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알 마드리드 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알 마드리드 C는 레알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으로, 1990년에 창단되어 2015년에 해체되었다가 2022년 RSC 인터나시오날 FC를 인수하여 재창단되었다. 아마추어 시절에는 스페인 아마추어 클럽 선수권에서 8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5회, 테르세라 페데라시온에서 1회 우승을 기록했다. 이 팀은 산티아고 카니자레스, 이케르 카시야스, 라울, 구티 등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알 마드리드 C - 시우다드 레알 마드리드
시우다드 레알 마드리드는 2005년에 조성된 레알 마드리드의 훈련 시설로, 1군 선수들과 유소년 선수들뿐만 아니라 클루브 데포르티보 타콘 1군을 포함한 레알 마드리드의 모든 카테고리가 사용하며, 과거에는 시우다드 데포르티바가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쿠아트로 토레스 비즈니스 에어리어가 들어서 있다. - 마드리드의 축구단 - 라요 바예카노
라요 바예카노는 1924년 창단된 스페인 마드리드 소재의 축구 클럽으로, 승강 플레이오프 팀으로서의 역사와 UEFA컵 8강 진출이라는 성과, 강력한 팬덤과 사회 참여 활동으로 유명하지만 구단주와의 갈등 및 극우 성향 팬 논란 등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붉은색 사선 줄무늬 유니폼과 바예카스 축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마드리드의 축구단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스페인 마드리드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라리가 11회 우승, 코파 델 레이 10회 우승 등 주요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 지휘 아래 2010년대에 UEFA 유로파리그와 UEFA 슈퍼컵 우승, 라리가 우승을 달성했다. - 1952년 설립된 축구단 - 알아라비 SC (카타르)
알아라비 SC는 1952년 창단되어 카타르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축구 클럽으로, 1990년대 리그 5회 우승과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을 포함하여 국내 여러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알사드 SC, 알 라이얀 SC와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52년 설립된 축구단 - OFK 티토그라드
OFK 티토그라드는 1951년 창단되어 FK 믈라도스트에서 OFK 티토그라드로 팀명을 변경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주로 2, 3부 리그에 속했지만 몬테네그로 독립 후 1부 리그에서 우승 및 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스테반 요베티치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레알 마드리드 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클럽 정보 | |
정식 명칭 | 레알 마드리드 클루브 데 푸트볼 C |
원어 명칭 | Real Madrid Club de Fútbol C |
별칭 | RMC |
창단 | 1952년 (레알 마드리드 CF 아피시오나도스) |
재창단 | 2023년 |
해체 | 2015년 |
홈 구장 | 시우다드 레알 마드리드 |
수용 인원 | 3,000명 |
회장 | 플로렌티노 페레스 |
감독 | 알바로 고메스-레이 |
리그 정보 | |
리그 | 세군다 페데라시온 (그룹 5) |
2023-24 시즌 | 테르세라 페데라시온 7조 1위 (승격)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2. 1. 레알 마드리드 아피시오나도스 (1952년-1990년)
레알 마드리드의 아마추어 팀이었던 레알 마드리드 아피시오나도스는 1960년대에 스페인 아마추어 클럽 선수권에서 6연패를 달성했으며, 11년 동안 8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1970-71 시즌에는 아마추어 챔피언으로서 코파 델 헤네라리시모에 출전하여 2회전에서 패했지만, 1회전에서 패한 풀스 울트라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6-87 시즌 코파 델 레이에서는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가 1회전에서 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아피시오나도스는 5회전(16강)까지 진출했다. 국내 리그에서는 1981년에 프레페렌테 카스티야나(5부 상당, 주 1부)에서 테르세라 디비시온 (4부 상당)으로 승격했다. 1984-85 시즌에는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지만, 프로모시온 데 아센소 출전을 포기했다.2. 2. 레알 마드리드 C (1990년-2015년)
