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3세는 1390년부터 1406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한 국왕이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2세의 아들로, 본래 존이라는 세례명을 사용했으나 왕위에 오르면서 로버트 3세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실질적인 권력은 동생인 올버니 공작 로버트 스튜어트에게 있었으며, 장남 데이비드 스튜어트(로스시 공작)와 셋째 아들 제임스 스튜어스(제임스 1세)를 둘러싼 정치적 암투가 벌어졌다. 로버트 3세는 아들 제임스를 프랑스로 피신시키려 했으나 잉글랜드에 포로로 잡히면서, 그의 통치는 불안정하게 마무리되었다. 그는 1406년 사망하여 페이즐리 수도원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릭 백작 - 로버트 1세
    로버트 1세는 1274년에 태어나 1329년에 사망한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1306년 왕위에 올라 독립 왕국을 건설했으며, 배넉번 전투 승리와 에든버러-노샘프턴 조약을 통해 독립을 확고히 했다.
  • 캐릭 백작 - 제임스 1세 (스코틀랜드)
    제임스 1세는 1394년에 태어나 1406년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지만 잉글랜드에 인질로 억류되었고, 돌아와 왕권 강화를 시도하다가 1437년 암살당했으며, 시와 음악에도 능했다.
  • 스코틀랜드의 왕자 -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제임스 2세의 아들로, 가톨릭 신앙 때문에 명예혁명의 원인이 되었고, 아버지의 폐위 후 영국 왕위 계승을 주장하며 여러 차례 왕위 획득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로마에서 망명 궁정을 운영했다.
  • 스코틀랜드의 왕자 -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1594년 스코틀랜드 왕족으로 태어나 1610년 웨일스 공이 된 헨리 프레더릭은 제임스 6세의 장남으로 로테세이 공작, 콘월 공작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학문, 스포츠, 예술에 능했으나 18세에 장티푸스로 사망했다.
로버트 3세

2. 생애 초기

존 스튜어트는 1337년경 스코틀랜드의 스튜어드 로버트와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뮤어 사이에서 태어났다.[12] 로버트 스튜어트와 엘리자베스 뮤어는 1336년에 전통적인 결혼 방식으로 결혼했으나, 교회법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아 1349년에 교황 클레멘스 6세의 특별 허가를 받아 다시 결혼했다.[14] 존과 그의 형제자매들은 부모의 두 번째 결혼으로 적법하게 되었다.[14]

1350년대에 존은 애넌데일 영주령에서 잉글랜드에 맞선 작전의 사령관으로 처음 기록되었다.[15] 1363년, 존은 아버지와 함께 데이비드 2세에 대항하는 반란에 가담했으나 실패했다. 반란의 이유는 복합적이었는데, 데이비드 2세가 스튜어트 가문의 영토에 대한 다른 귀족들의 권리를 지지하고, 스트래스언 백작령에서 드럼몬드 가문의 이권을 옹호했기 때문이다.[16]

1367년, 존은 애솔 백작령을 양도받았고, 아나벨라 드럼몬드와 결혼했다.[18] 1368년, 존과 아나벨라는 캐릭 백작령을 받았고, 존은 왕위 계승 유력 후보로 인정받았다.[19]

1371년 데이비드 2세가 사망하고 로버트 2세가 즉위하면서 존은 왕위 계승자로 공식 지명되었다. 1373년 의회는 국왕의 각 아들이 어떻게 왕위를 상속받을 수 있는지 정의하는 제한을 통과시켜 스튜어트 왕위 계승을 더욱 강화했다.[23]

미래의 로세이 공작인 아들 데이비드는 1378년에 태어났다. 1381년, 캐릭은 자신을 ''"변방의 중위"''라고 칭했다.[22]

1384년, 로버트 2세의 통치 방식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면서, 국왕을 대신하여 캐릭에게 통치 권한을 부여하기로 결정되었다.[28][29][30]

1385년, 스코틀랜드 군대는 잉글랜드 북부를 침투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고, 리처드 2세의 보복 공격을 유발했다.[22]

thumb

1388년, 오터번 전투에서 스코틀랜드 군대가 잉글랜드 군대를 격파했지만, 지도자인 더글라스 백작이 전사했다. 캐릭은 부상을 입었고, 그의 형제인 파이프 백작 로버트가 섭정이 되었다.[37][34][36]

1390년, 로버트 2세가 사망하고, 존은 로버트 3세로 즉위했다.

