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링 스톤》이 발표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은 2004년, 2010년, 2021년 세 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2004년 첫 번째 목록은 1960년대 음악이 주를 이루었으며,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가의 노래를 포함했다. 2010년 개정판에서는 2000년대 곡들이 추가되었고, 2021년 개정판에서는 힙합, R&B, 라틴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곡들이 대거 포함되어 시대와 장르의 다양성을 확장했다. 비틀즈가 가장 많은 곡을, 1971년에 가장 많은 곡이 500위 안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래 목록 - 크리스마스 음악
    크리스마스 음악은 4세기 로마 찬송가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교회 절기, 클래식, 캐롤, 대중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 롤링 스톤의 기사 -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은 음악 잡지 《롤링 스톤》에서 발표하는 음악 목록으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여러 차례 수정되었으며, 최초 목록 1위는 비틀즈의 음반이었으나 2020년 개정판에서는 마빈 게이의 음반이 1위를 차지했다.
  • 롤링 스톤의 기사 -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100명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100인은 롤링 스톤誌가 음악가, 작가, 업계 관계자 패널의 의견을 종합하여 로큰롤, 블루스, 힙합 등 다양한 장르에서 음악적 영향력과 역사적 중요성을 기준으로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가 100인의 목록으로, 이전 목록과 비교하여 순위 변동 및 아티스트 추가, 제외가 있었다.
  • 2004년 음악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제49회 대회로, 준결승전 도입, 36개국 참가, 우크라이나의 루슬라나 우승, 새로운 로고 사용, "같은 하늘 아래" 슬로건 등의 특징을 가진다.
  • 2004년 음악 - Watchout
    Watchout은 서태지 7집 앨범의 수록곡으로, 환각과 환청에 시달리는 주인공이 서태지의 도움을 받아 두려움에 맞서는 내용을 담은 스릴러 뮤직비디오 3부작의 완결편이다.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 정보
제목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원제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발행롤링 스톤
최초 발행일2004년 12월 9일
최신 발행일2021년 9월 15일
이전 목록 발행일2010년 5월 28일
설명롤링 스톤 잡지에서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목록
2004년 목록 (상위 10곡)
1위"Like a Rolling Stone" - 밥 딜런
2위"(I Can't Get No) Satisfaction" - 롤링 스톤스
3위"Imagine" - 존 레논
4위"What's Going On" - 마빈 게이
5위"Respect" - 아레사 프랭클린
6위"Good Vibrations" - 비치 보이스
7위"Johnny B. Goode" - 척 베리
8위"Hey Jude" - 비틀즈
9위"Smells Like Teen Spirit" - 너바나
10위"What'd I Say" - 레이 찰스
2021년 목록 (상위 10곡)
1위"Respect" - 아레사 프랭클린
2위"Fight the Power" - 퍼블릭 에너미
3위"A Change Is Gonna Come" - 샘 쿡
4위"Like a Rolling Stone" - 밥 딜런
5위"Imagine" - 존 레논
6위"What’s Going On" - 마빈 게이
7위"Strawberry Fields Forever" - 비틀즈
8위"Get Ur Freak On" - 미시 엘리엇
9위"Dreams" - 플리트우드 맥
10위"Hey Ya!" - 아웃캐스트

2. 목록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은 2004년, 2010년, 2021년 세 차례에 걸쳐 발표되었다.

