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프로스펙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나 프로스펙터는 1998년 NASA가 발사한 달 탐사선으로,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달 극지방의 물 존재 가능성을 확인하고, 달의 지질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감마선 분광기, 중성자 검출기, 알파 입자 분광기, 자기장 측정 및 전자 반사계, 도플러 중력 검출기 등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했다. 1999년 7월 달 남극의 슈메이커 크레이터에 의도적으로 충돌하며 임무를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Q30 쿼드랭글 - 달 충돌형 탐사선
달 충돌형 탐사선은 달 표면에 탐사선을 충돌시켜 달 표면 근거리 과학 연구, 특히 물, 얼음, 유기물과 같은 자원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고 미래 우주 탐사 및 달 기지 건설에 필요한 과학적 정보를 획득하는 탐사선이다. - LQ30 쿼드랭글 - 섀클턴 (충돌구)
섀클턴 충돌구는 달 남극에 위치한 직경 약 19km의 충돌구로, 영구 음영 지역과 영구 노출 지역이 공존하며 물 얼음 존재 가능성으로 인해 NASA의 달 기지 건설 후보지로 고려되고 있다. - 달 궤도선 - 창어 3호
2013년 달의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착륙선 창어 3호는 중국 최초로 달 착륙 및 탐사 로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며 달 표면 조사, 우주 환경 감지, 월면 천체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수행했고, 현재까지도 운용되며 달 탐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달 궤도선 - 아폴로 달 착륙선
아폴로 달 착륙선은 그루먼 항공사에서 제작되었으며 달 궤도 랑데부 방식으로 달 착륙을 가능하게 하여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총 6번의 유인 달 착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우주선이다.
루나 프로스펙터 | |
---|---|
미션 정보 | |
미션 유형 | 달 궤도 탐사선 |
운영 기관 | NASA |
프로그램 |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
이전 미션 | 니어 슈메이커 |
다음 미션 | 스타더스트 |
COSPAR ID | 1998-001A |
SATCAT | 25131 |
미션 기간 | 570일 |
우주선 버스 | LM-100 |
제조사 | 록히드 마틴 |
건조 질량 | 126 kg |
발사 질량 | 296.4 kg |
전력 | 202.0 W |
탑재 장비 | 감마선 분광기 (GRS) 루나 프로스펙터 중성자 분광기 (NS) 알파 입자 분광기 (APS) 도플러 중력 실험 (DGE) 자력계 (MAG) 전자 반사 장치 (ER) |
발사 정보 | |
발사일 | 1998년 1월 7일 02:28:44 UTC |
발사 로켓 | 아테나 II |
발사 장소 | 케이프 커내버럴 SLC-46 |
발사 계약자 | 록히드 마틴 스페이스 시스템즈 |
궤도 정보 | |
궤도 진입일 | 1998년 1월 11일, 10:28 UTC |
궤도 기준 | 달 중심 궤도 |
궤도 근지점 | 99.45 km |
궤도 원지점 | 101.2 km |
궤도 경사 | 90.55도 |
궤도 주기 | 117.9분 |
궤도 이심률 | 0.00046 |
궤도 회전수 | ~7060 |
미션 종료 정보 | |
폐기 유형 | 궤도 이탈 (달 충돌) |
붕괴 날짜 | 1999년 7월 31일, 09:52:02 UTC |
충돌 위치 | 남위 87.7도, 동경 42.1도 |
기타 정보 | |
![]() |
2. 역사와 제작 배경
루나 프로스펙터에는 달 표면의 화학 조성, 물의 존재, 자기장, 중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5가지 과학 장비가 탑재되었다.
1993년, NASA는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의 세 번째 탐사선을 선정하기 위해 연구원들이 제안한 탐사선 목록을 만들었고, 1995년 2월에 루나 프로스펙터를 최종 선정했다.[27] 이후 예산 배정, 디자인, 부품 개발 등이 진행되었다.
1994년 클레멘타인 탐사 이후 달 극지방 근처에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달에 대량의 물이 존재한다면 달 기지 건설 시 지구에서 운반해야 하는 자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인류의 달 활동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견이 될 수 있었다. 또한 달 표면의 화학 조성을 조사하여 광물 등 자원 분포를 파악하고, 방사성 가스 검출을 통해 달의 지각 활동을 조사하는 것도 현실적인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조사를 위해 루나 프로스펙터는 방사선 센서를 주 장비로 계획되었으며, 달 내부 구조 파악을 위한 자기장 및 중력장 센서도 탑재되었다.
