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계 아제르바이잔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계 아제르바이잔인은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는 러시아인 또는 러시아계 사람들을 의미한다.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남캅카스 진출과 함께 아제르바이잔에 러시아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러시아 구교도와 분파주의자들이 이주해 오면서 정착촌이 형성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숙련된 전문가들의 이주가 이어지면서 러시아인의 인구는 증가했으나, 1990년대 초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아제르바이잔-러시아 관계 악화로 인해 대규모 엑소더스가 발생하며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현재는 바쿠를 중심으로 소수의 러시아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동방 정교회를 믿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아제르바이잔 관계 - 아제르바이잔 항공 8243편 추락 사고
    아제르바이잔 항공 8243편 추락 사고는 2024년 11월 10일, GPS 방해 및 스푸핑으로 인해 카자흐스탄 아크타우 공항으로 회항하던 중 추락하여 38명이 사망하고 29명이 부상당한 사고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거주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이다.
  • 러시아계 아제르바이잔인 - 잴림 코초예프
  • 러시아계 아제르바이잔인 - 무슬림 마고마예프
    무슬림 마고마예프는 아제르바이잔 출신으로 1960-70년대 소련에서 "소비에트의 프랭크 시나트라"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은 가수, 작곡가, 배우이며, 아제르바이잔 국립 오페라 발레 극장 독창가로 활동하고 소련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러시아계 아제르바이잔인
기본 정보
아제르바이잔 무간 평원에 정착한 러시아 정착민 가족 (아마도 몰로칸일 것이다).
아제르바이잔 무간 평원에 정착한 러시아 정착민 가족 (20세기 초)
인구71,000명 (2019년 인구 조사)
거주 지역바쿠
간자
슘가이트
이스마일리
하치마즈
언어러시아어
아제르바이잔어
종교동방 정교회
관련 민족러시아 디아스포라
기타 정보
아제르바이잔 러시아 공동체 창립 기념일15주년 기념

2. 역사

아제르바이잔 내 러시아인의 역사는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남캅카스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하면서 시작되었다. 비록 1795년경 코사크 전초 기지가 레케란 근처에 세워진 적이 있으나, 본격적인 러시아 민간인의 정착은 투르크멘차이 조약 체결 이후인 1830년대부터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러시아 구교도와 종교적 소수파('분파주의자')들이 강제 이주 정책에 따라 정착했으며,[4][5][6] 이후 19세기 후반에는 러시아 정교회 신자 농민들의 자발적인 이주와 바쿠 유전 개발 붐에 따른 도시 이주가 이어지면서 러시아인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7][8][9]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산업 발달과 함께 소련 내 다른 지역에서 온 러시아인 기술자 및 전문가들의 유입이 계속되었고, 특히 바쿠, 간자, 숨가이트 등 주요 도시 지역에서 러시아인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민족 집단이 되었다.

1991년 아제르바이잔이 독립한 이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발발과 그에 따른 정치적 불안정, 경제 침체, 그리고 민족주의적 분위기 고조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러시아계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아제르바이잔 인민 전선당 집권 시기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 및 반러시아 정서는 러시아계 주민들의 대규모 이주(엑소더스)를 촉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11][18]

2. 1. 러시아 제국 시기 (1830년대~1917년)

아제르바이잔에 러시아인이 처음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투르크멘차이 조약이 체결된 이후인 1830년대에서 1850년대 사이였다. 물론 그 이전인 1795년경 코사크의 전초 기지가 레케란 근처에 세워진 적은 있었다. 1832년부터 러시아 제국 정부는 러시아 구교도 신자들과 소위 '분파주의자'로 불리던 사람들을 러시아 내륙 지방에서 남캅카스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시켰다.[4] 1830년대 중반에는 탐보프, 보로네시, 사마라 등지에서 온 러시아인들이 샤마키와 슈샤 지역에 도착하여 벨, 프리볼노예, 프리시브, 제르진노프카, 이바노프카와 같은 새로운 정착촌을 건설했다.[5][6] 초기에는 '분파주의자'들이 도시에 정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나, 나중에는 샤마키와 레케란에 거주지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고, 1859년부터는 바쿠에도 정착이 허용되었다.[6] 1897년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당시 바쿠 현에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73,632명에 달했으며,[7] 엘리자베스폴(현재의 간자) 역시 러시아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14,146명의 러시아어 사용 인구가 있었다.[8]

