랴오후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랴오후이는 중국의 역도 선수로, 1997년에 역도를 시작하여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과 2013년,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이름을 알렸다.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지 약물 복용으로 인해 징계를 받았으나, 복귀 후에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6년 은퇴 후 2020년 올림픽 참가를 목표로 복귀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셴타오시 출신 - 리샤오솽
중국의 체조 선수 출신 기업인이자 가수인 리샤오솽은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며 체조 영웅으로 칭송받았고, 은퇴 후에는 스포츠 용품 회사 설립과 가수 데뷔를 통해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 셴타오시 출신 - 레이쥔
레이쥔은 1969년생으로 킹소프트 CEO, 조요닷컴 설립, 샤오미 창립, 엔젤 투자 활동, 사회 공헌 등을 한 중국의 기업인이다. - 역도 세계 기록 보유자 - 할릴 무틀루
튀르키예의 역도 선수 할릴 무틀루는 올림픽 3연패와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5회 우승을 달성했으나, 2005년 스테로이드 복용으로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역도 세계 기록 보유자 - 걸러빈 보에프스키
걸러빈 보에프스키는 불가리아 역도 선수로서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과 마약 밀수 혐의로 선수 자격 정지 및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삶은 전기 "하얀 죄수"로 출판되었다. - 중국의 도핑 위반 선수 - 쑨양
쑨양은 중국의 전직 경영 선수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도핑 관련 논란으로 인해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2024년 복귀전을 치렀다. - 중국의 도핑 위반 선수 - 뤼샤오쥔
중국의 역도 선수 뤼샤오쥔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2012년 런던 올림픽과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 생활 동안 13개의 시니어 세계 기록을 수립했으나 2022년 도핑 논란에 휩싸였다.
랴오후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87년 10월 5일 |
출생지 | 셴타오시, 후베이성, 중화인민공화국 |
신장 | 1.68m |
체중 | 69kg |
스포츠 | 역도 |
종목 | -69kg |
코치 | 위제 |
개인 최고 기록 | |
스내치 | 166kg (2014년, 세계 기록) |
용상 | 198kg (2013년, 세계 기록) |
합계 | 359kg (2014년, 세계 기록) |
메달 기록 (남자 역도) | |
올림픽 | 금메달 2008 베이징 -69kg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09 고양 -69kg 금메달 2013 브로츠와프 -69kg 금메달 2014 알마티 -69kg 실격 2010 안탈리아 -69kg |
동아시아 경기 대회 | 은메달 2009 홍콩 -69kg |
2. 선수 경력
후베이성 셴타오시 출신으로 1997년 역도를 시작하여 2000년 후베이성 역도단, 2002년 인민해방군 바이 역도단에 입단했다. 2007년 중국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그 해 중화인민공화국 도시운동회에서 주니어 세계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고, 사모아 아피아에서 열린 역도 그랑프리에서도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4]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남자 역도 69kg급에서 합계 348kg을 들어 금메달을 획득했다.[5] 이듬해인 2009년 대한민국 고양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같은 체급에서 우승했으며, 홍콩에서 열린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용상과 합계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으나, 2011년 국제 역도 연맹(IWF)은 랴오후이가 금지 약물인 볼데논과 안드로스타트리에네디온에 대한 도핑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6] 이로 인해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말소, 금메달 박탈, 선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7] 항소를 통해 징계 기간은 4년에서 2년으로 단축되었다.[8]
2013년 복귀하여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열린 201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과 합계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고,[9] 2014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과 합계 세계 신기록을 다시 경신하며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합계 359kg 기록은 싱클레어 계수 478.56점으로, 중국 역도 선수 중 최고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2015년 푸저우 IWF 그랑프리에서 우승[10]하고 2016년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으나, 2016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포기하고 그 해 7월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2016년 12월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목표로 현역 복귀했으나, 대표 선발에서 탈락한 후 다시 은퇴했다.
2. 1. 초기 경력
후베이성 셴타오시 출신으로, 1997년에 역도를 시작했다. 2000년 후베이성 역도단에 입단했고, 2002년 12월에는 인민해방군 산하의 바이 역도단 소속이 되었다. 2007년 처음으로 중국 역도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우한에서 열린 제6회 중화인민공화국 도시운동회에서 라이트급(-69kg) 금메달을 획득하며 주니어 세계 기록을 두 차례 갱신했다.[4] 이어서 사모아의 아피아에서 열린 역도 그랑프리에서 총 335kg을 들어 말레이시아의 모흐드 파에룰 탈리브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랑수아 에툰디를 누르고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2008년 4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2004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장궈정을 꺾고 우승하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그 해 8월, 자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 경기에서 인상 158kg, 용상 190kg, 합계 348kg을 기록하여 프랑스의 방셀라스 다바야와 아르메니아의 티그란 마르티로샨을 제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5]
2009년 11월 대한민국 고양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라이트급에서 합계 346kg으로 아르메니아의 아라켈 미르소얀과 인도네시아의 트리야트노를 누르고 우승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홍콩에서 열린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의 김광훈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9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용상 198kg, 합계 358kg으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으나, 2011년 11월 국제 역도 연맹(IWF)은 랴오후이가 금지 약물인 볼데논과 안드로스타트리에네디온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6] 이로 인해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기록과 금메달이 박탈되었고, 세계 기록 갱신도 취소되었다. 처음에는 4년의 선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7], 항소를 통해 2년으로 단축되었다.[8]
자격 정지 기간이 끝난 후 2013년에 복귀하여 그 해 3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9월에는 랴오닝성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에서 우승했으며, 10월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열린 201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 160kg, 용상 198kg을 들어 용상과 합계에서 세계 신기록을 달성하며 러시아의 올레크 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명혁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9] 이듬해인 2014년 11월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 166kg과 합계 359kg으로 또다시 세계 기록을 갱신하며 러시아의 첸과 이집트의 무함마드 에하브를 제치고 2연패를 달성했다. 이 대회에서 기록한 합계 359kg(체중 68.68kg)은 싱클레어 계수 478.56점으로, 당시 중국 역도 선수 중 최고 기록이었다.