3. 과학 장비 (페이로드)
이 장비들은 달 탐사 및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3. 1. 감마선 분광기 (GRS)
달 표면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을 측정하여 우라늄, 토륨, 철, 티타늄 등의 원소 분포를 조사하고 달 표면 지도를 제작했다.[28] 특히, 칼륨(K), 희토류 원소, 인을 포함하는 KREEP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루나 프로스펙터''의 감마선 분광계(GRS)는 2.5m 길이의 붐대 끝에 장착된 원통형 장치였다. 이 장치는 붕산 처리된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인 비스무트 게르마네이트 결정으로 구성되어, 감마선이 비스무트 원자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여 감마선의 에너지를 측정했다. 이 에너지 값을 통해 감마선을 방출하는 원소를 알아낼 수 있었다.
GRS는 약 100km 고도에서 작동하며 150km의 지표면 해상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11] 이 기기를 통해 달 전체의 다양한 원소 분포를 지도로 나타낼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철 농도가 높은 지역들을 식별했다.[12]
GRS 실험의 주요 목적은 달 표면의 원소 분포에 대한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GRS는 달 지각에 포함된 원소의 방사성 붕괴와 우주선 및 태양풍 입자에 의해 충격을 받은 지각 내 원소에서 발생하는 감마선 스펙트럼을 기록했다. GRS를 통해 감지 가능한 주요 원소는 우라늄(U), 토륨(Th), 칼륨(K)과 같은 방사성 원소와 철(Fe), 티타늄(Ti), 산소(O), 규소(Si),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등이었다. 특히 우라늄, 토륨, 칼륨은 KREEP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었다.
3. 2. 중성자 분광기 (NS)
중성자 분광기(NS)는 달에 존재한다고 믿어지는 미세한 양의 얼음 물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0.01% 미만의 수준에서 얼음 물을 감지할 수 있었으며,[29] 극지방 얼음 연구를 위해 위도 80도까지 극지방을 조사하도록 예정되었고, 수소 부피 기준으로 최소 10ppm의 감도를 가졌다. 이식된 수소 연구를 위해 NS는 50ppmv의 감도로 전체 구를 조사하도록 설계되었다. 달에는 극지방 근처에 지속적으로 -190°C의 온도를 유지하는 영구적으로 그림자가 드리워진 크레이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크레이터는 유입되는 혜성과 유성에서 오는 물을 차갑게 가두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천체에서 온 물이 이 크레이터로 들어가면 영구적으로 얼어붙을 수 있다. NS는 또한 태양풍에 의해 이식된 수소의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29]
중성자 분광기는 세 개의 방사형 ''루나 프로스펙터'' 과학 붐 중 하나의 끝 부분에 알파 입자 분광계와 함께 위치한 좁은 원통형 장치였다. 이 장비는 지표면 해상도를 가졌다. 중성자 분광계는 각각 헬륨-3과 에너지 계수기를 포함하는 두 개의 용기로 구성되었다. 열 중성자가 헬륨 원자와 충돌하면 감지하고 계수할 수 있는 에너지 신호가 발생한다. 용기 중 하나는 카드뮴으로 감싸져 있고, 다른 하나는 주석으로 감싸져 있었다. 카드뮴은 열 중성자(저에너지 또는 느리게 움직이는)를 차단하는 반면 주석은 그렇지 않다. 열 중성자는 우주선에 의해 생성된 중성자로서, 수소 원자와의 충돌로 인해 에너지를 많이 잃은 것이다. 두 용기 간의 계수 차이는 감지된 열 중성자의 수를 나타내며, 이는 해당 위치의 달 껍질에 있는 수소의 양을 나타낸다. 대량의 수소는 물의 존재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루나 프로스펙터'' 중성자 분광계(NS)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션 과학자들은 달의 극지방 크레이터에 달의 얼음 물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으며,[13] 이는 약 30억 톤으로 추정된다고 결론 내렸다.
1994년 클레멘타인 탐사 이후 달 극지방 부근에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만약 달에 대량의 물이 있다면, 달 기지 건설 시 지구에서 운반해야 하는 자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인류의 달에서의 활동 실현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견이 된다.
