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지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지아는 건물 외벽에서 돌출되거나 안으로 움푹 들어가게 만들어진, 지붕이 있고 한쪽 면 이상이 기둥이나 아치 등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베란다와 달리 건축물의 주요 부분과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며, 건물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르네상스 시대에 귀족 저택과 공공 건물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형태로 활용되기도 한다. 로지아는 포르티코와 유사하지만, 건물의 기능적 배치에서 역할의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어 낱말 - 링구아 프랑카
    링구아 프랑카는 서로 다른 모국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기능적인 언어로서, 피진, 크리올어, 기존 언어를 포함하며 무역, 외교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현대에는 영어가 가장 널리 쓰이지만 다른 언어들도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탈리아어 낱말 - 키아로스쿠로
    키아로스쿠로는 회화, 드로잉 등에서 빛과 어둠의 강렬한 대비를 통해 입체감과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기법이며, 르네상스 시대에 유래하여 16세기 마니에리즘과 바로크 미술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조형의 입체감을 강조하거나 장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사용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로지아
개요
유형지붕이 있고 한쪽 면이 열린 외부 회랑
로마자 표기Loggia
어원이탈리아어
용도만남의 장소
휴식 공간
건축적 특징
건축적 특징
위치건물 외관
정원
공공 광장
구조아케이드 또는 콜로네이드로 지지됨
스타일르네상스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음
역사적 맥락
기원이탈리아
발전중세 후기 ~ 르네상스 시대
중요성공공 생활과 건축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
추가 정보
예시피렌체의 로지아
비첸차의 바실리카
관련 용어회랑
베란다
현관

2. 정의

로지아는 건물 외벽에서 돌출되거나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만들어지며, 지붕이 있고 한쪽 면 이상이 기둥이나 아치 등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공간이다. 베란다와 달리 건축물의 주요 부분과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된다.[5][6]

포르티코 대신 로지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돌출되지 않은 포르티코 또는 벽면에 개구부가 있어 출입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러시아에서는 아파트의 돌출되지 않은 발코니를 로지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빌라 파르네시나
로지아 부분은 유리로 보호되어 있다.

2. 1. 포르티코와의 차이점

포르티코와 로지아의 주요 차이점은 건물의 기능적 배치에서 차지하는 역할이다. 포르티코는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를 제공하며, 재래 건축 및 소규모 건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로 귀족 저택과 공공 건물에서 발견된다. 반면 로지아는 기본적으로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으며, 일종의 휴게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5][6] 따라서 주로 상류층의 저택이나 공공 건축물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현대에는 작고 장식적인 여름 별장에서 시원한 바람과 전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로지아를 배치하기도 한다.

2. 2. 이중 로지아

이중 로지아는 아래층의 로지아 위에 상층에 로지아가 위치한 형태이다.[5][6] 주 계층 (피아노 노빌레) 위에 추가 로지아를 배치하기도 하며, 이를 "더블 로지아"라고 부른다. 파사드에서 로지아를 강조하기 위해 로지아 위에 페디먼트를 배치하기도 한다.

3. 역사

로지아는 포르티코와 비슷하지만, 건물의 기능 배치 내에서 역할이 다르다. 포르티코는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하지만, 로지아는 기본적으로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으며 휴게 공간으로 사용된다. 주로 상류층 저택이나 공공 건물에서 자주 볼 수 있었다. 로지아는 17세기 이탈리아 건축에서 특히 인기가 있었으며, 작고 장식적인 여름 별장에 시원한 바람과 전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배치되기도 했다. 로마에는 그러한 건물이 많다.

빌라 파르네시나는 로지아를 활용한 대표적인 예시인데, 내부에 있는 프레스코화의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기둥 사이에 유리를 넣어 로지아 부분을 보호하고 있다.

3. 1. 르네상스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아케이드형 다층 로지아. 포즈난 구 시청사 (1550년 - 1555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로지아는 귀족 저택이나 공공 건물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건물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고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했다. 주 계층 (피아노 노빌레) 위에 추가 로지아를 배치하여 "더블 로지아(double loggia)"라고 부르기도 했다. 로지아 위에 페디먼트를 배치하여 파사드에서 로지아를 강조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 포즈난 구 시청사(1550-1555년)는 르네상스 시대의 아케이드형 다층 로지아를 보여준다.

3. 2. 근현대

현대 건축에서도 로지아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주거용 건물에서는 움푹 들어간 발코니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러시아에서는 아파트의 돌출되지 않은 발코니를 로지아라고 부른다.

4. 주요 사례

로지아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4. 1. 이탈리아

6세기 산탄폴리나레 누오보 대성당 모자이크에 묘사된 로지아 (이탈리아 라벤나)


이탈리아 건축에서 로지아는 17세기에 특히 인기를 얻었으며, 로마에는 그러한 건물이 많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트렌토의 부온콘실리오 성에는 베네치아 고딕 건축 양식의 로지아가 있다.
  • 라벤나의 산탄폴리나레 누오보 대성당 본당에서 발견된 6세기 모자이크에는 로지아가 묘사되어 있다.
  • 밀라노 브레라 궁전에는 베네치아 창 모양의 로지아가 있다.
  • 로마의 빌라 파르네시나는 로지아를 갖춘 대표적인 건물로, 내부 프레스코화의 손상을 막기 위해 기둥 사이에 유리를 넣어 보호하고 있다.

4. 2. 헝가리

4. 3. 미국

아이오와주 그리넬에 있는 그리넬 칼리지에는 로지아로 연결된 세 개의 기숙사가 있다.[7]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에 있는 스탠퍼드 대학교 캠퍼스의 주요 쿼드에는 로지아가 눈에 띄게 있다.[7]

펜실베이니아주에 있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대학 센터와 퍼넬 예술 센터에도 로지아가 있어 '더 컷(The Cut)'으로 알려진 쿼드를 형성하고 있다.[7]

카네기 멜론 대학교 "the Cut"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 안뜰이 로지아로 둘러싸임

4. 4. 호주

2006년에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 로지아가 추가되었다.[7]

4. 5. 영국

영국 체스터 시내에는 중세 시대부터 빅토리아 시대까지의 여러 목조 건물들이 있으며, 1층에 체스터 로우즈라고 불리는 로지아가 있다.

4. 6. 그리스

그리스 크레테 섬의 하기아 트리아다 고고학 유적지에는 기원전 1400년경에 건설된 로지아가 여러 개 있으며, 그 기둥 받침대가 여전히 남아있다.[7]

참조

[1]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Penguin 1980
[2] 서적 The Language of Art and Cultural Heritage: A Plurilingual and Digit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0
[3] 서적 Palladio https://archive.org/[...] Penguin 1966
[4]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Penguin 1980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Loggia http://www.lexic.us/[...] 2014-10-24
[6] 웹사이트 Veranda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Disctionary Online 2014-10-24
[7] 서적 Phaistos Vasilis Kouvidis – Vasilis Manouras Editions, Iraklio
[8] 서적 伊和中辞典 小学館 1999-03-20
[9] 웹사이트 ラファエロの美しいフレスコ画が圧巻、ヴィッラ・ファルネジーナ。 https://tokuhain.aru[...] 地球の歩き方メディアパートナーズ 2014-09-11
[10] 웹사이트 Balcony improvements http://pro-remont.co[...]
[11]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Penguin 1980
[12] 서적 The Language of Art and Cultural Heritage: A Plurilingual and Digit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0
[13] 서적 Palladio https://archive.org/[...] Penguin 1966
[14]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Penguin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