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피라 (렝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렘피라는 16세기 스페인 식민 시대에 저항한 렝카족의 수장이다. 렝카어에서 "산의 영주"를 의미하며, 200개 이상의 마을에서 3만 명의 병사를 지휘하며 스페인에 저항했다. 1537년 세르킨 전투에서 스페인군에 의해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한 두 가지 설이 존재한다. 온두라스에서는 렘피라를 기념하여 통화와 주 이름에 사용하고 있으며, 소설과 영화의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두라스의 역사 -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
중앙아메리카 대공화국은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가 외교 주권 행사를 위해 결성한 정치적 실체였으나, 엘살바도르 쿠데타로 1898년 해산되며 중앙아메리카 연합을 만들려는 마지막 성공적인 시도로 남았다. - 온두라스의 역사 - 중앙아메리카 연방공화국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은 현재의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지역에 1823년부터 1840년까지 존재했던 독립 국가로, 자유주의적 가치를 바탕으로 정치적 통합과 경제 발전을 추구했으나 내부 갈등과 외부 간섭으로 붕괴되었다. - 1537년 사망 -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사생아로 피렌체의 첫 번째 세습 공작(1532-1537)이었으며, 어두운 피부색으로 "일 모로"라는 별명을 얻었고, 1530년 권력을 되찾아 피렌체 공작으로 임명되었으나 사촌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암살당했다. - 1537년 사망 - 폐비 신씨
폐비 신씨는 연산군의 왕비였으나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었고,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5남 3녀를 두었으며, 폐위 후 거창군부인으로 강등되어 중종의 배려 속에 한양에서 여생을 보냈다.
렘피라 (렝카족)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렘피라 |
통치 | |
직위 | 렝카족의 족장 |
통치 지역 | 온두라스 서부 |
통치 기간 | ? – 1537년 |
생애 | |
출생 | 1499년 |
사망 | 1537년 |
사망 장소 | 코르킨 |
사망 원인 | 암살 (총상) |
2. 명칭의 어원
호르헤 라르데 이 라린은 '렘피라'라는 이름이 렝카어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렝카어에서 'lempa'는 계층을 나타내는 칭호로 "영주"를 의미하고, 'i'는 "~의", 'era'는 "언덕 또는 산"을 뜻한다. 따라서 렘피라는 "산의 영주" 또는 "언덕의 영주"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1]
스페인의 역사가 안토니오 데 에레라 이 토르데시야스의 기록에 따르면, 렘피라는 렝카족의 한 분파인 카레스파(Cares派)의 수장 엔티피카(Entipica)에 의해 임명된 전쟁 지도자였다. '렘피라'라는 이름은 렝카어로 '산의 지배자' 또는 '언덕의 지배자'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전해진다.
한편, 스페인의 역사가 안토니오 데 에레라 이 토르데시야스는 그의 저서 《카스티야인의 일반적 사실》(Historia general de los hechos de los castellanos)에서 "렘피라"가 '산의 지배자' 또는 '언덕의 지배자'라는 뜻을 갖고 있다고 기록했다.[2]
3. 생애
1530년대 스페인 제국의 침략이 거세지자, 렘피라는 1537년 온두라스 지역에서 광범위한 원주민 봉기를 이끌며 스페인 지배에 저항했다. 그는 현재 렘피라 주에 위치한 세르킨 암벽(Cerquin)을 거점으로 삼아, 200개 이상의 마을에서 모인 3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지휘하며 강력한 저항 세력을 구축했다고 알려져 있다.
총독 프란시스코 데 몬테호의 지시를 받은 스페인군은 세르킨 암벽에서 렘피라를 공격했으나, 렘피라는 요새화된 언덕으로 후퇴하여 수개월 동안 끈질기게 항전했다. 렘피라의 최후에 대해서는 스페인 측의 기록과 다른 주장이 존재하며, 이는 아래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3][4]
3. 1. 렘피라의 죽음에 대한 두 가지 설
렘피라의 죽음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주요 기록이 전해진다.
첫 번째는 스페인의 역사가 안토니오 데 에레라 이 토르데시야스가 남긴 기록이다. 이 기록에 따르면, 렘피라는 스페인군과의 대화를 위해 유인되었고, 이때 숨어 있던 병사가 쏜 아르케부스(화승총)에 맞아 사망했다고 한다. 이 내용은 오랫동안 온두라스의 공식적인 역사로 여겨져 왔다.[3]
두 번째는 1980년대 온두라스의 역사가 마리오 펠리페 마르티네스 카스티요가 발견한 1558년 문서 ''메리토스 이 서비스: 로드리고 루이즈, 누에바 에스파냐''(es)에 근거한 것이다. 이 문서에서 스페인 정복자 로드리고 루이스는 자신이 직접 전투 중에 렘피라를 죽이고 목을 베었다고 주장했다.[4]
이 두 기록은 렘피라의 최후에 대한 상반된 설명을 제공한다.