1998년 1월 7일 발사되어 105시간 만에 달에 도달했다. 이후 달 양극 상공을 통과하는 고도 100km 궤도에 진입하여 각종 관측 장비로 달 표면 매핑을 시작했다. 3월, 탑재된 중성자선 분광계로 달 극지방에서 수소 존재를 의미하는 관측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1998년 9월 4일 NASA는 중성자선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달 양극 지방에 최대 60억 톤의 물이 존재할 수 있음을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1999년 7월 31일 탐사 임무 최종 단계로 탐사선을 달 남극 크레이터에 충돌시켜 얼음으로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직접 관측하려는 실험이 진행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 및 지구상 천문대가 충돌 시점에 맞춰 관측을 진행했지만 수증기는 관측되지 않고 종료되었다.
결국 이 임무에서는 달 표면에 물 얼음이 존재한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지 못했지만, 중성자선 관측이 수소 존재를 시사한 것은 간접적으로 물 존재를 지지하는 결과가 되었다.
3. 3. 알파 입자 분광기 (APS)
알파 입자 분광기(APS)는 달 표면에서 라돈 방출 사건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APS는 라돈 가스와 그 부산물인 폴로늄의 방사성 붕괴에 따른 알파 입자 신호를 기록했다.[30] 라돈, 질소,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러한 방출 사건은 희박한 달 대기의 원인으로 추정되며, 달의 낮은 수준의 화산 활동이나 구조 활동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사건의 존재, 시기 및 원인에 대한 정보는 달의 구조 활동 방식과 속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PS는 발사 중 손상되어 5개의 검출 면 중 하나가 파손되었다. 또한, 임무 기간 동안 흑점 활동이 최고조에 달했기 때문에 태양 간섭으로 인해 달 데이터가 가려졌다. 이 정보는 결국 태양 활동의 영향을 제거하여 복구되었다.
APS는 한 변의 길이가 18cm인 정육면체 모양으로, 세 개의 방사형 2.5m ''루나 프로스펙터'' 과학 탐사 장비 중 하나 끝에 있는 중성자 분광기와 함께 위치해 있었다. 이 장치에는 정육면체의 6개 면 중 5개 면에 배치된 금과 알루미늄 디스크 사이에 끼워진 10개의 실리콘 검출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라돈과 폴로늄의 붕괴로 생성된 알파 입자는 실리콘에 충돌할 때 실리콘 웨이퍼에 전하 흔적을 남긴다. 고전압이 실리콘에 가해지고, 전류는 흔적을 따라 알루미늄 디스크로 유입되어 증폭되며 식별을 위해 기록된다. APS는 150km의 표면 해상도와 10%의 정밀도로 가스 방출 사건과 폴로늄 분포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3. 4. 자기장 측정 및 전자 반사계 (MAG/ER)
자력계 및 전자 반사계(MAG/ER)는 달의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이다. 달은 전반적으로 자기장이 약하지만, MAG/ER는 국부적인 자기 이상 현상을 발견했다. 이 이상 현상은 직경이 약 100km이며,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자기권, 자기권꼬리 및 충격파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16]
이러한 자기 이상 현상 때문에, 태양풍에 의해 퇴적된 수소가 불균일하게 분포하며 자기 이상 현상 주변에 더 많이 모여 있다. 수소 밀도는 미래 달 기지 건설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달 탐사 임무를 위한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전자 반사계(ER)는 에너지 스펙트럼과 전자의 방향을 통해 자기장의 위치와 강도를 측정했다. 이 장치는 달의 자기장에 의해 반사된 태양풍 전자의 피치 각도를 측정했는데, 강한 국부 자기장일수록 더 큰 피치 각도를 가진 전자를 반사할 수 있다. ER은 0.01 nT 정도의 작은 자기장 세기도 달 표면에서 약 3km의 공간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었다.
자력계(MAG)는 화성 탐사선에 사용된 것과 비슷한 3축 플럭스게이트 자력계였다. 주변 플라스마 교란이 적을 때, 우주선 고도에서 자기장 진폭과 방향을 약 100km의 공간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었다.
ER과 전자 장치 패키지는 ''루나 프로스펙터''의 세 방사형 과학 붐 중 하나 끝에 있었다. MAG는 우주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피하기 위해 0.8m 붐(총 2.6m)에 설치되었다. ER과 MAG 장치의 총 질량은 5kg이었고, 4.5 와트의 전력을 사용했다.