3. 왕위 계승 및 통치

1390년 아버지 로버트 2세가 붕어하자, 로버트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스코운에서 대관식이 거행된 것은 3개월 이상이 지난 1390년 8월이었다. 원래 서자였던 것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즉위하면서, 로버트 3세는 자신의 세례명인 "존"을 "로버트"로 바꾸었다. 만약 자신이 "존 2세"로 즉위하면, 이미지가 좋지 않은 존 발리올[87]을 연상시켜, 로버트 1세 이후의 왕권이 약화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1384년 11월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열린 의회에서 로버트 2세가 제쳐지고, 존(로버트 3세)에게 스코틀랜드 섭정으로서 통치 권한이 부여되었다.[28][29][30] 그러나 1388년 오터번 전투 이후 존은 말에 차여 크게 다쳤고, 1388년 12월 의회에서 스코틀랜드의 섭정은 존(로버트 3세)에서 동생인 파이프 백작 로버트로 넘어갔다.[37][34][36]

로버트 3세는 장애를 안고 있었지만, 몇 번 의회에 참석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권은 동생인 파이프 백작 로버트가 쥐고 있었으며, 로버트 3세는 "왕위 계승의 규칙이기에 명목상" 왕으로 여겨졌다.

3. 1. 로세이 공작의 섭정

1392년, 로버트 3세는 아들 데이비드의 지위를 강화하고자 데이비드에게 거액의 연금을 주어 가신과 가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44] 1393년, 총회는 파이프의 섭정을 종료하고 성년이 된 데이비드가 아버지를 보좌하도록 결정하면서 로버트 3세는 직접 통치권을 되찾았다.[44]

로버트 3세는 1395~1396년에 카릭의 조지의 딸 엘리자베스 던바와 승인되지 않은 결혼을 무효화했다.[22] 그는 리처드 2세와의 평화를 유지하고 붉은 더글러스 앵거스 백작의 권력에 대한 균형추로 검은 더글러스 동맹을 증가시켰으며, 1396년 4월 28일 퍼스에서 케이 씨족과 퀘일 씨족(채턴 씨족) 간의 검투 시합을 주선하고 감독하여 자신의 권위를 과시했다.[45]

그러나 로버트 3세는 서부 및 북부의 게일 지역 평정에 실패하면서 비난을 받았다. 1398년 4월 퍼스에서 열린 총회는 국왕의 통치를 비판했고, 그의 형 로버트와 아들 데이비드(각각 앨버니 공작과 로테세이 공작)에게 도널드, 아일스 영주와 그의 형제들을 상대로 군대를 이끌도록 권한을 부여했다.[22]

폴클랜드 성 부근에 건설된 폴클랜드 궁전


1398년 11월, 앨버니, 로테세이, 더글러스 백작 아치볼드, 앨버니의 아들 머독, 포스 북쪽의 치안 판사, 그리고 세인트 앤드루스 주교 월터와 애버딘 주교 길버트를 포함한 귀족 및 성직자 그룹이 폴클랜드 성에서 회의를 가졌다. 그 결과, 1399년 1월에 열린 총회에서 로버트 3세는 로테세이에게 3년 동안 권력을 넘겨주어야 했다.[43]

1399년, 로버트 3세는 장남 데이비드를 왕국 섭정으로 임명하여 왕국의 지배권을 이관했으나, 이는 데이비드의 품행과 역량을 무시한 인사라는 평을 받았다. 1401년, 데이비드는 동생 올버니 공작 로버트에 의해 포클랜드 궁전에 감금되었고, 1402년에 그곳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50] 로버트 3세는 데이비드의 죽음이 감금 당시 감독 책임자였던 왕제 올버니 공작 로버트에 의한 암살이 아닌가 의심했지만, 의회는 올버니 공작을 추궁한 끝에 데이비드의 죽음을 "자연사"로 결론지었다.[88]