2004년 첫 발표 이후, 2010년에는 2000년대 음악을 중심으로 26곡이 추가된 개정판이 디지털 형태로 공개되었다. 2021년에는 대대적인 수정과 함께 새로운 목록이 발표되었으며, 이전보다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곡들이 포함되었다.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 변천사
구분2004년2010년2021년
발표 형태잡지 및 책디지털 (아이팟 및 아이패드)잡지 및 웹사이트
주요 특징1960년대 음악 중심2000년대 음악 추가 (26곡)대대적인 수정, 다양한 시대 및 장르 포함
Top 10 변화변화 없음변화 없음 (상위 25위)대폭 변화
최다 수록 아티스트비틀즈 (23곡)비틀즈 (23곡)비틀즈 (11곡)



;2004년



;2021년

순위아티스트노래발매년도
1아레사 프랭클린"Respect"1967
2퍼블릭 에너미"Fight the Power"1989
3샘 쿡"A Change Is Gonna Come"1964
4밥 딜런"Like a Rolling Stone"1965
5너바나"Smells Like Teen Spirit"1991
6마빈 게이"Whats Going On"1971
7비틀즈"Strawberry Fields Forever"1967
8미시 엘리엇"Get Ur Freak On"2001
9플리트우드 맥"Dreams"1977
10아웃캐스트"Hey Ya!"2003



2021년 판에서는 비틀즈가 11곡으로 가장 많은 곡을 목록에 올렸으며, 비욘세, 밥 딜런, 롤링 스톤스가 각각 7곡, 데이비드 보위와 프린스가 각각 6곡으로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아티스트별 곡 수
아티스트곡 수
비틀즈11
비욘세, 밥 딜런, 롤링 스톤스7
데이비드 보위, 프린스6
브루스 스프링스틴5


2. 1. 2004년판

2004년에 롤링 스톤이 발표한 최초의 목록이다.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밥 딜런 등 1960년대 음악이 주를 이루고 있다.

  • 500곡 중 351곡은 미국, 120곡은 영국 출신이며, 그 외에 캐나다(13곡), 아일랜드(12곡, 그 중 8곡은 U2), 자메이카(7곡), 호주(2곡, AC/DC), 스웨덴(ABBA), 프랑스(Daft Punk)에서 각각 1곡씩 포함되었다.
  • 이 목록은 영어로 쓰인 노래만 포함하며, 유일한 예외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리치 발렌스가 스페인어로 부른 "La Bamba"(345위)이다.
  • 목록에는 1950년대 이전 노래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목록에 있는 곡으로는 로버트 존슨의 "Crossroads(1936)" (크림이 녹음한 버전), 행크 윌리엄스의 "I'm So Lonesome I Could Cry"(1949) 등이 있다. 애니멀스의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은 적어도 1934년 이전에 녹음되었다.[4] 머디 워터스의 "Rollin' Stone"(1950)은 1920년대의 이전 노래를 바탕으로 한다.[5]
  • 이 목록에는 미국의 밴드 부커 T. 앤 더 M.G.'s의 "Green Onions"(181위) 한 곡의 기악곡이 있다.


시대노래 수비율
1940년대10.2%
1950년대7214%
1960년대20341%
1970년대14228%
1980년대5711%
1990년대224.4%
2000년대30.6%

2. 1. 1. 2004년판 Top 10


2. 1. 2. 2004년판 전체 목록


2. 2. 2010년 개정판

2010년 5월, 《롤링 스톤》은 2004년 판을 업데이트한 특별판을 아이팟 및 아이패드용 디지털 형태로 발표했다. 이 목록에는 26곡이 추가되었는데, 노토리어스 B.I.G.의 "Juicy"(1994년 발매)를 제외하면 모두 2000년대에 발표된 곡들이다. 상위 25위는 변경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곡들이 추가되면서 기존 곡들의 순위가 조정되었다. 새로 추가된 곡 중 가장 높은 순위는 나얼스 바클리의 "Crazy"(100위)였다.

2010년 개정판은 2000년대 이후 힙합, R&B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경향을 반영하였다.

개정판의 시대별 곡 수는 다음과 같다.

