. FIFA 월드컵

라트비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1950년부터 1990년까지는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참가하지 못했다.

라트비아의 월드컵 예선 최고 성적은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조에서 5승 2무 3패로 조 3위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라트비아가 5할 이상의 승률을 거둔 유일한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이다.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불참
1934년불참
1938년예선 탈락
1950년 ~ 1990년소련에 강제 병합
1994년 ~ 2022년예선 탈락
합계



년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불참
1934년불참
1938년32011056
1950년 ~ 1990년소련에 강제 병합
1994년120574215
1998년10316101410
2002년81165164
2006년12435182115
2010년10523181517
2014년1022610208
2018년102177187
2022년1023511149
합계751915418213072


6.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기록예선 기록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대표팀경기득점실점
1960소련의 일부소련의 일부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진출 실패104061120
2000103431312
2004조별 리그14위301215명단10622138
2008진출 실패124081517
201210325912
201610055619
202010109328
20248107519
2028미정미정
2032
합계조별 리그1/83012158022134575135


6. 3. UEFA 네이션스리그

UEFA 네이션스 리그 기록
시즌디비전경기득점실점승강순위
2018-19D160422651위
2020-21D161418453위
2022-23D1641112550위
2024-25C4진행 중
합계18594221550위



라트비아는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D에서 조지아, 안도라, 카자흐스탄과 함께 1조에 편성되어 4무 2패를 기록했다. 안도라와 승점은 같았지만 득실차에서 앞서 조 최하위는 면했다. 조지아에게 2패, 안도라와 카자흐스탄에게는 각각 2무를 거두었다.

2020-21 시즌 리그 D 1조에서는 페로 제도, 몰타, 안도라를 상대로 1승 4무 1패, 조 3위를 기록했다. 안도라와의 최종전에서 5-0 대승을 거두며 네이션스리그 첫 승을 올렸다.

2022-23 시즌 리그 D 1조에서는 몰도바, 안도라, 리히텐슈타인을 상대로 4승 1무 1패, 조 1위를 기록하며 3시즌만에 리그 C로 승격했다.

6. 4. 발틱컵

발트컵 기록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1928우승1위220040
1929준우승2위211053
1930준우승2위211065
1931준우승2위210123
1932우승1위220051
1933중단1위211032
1935준우승2위202033
1936우승1위220042
1937우승1위211062
1938준우승2위202022
1991준우승2위211031
1992준우승2위210144
1993우승1위211020
1994준우승2위210121
1995우승1위220040
19963위3위201123
1997준우승2위210122
1998준우승2위210121
2001우승1위220072
2003우승1위211021
2005준우승2위100102
2008우승1위220031
2010준우승2위202000
2012우승1위220061
2014우승1위220010
2016우승1위211021
2018우승1위211021
2020준우승2위210143
2022준우승2위210122
20243위3위210112
합계13회 우승30/30593316109151



발트 3국이 모여서 치르는 친선 대회인 발틱컵에서 라트비아는 13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준우승도 12번 차지했는데 이 기록도 역시 발트컵 대회 최다 기록이다.[1]

6. 5. 올림픽

올림픽 기록
연도결과순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선수 명단
19242라운드15위100107선수 명단
합계2라운드1/1100107


7. 선수 기록

비탈리예프 아스타피예프는 167경기에 출전하여 라트비아 선수 중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마리스 베르파코우스키스는 29골로 라트비아의 최다 득점자이다.
[14]

  • '''굵은 글씨'''는 현재 라트비아에서 활동하는 선수이다.
  • UEFA 유로 2004 참가팀

7. 1. 최다 출장 선수

[14]

순위선수출전득점기간
1비탈리예프 아스타피예프167161992–2010
2안드레이스 루빈스11791998–2011
3유리스 라이잔스113151998–2013
4이만츠 블레이델리스106101995–2007
5미하일 젬린스키스105121992–2005
6마리스 베르파코브스키스104291999–2014
7이고르 스테파노프스10041995–2011
안드리스 바닌스10002000–2019
9알렉산드르스 콜린코9401997–2015
10카스파르 고르크스8952005–2017


  •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아직 라트비아에서 활동하고 있다.