3. 2. 올버니 공작의 섭정

로버트 3세의 묘, 페이즐리 수도원


로테세이 공작 데이비드가 죽은 후, 올버니 공작이 다시 섭정이 되었고, 스코틀랜드가 험블턴 전투에서 패하면서 로버트 3세는 정치에서 거의 물러났다.[53] 1404년 말, 로버트 3세는 측근들의 도움으로 재기를 시도하며 올버니 공작과 마 백작의 영지를 두고 다투었다.[54] 1404년 12월, 로버트 3세는 남은 유일한 아들이자 상속자인 제임스를 위해 왕령지를 만들어, 이 땅이 올버니 공작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으려 했다.[55][56]

1405년 10월 28일, 로버트 3세는 에어셔의 던도널드 성으로 돌아갔다. 왕의 건강이 나빠지자, 1405년에서 1406년 겨울, 어린 왕자를 프랑스로 보내기로 결정했다.[57] 1406년 2월, 제임스는 이스트 로디언의 더글러스 가문 영지를 지나 포스 만의 배스 록으로 피신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데이비드 플레밍 경이 사망했다.[58][59] 이들은 단치히에서 프랑스로 가는 배가 올 때까지 한 달 넘게 배스 록에 머물렀다.[60] 1406년 3월 22일, 배는 플램버러 헤드에서 영국 해적에게 붙잡혔고, 제임스는 잉글랜드의 헨리 4세에게 넘겨졌다.[61] 로버트 3세는 로테세이 성으로 갔고, 아들이 사로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얼마 후 1406년 4월 4일에 사망하여 페이즐리 수도원에 안장되었다.[61]

로버트 3세는 1398년 스코틀랜드 최초의 공작위인 로스시 공작을 만들어 장남 데이비드를 임명하고, 같은 해 파이프 백작 로버트를 올버니 공작에 임명하여 권력을 분산시키려 했다. 1399년에는 로버트 3세 자신의 병과 잉글랜드와의 갈등을 이유로 장남 데이비드를 왕국 섭정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는 데이비드의 행실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인사라는 평가를 받았고, 많은 문제를 일으킨 데이비드에게 로버트 3세도 체포령을 내렸으며, 1401년 동생 올버니 공작 로버트가 포클랜드 궁전에 가두었다. 다음 해 1402년 3월 26일부터 27일 사이, 로스시 공작 데이비드는 포클랜드 궁전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로버트 3세는 아들의 죽음이 감금 당시 감독 책임자였던 올버니 공작의 암살이 아닌지 의심했다. 의회는 올버니 공작을 추궁했지만, 결국 데이비드는 "자연사"한 것으로 결론지었다.[88]

의회가 자연사로 결론지었음에도 로버트 3세의 의심은 사라지지 않았다. 제임스마저 암살되고 왕위를 빼앗길 것을 두려워한 로버트 3세는 1406년 2월 제임스를 프랑스로 보내 보호받게 했다.[89] 그러나 출항 전 달턴 성에 머물던 제임스에게 올버니 공작은 추격대를 보냈다. 제임스는 작은 배로 탈출하여 포스 만의 버스 록으로 피신했다.

올버니 공작은 프랑스행을 막기 위해 잉글랜드 왕에게 알렸고, 잉글랜드 왕은 제임스 체포를 위해 병력을 보냈다.[90] 결국 제임스는 노퍽 해안[91]에서 잉글랜드군에게 붙잡혀 헨리 4세에게 보내졌고, 이후 1424년까지 잉글랜드에 억류되었다.[90] 두 아들을 연이어 잃은 로버트 3세는 큰 실망감에 빠졌고, 1406년 4월 4일 사우스 에어셔의 던도널드 성에서 사망했다.[92]

4. 가족

로버트 3세는 1366년 또는 1367년경에 아나벨라 드럼몬드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세인트 오브홀의 존 드럼몬드 경과 메리 몬티펙스의 딸이었다.[62] 이들 부부는 슬하에 7명의 자녀를 두었다.[62]