스페인 왕립 축구 협회로부터 리저브 자격을 얻은 후, 1990년에 아마추어 팀에서 레알 마드리드 C로 이름을 바꾸었다.[12] 1990-91 시즌엔 소속 그룹에서 우승했으나 2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거두었다.[12] 2년 후, 세군다 디비시온 B 승격에 성공하였다.[12] 1997년에는 레알 마드리드 B가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디비시온 B로 강등됨에 따라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복귀하기도 했다.[12] 2005-06 시즌에는 원정 다득점에 따라 한 골 차이로 CD 기예르모에게 승격 기회를 내줬다.[12] 이후 구단주인 플로렌티노 페레스의 유스팀 개편 정책에 따라 2014-15 시즌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12]2022년, 레알 마드리드는 RSC 인터나시오날 FC와 2022–23 테르세라 페데라시온에 이 팀을 C팀으로 만들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13] 2023-24 시즌에는 레알 마드리드 C가 다시 활동 상태로 돌아와 RSC 인터나시오날의 자리를 리그에서 차지했다.[14]
2. 3. RSC 인테르나시오날 인수 및 재창단 (2022년-현재)
1990년 스페인 왕립 축구 협회로부터 리저브 자격을 얻은 후, 아마추어 팀에서 레알 마드리드 C로 이름을 바꾸었다.[12] 1990-91 시즌엔 소속 그룹에서 우승하나 2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거두었고, 2년 후 세군다 디비시온 B 승격에 성공하였다.[12] 1997년에는 레알 마드리드 B가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디비시온 B로 강등됨에 따라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복귀하기도 했다.[12] 2005-06 시즌에는 원정 다득점에 따라 한 골 차이로 CD 기예르모에게 승격 기회를 내줬다.[12] 이후 구단주인 플로렌티노 페레스의 유스팀 개편 정책에 따라 2014-15 시즌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12]2022년, 레알 마드리드는 RSC 인테르나시오날 FC와 2022-23 시즌 테르세라 페데라시온부터 인테르나시오날을 레알 마드리드 C팀으로 만드는데 합의하였다.[13] 인테르나시오날은 당해 시즌에 법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레알 마드리드의 독립적인 팀으로 활동하였다.[13] 국제 축구 연맹(FIFA)은 각 클럽의 임대 이적 제한을 발표했는데, 2022년 7월부터 한 클럽당 한 시즌에 임대로 내보낼 수 있는 선수는 최대 8명, 임대로 영입할 수 있는 선수도 최대 8명으로 제한하고, 2024년까지 순차적으로 인원을 줄여나갈 방침을 발표했다. 이를 받아들인 레알 마드리드 수뇌부는 후베닐 A(U-18)에서 카스티야로의 승격은 이루지 못했지만, 더 큰 성장을 기대하는 선수들을 위한 팀으로 C팀 부활 방침을 결정했다. 2023-24 시즌부터는 레알 마드리드 C가 인테르나시오날의 리그 자리를 대신하며 다시 리그에 참가하였다.[14]
3. 수상
- '''테르세라 디비시온 우승'''
::'''우승 (5):''' 1984–85, 1990–91, 1991–92, 1998–99, 2005–06
- '''테르세라 페데라시온'''
::'''우승 (1):''' 2023–24
- '''코파 데 라 리가'''
::'''우승 (1):''' 1982–83 (''테르세라 디비시온 코파 데 라 리가'')
::'''우승 (8):''' 1959–60,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9–70
::'''우승 (2):''' 2002–03[10], 2007-08[11]
3. 1. 레알 마드리드 아피시오나도스
레알 마드리드 아피시오나도스는 1959-60 시즌부터 1969-70 시즌까지 캄페오나투 데 에스파냐 데 아피시오나도스에서 8번 우승하였다. 1982-83 시즌에는 코파 데 라 리가 데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는 1984-85 시즌, 1990-91 시즌, 1991-92 시즌, 1998-99 시즌, 2005-06 시즌에 우승하였다.1970-71 시즌에는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2라운드에 진출했다. 1973-74 시즌부터 1980-81 시즌까지는 프레페렌테 리그에서 활동하였으며, 최고 성적은 1980-81 시즌의 2위이다. 1981-82 시즌부터 1989-90 시즌까지는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활동하였으며, 1984-85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코파 델 레이에서는 1983-84 시즌부터 1985-86 시즌까지 3시즌 연속 1라운드에서 탈락했고, 1986-87 시즌에는 16강까지 진출하였다.
