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은 1936년 창단된 러시아의 오케스트라이다. 모스크바 방송 교향악단을 기반으로 차이콥스키 음악원 졸업생들을 영입하여 창단되었으며, 알렉산드르 가우크,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 등이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소련 붕괴 이후 재정난을 겪었으나,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라는 이름을 추가하고, 블라디미르 유로프스키, 바실리 페트렌코 등이 수석 지휘자를 맡았다. 러시아 및 소련 작곡가의 작품을 주로 연주하며, 멜로디야 등에서 음반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음악가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은 1928년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가 창단한 러시아군의 공식 합창단으로, 군가, 민요, 오페라 아리아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독창자, 합창단, 오케스트라, 무용단으로 구성되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2016년 사고로 단원을 잃고 재편성되었다.
  • 소련의 음악가 - 모스크바 방송 차이코프스키 교향악단
    모스크바 방송 차이코프스키 교향악단은 1930년 창단된 러시아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 저명한 지휘자들을 거쳐 방송 연주와 음반 녹음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페도세예프 시대에는 독일 음악 연주 기량 향상과 백건우와의 협연으로 주목받았다.
  • 러시아의 관현악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은 1928년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가 창단한 러시아군의 공식 합창단으로, 군가, 민요, 오페라 아리아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독창자, 합창단, 오케스트라, 무용단으로 구성되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2016년 사고로 단원을 잃고 재편성되었다.
  • 러시아의 관현악단 -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는 미하일 플레트네프가 1990년에 창설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 세계적인 수준의 연주와 다양한 음반 발매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개요
해당 없음
이미지가 없습니다.
원래 이름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кадеми́ческий симфони́ческий орке́стр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мени Е. Ф. Светланова (러시아어)
The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of Russia (Svetlanov Symphony Orchestra) (영어)
별칭해당 없음
장르클래식 음악
활동 기간1936년 - 현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국가러시아
위치모스크바
현재 예술 감독필리프 치줴프스키

2. 역사

1930년 모스크바 방송 교향악단을 기반으로 1936년에 창단되었다. 창단 당시 명칭은 '''USSR 국립 교향악단'''이었으며, 소련 해체 이후 이름을 변경했다.

초대 음악 감독은 알렉산드르 가우크였으며, 에리히 클라이버가 번갈아 지휘를 맡았다. 1965년에는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가 음악 감독으로 35년간 장기 재임하며 해외에도 악단의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재정난과 스베틀라노프의 해외 활동 치중으로 인한 비판 여론이 있었고, 2000년 스베틀라노프는 해임되었다.

이후 마르크 고렌슈타인, 바실리 시나이스키가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2011년에는 블라디미르 유로프스키가 수석 지휘자를 맡았으며, 2021년부터는 바실리 페트렌코가 수석 지휘자를 맡았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활동을 중단했고, 러시아 문화부 압력으로 사임했다.

2005년, 오케스트라는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라는 명칭을 추가했으며, 현재 공식 명칭은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Evgeny Svetlanov"'이다.

2. 1. 창단과 초기 (1930년대 - 1940년대)

1930년에 창단된 모스크바 방송 교향악단을 기반으로 차이콥스키 음악원을 졸업한 우수한 기악 전공생들을 비롯한 젊은 연주자들을 대거 영입해 1936년에 창단되었다. 첫 공연은 그 해 10월 5일에 있었으며, 창단과 동시에 음악 감독으로 임명된 알렉산드르 가우크와 에리히 클라이버가 번갈아가며 지휘했다.

가우크는 1941년 사임할 때까지 악단의 연주력 향상과 러시아/소련 작품을 중심으로 한 레퍼토리 확보에 주력했고, 후임으로는 나탄 라흘린이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 직후 독소전쟁의 발발로 인해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모스크바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피난해 공연하는 등 악조건 속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종전 후 콘스탄틴 이바노프가 자리를 이어받아 본격적인 악단 재건을 시작했다.

2. 2. 전후 재건과 스베틀라노프 시대 (1940년대 후반 - 2000년)

독소전쟁 발발로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모스크바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피난해 공연하는 등 악조건 속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종전 후 콘스탄틴 이바노프가 자리를 이어받아 본격적인 악단 재건을 시작했다. 1965년에는 이바노프의 뒤를 이어 30대의 젊은 지휘자였던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가 음악 감독으로 발탁되었고, 이후 35년간 장기 재임하면서 외국 레퍼토리의 적극적인 공연과 음반 제작 등으로 해외에도 악단의 이름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1]

그러나 소련 붕괴 후에는 여타 악단들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하게 되었고, 연주 활동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힘들 정도로 악화되기도 했다. 악단 내부에서도 스베틀라노프가 해외 활동에 치중하면서 자신들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조성되었으며, 결국 스베틀라노프는 2000년에 러시아 문화성의 결정으로 음악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1] 후임으로는 마르크 고렌슈타인이 내정되어 있었으나, 고렌슈타인이 직책을 거절하면서 바실리 시나이스키가 대신 임명되었다.