19세기 후반에는 러시아 유럽 지역 출신의 토지 없는 농민들을 중심으로 한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이 남캅카스로 이주하여 무단으로 정착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이러한 흐름은 1899년 4월 15일에 특별 법령이 발효되어 이주가 합법화되면서 더욱 확산되었다. 1914년 무렵에는 바쿠 현과 엘리자베스폴 현, 그리고 인접한 예레반 현의 일부 지역에 많은 러시아인들이 거주하게 되었는데, 특히 바쿠 현의 고이차이, 샤마키, 레케란 지역과 엘리자베스폴 현의 엘리자베스폴 지역에 가장 큰 규모의 러시아인 공동체가 형성되었다.[9]

도시 지역으로의 이주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바쿠는 석유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러시아 제국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였다. 바쿠의 러시아인 인구는 1897년 약 37,400명에서 1903년에는 57,000명으로 증가했으며, 1913년에는 76,300명에 이르렀다.

2. 2.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20년~1991년)

1918년 남캅카스 국가들의 독립 선언 이후 발생한 민족 간 갈등은 러시아계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제르바이잔 군대가 무간 지역에서 데니킨과 알렉산드르 콜차크를 지지하는 정치 운동 및 이후 볼셰비키 정치 운동을 진압한 후, 많은 러시아인들은 무사바트 정부가 10월 혁명 이전부터 소유했던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북캅카스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10] 이들 중 절반 미만이 1921년 무사바트 정권이 끝난 후에야 돌아왔다.[6]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시기 러시아계 정당들은 의회에 참여했으나, 1920년 아제르바이잔이 소비에트화되면서 활동이 중단되었다.

소련 시대에도 이주 경향은 계속되었는데, 소련의 다른 지역에서 온 숙련된 전문가들이 아제르바이잔, 특히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다. 1926년과 1939년 인구 조사 결과, 러시아인은 바쿠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 중 하나가 되었다. 간자에서는 1926년 러시아 인구가 8.2%를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아제르바이잔 전체 도시 인구에서 러시아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1926년 26.6%, 1939년에는 35.7%에 달했다. 아제르바이잔으로의 마지막 대규모 러시아인 이주 물결은 1949년에 관찰되었으며, 이는 바쿠 북쪽의 산업 도시인 숨가이트 개발과 관련이 있었다.

2. 3. 독립 이후 (1991년~)

1990년대 초 국민 민주 아제르바이잔 인민 전선당이 활발히 활동하고 이후 권력을 장악하면서, 아제르바이잔의 러시아계 주민들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불신감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이 시작되자 러시아계 지역 사회 단체들은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에 대해 아제르바이잔의 입장을 만장일치로 지지했다.[11]

아제르바이잔과 러시아의 관계가 악화되고 인민 전선이 반러시아 선전을 펼치면서, 아제르바이잔 내 러시아 인구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당시 아제르바이잔 주재 러시아 대사였던 발터 쇼니아에 따르면, 새로운 아제르바이잔 정부가 러시아 인구를 직접적으로 억압하는 정책을 추진하지는 않았지만, 언론과 일부 정당 지도자들은 연설에서 아르메니아가 분쟁에서 러시아의 동맹국이며, 러시아가 아제르바이잔의 새로운 독립을 위협하는 세력이라고 주장하며 민족주의적 감정을 자극했다.[11]

검은 1월 사건, 경제 침체, 아르메니아와의 전쟁, 확산되는 비관주의와 심리적 불안감, 그리고 아르메니아에서 온 아제르바이잔 난민들의 유입으로 인한 압박 등 여러 요인이 겹치면서 아제르바이잔의 러시아어 사용 인구는 대규모로 이주하기 시작했다(엑소더스). 그 결과, 1989년에 392,000명이었던 러시아 인구는 1999년에는 142,000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1999년 기준 러시아 인구의 63%는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41세로 아제르바이잔 전체 평균 연령(26-31세)보다 높았다.[18]

3. 인구

199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 인구 170만 명 중 약 12만 명(7%)이 러시아인이었다. 이는 러시아인이 바쿠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던 20세기 중반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이다.[18]

코사크를 포함한 소규모 러시아인 공동체는 숨가이트, 간자, 하치마즈, 밍게체비르, 시르반 등지에 분포해 있다. 또한, 과거 추방된 '분파주의자'나 구교도 신자들의 후손들이 이스마일리 구역의 이바노프카, 가다베이 구역의 슬라뱐카, 고렐스크, 노보이바노프카, 샤마히 구역의 추후르유르트, 기즈메이단(옛 아스트라한카), 나가라하나(옛 키로프카), 고란보이 구역의 루스 보리시 등 여러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에도 약 500명의 러시아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3. 1. 인구 변화 추이

1926[12]1939[13]1959[14]1970[15]1979[16]1989[17]1999[18]2009[19]2019[20]
220,545528,318501,282510,059475,255392,304141,700119,30071,000


