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이 미컬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이 미컬슨은 노르웨이 이민자 공동체에 기여하고, 스키 선수, 군인,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1932년과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스키 점프 선수로 참가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전선에서 제10산악사단 장교로 복무했다. 1958년 캘리포니아주 오번 시장으로 선출되어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 유치에 기여했고, 오번 스키 클럽 회장과 보리얼 마운틴 스키 시설 개발을 이끌었다. 2006년 사망 후 전미 스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유타주 파크 시티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와 동상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스베르그 출신 - 토모드 모브로튼
  • 미국의 올림픽 스키점프 참가 선수 - 앤더스 하우겐
    앤더스 하우겐은 노르웨이 출신으로 미국으로 이주하여 스키 선수로서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스키 점프 세계 기록을 경신했으며, 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 심판 채점 오류로 메달을 받지 못했으나 50년 후 정정되어 동메달을 획득한 스키 선수이자 스키 점프 선수이다.
  • 미국의 올림픽 스키점프 참가 선수 - 케이시 콜비
    케이시 콜비는 1994년 미국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 참가, FIS 월드컵 시즌에서 종합 75위를 기록한 미국의 스키 점프 선수로, 2008년 미국 스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로이 미컬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이 미컬슨
원어 이름Ragnvald Johan "Roy" Mikkelsen (랑발드 요한 "로이" 미켈센)
출생일1907년 9월 15일
출생지노르웨이 부스케루주 콩스베르그
사망일1967년 10월 29일
사망 장소미국 캘리포니아주 네바다군
국적미국
출신 국가노르웨이
선수 경력
종목스키 점프
소속팀오번 스키 클럽

2. 개인사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 및 이민

로이 미컬슨은 노르웨이 부스케루드주 콩스베르그에서 태어났다. 1924년 미국으로 이민하여 시카고에 정착했다. 그는 근처 폭스 리버 그로브에 노르웨이 이민자들이 결성한 Norge Ski Club에 가입했다.[3]

2. 2. Norge Ski Club 활동

로이 미컬슨은 노르웨이 부스케루드주 콩스베르그에서 태어났다. 1924년 미국으로 이민하여 시카고에 정착했으며, 근처 폭스 리버 그로브에 있는 Norge Ski Club에 가입했다. 이 클럽은 노르웨이 이민자들이 결성한 곳이었다.[3]

3. 경력

로이 미컬슨은 스키 점프 선수로서 1932년 동계 올림픽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936년 대회에서는 미국 팀 주장을 맡았다.[4][5]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1940년 올림픽 참가는 무산되었고, 대신 전쟁 기간 동안 미 육군 제10산악사단 장교로 이탈리아 전선에서 복무하며 스키 경험을 활용했다.[4][5]

전후 캘리포니아주 오번에 정착한 그는 지역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52년부터 1953년까지 오번 시장을 역임했으며,[6] 소다 스프링스의 오번 스키 클럽에서도 활동했다. 특히 1960년 동계 올림픽스쿼밸리로 유치하는 데 기여했으며, 대회 개최 시 오번에서 성화를 점화하기도 했다.[6] 또한 오번 스키 클럽과 보리얼 마운틴 리조트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1964년 전미 스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67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오번 시에는 그의 이름을 딴 '미켈슨 드라이브'가 있으며, 보리얼 마운틴 리조트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7]

3. 1. 스키 선수 경력

그는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스키 점프 선수로 참가하여 레이크플래시드에서 경기를 치렀고, 1936년 동계 올림픽에는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경기에 나섰다. 미컬슨은 1932년과 1936년 두 대회 모두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지만, 1936년 팀 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주장을 맡았다. 1940년 세 번째 올림픽 참가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대회는 열리지 못했다.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육군 제10산악사단 장교로 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으며, 이때 그의 스키와 설상 경험이 유용하게 활용되었다.[4][5]

3. 2. 군 복무

미켈슨은 1940년 세 번째 올림픽 참가를 앞두고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대회는 취소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그는 미 육군 제10산악사단의 장교로 복무하며 이탈리아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다. 이 과정에서 선수 시절 쌓았던 스키와 설상 경험을 군사 작전에 유용하게 활용하였다.[4][5]

3. 3. 오번 시장 및 지역 사회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캘리포니아주 오번에 정착한 미컬슨은 지역 사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4][5] 그는 1952년 오번 시장으로 선출되어 1953년까지 2년간 재임했으며, 오번 시의회에서도 활동했다.[6] 또한 소다 스프링스에 위치한 오번 스키 클럽의 일원이기도 했다.[6]

특히 미컬슨은 1960년 동계 올림픽스쿼밸리로 유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올림픽 유치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대회 유치에 기여했다.[6] 올림픽 개최를 기념하여, 마지막 올림픽 참가 이후 24년이 지난 1960년에 플래서 카운티 오번의 센트럴 광장에서 올림픽 성화를 점화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 올림픽은 새로 포장된 주간 고속도로 80호선을 따라 스쿼밸리에서 개최되었다.[6]

이 외에도 그는 오번 스키 클럽과 보리얼 마운틴 리조트의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7]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오번 시에는 그의 이름을 딴 '미켈슨 드라이브'가 있다.[7]

3. 4. 스키 클럽 및 리조트 개발 기여

미켈슨은 캘리포니아주 오번에 정착한 후, 소다 스프링스에 위치한 오번 스키 클럽에서 활동했다.[6] 그는 오번 스키 클럽과 보리얼 마운틴 리조트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7]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보리얼 마운틴 리조트의 웨스턴 스키 스포츠 박물관 앞에는 미켈슨의 동상이 세워졌다.[7]

4. 사망 및 기념

미켈슨은 1964년 전미 스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3년 뒤인 1967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그가 정착했던 오번에서는 그의 이름을 딴 '미켈슨 드라이브'가 만들어졌으며, 그가 개발에 기여한 보리얼 마운틴 리조트에는 웨스턴 스키 스포츠 박물관 밖에 미켈슨의 동상이 세워져 그를 기리고 있다.[7]

5. 관련 자료


  • 하이마크, 브루스 H. (1994) ''제2차 세계 대전의 OSS 노르웨이 특수 작전 그룹'' (Praeger) ISBN 978-0275948603
  • 안토누치, 데이비드 C. (2012) ''스노우볼의 기회: 1960년 올림픽 동계 게임 스쿼밸리 & 레이크 타호 이야기'' (BookSurge Publishing) ISBN 978-1439259047

참조

[1] 웹사이트 Roy Mikkelsen https://olympics.com[...]
[2] 웹사이트 Roy Mikkelsen https://skihall.com/[...]
[3] 웹사이트 About http://www.norgeskic[...]
[4] 문서 10th Mountain Division Name Index https://history.denv[...] Denver Public Library
[5] 간행물 Roy Mikkelsen Wins http://www.donnersum[...] Donner Summit Historical Society 2013-01
[6] 뉴스 Auburn’s first Olympian was ski jumping star in 1930s, mayor of city in 1950s http://www.auburnjou[...] Auburn Journal 2010-02-19
[7] 웹사이트 Roy Mikkelsen — Auburn Ski Club jumper and Olympic ski jumper in 1936 http://auburnskiclub[...]
[8] 웹인용 Roy Mikkelsen https://web.archive.[...] sports-reference.com 2011-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