이름출생사망비고
로테세이 공작 데이비드 스튜어트1378년 10월 24일1402년 3월 26일로세이 공작. 엘리자베스 던바와 약혼했으나, 아치볼드 더글러스, 제3대 더글러스 백작의 딸 레이디 마조리 더글러스와 결혼. 올버니 공작에 의해 감금되어 사망.
제임스 1세 스튜어트1394년 12월1437년 2월 21일스코틀랜드 왕. 잉글랜드에 포로로 잡혀 있었음.
로버트 스튜어트요절
마가렛 스튜어트1450년에서 1456년 사이아치볼드 더글러스, 제4대 더글러스 백작과 결혼.
메리 스튜어트제1대 앵거스 백작 조지 더글러스와 결혼, 이후 제임스 케네디 경과 결혼하여 제1대 케네디 경 길버트 케네디를 낳음, 윌리엄 커닝햄 경과 약혼, 킨카딘-인-멘테스의 윌리엄 그레이엄 경과 결혼, 컬로든과 던스레스의 제1대 윌리엄 에드몬스톤 경과 결혼 (에드몬스톤 준남작의 조상).
에지디아 스튜어트미혼으로 사망.
엘리자베스 스튜어트제1대 댈키스 경 제임스 더글러스와 결혼.



로버트 3세는 최소 두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62]

이름비고
아드고완과 블랙홀의 존 스튜어트쇼-스튜어트 준남작의 조상
킬브라이드의 제임스 스튜어트


5. 역사적 평가

로버트 3세는 스코틀랜드 역사상 가장 인상적이지 않은 왕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69] 그의 통치 기간은 왕권 약화와 귀족 세력 강화, 잉글랜드와의 갈등 심화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고든 도널드슨은 그의 저서 ''스코틀랜드 왕들''(1967)에서 처음 두 명의 스튜어트 왕에 대해 "많은 뛰어난 인물을 배출할 유명한 왕조가 다소 평범하게 시작되었다"라고 평했다. 그는 로버트 2세와 로버트 3세에 대한 현대 역사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하며, 그들 중 누구도 스코틀랜드 역사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 많은 일을 한 인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63] 도널드슨은 1393년에 로버트 3세가 개인 통치를 재개했을 때, 그의 형제 올버니와 부칸, 그리고 그의 아들 로세이를 통제할 수 없었던 무정부 상태의 시기로 묘사했다.[64]

레널드 니콜슨은 그의 저서 ''스코틀랜드: 중세 후기''(1974)에서 로버트 3세를 실패한 왕으로 묘사했다. 그는 로버트 3세가 1380년대 부왕으로 재임하는 동안 법과 질서의 붕괴에 대처할 수 없었으며, 말에게 차여 다리를 절게 된 것은 그의 형제인 파이프 백작 로버트를 왕의 부왕으로 대체하기 위한 구실이었다고 설명했다.[65] 니콜슨은 포레스와 엘긴의 파괴에 대해 로버트 3세를 비난했다.

앤드루 바렐은 그의 저서 ''중세 스코틀랜드''(2000)에서 로버트 3세의 개인 통치 기간(1393년)이 "참담했다"고 평가하며, 덤바턴의 왕실 요새를 재점령하는 데 실패한 것을 예로 들었다.[67] 바렐은 로버트 3세가 몸이 마비되었고 올버니와 직접 대결할 수 없었지만, 아들들의 지위를 높이는 것을 통해 그렇게 하려고 했으며, 그마저도 실패했다고 평가했다.[68]

알렉산더 그랜트는 ''독립과 국가''(1984)에서 로버트 3세를 "아마도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인상적이지 않은 왕"으로 평가했다.[69] 그러나 그는 로버트 3세의 통치가 약한 왕들이 통치했던 잉글랜드와 프랑스에서 겪었던 혼란과 폭력에 비하면 더 나쁠 수도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로버트가 죽었을 때에도 스코틀랜드는 공개적인 내전으로 치닫지 않았고, 왕족과 유력자 집단 간의 권력 다툼에 그쳤다고 평가했다.[69]