시즌 | 단계 | 리그 | 순위 | 코파 델 레이 |
---|---|---|---|---|
1973-74 | 4 | 1º 프레페렌테 | 6위 | — |
1974-75 | 4 | 1º 프레페렌테 | 8위 | — |
1975-76 | 4 | 1º 프레페렌테 | 13위 | — |
1976-77 | 4 | 1º 프레페렌테 | 9위 | — |
1977-78 | 5 | 1º 프레페렌테 | 3위 | — |
1978-79 | 5 | 1º 프레페렌테 | 4위 | — |
1979-80 | 5 | 1º 프레페렌테 | 8위 | — |
1980-81 | 5 | 1º 프레페렌테 | 2위 | — |
1981-82 | 4 | 3ª | 7위 | 불참 |
1982-83 | 4 | 3ª | 7위 | 불참 |
1983-84 | 4 | 3ª | 2위 | 1R |
1984-85 | 4 | 3ª | 1위 | 1R |
1985-86 | 4 | 3ª | 4위 | 1R |
1986-87 | 4 | 3ª | 8위 | 5R |
1987-88 | 4 | 3ª | 10위 | 불참 |
1988-89 | 4 | 3ª | 4위 | 불참 |
1989-90 | 4 | 3ª | 5위 | — |
3. 2. 레알 마드리드 C
레알 마드리드 C는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5회 (1984-85, 1990–91, 1991–92, 1998–99, 2005–06) 우승했고, 1982-83 시즌에는 코파 데 라 리가 데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다. 또한 캄페오나투 데 에스파냐 데 아피시오나도스에서 8회 (1959–60,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9–70) 우승, 코파 데 코무니다드에서 2회 (2002-03, 2007-08) 우승을 차지했다.레알 마드리드 C는 1990-91 시즌부터 1992-93 시즌까지 3ª에서 각각 1위, 1위, 2위를 기록했고, 1993-94 시즌부터 1996-97 시즌까지는 2ªB에서 7위, 13위, 9위, 13위를 기록했다. 1997-98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는 다시 3ª에서 활동하며 1998-99 시즌 1위를 포함해 여러 차례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2012-13 시즌과 2013-14 시즌에는 2ªB에서 각각 5위와 9위를 기록했고, 2014-15 시즌에는 3ª에서 9위를 기록했다.
2015년부터 2023년까지 해체되었다가 2023-24 시즌 3ª에 참가하여 1위를 기록하였고, 2024-25시즌에는 2ª Fed.에서 플레이할 예정이다.
레알 마드리드 C는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6시즌, 세군다 페데라시온에서 1시즌,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28시즌, 테르세라 페데라시온에서 1시즌, 프리메라 레히오날 프리페렌테에서 8시즌을 보냈다. 코파 델 레이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4. 역대 감독
wikitable
감독 | 임기 |
---|---|
토니 그란데/토니 그란데es | 1989–1996 |
후안 마르틴 델가도/후안 호세 마르틴 델가도es | 1996–1997 |
미겔 앙헬 포르투갈/미겔 앙헬 포르투갈es | 1997 |
파코 에르난데스/프란시스코 에르난데스 가르시아es | 1997–1999 |
파코 부요/프란시스코 부요es | 1999–2000 |
호세 아우렐리오 가이/호세 아우렐리오 가이es | 2000–2002 |
호세 마누엘 디아스/호세 마누엘 디아스 페르난데스es | 2002–2003 |
파코 부요/프란시스코 부요es | 2003–2004 |
아브라함 가르시아/아브라함 가르시아es | 2004–2007 |
호세 마리아 살메론/호세 마리아 살메론es | 2007–2008 |
안토니오 디아스 카를라빌라/안토니오 디아스 카를라빌라es | 2008–2009 |
알베르토 토릴/알베르토 토릴es | 2009 |
마놀로 디아스/호세 마누엘 디아스es | 2009–2013 |
호세 아우렐리오 가이/호세 아우렐리오 가이es | 2013–2015 |
파우 케사다/파우 케사다es | 2023–2024 |
알바로 고메스-레이/알바로 고메스-레이es | 2024– |
5. 선수
wikitext
현역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6]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한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2024년 8월 30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페란 케트글라스 | |