2015년 9월 푸저우에서 열린 역도 그랑프리에서 우승했고, 2016년 4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그러나 2016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포기하고 그 해 7월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2016년 12월, 2020년 하계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현역에 복귀했으며,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에서 우승했으나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탈락한 후 다시 은퇴했다.
2. 2. 국제 대회 경력
랴오후이는 2007년 처음으로 중국 역도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사모아의 아피아에서 열린 역도 그랑프리를 통해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69kg급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69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그의 첫 올림픽 메달이었다.[5] 이듬해인 2009년 11월에는 대한민국 고양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69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12월 홍콩에서 열린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의 김광훈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69kg급에서 용상과 합계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으나, 2011년 11월 국제 역도 연맹(IWF)은 랴오후이가 금지 약물인 볼데논과 안드로스타트리에네디온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6] 이로 인해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은 모두 말소되었고, 금메달 박탈과 함께 세계 기록 갱신도 취소되었다. 그는 선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항소를 통해 징계 기간이 2년으로 단축되었다.[8]
징계 복귀 후 참가한 201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와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69kg급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하는 등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9] 2015년 9월에는 중국 푸저우에서 열린 IWF 그랑프리 77kg급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0]
2016년 4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2016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포기하고 그 해 7월 은퇴를 선언했으나, 12월에 2020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목표로 다시 현역으로 복귀했다.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에서 우승했지만, 올림픽 대표 선발에서 탈락한 후 최종적으로 은퇴했다.
2. 2. 1. 올림픽
랴오후이는 2008년 4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2004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 금메달리스트 장궈정을 제치고 우승하며 올림픽 대표팀 선수로 선발되었다. 그 해 8월 자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역도 69kg급에 출전하여 인상 158kg, 용상 190kg, 합계 348kg을 들어올려 금메달을 획득했다.[5] 이는 프랑스의 방셀라스 다바야와 아르메니아의 티그란 마르티로샨을 누른 결과였다.2011년 도핑 적발로 인해 2012년 9월까지 선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2012년 하계 올림픽에는 참가하지 못했다.[8]
2016년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포기하고 그 해 7월 은퇴를 선언했으나, 12월에 2020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목표로 다시 현역에 복귀했다. 그러나 올림픽 대표 선발에서 탈락한 후 다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2. 세계 선수권 대회
2009년 11월 대한민국 고양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69kg급에 참가하여 합계 346kg(인상 160kg, 용상 186kg)을 기록, 아르메니아의 아라켈 미르소얀과 인도네시아의 트리야트노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5]이듬해인 2010년 9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용상 198kg, 합계 358kg으로 당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그러나 2011년 11월, 국제 역도 연맹(IWF)은 랴오후이가 금지 약물인 볼데논과 안드로스타트리에네디온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6] 그 결과,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은 모두 말소되었고 금메달 박탈과 함께 세계 기록 갱신 역시 취소되었다. 랴오후이는 처음에는 2014년 9월 30일까지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7] 항소를 통해 출전 금지 기간이 2012년 9월까지로 단축되었다.[8]
자격 정지 징계에서 복귀한 후, 2013년 10월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열린 201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69kg급에 참가하여 인상 160kg, 용상 198kg, 합계 358kg을 기록했다. 특히 용상과 합계에서는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9] 이는 러시아의 올레크 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명혁을 누른 결과였다.