시대곡 수비율
1940년대10.2%
1950년대6814%
1960년대19639%
1970년대13126%
1980년대5511%
1990년대224.4%
2000년대275.4%



U2제이Z는 각각 두 곡을 추가했다. 제이Z는 비욘세의 "Crazy in Love", 리한나의 "Umbrella"에도 참여하여 총 4곡에 이름을 올렸다. 더 크리스탈즈는 "Da Doo Ron Ron"(이전 114위) 등 두 곡이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2. 2. 1. 2010년 개정판 전체 목록


  • 500곡 중 351곡은 미국, 120곡은 영국에서 나왔으며, 캐나다(13곡), 아일랜드(12곡, 그 중 8곡은 U2가 작곡), 자메이카(7곡), 호주(2곡, AC/DC), 스웨덴(ABBA), 프랑스(Daft Punk) 각 1곡이 포함되었다.
  • 이 목록은 영어로 쓰인 노래만 포함하며, 유일한 예외는 미국 싱어송라이터 리치 발렌스가 스페인어로 부른 "La Bamba(345위)"이다.
  • 이 목록은 "역대"를 대상으로 하지만, 1950년대 이전에 쓰인 노래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목록에 있는 곡으로는 로버트 존슨의 "Crossroads(1936)" (크림이 녹음한 버전), 행크 윌리엄스의 "I'm So Lonesome I Could Cry"(1949) 등이 있다. 잉글랜드 록 밴드 애니멀스의 버전으로 목록에 오른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은 적어도 1934년 이전에 녹음되었다.[4] 머디 워터스의 "Rollin' Stone"(1950)은 1920년대의 이전 노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5]
  • 이 목록에는 미국의 밴드 부커 T. 앤 더 M.G.'s의 "Green Onions"(181위) 한 곡의 기악곡이 있다.
  • 2004년 버전에 포함된 각 시대별 노래 수는 다음과 같다.


시대노래 수비율
1940년대10.2%
1950년대7214%
1960년대20341%
1970년대14228%
1980년대5711%
1990년대224.4%
2000년대30.6%



2010년 5월, ''롤링 스톤''은 특별판과 아이팟 및 아이패드용 디지털 형태로 업데이트를 편집하여 발표했다. 이 목록은 2004년 버전과 다르며, 26곡이 추가되었다. 이 중 1994년에 발매된 노토리어스 B.I.G.(The Notorious B.I.G.)의 "Juicy"를 제외한 모든 곡이 2000년대 곡이다. 상위 25위는 변동이 없었지만, 새로운 곡이 포함되면서 목록의 많은 곡들이 순위가 바뀌어 2004년에 목록에 있던 곡들 사이에 연이은 순위 변동이 발생했다. 새롭게 진입한 곡 중 최고 순위는 나얼스 바클리(Gnarls Barkley)의 "Crazy" (100위)였다.

업데이트된 버전에서 각 시대별 곡의 수는 다음과 같다.

시대곡 수비율
1940년대10.2%
1950년대6814%
1960년대19639%
1970년대13126%
1980년대5511%
1990년대224.4%
2000년대275.4%


  • U2의 두 곡과 제이Z(Jay-Z)의 두 곡이 목록에 추가되었다. 제이Z는 목록에 있는 다른 두 곡, 비욘세(Beyoncé)의 "Crazy in Love"와 리한나(Rihanna)의 "Umbrella"에도 참여했다.
  • 목록에서 두 곡이 삭제된 유일한 아티스트는 더 크리스탈즈(the Crystals)이며, 그들의 "Da Doo Ron Ron" (이전 114위)이 삭제된 곡 중 최고 순위였다.

2. 3. 2021년 개정판

2021년, 《롤링 스톤》은 2004년판 목록을 대폭 수정하여 새로운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을 발표했다. 이 목록은 이전 목록보다 시대와 장르의 다양성을 크게 넓혔다. 특히 힙합, R&B, 라틴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곡들이 새롭게 포함되었다.[4][5][6][7]

2021년 목록에는 미국(351곡), 영국(120곡) 외에도 캐나다(13곡), 아일랜드(12곡), 자메이카(7곡), 호주(2곡), 스웨덴(1곡), 프랑스(1곡) 등 다양한 국가의 노래가 포함되었다. 영어 노래가 주를 이루지만, 리치 발렌스의 "La Bamba"(345위)처럼 스페인어 노래도 포함되어 있다.