3. 5. 도플러 중력 실험 (DGE)
클레멘타인 탐사선이 이전에 달의 중력 지도를 제작했으나, 루나 프로스펙터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달의 중력과 질량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했다.[31] 이를 통해 달 앞면의 중력 지도를 상세하게 제작하고, 달 내부 구조 연구에 기여했다.[14]
도플러 중력 실험(DGE)은 S-밴드 추적 신호가 지구에 도달할 때의 도플러 이동을 측정하여 우주선의 가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달 중력장 추정치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실험은 달 표면 및 내부 질량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달의 지각, 암석권, 달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실험은 저극 궤도에서 얻은 최초의 달 중력 데이터를 제공했으며, 시선 추적이 필요했기 때문에 달 앞면의 중력장만 추정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의 표면 해상도와 5 mGal (0.05 mm/s²)의 정밀도로 달 앞면의 중력장을 측정했다.[14] 또한, 수집된 데이터는 저궤도에서 안정적인 "고정 궤도"가 특정 경사(27º, 50º, 76º, 86º)에서만 존재함을 밝혀냈다.[15]
4. 엔진
엔진은 6개로, 138kg의 하이드라진과 수소를 통해 추력을 낸다. 우주선은 6개의 히드라진 단일 추진제 22뉴턴 추력기(2개 후방, 2개 전방, 2개 접선 방향)로 제어되었다. 드럼 내부에 장착된 3개의 연료 탱크는 헬륨으로 가압된 138kg의 히드라진을 담고 있었다.[9][10]
5. 발사
1998년 1월 6일 (UTC-4 기준) 아테나 II 로켓으로 발사되었다.[34] 1998년 1월 7일 UT(1월 6일 EST)에 발사된 ''루나 프로스펙터''는 달까지 105시간 동안 항해했다. 항해 중에 3개의 기기 붐(boom)이 전개되었다.
6. 궤도
·
1998년 1월 7일(미국 시간 1월 6일) 발사된 ''루나 프로스펙터''는 105시간의 항해 끝에 달 궤도에 진입했다. 항해 중 세 개의 기기 붐이 전개되었고, 여러 장비가 보정 데이터를 수집했다. 탐사선은 달 주위 11.6시간 주기 포획 궤도에 진입한 후, 24시간 뒤 3.5시간 주기의 중간 궤도에 진입했다. 1998년 1월 13일에는 92x 예비 궤도를 거쳐, 1월 16일에는 90도 경사각과 118분 주기를 가진 100km 고도의 거의 원형인 극궤도에 진입하여 본격적인 달 탐사를 시작했다.
궤도 유지를 위한 연소는 계획된 궤도를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는 한 달에 한 번 정도 발생했다. 1998년 12월 19일에는 더 높은 해상도의 연구를 위해 궤도를 40km 고도로 낮추었다. 1999년 1월 28일에는 궤도를 15x 궤도로 변경하여 1년간의 주 임무를 종료하고 연장 임무를 시작했다.
''루나 프로스펙터''는 1999년 7월 31일 달 남극 근처 슈메이커 크레이터에 의도적으로 충돌하면서 임무를 종료했다.[1]
7. 추락
1999년 7월 31일, 루나 프로스펙터는 달 남극 근처 슈메이커 크레이터의 영구 음영 지역에 의도적으로 충돌하면서 임무를 종료했다.[35] 이 충돌은 크레이터 내의 얼음 퇴적물에서 수증기를 방출시켜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수증기는 관측되지 않았다.
8. 지원, 개발, 투자
참여 기관 및 인물 |
---|
NASA[36] |
록히드 마틴[37] |
JPL[38] |
하버드 대학교[39] |
윌리엄 펠드먼 (William Feldman)[40] |
로스 앨러모스 (Los Alamos)[41] |
마리오 아쿠나 (Mario Acuna)[42] |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43] |
애리조나 대학교[44] |
로버트 린 (Robert Lin)[45] |
버클리 대학교[46] |
앨런 바인더 (Alan Binder)[47] |
알렉스 코노플리브 (Alex Konopliv)[48] |
1994년 클레멘타인의 탐사 이후 달의 극지방 부근에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만약 달에 대량의 물이 있다면, 달 기지를 건설할 때 지구에서 운반해야 하는 자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인류의 달에서의 활동 실현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견이 된다. 마찬가지로 달 표면의 화학 조성을 조사하여 광물 등 자원 분포를 아는 것도 현실적인 조사 목표가 되었다. 더 나아가 방사성 가스를 검출하여 달의 지각 활동에 대해서도 조사하게 되었고, 이러한 조사를 위해 방사선 센서를 주된 장비로 하는 탐사선으로서 루나 프로스펙터가 계획되었다. 또한, 달의 내부 구조를 파악할 단서를 얻기 위해 자기장 및 중력장 센서도 탑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2023-01-09
[2]
웹사이트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18-07-04
[3]
웹사이트
Eureka! Ice Found At Lunar Poles
https://web.archive.[...]