4. 언어

아제르바이잔의 러시아인들은 대부분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그러나 바쿠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 방언은 아제르바이잔어의 영향을 받아 음성학, 어휘, 운율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21][22] 또한, 과거 러시아에서 이주한 특정 종교 집단('분파적' 러시아인) 후손들이 사용하는 남부 러시아 방언에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는 사라진 고대 러시아어의 흔적이 남아 있기도 하다.[23]

아제르바이잔어의 공식적인 지위가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는 여전히 수도 바쿠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러시아어로 된 정기 간행물이나 서적도 꾸준히 출판되고 있으며, 러시아어로 글을 쓰는 작가들은 '루치'라는 단체를 통해 교류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현대 아제르바이잔의 러시아계 주민들은 러시아어와 아제르바이잔어를 모두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인 경우가 많으며, 상당수가 아제르바이잔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5. 종교

바쿠에 위치한 러시아 정교회 성 미로노시츠 대성당


아제르바이잔의 러시아인 대다수는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일부 소수는 무신론자로 스스로를 밝히고 있다. 바쿠에 최초의 러시아 정교회는 1815년에 건설되었다.[24] 1905년에는 현재 바쿠 및 아제르바이잔 교구로 알려진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오늘날 5개의 하위 교회를 관할하고 있다. 바쿠 외에도 간자와 하치마즈에 러시아 정교회 교회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바쿠, 숨가이트, 셰마히에는 공식적으로 등록된 몰로칸 공동체가 존재한다.[25]

6. 저명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ommunity of Azerbaijan Celebrated 15th Anniversary https://web.archive.[...] 2011-10-29
[2] 웹사이트 Russian community of Azerbaijan https://web.archive.[...] 2011-10-29
[3] 웹사이트 https://www.stat.gov[...]
[4] 웹사이트 Russian in Azerbaijan: no problems, but with the language http://news.bbc.co.u[...] BBC Russian Service BBC 2007-07-27
[5] 웹사이트 Caucasian ethnographic collection http://www.history.a[...] www.history.az
[6] 문서 Ethnic Processes in the South Caucasus in 19th-20th centuries "Science", Moscow 1969
[7] 웹사이트 The first general census of the Russian Empire of 1897 population by mother tongue and districts of the Russian Empire except the provinces of European Russia http://demoscope.ru/[...] Demoscope
[8] 웹사이트 Первая general census of the Russian Empire of 1897 population by mother tongue and counties Russian Empire, but the provinces of European Russia http://demoscope.ru/[...] Demoscope
[9] 문서 On the resettlement of Russians in Azerbaijan
[10] 문서 Azerbaijan Democratic Republic (1918—1920). Army. [Documents and materials] Baku 1998
[11] 문서 A Year of Rule by the Popular Front of Azerbaijan Routledge 1995
[12]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26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гионам республик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3]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3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4]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5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5]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70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6]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7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7]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8] 웹사이트 Этнический состав Азербайджана (по переписи 1999 года)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19] 웹사이트 Censuses of Republic of Azerbaijan 1979, 1989, 1999, 2009 http://www.azstat.or[...] Azstat.org - The State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
[20] 웹사이트 https://www.stat.gov[...]
[21] 웹사이트 Новосиби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Областная Научная Библиотека https://web.archive.[...] 2011-10-29
[22] 뉴스 Би-би-си | Аналитика | Глава 7. Баку. Богатая событиями история http://news.bbc.co.u[...]
[23] 논문 Древнерусские формы в лексике русского островного говора Азербайджана http://www.philol.ms[...]
[24] 웹사이트 http://www.pravoslav[...]
[25] 웹사이트 Religious communities have passed state registration http://dqdk.gov.az/r[...] The State Committee of Azerbaijan for Work with Religious Organizations.
[26] 웹인용 Russian Community of Azerbaijan Celebrated 15th Anniversary http://www.centrasia[...] 2022-10-08
[27] 웹인용 Russian community of Azerbaijan https://web.archive.[...] 2011-10-29
[28] 웹인용 Новосиби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Областная Научная Библиотека https://web.archive.[...] 2011-10-29
[29] 뉴스 Би-би-си | Аналитика | Глава 7. Баку. Богатая событиями история http://news.bbc.co.u[...]
[30] 논문 Древнерусские формы в лексике русского островного говора Азербайджана http://www.philol.ms[...]
[31] 웹사이트 http://www.pravoslav[...]
[32] 웹사이트 Religious communities have passed state registration http://dqdk.gov.az/r[...] The State Committee of Azerbaijan for Work with Religious Organiz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