2. 3. 2000년대 이후

예브게니 스베틀라노프는 2000년에 러시아 문화성의 결정으로 음악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 러시아 문화부 장관 미하일 시비드코이는 스베틀라노프가 러시아 밖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지휘하는 데 썼다고 비난하며 논란 속에 해임하였다.[1] 후임으로는 마르크 고렌슈타인이 내정되어 있었으나, 고렌슈타인이 직책을 거절하면서 바실리 시나이스키가 대신 임명되었다. 시나이스키 사임 후에는 다시 고렌슈타인이 발탁되었다.

마르크 고렌슈테인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스베틀라노프의 뒤를 이어 음악 감독을 맡았다. 2011년, 고렌슈테인은 2011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아르메니아 첼리스트 나레크 하흐나자리안에 대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켜 콩쿠르 지휘자에서 해임되었다.[2] 이후 오케스트라는 고렌슈테인의 학대 행위를 이유로 오케스트라에서 해임을 요구했다.[3] 고렌슈테인은 2011년 9월 오케스트라에서 해임되었다.

2011년 10월, 오케스트라는 블라디미르 유로프스키를 즉시 효력으로 하는 3년의 초기 계약으로 수석 지휘자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4] 유로프스키는 2021년에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직을 마쳤다.[5]

바실리 페트렌코는 2016년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 지휘자가 되었다. 2021년 1월, 오케스트라는 페트렌코를 2021년 9월 1일부터 다음 수석 지휘자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5] 2022년 3월 1일, 페트렌코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오케스트라와의 모든 활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6] 2022년 후반, 러시아 문화부의 압력으로 페트렌코는 오케스트라에 사임서를 제출했다.[7]

2005년, 오케스트라는 공식적으로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라는 이름을 추가로 얻었다. 현재 오케스트라는 영어로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Evgeny Svetlanov"'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3. 주요 활동 및 레퍼토리

창단 당시부터 소련 정부 소속 악단이었고, 스탈린 집권 시기에는 국수주의의 득세와 함께 자국 음악 연주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후 외국 작품들도 적극적으로 다루었으나, 기본적으로는 당대 소련 작곡가들의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다루어 널리 소개한다는 창단시의 방침을 유지해 왔다. 소련 국영 음반사였던 멜로디야에 녹음한 음반들도 대부분 러시아/소련 작품들이었으며, 특히 스베틀라노프가 남긴 미야스코프스키의 교향곡 전집(총 27곡)은 최초이자 현재 유일한 전곡 음반으로 남아 있다.

스베틀라노프는 이외에도 '러시아 관현악 대전집'의 완성을 목표로 차이콥스키와 프로코피에프, 스크랴빈, 스트라빈스키, 라흐마니노프 등의 작품도 적극적으로 녹음했으며, 외국 레퍼토리로는 말러의 교향곡을 녹음하기도 했다. 전임 지휘자들이었던 가우크나 이바노프도 녹음을 남겼으나, 대부분 실황 녹음들이며 소련 붕괴 후 테이프가 공개되어 음반화되고 있다. 소련 붕괴 후에는 활동이 주춤하면서 녹음 활동도 급격히 줄어들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낙소스나 일본 음반사인 포니캐년 등에서 재개하고 있다. 낙소스의 녹음들은 스베틀라노프 시대에 부지휘자를 역임했던 이고르 골롭신이나 드미트리 야블론스키 등의 지휘자들이 주로 제작하고 있다.

주요 공연장으로는 차이콥스키 음악원 대강당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차이콥스키 콘서트 홀 등 모스크바 내의 다른 공연장들도 이용하고 있다.

4. 역대 음악 감독/수석 지휘자

재임 기간이름
1936년 - 1941년알렉산드르 가우크
1941년 - 1945년나탄 라흘린
1946년 - 1965년콘스탄틴 이바노프
1965년 - 2000년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
2000년 - 2002년바실리 시나이스키
2002년 - 2011년마르크 고렌슈테인
2011년 - 2021년블라디미르 유롭스키
2021년 - 2022년바실리 페트렌코
2024년 -필리프 치제프스키


참조

[1] 뉴스 Yevgeny Svetlanov, Conductor, Dies at 73 https://www.nytimes.[...] 2002-05-06
[2] 뉴스 Israeli violinist shares top award at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http://www.haaretz.c[...] 2011-07-03
[3] 뉴스 Mutiny in the orchestra http://themoscownews[...] 2011-10-30
[4] 간행물 Vladimir Jurowski to be Artistic Director of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of Russia http://www.imgartist[...] IMG Artists 2011-10-30
[5] 간행물 Vasily Petrenko will become the Artistic Director of the Svetlanov Symphony Orchestra http://www.gaso.ru/g[...]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of the Russian Federation 2021-01-14
[6] 간행물 Statement from Vasily Petrenko https://vasilypetren[...] Vasily Petrenko Music (official website) 2023-12-25
[7] 웹사이트 Vasily Petrenko's British Values https://van-magazine[...] 2023-12-15
[8]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оркестра http://www.gaso.ru/g[...] 2023-10-02
[9]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оркестра https://www.gaso.ru/[...] 2024-09-03
[10] 웹사이트 モスクワ発 〓 スヴェトラーノフ記念ロシア国立響の芸術監督に39歳のフィリップ・チシェフスキー https://m-festival.b[...] 2024-11-07
[11] journal 西本智実も登場した プラウダ 2011-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