NASA
2018-07-04
[4]
웹사이트
Ice on the Moon
https://nssdc.gsfc.n[...]
2018-07-04
[5]
논문
Improved Gravity Field of the Moon from ''Lunar Prospector''
1998
[6]
논문
Lunar Prospector: Overview
1998-09-04
[7]
서적
Lunar Prospector: Against all Odds
http://google.com/bo[...]
Ken Press
2005
[8]
웹사이트
Fiery space debris that hit Earth in November likely from Moon rocket
https://arstechnica.[...]
2019-03-24
[9]
웹사이트
Gene Shoemaker - Founder of Astrogeology {{!}}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2022-04-28
[10]
웹사이트
Gene Shoemaker {{!}} American astrogeologis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28
[11]
논문
Global Elemental Maps of the Moon: The ''Lunar Prospector'' Gamma-Ray Spectrometer
1998
[12]
웹사이트
Iron Distribution - ''Lunar Prospector''
https://web.archive.[...]
NASA
2008-07-14
[13]
웹사이트
Neutron Spectrometer Results
https://web.archive.[...]
NASA
2008-07-14
[14]
웹사이트
Doppler Gravity Experiment Results
https://web.archive.[...]
NASA
2008-07-14
[15]
웹사이트
Bizarre Lunar Orbits
https://web.archive.[...]
NASA
2017-09-08
[16]
웹사이트
Magnetometer / Electron Reflectometer results
https://web.archive.[...]
NASA
2008-07-14
[17]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www.nasa.gov[...]
2018-04-30
[18]
웹인용
Lunar Prospector information
https://nssdc.gsfc.n[...]
2018-04-30
[19]
웹인용
Lunar Prospector information
https://nssdc.gsfc.n[...]
2018-04-30
[20]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www.aerospac[...]
2018-04-30
[21]
웹인용
The Lunar Prospector Mission
https://www.lpi.usra[...]
2018-04-30
[22]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www.aerospac[...]
2018-04-30
[23]
웹인용
Lunar Prospector Mission
https://www.nasa.gov[...]
2018-04-30
[24]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www.nasa.gov[...]
2018-04-30
[25]
간행물
Global Elemental Maps of the Moon: The Lunar Prospector Gamma-Ray Spectrometer
http://science.scien[...]
2018-04-30
[26]
간행물
Improved Gravity Field of the Moon from Lunar Prospector
http://science.scien[...]
2018-04-30
[27]
웹인용
The Lunar Prospector Mission
https://www.lpi.usra[...]
2018-04-30
[28]
웹인용
Lunar Prospector Gamma Ray Spectrometer (GRS)
https://nssdc.gsfc.n[...]
2018-04-30
[29]
웹인용
Lunar Prospector Neutron Spectrometer (NS)
https://nssdc.gsfc.n[...]
2018-04-30
[30]
웹인용
Lunar Prospector Alpha Particle Spectrometer (APS)
https://nssdc.gsfc.n[...]
2018-04-30
[31]
웹인용
Lunar Prospector Doppler Gravity Experiment (DGE)
https://nssdc.gsfc.n[...]
2018-04-30
[32]
웹인용
Lunar Prospector Electron Reflectometer (ER)
https://nssdc.gsfc.n[...]
2018-04-30
[33]
웹인용
Lunar Prospector Magnetometer (MAG)
https://nssdc.gsfc.n[...]
2018-04-30
[34]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www.britanni[...]
2018-04-30
[35]
뉴스
Crash landing on moon part of NASA experiment
http://edition.cnn.c[...]
2018-04-30
[36]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37]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38]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39]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0]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1]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2]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3]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4]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5]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6]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7]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48]
웹인용
Lunar Prospector
https://nssdc.gsfc.n[...]
2018-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