2014년 11월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69kg급에서는 인상 166kg, 용상 193kg, 합계 359kg을 기록하며 인상과 합계에서 또다시 세계 신기록을 경신했다. 러시아의 첸과 이집트의 무함마드 에하브를 제치고 2회 연속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당시 그의 기록은 싱클레어 계수 478.56으로, 중국 역도 선수 중 역대 최고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연도 | 개최지 | 체급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kg) | 순위 | ||||||
---|---|---|---|---|---|---|---|---|---|---|---|---|
1차 | 2차 | 3차 | 순위 | 1차 | 2차 | 3차 | 순위 | |||||
2009 | 고양시, 대한민국 | 69 kg | 155kg | 160kg | 1 | 186kg | – | 1 | 346kg | 금메달 | ||
2010 | 안탈리아, 튀르키예 | 69 kg | 156kg | 160kg | -- | 184kg | 198kg | – | -- | -- | 실격 (도핑) | |
2013 | 브로츠와프, 폴란드 | 69 kg | 155kg | 160kg | 1 | 186kg | 195kg | 198kg 세계 신기록 | 1 | 358kg 세계 신기록 | 금메달 | |
2014 | 알마티, 카자흐스탄 | 69 kg | 155kg | 166kg 세계 신기록 | 1 | 185kg | 193kg | – | 1 | 359kg 세계 신기록 | 금메달 |
2. 3. 도핑 논란
2010년 9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랴오후이는 남자 69kg급에 출전하여 용상에서 198kg, 합계에서 358kg을 들어 올려 두 부문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그러나 2011년 11월, 국제 역도 연맹(IWF)은 랴오후이가 금지 약물인 볼데논과 안드로스타트리에네디온에 대한 도핑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6]이 도핑 적발로 인해 국제 역도 연맹은 랴오후이의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을 실격 처리하고 금메달을 박탈했으며, 그가 세운 세계 기록 또한 무효 처리했다. 랴오후이는 당초 2014년 9월 30일까지 4년간의 선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7], 항소를 통해 첫 위반인 점이 고려되어 자격 정지 기간은 2년으로 단축되었고, 2012년 9월에 징계가 해제되었다.[8]
2. 4. 은퇴와 복귀
2010년 9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용상 198kg와 총 358kg을 들어 라이트급 세계 기록을 갱신하며 우승했으나, 2011년 11월 국제 역도 연맹은 랴오후이가 금지 약물인 볼데논과 안드로스타트리에네디온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기록은 말소되었고, 금메달 박탈과 함께 세계 기록 갱신도 취소되었다. 처음에는 선수 자격 정지 4년 처분을 받았으나, 항소를 통해 2년으로 줄어들었다.자격 정지 기간이 끝난 후 2013년에 복귀하여 그 해 3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9월에는 랴오닝성 일대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에서도 우승했다. 10월에는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열린 201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60kg, 용상 198kg을 들어 용상과 종합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러시아의 올레크 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명혁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2014년 11월,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 166kg, 용상 193kg을 기록하며 인상과 종합에서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갱신했다. 그는 러시아의 첸과 이집트의 무함마드 에하브를 제치고 2회 연속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15년 9월에는 푸저우에서 열린 역도 그랑프리에서 카자흐스탄의 키릴 파블로프와 아이다르 카조프를 꺾고 우승했다.
2016년 4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현역 생활을 이어갔으나, 2016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포기하고 그 해 7월에 은퇴를 선언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2020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목표로 현역 복귀를 선언했다.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 이후 올림픽 대표 선발 과정에서 탈락한 뒤 다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주요 성적
wikitext
연도 | 개최지 | 체급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 순위 | ||||||
---|---|---|---|---|---|---|---|---|---|---|---|---|
1차 | 2차 | 3차 | 순위 | 1차 | 2차 | 3차 | 순위 | |||||
올림픽 | ||||||||||||
2008 | 베이징, 중국 | 69 kg | 153 | 158 | 1위 | 185 | 190 | 1위 | 348 | 1위 |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9 | 고양시, 대한민국 | 69 kg | 155 | 160 | 1위 | 186 | – | 1위 | 346 | 1위 | ||
2010 | 안탈리아, 터키 | 69 kg | 156 | 160 | -- | 184 | 198 | – | -- | -- | 실격 | |
2013 | 브로츠와프, 폴란드 | 69 kg | 155 | 160 | 1위 | 186 | 195 | 198 WR | 1위 | 358 WR | 1위 | |
2014 | 카자흐스탄 알마티 | 69 kg | 155 | 166 WR | 1위 | 185 | 193 | – | 1위 | 359 WR | 1위 | |
IWF 그랑프리 | ||||||||||||
2015 | 중국 푸저우[10] | 77 kg | 160 | 170 | 1위 | 190 | 3위 | 360 | 1위 |
참조
[1]
웹사이트
Liao Hui Biography and Statistics
http://results.beiji[...]
[2]
웹사이트
Olympic weightlifting champion Liao Hui: Fewer worries, more gains_English_Xinhua
http://news.xinhuane[...]
2011-07-31
[3]
웹사이트
Liao Hui 2013 Chinese Nationals + Interview
http://www.allthings[...]
2013-03-30
[4]
웹사이트
China Plus
http://english.cri.c[...]
[5]
문서
Weightlifting at the 2008 Summer Olympics – Men's 69 kg
[6]
웹사이트
Sanctioned athletes
http://www.iwf.net/a[...]
2013-10-02
[7]
뉴스
China's Liao Hui banned for doping
https://www.espn.com[...]
(The Associated Press)
2011-11-18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tas-cas.o[...]
2013-09-27
[9]
웹사이트
2013 World Weightlifting Championships
http://www.wwc2013.p[...]
2014-01-30
[10]
웹사이트
Results By Events Old BW
https://iwf.sport/re[...]
2021-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