마이클 린치는 20세기 초반의 역사가들이 로버트 2세와 로버트 3세를 "가련할 정도로 약한 인물"로 묘사하면서 성급한 평가를 내렸다고 주장한다. 그는 로버트 3세 통치 기간 동안의 많은 문제들이 왕실 수입의 급격한 악화에서 비롯되었으며, 스코틀랜드 북부의 혼란은 왕실 내의 경쟁 세력의 결과였다고 지적한다. 린치는 1406년 이전 왕권의 약점은 "과장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부칸이 엘긴과 그 대성당에 대한 방화 공격에 대해 답변하기 위해 로버트 3세의 회의에 강제로 참석한 점, 그리고 올버니가 아일스 영주로부터 복종을 얻어낸 점을 예로 들었다.[72]

스티븐 보드먼은 ''초기 스튜어트 왕들''에서 로버트 3세가 왕위에 오르기 전, 부왕직을 형제인 파이프 백작 로버트에게 잃은 것이 그의 위상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그로부터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75] 보드먼은 로버트 3세가 1390년에 왕이 되었을 때, 그의 아버지 로버트 2세가 아들, 사위 및 주요 귀족들에게 광범위한 권한을 위임하여 강력한 유력자로 만들었던 통치 방식의 희생자였다고 설명한다. 그 결과 로버트 3세의 형제들은 왕의 신하로 행동하는 것을 거부했고, 로버트 3세는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미 약화되었으며, 결국 올버니와 더글러스의 권력에 종속되었다고 평가했다.[76]

6. 가계도

로버트 3세는 1366/1367년경 아나벨라 드럼몬드와 결혼했는데, 아나벨라 드럼몬드는 세인트 오브홀의 존 드럼몬드 경과 윌리엄 몬티펙스 경의 딸인 메리 몬티펙스의 딸이었다. 그들은 일곱 자녀를 두었다.[62]


  • 로테세이 공작 데이비드 스튜어트 (1378년 10월 24일 – 1402년 3월 26일): 엘리자베스 던바와 약혼했지만, 후에 아치볼드 더글러스, 제3대 더글러스 백작과 스트래선 여공작 조안나 드 모라비아의 딸인 레이디 마조리 더글러스와 결혼했다.
  • 제임스 1세 스튜어트 (1394년 12월 – 1437년 2월 21일): 스코틀랜드 왕
  • 로버트 스튜어트 (요절)
  • 마가렛 스튜어트 (1450년에서 1456년 사이에 사망): 아치볼드 더글러스, 제4대 더글러스 백작과 결혼했는데, 아치볼드 더글러스는 제3대 더글러스 백작과 스트래선의 조안나 드 모라비아의 아들이다.
  • 메리 스튜어트: 첫 번째로 제1대 앵거스 백작 조지 더글러스와 결혼했고, 두 번째로 제임스 케네디 경과 결혼하여 제1대 케네디 경 길버트 케네디를 낳았으며, 윌리엄 커닝햄 경과 약혼했고, 세 번째로 킨카딘-인-멘테스의 윌리엄 그레이엄 경과 결혼했고, 네 번째로 컬로든과 던스레스의 제1대 윌리엄 에드몬스톤 경과 결혼했다. (에드몬스톤 준남작의 조상)
  • 에지디아 스튜어트 (미혼으로 사망)
  •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제1대 댈키스 경 제임스 더글러스와 결혼했는데, 제임스 더글러스는 제임스 더글러스 경과 아그네스 던바의 아들이다.


그는 또한 최소 두 명의 더 나이 많은 사생아를 두었다.