2 | DF | 알레한드로 모야 | |
3 | DF | 알프레도 소트레스 | |
4 | DF | 하이메 카예하 | |
5 | MF |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 |
6 | MF | 크리스티안 페레아 | |
7 | FW | 바바 디오쿠 | |
8 | MF | 미겔 로메라 | |
9 | FW | 앙헬 카르바할 | |
10 | MF | 브루노 이글레시아스 | |
11 | MF | 우고 데 야노스 | |
12 | DF | 아시에르 데 카스트로 | |
13 | GK | 세르히오 메스트레 | |
14 | DF | 알렉스 페레스 | |
15 | DF | 키케 리베스 | |
16 | MF | 폴 포르투니 | |
17 | MF | 니코 산체스 | |
18 | MF | 다니 메소 | |
19 | FW | 야코보 오르테가 | |
20 | DF | 마누 세라노 | |
21 | MF | 조안 마스카로 | |
22 | FW | 알바로 기네스 | |
25 | GK | 기예 수니코 | |
26 | DF | 에마누엘 벤하민 | |
27 | DF | 멜빈 우크페이그베 | |
28 | MF | 알렉스 산체스 | |
29 | DF | 마리오 리바스 | |
30 | MF | 카를로스 디에스 | |
31 | GK | 일리야 볼로신 | |
32 | MF | 베토 마르티네스 | |
33 | GK | 하비에르 나바로 | |
34 | DF | 오스카르 메사 | |
35 | FW | 카를로스 무뇨스 | |
36 | DF | 빅토르 발데페냐스 | |
38 | DF | 헤수스 포르테아 | |
39 | MF | 아이마르 산티아고 | |
40 | MF | 호르헤 세스테로 | |
42 | MF | 에릭 바스케스 | |
44 | MF | 이그나시오 가스콘 | |
FW | 알렉스 알레만 | ||
FW | 예레이 란차 | ||
MF | 마누 마르케스 |
5. 1. 주요 배출 선수
레알 마드리드 C에서 주요 선수로 성장한 대표적인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포지션 | 선수 | 레알 마드리드 C 활동 기간 |
---|---|---|
GK | 산티아고 카니자레스 | 1988–89 |
GK | 이케르 카시야스 | 1998–99 |
GK | 디에고 로페스 | 2000–03 |
GK | 키코 카시야 | 2004–06 |
GK | 안토니오 아단 | 2004–06 |
GK | 토마스 메히아스 | 2007–10 |
GK | 페르난도 파체코 | 2011–13 |
DF | 라파엘 베니테스 | 1978–79 |
DF | 알베르토 마르코스 | 1993 |
DF | 호세 가르시아 칼보 | 1994–95 |
DF | 로베르토 로하스 | 1994–95 |
DF | 마누엘 테나 | 1997–98 |
DF | 프란시스코 파본 | 1998–2000 |
DF | 오스카르 미냠브레스 | 1999–2000 |
DF | 라울 브라보 | 2000–01 |
DF | 알바로 메히아 | 2001–02 |
DF | 알바로 아르벨로아 | 2002–03 |
DF | 미겔 토레스 | 2005–06 |
DF | 다비드 마테오스 | 2006–07 |
DF | 디에고 요렌테 | 2012–13 |
DF | 마리오 에르모소 | 2014–15 |
DF | 필리프 리엔하르트 | 2014–15 |
DF | 알바로 테헤로 | 2015 |
MF | 안토니오 고메스 | 1993–94 |
MF | 하이메 | 1993–94 |
MF | 알바로 베니토 | 1994–95 |
MF | 구티 | 1994–95 |
MF | 빅토르 산체스 | 1994–95 |
MF | 알베르토 리베라 | 1995–96 |
MF | 페르난도 | 1997–99 |
MF | 훌리오 알바레스 | 1999–2000 |
MF | 마르코스 테바르 | 2003–05 |
MF | 보르하 발레로 | 2004–05 |
MF | 에스테반 그라네로 | 2004–06 |
MF | 페드로 모스케라 | 2006–07 |
MF | 오마르 마스카렐 | 2012–13 |
MF | 알바로 메드란 | 2012–14 |
MF | 하비에르 무뇨스 | 2014 |
MF | 엔조 페르난데스 | 2014–15 |
FW | 빅토르 | 1993 |
FW | 라울 | 1994 |
FW | 이르루순 | 1994–96 |
FW | 미스타 | 1996–97 |
FW | 다비드 아간소 | 1999–2000 |
FW | 하비에르 발보아 | 2004–05 |
FW | 호세 카예혼 | 2006–07 |
FW | 후안카를로스 | 2008–09 |
FW | 로드리고 | 2009 |
FW | 루카스 바스케스 | 2010–11 |
FW | 라울 데 토마스 | 2012–13 |
FW | 마리아노 디아스 | 2012–14 |
'''굵은 글씨'''는 레알 마드리드 1군 팀 출전 경험이 있는 선수이며, ''이탤릭체''로 표시된 선수는 프리메라리가에서 뛴 적이 없는 선수이다.