3. 1. 1. 안토니오 데 에레라의 기록
스페인의 역사가 안토니오 데 에레라 이 토르데시야스(Antonio de Herrera y Tordesillas, 1549년 ~ 1626년)는 그의 저서 《Historia general de los hechos de los castellanos|카스티야인의 일반적 사실es》(1626년 세비야에서 출판)에서 렘피라에 대해 기록했다. 이 기록에 따르면, 렘피라는 렝카족의 한 분파인 카레스파(Cares派)의 수장 엔티피카(Entipica)에 의해 임명된 전쟁 대장이었다. 에레라는 '렘피라'라는 이름이 렝카어로 "산의 지배자" 또는 "언덕의 지배자"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며, 그가 200개 이상의 렝카 마을에서 온 30,000명 이상의 병사를 지휘했다고 적었다. 1537년 당시 온두라스에서는 광범위한 원주민 봉기가 있었으며, 카레스파는 스페인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던 주요 세력 중 하나였다.
1537년, 스페인 총독 프란시스코 데 몬테호(Francisco de Montejo)의 지시에 따라 스페인군은 현재 렘피라 주에 위치한 세르킨 암벽(Cerquin)에서 렘피라를 공격했다. 에레라의 기록에 따르면, 렘피라는 요새화된 언덕 위로 후퇴하여 수개월 동안 스페인군에 맞서 저항했다. 스페인군은 렘피라를 대화로 유인했고, 이때 숨어 있던 스페인 병사가 아르케부스(화승총)를 발포하여 렘피라를 사살했다. 에레라는 렘피라가 죽자 렝카족이 항복했다고 기록했다. 이 내용은 온두라스의 학교에서 가르치는 공식적인 역사 이야기이다.[3]
3. 1. 2. 로드리고 루이스의 기록
1980년대 온두라스의 역사가 마리오 펠리페 마르티네스 카스티요(Mario Felipe Martínez Castillo)는 1558년 멕시코 시티에서 작성된 ''메리토스 이 서비스: 로드리고 루이즈, 누에바 에스파냐''(es)라는 문서를 발견하면서 렘피라의 죽음에 대한 기존의 통설과는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이 문서는 세비야의 인디아스 일반 문서 보관소(Archivo General de Indias)에 보관되어 있으며(Patronato 69 R.5),[3] 프란시스코 데 몬테호 휘하에서 온두라스 정복에 참여했던 로드리고 루이스(Rodrigo Ruiz)가 자신의 공적을 기록한 것이다.
루이스는 스페인 국왕에게 자신의 공적을 인정받아 연금을 받기 위해 이 문서를 작성했으며, 여기에는 자신이 직접 렘피라를 죽였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루이스는 문서에서 증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확인을 요청했다:
"...내가 그의 머리를 자른 후, 그들은 물러났고 4일 이내에 우리는 그들의 모든 마을을 장악했으며, 그들은 당신의 폐하께 복종했으며, 그들이 그렇게 할 의무가 있었다... 그리고 나중에 우리는 그라시아스 아 디오스 마을을 세웠다. 그들에게 그들이 아는 것을 말하고, 내가 그 전쟁에서 봉사했다는 것이 사실인지, 그 모든 시간 동안, 나 자신, 나의 무기, 나의 말을 가지고 내 비용으로 봉사했고, 그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는 것을 물어보라."[4]
이 100페이지 분량의 문서에는 루이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인들의 증언이 포함되어 있으며, 루이스는 자신의 공적에 대한 대가로 1000페소의 연금을 요청했다.
현대의 렝카족 구전 역사에는 렘피라가 스페인 군복을 입으면 총알에 맞지 않을 것이라 믿었으며, 매복이 아닌 전투 중에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이는 루이스의 기록과 일부 일치하는 면을 보여준다.
4. 문화적 유산
1931년, 온두라스 정부는 렘피라의 위업을 기려 자국의 통화 단위를 렘피라로 변경했다. 1943년에는 그라시아스 주를 렘피라주로 개칭했다.
1957년, 온두라스의 소설가 라몬 아마야 아마도르는 렘피라를 소재로 한 소설 《산의 지배자》(El señor de la sierra|엘 세뇨르 데 라 시에라spa)를 발표했다. 2016년에는 이 소설과 같은 제목으로 렘피라를 다룬 영화 제작이 발표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Beginning
http://peacecorpsexp[...]
Peace Corps, Colombia
2013-01-14
[2]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Volume 1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서적
Los Últimos Días de Lempira: Rodrigo Ruiz, El conquistador Español que lo venció en combate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Editorial Universitaria
[4]
웹사이트
Meritos y Servicios Rodrigo Ruiz, Nueva España
http://pares.mcu.es/[...]
Ministerio de Cultura
2013-01-14
[5]
웹사이트
Honduran Lempira
http://famouswonders[...]
2013-02-11
[6]
웹사이트
Coloal Mine, Lempira Department, Honduras
http://www.mindat.or[...]
Mindat.org
2013-02-11
[7]
서적
El señor de la sierra
https://books.google[...]
Carlos Raúl Amaya Fúnez
[8]
서적
Los Últimos Días de Lempira: Rodrigo Ruiz, El conquistador Español que lo venció en combate
Universidad Nacional Autonama, Editorial Universitaria
[9]
웹사이트
Meritos y Servicios Rodrigo Ruiz, Nueva España
http://pares.mcu.es/[...]
Ministerio de Cultura
2013-01-14
[10]
웹사이트
Honduran Lempira
http://famouswonders[...]
2013-02-11
[11]
웹사이트
Coloal Mine, Lempira Department, Honduras
https://www.mindat.o[...]
Mindat.org
2013-02-11
[12]
서적
El señor de la sierra
https://books.google[...]
Carlos Raúl Amaya Fúne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