7. 2. 최다 득점 선수

wiki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아직 라트비아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순위선수출장기간
1마리스 베르파코우스키스291041999–2014
2에릭스 페테르손스24631929–1939
3비탈리스 아스타피예프스161671992–2010
4마리안스 파하르스15751996–2007
유리스 라이잔스151131998–2013
6알베르츠 세이벨리스14541925–1939
7일야 베스테르만스13231935–1938
발레리스 샤발라13532013–2019
9알렉산드르스 차우냐12452007–2015
야니스 이카우니에크스12652014–현재
미하일스 젬린스키스121051992–2005


7. 3. 해트트릭

선수대회상대팀홈/원정결과날짜
친선 경기 리투아니아6–3
1929년 발트컵 리투아니아3–1
1930년 발트컵 리투아니아원정3–3
4친선 경기 리투아니아5–2
친선 경기 리투아니아6–2
후고 비톨스친선 경기 리투아니아6–1
1938년 FIFA 월드컵 예선 리투아니아4–2


  • 4 선수가 4골을 기록

7. 4. 클린시트

순위선수경기
1안드리스 바닌스25
2알렉산드르 콜린코21
3올레그스 카라바예프스13
4라임온즈 라이잔스12
5아르비츠 유르겐스5
야니스 베브리스5
파벨스 슈테인보르스5
8야니스 클라빈슈4
로버츠 오졸스4
10안드레이스 피에델스2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라트비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이다.

8. 역대 감독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감독
국적이름재임 기간비고
유리스 레들리흐스-라이스쿰스1924
빌리 말루세크1924
월터 윌슨1925
페렌츠 몰나르1926
카를 쿠르츠1927
빌리 말루세크1929
유리스 레들리흐스-라이스쿰스1930–1931
야니스 라피니슈1932–1934
페렌츠 보겐후버1935
루돌프 슈탄첼1936–1939
칼리스 우페니에크스1940
야니스 길리스1992–1997
레바즈 조조아슈빌리1998–1999
게리 존슨1999–2001
알렉산다르스 스타르코브스2001–2004
유리예스 안드레예브스2004–2007
알렉산다르스 스타르코브스2007–2013
마리안스 파하르스2013–2017
알렉산다르스 스타르코브스2017–2018
믹수 파텔라이넨2018
슬라비샤 스토야노비치2019–2020
다이니스 카자케비치스2020–2023
파올로 니콜라토2024–현재[13]


9.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과 17일에 북마케도니아아르메니아와의 2024-25년 UEFA 네이션스 리그 C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

''2024년 11월 17일, 아르메니아와의 경기 이후의 출장 및 득점 기록이다.''

-- 골키퍼
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23리하르즈 마트레빅스Rihards Matrevics|리하르츠 마트레빅스lv1999년 3월 18일120리가 FC-2
12프렌크스 오롤스Frenks Orols|프렌크스 오롤스lv2000년 6월 26일00다우가프필스
1크리슈야니스 즈비에드리Krišjānis Zviedris|크리슈야니스 즈비에드리스lv1997년 1월 21일00아우다



-- 수비수
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4카스파르스 두브라Kaspars Dubra|카스파르스 두브라lv1990년 12월 20일663파네베지스
11로베르츠 사발니에크스Roberts Savaļnieks|로베르츠 사발니에크스lv1993년 2월 4일652RFS
14안드레이스 치가닉스Andrejs Cigaņiks|안드레이스 치가닉스lv1997년 4월 12일594루체른
13라이비스 유르코프스키스Raivis Jurkovskis|라이비스 유르코프스키스lv1996년 12월 7일490리가
5안토니야스 체르노모르디스Antonijs Černomordijs|안토니야스 체르노모르디스lv1996년 9월 26일381리가
3비탈리이스 야고딘스키스Vitālijs Jagodinskis|비탈리이스 야고딘스키스lv1992년 2월 28일340비사카
2다니엘스 발로디스Daniels Balodis|다니엘스 발로디스lv1998년 6월 10일151발미에라
21막심스 토니셰브스Maksims Toņiševs|막심스 토니셰브스lv2000년 5월 12일30발미에라
11에밀스 비르카Emīls Birka|에밀스 비르카lv2000년 4월 25일10아우다
오스카르스 비엔티에스Oskars Vientiess|오스카르스 비엔티에스lv2002년 10월 8일00메타



-- 미드필더
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16알비스 야운젬스Alvis Jaunzems|알비스 야운젬스lv1999년 6월 16일410스탈 미엘레츠
6크리스테르스 토베르스Kristers Tobers|크리스테르스 토베르스lv2000년 12월 13일371그라스호퍼
22알렉세이스 사벨리에프스Aleksejs Saveļjevs|알렉세이스 사벨리예우스lv1999년 1월 30일251아우다
8레나르스 바르슬라반스Renārs Varslavāns|레나르스 바르슬라반스lv2001년 8월 23일141발미에라
15드미트리이스 젤렌코브스Dmitrijs Zeļenkovs|드미트리이스 젤렌코우스lv2000년 5월 15일120RFS
17루카스 바프네Lūkass Vapne|루카스 바프네lv2003년 8월 31일80발미에라
19데니에스 멜르니크스Daniels Meļņiks|다니엘스 멜니크스lv2002년 9월 7일30발미에라