5. 2. 현역 선수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6] 2024년 8월 30일 기준 선수명단.[6]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1 | MF | 우고 데 라노스 | 스페인 |
1 | GK | 페란 케트글라스 | 스페인 |
2 | DF | 알레한드로 모야 | 스페인 |
3 | DF | 알프레도 소트레스 | 스페인 |
4 | DF | 하이메 카예하 | 스페인 |
5 | MF |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 스페인 |
6 | MF | 크리스티안 페레아 | 스페인 |
7 | FW | 바바 디오쿠 | 스페인 |
8 | MF | 미겔 로메라 | 스페인 |
9 | FW | 앙헬 카르바할 | 스페인 |
10 | MF | 브루노 이글레시아스 | 스페인 |
11 | MF | 우고 데 야노스 | 스페인 |
12 | DF | 아시에르 데 카스트로 | 스페인 |
13 | GK | 세르히오 메스트레 | 스페인 |
14 | DF | 알렉스 페레스 | 스페인 |
15 | DF | 키케 리베스 | 스페인 |
16 | MF | 폴 포르투니 | 스페인 |
17 | MF | 니코 산체스 | 스페인 |
18 | MF | 다니 메소 | 스페인 |
19 | FW | 야코보 오르테가 | 스페인 |
20 | DF | 마누 세라노 | 스페인 |
21 | MF | 조안 마스카로 | 스페인 |
22 | FW | 알바로 기네스 | 스페인 |
25 | GK | 기예 수니코 | 스페인 |
28 | MF | 알렉스 산체스 | 스페인 |
26 | DF | 에마누엘 벤하민 | 이탈리아 |
27 | DF | 멜빈 우크페이그베 | 스페인 |
29 | DF | 마리오 리바스 | 스페인 |
30 | MF | 카를로스 디에스 | 스페인 |
31 | GK | 일리야 볼로신 | 우크라이나 |
32 | MF | 베토 마르티네스 | 스페인 |
33 | GK | 하비에르 나바로 | 스페인 |
34 | DF | 오스카르 메사 | 스페인 |
35 | FW | 카를로스 무뇨스 | 스페인 |
36 | DF | 빅토르 발데페냐스 | 스페인 |
38 | DF | 헤수스 포르테아 | 스페인 |
39 | MF | 아이마르 산티아고 | 스페인 |
40 | MF | 호르헤 세스테로 | 스페인 |
42 | MF | 에릭 바스케스 | 스페인 |
44 | MF | 이그나시오 가스콘 | 스페인 |
FW | 알렉스 알레만 | 스페인 | |
FW | 예레이 란차 | 스페인 | |
MF | 마누 마르케스 | 스페인 |
참조
[1]
웹사이트
Real Madrid disbanding C team will have repercussions for development
http://www.espn.co.u[...]
ESPN
2017-11-09
[2]
뉴스
So long, Real Madrid C
http://www.marca.com[...]
Marca
2017-11-09
[3]
웹사이트
El Real Madrid C ya es un hecho
https://www.marca.co[...]
Marca (newspaper)
2022-08-17
[4]
웹사이트
Pretemporada 23/24 {{!}} El Real Madrid C es una realidad
https://madridistare[...]
Madridista Real
2023-08-25
[5]
RSSSF
Spain – Amateur Champions (Campeonato de España Amateur) 1930-1987
https://www.rsssf.or[...]
RSSSF
2020-05-20
[6]
웹사이트
Real Madrid C
https://www.realmadr[...]
Real Madrid Club de Fútbol
2024-07-01
[7]
Goal.com
レアル・マドリー、下部組織スタッフの訴え空しくCチームを解体へ
http://www.goal.com/[...]
Goal.com
2015-05-30
[8]
FOOTBALL ZONE
レアル中井卓大、トップ昇格は可能?困難? 8カテゴリーステップアップで高まる期待…“成功者”少数の厳しい現実も
https://www.football[...]
FOOTBALL ZONE
2022-09-29
[9]
문서
コパ・フェデラシオンの予備予選としての大会。
[10]
문서
コパ・フェデラシオンでは予選で[[レアル・アビラCF]]に敗れた。
[11]
문서
コパ・フェデラシオンでは2回戦で[[SSレジェス]]に敗れた。
[12]
뉴스
Real Madrid disbanding C team will have repercussions for development
http://www.espnfc.co[...]
ESPNFC.com
2017-04-17
[13]
웹인용
El Real Madrid C ya es un hecho
https://www.marca.co[...]
마르카 (신문)
2023-09-05
[14]
웹인용
Pretemporada 23/24 {{!}} El Real Madrid C es una realidad
https://madridistare[...]
Madridista Real
2023-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