이 목록은 '역대'를 대상으로 하지만, 1950년대 이전 노래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로버트 존슨의 "Crossroads(1936)", 행크 윌리엄스의 "I'm So Lonesome I Could Cry"(1949), 머디 워터스의 "Rollin' Stone"(1950) 등이 예외적으로 포함되었다. 기악곡으로는 부커 T. 앤 더 M.G.'s의 "Green Onions"(181위)가 유일하게 포함되었다.

새로운 목록에서 가장 많은 곡을 올린 아티스트는 비틀즈(11곡)이며, 비욘세, 밥 딜런, 롤링 스톤스(7곡), 데이비드 보위, 프린스(6곡)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개정판 아티스트별 곡 수
아티스트곡 수
비틀즈11
비욘세, 밥 딜런, 롤링 스톤스7
데이비드 보위, 프린스6
브루스 스프링스틴5


2. 3. 1. 2021년 개정판 Top 10

순위곡명아티스트발매년도
1Respect아레사 프랭클린1967년
2Fight the Power퍼블릭 에너미1989년
3A Change Is Gonna Come샘 쿡1964년
4Like a Rolling Stone밥 딜런1965년
5Smells Like Teen Spirit너바나1991년
6What's Going On마빈 게이1971년
7Strawberry Fields Forever비틀즈1967년
8Get Ur Freak On미시 엘리엇2001년
9Dreams플리트우드 맥1977년
10Hey Ya!아웃캐스트2003년


3. 통계

2004년, 2010년, 2021년 세 판본에 걸쳐 나타난 통계 자료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연대별 곡 수 및 비율 변화 (2004년 vs 2010년):

10년대2004년2010년
개수백분율개수백분율
1940년대10.2%10.2%
1950년대7214.4%7014%
1960년대20340.8%19539%
1970년대14228.2%13126.2%
1980년대5711.4%5511%
1990년대224.4%227.4%
2000년대30.6%265.2%


  • 2000년대 곡의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4년 3곡 → 2010년 26곡)

2021년 판의 특징:

  • 1970년대 노래가 144곡으로 가장 많고, 1960년대(108곡), 1980년대(80곡) 순으로 나타난다.

국가별 분포:
언어:

  • 영어가 아닌 곡은 리치 발렌스의 스페인어 곡 "라 밤바"가 유일하다.

아티스트별:
2021년 판 3곡 이상 수록 아티스트:


3. 1. 2004년판 통계

2004년 판에는 총 500곡이 선정되었으며, 미국 곡이 351곡, 영국 곡이 120곡으로 구성되었다. 이 외에도 캐나다(13곡), 아일랜드(12곡, 이 중 8곡은 U2의 곡), 자메이카(7곡), 호주(2곡, AC/DC), 스웨덴(ABBA), 프랑스(Daft Punk)에서 각각 1곡씩 포함되었다.

수록된 곡들은 대부분 영어로 쓰였으며, 유일한 예외는 미국 싱어송라이터 리치 발렌스가 스페인어로 부른 "La Bamba"(345위)이다.

이 목록은 '역대'를 대상으로 하지만, 1950년대 이전 노래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목록에 포함된 1950년대 이전 노래로는 로버트 존슨의 "Crossroads(1936)" (크림이 녹음한 버전), 행크 윌리엄스의 "I'm So Lonesome I Could Cry"(1949) 등이 있다. 잉글랜드 록 밴드 애니멀스의 버전으로 목록에 오른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은 적어도 1934년 이전에 녹음되었다.[4] 머디 워터스의 "Rollin' Stone"(1950)은 1920년대의 이전 노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5]

기악곡으로는 미국의 밴드 부커 T. 앤 더 M.G.'s의 "Green Onions"(181위)가 유일하게 포함되었다.