-- 공격수
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10야니스 이카우니에크스Jānis Ikaunieks|야니스 이카우니에크스lv1995년 2월 16일6312RFS
20로베르츠 울드르키스Roberts Uldriķis|로베르츠 울드리키스lv1998년 4월 3일558아테네 칼리테아
9블라디슬라브스 구트코브스키스Vladislavs Gutkovskis|블라디슬라우스 구트코우스키스lv1995년 4월 2일5011대전 하나 시티즌
7에두아르즈 다슈케비치스Eduards Daškevičs|에두아르츠 다슈케비치스lv2002년 7월 12일160리가
18다리오 시츠Dario Šits|다리오 시츠lv2004년 2월 4일31헬몬드 스포르트
라이몬즈 크롤리스Raimonds Krollis|라이몬츠 크롤리스lv2001년 10월 28일394트리에스티나



-- 최근 차출된 선수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최근 소집
GK로버츠 오졸스Roberts Ozols|로베르츠 오졸스lv1995년 9월 10일190키질쿰v., 2024년 9월 10일
DF비아체슬라브스 이사예브스Vjačeslavs Isajevs|뱌체슬라우스 이사옙스lv1993년 8월 23일70아우다v., 2024년 9월 10일
DF비탈리스 막시멘코Vitālijs Maksimenko|비탈리스 막시멘코lv1990년 12월 8일541아이올리코스v., 2024년 3월 26일
DF마르치스 오슈스Mārcis Ošs|마르치스 오슈스lv1991년 7월 25일271RFSv., 2024년 3월 26일
DF블라디슬라브스 소로킨스Vladislavs Sorokins|블라디슬라우스 소로킨스lv1997년 5월 10일100키질자르v., 2024년 3월 26일
FW마르코 레그자Marko Regža|마르코 레그자lv1999년 1월 20일100리가v., 2024년 9월 10일


참조

[1] 웹사이트 Jauna identitāte https://lff.lv/fanie[...] LFF 2018-10-15
[2] 웹사이트 Latvian national team history https://lff.lv/en/lf[...] LFF 2024-11-29
[3] 웹사이트 Vilks - Latvijas futbola izlases jaunā identitāte https://sports.tvnet[...] 2018-07-18
[4] 웹사이트 All Media Baltics pārraidīs visas Latvijas izlases spēles https://lff.lv/zinas[...]
[5] 웹사이트 Futbola izlases, NHL un F1 raidtiesību īpašniece "Viaplay" atstās Baltijas valstu tirgu https://sportacentrs[...] Sportacentrs 2023-07-20
[6] 웹사이트 Straumēšanas pakalpojumu sniedzējs 'Viaplay' aiziet no Baltijas tirgus https://www.delfi.lv[...] LETA
[7] 웹사이트 "Viaplay" un TV3 grupas noslēdz vienošanos Baltijas valstīs https://lff.lv/zinas[...]
[8] 뉴스 "Futbols atgriežas mājās!" – Latvijas Televīzija iegūst tiesības pārraidīt Latvijas nacionālās futbola izlases spēles UEFA rīkotajās sacensībās https://ltv.lsm.lv/a[...] 2024-09-04
[9] 웹사이트 Latvijas izlases spēles atgriežas Latvijas Televīzijā https://lff.lv/zinas[...]
[10] 웹사이트 Daugava Stadium in Riga to open at end-May after reconstruction https://www.baltic-c[...] 2018-05-15
[11] 웹사이트 'Daugava' Stadium in Rīga to get major upgrades https://eng.lsm.lv/a[...] 2023-09-28
[12] 웹사이트 «Daugavas» stadions pārtop: vieglatlēti gaida manēžu; drīz mainīs futbola zālienu un skrejceliņu https://www.lsm.lv/r[...] 2023-09-28
[13] 웹사이트 Oficiāli: Par Latvijas izlases nākamo treneri kļūst itālis Nikolato https://sportacentrs[...] 2024-02-05
[14] 웹사이트 Latvia https://www.national[...]
[15]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Latvia http://www.elorating[...] Elo Ratings
[16] 웹사이트 Jauna identitāte https://lff.lv/fanie[...] LFF 2018-10-15
[17] 웹사이트 Oficiāli: Par Latvijas izlases nākamo treneri kļūst itālis Nikolato https://sportacentrs[...] 2024-02-05
[18] 문서 라트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19]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20] 문서 라트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21] 문서 라트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22]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3]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