  • 아드고완과 블랙홀의 존 스튜어트 (1364–1412): 쇼-스튜어트 준남작의 조상
  • 킬브라이드의 제임스 스튜어트


로버트 3세 시대의 가장 강력한 스코틀랜드인 중 일부는 그의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로버트
마조리데이비드
로버트
로버트 3세올바니알렉산더
데이비드제임스머독알렉산더


참조

[1] 서적 Early Stewart Kings
[2] 서적 Scotland: The later middle Ages
[3] 서적 Scotland: The later middle Ages
[4] 서적 Early Stewart Kings
[5] 서적 Scotland: The later middle Ages
[6] 서적 Kings and Queens of Scotland
[7] 서적 Early Stewart Kings
[8] 서적 Early Stewart Kings
[9] 서적 Early Stewart Kings
[10] 서적 Early Stewart Kings
[11] 서적 Scotland: A new History
[12] 서적 Britain's Royal Family
[13] 서적 Britain's Royal Family
[14] 서적 Britain's Royal Family
[15] 서적 Kings and Queens of Scotland
[16] 서적 Early Stewart Kings
[17] 서적 Kings and Queens of Scotland
[18] 서적 Annabella ODNB
[19] 서적 Early Stewart Kings
[20] 서적 Early Stewart Kings
[21] 서적 Kings and Queens of Scotland
[22] 서적 Robert III ODNB
[23] 서적 Medieval Scotland
[24]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25] 서적 Medieval Scotland
[26] 서적 Early Stewart Kings
[27] 서적 Early Stewart Kings
[28] 웹사이트 Records of the Parliaments of Scotland https://www.rps.ac.u[...]
[29] 서적 New Cambridge History
[30] 서적 Kings & Queens
[31] 서적 Early Stewart Kings
[32] 서적 Scotland: A New History
[33] 서적 Early Stewart Kings
[34] 서적 New Cambridge History
[35] 서적 Early Stewart Kings
[36] 서적 War and Border Societies
[37] 웹사이트 Records of the Parliaments of Scotland https://www.rps.ac.u[...]
[38] 서적 Early Stewart Kings
[39] 서적 History of Scottish Parliament
[40] 서적 A Revised Chronology of Scottish History
[41] 간행물 Registum Moravienses
[42] 서적 Medieval Scotland
[43] 서적 Early Stewart Kings
[44] 서적 Early Stewart Kings
[45] 서적 Kings & Queens of Scotland
[46]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47] 서적 Early Stewart Kings
[48] 서적 Border Fury
[49] 문서 David Stewart, Duke of Rothesay ODNB
[50]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51] 서적 Medieval Scotland
[52] 웹사이트 Records of the Parliaments of Scotland to 1707, 14 May 1402, Edinburgh http://www.rps.ac.uk[...]
[53] 서적 Early Stewart Kings
[54] 서적 Early Stewart Kings
[55] 서적 Liberties and Identities in the Medieval British Isles
[56] 서적 Early Stewart Kings
[57] 서적 Early Stewart Kings
[58] 서적 Early Stewart Kings
[59] 문서 James I ODNB
[60] 서적 Early Stewart Kings
[61] 서적 Kings and Queens of Scotland
[62] 서적 Britain's Royal Family
[63] 서적 Scottish Kings
[64] 서적 Scottish Kings
[65] 서적 Scotland: The Later Middle Ages
[66] 서적 Medieval Scotland
[67] 서적 Medieval Scotland
[68] 서적 Medieval Scotland
[69] 서적 Independence and Nationhood
[70]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71] 서적 Medieval Scotland
[72] 서적 Medieval Scotland
[73] 서적 Early Stewart Kings
[74] 서적 Early Stewart Kings
[75] 서적 Early Stewart Kings
[76] 서적 Early Stewart Kings
[77] 웹사이트 King Robert III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78] 서적 2004
[79] 서적 1968
[80] 웹사이트 lords of Misrule synopsis http://cunninghamh.t[...]
[81] 웹사이트 A Folly of Princes synopsis http://cunninghamh.t[...]
[82] 웹사이트 The Captive Crown synopsis http://cunninghamh.t[...]
[83] 서적 1998
[84] 서적 1998
[85] 문서
[86] 서적 1998
[87] 문서
[88] 서적 1998
[89] 서적 1998
[90] 서적 1998
[91] 문서
[92] 서적 1998
[93] 서적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