각 시대별 노래 수는 다음과 같다.

시대노래 수비율
1940년대10.2%
1950년대7214%
1960년대20341%
1970년대14228%
1980년대5711%
1990년대224.4%
2000년대30.6%



비틀즈는 23곡으로 가장 많은 곡을 목록에 올렸으며,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은 솔로로도 이름을 올렸다. 레논은 비틀즈 멤버와 솔로 아티스트로서 모두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유일한 아티스트이다. 비틀즈 다음으로는 롤링 스톤스 (14곡), 밥 딜런 (13곡),[6] 엘비스 프레슬리 (11곡), U2 (8곡), 비치 보이스, 지미 헨드릭스 (7곡), 레드 제플린, 프린스,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제임스 브라운, 척 베리 (6곡), 엘튼 존, 레이 찰스, 더 클래시, 더 드리프터스, 버디 홀리, 더 후 (5곡) 순이다.

상위 100명의 아티스트 목록에는 없지만, 이 목록에 3곡을 올린 아티스트로는 애니멀스, 블론디, 아이슬리 브라더스가 있다.

수록곡 중 가장 짧은 곡은 버디 홀리의 "Rave On!"(1분 47초), 제리 리 루이스의 "Great Balls of Fire"(1분 52초), 에디 코크란의 "C'mon Everybody"(1분 53초)이다. 가장 긴 곡은 도어즈의 "The End"(11분 41초), 밥 딜런의 "Desolation Row"(11분 21초), 텔레비전의 "Marquee Moon"(9분 58초)이다.

노래 가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Love''로 1,057번 사용되었으며, ''I'm''(1,000번), ''oh''(847번), ''know''(779번), ''baby''(746번), ''got''(702번), ''yeah''(656번)이 그 뒤를 이었다.[7]

다음은 서로 다른 아티스트가 불러 목록에 두 번씩 등장한 곡들이다.

3. 2. 2010년판 통계

2010년 5월, ''롤링 스톤''은 특별판과 아이팟 및 아이패드용 디지털 형태로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 목록은 2004년 버전과 다르며, 2000년대 곡이 26곡 추가되었다. 노토리어스 B.I.G.의 "Juicy"(1994년 발매)를 제외하면 모두 2000년대 곡이다. 상위 25위는 변동이 없었지만, 새로운 곡들이 추가되면서 기존 곡들의 순위가 연쇄적으로 변경되었다. 새롭게 진입한 곡 중 최고 순위는 나얼스 바클리의 "Crazy"(100위)였다.

업데이트된 버전에서 각 시대별 곡의 수는 다음과 같다.

시대곡 수비율
1940년대10.2%
1950년대6814%
1960년대19639%
1970년대13126%
1980년대5511%
1990년대224.4%
2000년대275.4%


  • U2제이Z의 곡이 각각 두 곡씩 추가되었다. 제이Z는 비욘세의 "Crazy in Love", 리한나의 "Umbrella"에도 참여했다.
  • 더 크리스탈즈는 "Da Doo Ron Ron"(이전 114위)을 포함해 두 곡이 삭제된 유일한 아티스트였다.


수록된 곡은 대부분 미국(357곡) 또는 영국(117곡) 아티스트의 곡이다. 그 외에는 아일랜드(12곡), 캐나다(10곡), 자메이카(7곡) 순이다.

영어가 아닌 곡으로는 유일하게 리치 발렌스의 스페인어 곡 "라 밤바"가 선정되었다. 2000년대 이후 발표된 곡은 3곡이며, 그 중 아웃캐스트의 "헤이 야"(2003년, 180위)가 가장 최신곡이다. 1940년대 곡으로는 머디 워터스의 "롤링 스톤"과 행크 윌리엄스의 "울고 싶을 정도로 외롭다"(1949년, 111위) 단 두 곡만이 목록에 올랐다.

