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태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태석은 1919년 경상남도 밀양에서 태어나 대구 공립상업학교를 졸업하고, 광복 이후 북한으로 귀순하여 흥남 비료 공장에서 일했다. 1964년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 197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 1978년 정무원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같은 해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79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일성고급당학교 동문 - 문성술
문성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중앙당 학교 졸업 후 여러 당직과 대사를 거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농업부장 등을 지냈으나 심화조 사건에 연루되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생전 당의 노선을 옹호하고 김일성 훈장을 두 차례 받았다. - 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김윤환 (1932년)
김윤환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장, 정무장관을 역임하며 정권 창출에 기여하여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민주국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으며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 밀양시 출신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밀양시 출신 - 안영욱
안영욱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로 임용되어 공안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로 활동한다.
로태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로태석 |
본명 | 로태석 |
출생일 | 1919년 8월 2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밀양시 |
사망일 | 1979년 12월 31일 (향년 60세) |
매장지 | 애국렬사릉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직업 및 소속 | |
직업 | 공산주의 운동가 정치인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주요 경력 | |
역대 직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 부총리 |
최고 지도자 | 김일성 |
총리 | 리종옥 |
임기 시작 | 1978년 (추정) |
학력 | 수창공립보통학교 공립상업학교 중앙당학교 |
2. 생애
로태석은 1919년 8월 25일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밀양 (현재 대한민국 경상남도)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나 대구공립상업학교를 졸업했다.[1] 해방 이후 북한으로 넘어가 흥남 비료 공장에서 일했다.[2] 1964년 중앙당 학교 졸업 후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고, 이후 여러 직책을 거쳐 1978년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 1979년 12월 31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
2. 1. 해방 이전
1919년 8월 25일,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밀양 (현재 대한민국 경상남도)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1] 대구공립상업학교를 졸업했다.2. 2. 해방 이후
광복 이후 그는 북한으로 귀순하여 흥남 비료 공장에서 일했다.[2] 1964년 1월, 중앙당 학교를 졸업하고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1] 1970년 11월, 제5차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2년 12월,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정무원 지방공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76년 11월,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으로 보궐 선출되었으며, 1977년 12월에는 제6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및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으로 재선되었다. 1978년 8월, 정무원 부총리로 임명되었고, 1978년 11월, 제5기 중앙위원회 제17차 전원회의에서 제5기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으로 보궐 선출되었다.[1] 1978년 8월,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79년 12월 31일, 60세의 나이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참조
[1]
웹사이트
오랜 지식인들을 나라의 역군으로
http://uriminzokkiri[...]
Uriminzokkiri
2023-10-16
[2]
웹사이트
해방 직후 북한의 과학기술 교육기관 설립과 체제형성(1945~1950)
https://s-space.snu.[...]
2023-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