아티스트별로는 비틀즈가 23곡으로 가장 많은 곡을 목록에 올렸으며, 존 레논은 밴드와 솔로로 유일하게 톱 10에 2곡을 포함시켰다. 그 다음으로는 롤링 스톤스(14곡), 밥 딜런(12곡),[6] 엘비스 프레슬리(11곡), 비치 보이스지미 헨드릭스(각 7곡), 척 베리, U2, 제임스 브라운, 프린스, 레드 제플린,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각 6곡) 순이다.

3. 3. 2021년판 통계

2021년판에는 1970년대 노래가 144곡으로 가장 많았고, 1960년대 노래가 108곡, 1980년대 노래가 80곡으로 그 뒤를 이었다. 비틀즈의 노래가 12곡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으며, 밥 딜런, 데이비드 보위, 롤링 스톤스의 노래가 각각 7곡씩 포함되었다.[6]

4. 비판 및 논란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은 발표될 때마다 다양한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선정 기준의 모호성 및 편향성:목록의 선정 기준이 명확하게 공개되지 않아, 특정 장르나 아티스트에 편중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로큰롤, 팝, 힙합 등 주류 음악 장르에 비해 다른 장르의 곡들은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2004년 목록과 2021년 목록을 비교했을 때 순위 변동이 큰 것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2004년 및 2021년 목록 비교

2004년 및 2021년 목록 상위 10곡 비교
순위2004년2021년
1밥 딜런 - "Like A Rolling Stone"아레사 프랭클린 - "Respect"
2롤링 스톤스 - "(I Can't Get No) Satisfaction"퍼블릭 에너미 - "Fight the Power"
3존 레논 - "Imagine"샘 쿡 - "A Change Is Gonna Come"
4마빈 게이 - "Whats Going On"밥 딜런 - "Like A Rolling Stone"
5아레사 프랭클린 - "Respect"너바나 - "Smells Like Teen Spirit"
6비치 보이스 - "Good Vibrations"마빈 게이 - "Whats Going On"
7척 베리 - "Johnny B. Goode"비틀즈 - "Strawberry Fields Forever"
8비틀즈 - "Hey Jude"미시 엘리엇 - "Get Ur Freak On"
9너바나 - "Smells Like Teen Spirit"플리트우드 맥 - "Dreams"
10레이 찰스 - "What'd I Say"아웃캐스트 - "Hey Ya!"


시대적 대표성 부족:목록이 특정 시대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곡들이 과도하게 많이 포함되어 있고, 그 이후 시대의 음악은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졌다는 지적이다.

5. 의의 및 영향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은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이 목록은 대중음악의 역사와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1950년대 로큰롤부터 2000년대 힙합까지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음악을 포함하고 있어, 대중음악의 발전 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유명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잘 알려지지 않은 아티스트의 곡도 포함되어 있어,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2004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발표된 목록을 비교해 보면 시대에 따른 음악적 취향과 가치관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목록에서는 밥 딜런의 "Like A Rolling Stone"이 1위를 차지했지만, 2021년 목록에서는 아레사 프랭클린의 "Respect"가 1위로 선정되었다. 이는 사회적 분위기와 대중의 인식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

참조

[1] 간행물 The RS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www.rollingst[...] 2008-04-10
[2] 간행물 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3-03-17
[3] 간행물 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09-16
[4] 웹사이트 Pete Seeger – American Favorite Ballads http://media.smithso[...] Smithsonian Folkways 2011-12-04
[5] 서적 Blues Masters Volume 8: Mississippi Delta Blues Rhino Records
[6] 문서 "#1 #14 #59 #68 #107 #187 #192 #206 #232 #260 #340 #373 #413"
[7] 웹사이트 Sex and drugs and Rock'n'roll: Analysing the lyrics of the Rolling Ston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dataconomy.co[...] 2014-05-09
[8] 웹사이트 The RS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www.rollingst[...] Rolling Stone 2004-12-09
[9]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