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멜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멜리아는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에서 정복한 지역을 지칭하는 역사적 지명으로, "로마인의 땅"을 의미한다. 이 지역은 원래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에 속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 이후 기독교인이 다수 거주했으나,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인구가 늘어났다. 루멜리아는 현재 불가리아, 터키령 트라키아, 마케도니아, 모에시아를 포함하는 지역을 아우르며,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인해 그 범위가 변화했다. 오늘날에는 터키, 그리스 등 발칸 반도 여러 지역에서 역사적, 문화적 맥락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령 그리스 - 사모스 공국
    사모스 공국은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사모스 섬에 설치되어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자치를 누리다가,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거쳐 1913년 그리스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 오스만령 그리스 - 쿠츄크 카이나르지 조약
    쿠츄크 카이나르지 조약은 1774년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간에 체결되어 러시아가 흑해 출구 확보, 함대 건조 권한, 해협 통항 권한을 얻고 오스만 제국은 크림 칸국 지배권 포기 및 러시아의 제국 내 정교회 신도 보호권 인정을 통해 러시아의 동유럽 및 지중해 진출 기반을 마련하고 내정 간섭의 계기가 되었다.
  • 북마케도니아의 역사 -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유고슬라비아의 붕괴는 복잡한 민족 구성,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위기, 민족주의 부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여러 국가로 분리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진 20세기 후반의 해체 과정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역사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 중 하나로, 자체 헌법, 정부, 의회를 갖춘 자치적인 국가였으며,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국명을 변경하였다.
  • 발칸반도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발칸반도의 역사 - 발칸 연방
    발칸 연방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후반까지 발칸반도 국가들의 통합을 목표로 추진되었던 정치적 구상이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패했다.
루멜리아
지리
역사적 맥락
다른 이름'터키: Rumeli'
'알바니아: Rumeli'
'불가리아: Румелия'
'그리스: Ρούμελη'
개요
루멜리아오스만 제국 통치 하의 발칸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
의미'로마인의 땅' (당시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 특히 비잔틴 의례를 따르는 기독교인을 의미)
지역현재의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그리스,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튀르키예의 유럽 지역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루멜리아 에얄레트 (Rumelia Eyalet)
동루멜리아 (Eastern Rumelia)
그리스 지역루멜리 (Roúmeli, 중앙 그리스)
어원
기원로마 (Rome)
언어별 표현오스만 튀르크어: روم ايلى (Rum İli)
튀르키예어: Rumeli
그리스어: Ρωμυλία
범위
초기14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된 모든 발칸 지역
이후 북쪽과 서쪽으로 확장
지리적 경계북쪽: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동쪽: 흑해, 에게 해, 이스탄불 지역
서쪽: 알바니아 해안
남쪽: 모레아
역사
주요 사건오스만 제국의 유럽 지역 확장
루멜리아 에얄레트 설립
민족주의 운동과 독립 전쟁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영토 축소
유산
문화적 영향오스만 건축
이슬람교의 영향
다양한 민족과 종교의 공존
현대적 의미발칸 반도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
튀르키예에서 튀르키예의 유럽 지역 (트라키아)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

2. 어원

1795년 루멜리아 지도


'''루멜리아'''(روم ايلى|Rūm-ėli|ota 오스만 터키어로 "로마인의 땅")는 Rûm(룸)은 "로마"를, ''ėli''는 "땅"을 의미한다. 터키어로는 Rumeli이다. 이 용어는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에서 정복한 지역을 지칭하는데, 이 지역은 이전에는 로마 제국으로 알려진 비잔틴 제국에 속해 있었다.[4]

원래 셀주크는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아나톨리아를 "Rûm"(로마인)의 땅이라고 불렀다. 룸 술탄국은 "로마 제국의 술탄국" 또는 "로마 술탄국"을 의미했으며, 1243년 쾨세 다으 전투까지 중앙 아나톨리아를 주로 포괄했다. 이후, 14세기와 15세기에 아나톨리아 베이릭이 오스만 제국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14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확장이 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로 진행되고, 1453년 메흐메트 2세콘스탄티노폴리스 (현재의 이스탄불)를 정복한 후, ''Rumeli''라는 용어는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역에만 적용되었다.

2. 1. 명칭의 유래



''Rûm''(룸)은 "로마"를 의미하고, ''ėli''는 "땅"을 의미하며, ''루멜리아''(روم ايلى|Rūm-ėli|ota)는 오스만 터키어로 "로마인의 땅"을 의미한다. 터키어로는 Rumeli이다. 이 용어는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에서 정복한 지역을 지칭하는데, 이 지역은 이전에는 동시대인들이 로마 제국으로 알려진 비잔틴 제국에 속해 있었다.[4] 비록 현대 역사가들은 "비잔틴 제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제국의 시민과 황제들은 자신들을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로마인, 즉 로마인이라고 불렀으며, 기독교 정체성을 받아들였다. 발칸 반도의 다양한 언어들은 오랫동안 "로마"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이전의 동로마 제국 영토를 지칭해 왔다.[4] 이 용어는 이 지역의 여러 언어에서 살아남았다: Rumelia|sq, Румелия|Rumeliya|bg, Ρωμυλία|Romylía|el 또는 Ρούμελη|Roúmeli|el, 마케도니아어, 그리고 Румелија|sh, , Rumelia|ro.[4] 제노바의 오래된 라틴 문서에서는 중세 시대의 비잔틴 제국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이름인 ''Romania''라는 용어를 사용한다.[4]

원래 셀주크는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셀주크 제국의 군대가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점차 정복한 아나톨리아를 정의하기 위해 "Rûm"(로마인)의 땅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아나톨리아 셀주크 술탄국은 동시대인들에 의해 "로마 제국의 술탄국" 또는 "로마 술탄국"을 의미하는 룸 술탄국으로 불렸으며, 1243년 쾨세 다으 전투까지 주로 중앙 아나톨리아를 포괄했다. 아나톨리아는 기독교인의 땅, 즉 룸으로 불렸다. 그 후, 14세기와 15세기에 오스만 베이릭이 두각을 나타내고 결국 오스만 제국이 된 아나톨리아 베이릭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14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확장이 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로 진행된 후, 그리고 메흐메트 2세가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현재의 이스탄불)를 정복한 후, ''Rumeli''라는 용어는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역에만 적용되었다. 이 지역은 주로 기독교인이 거주했지만, 점차 알바니아인, 보스니아인, 포마크, 그리고 많은 그리스 무슬림, 세르비아 무슬림, 불가리아 무슬림 및 블라크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2. 2. 발칸 반도 언어에서의 흔적

이 문맥에서 ''Rûm''(룸)은 "로마"를 의미하고, ''ėli''는 "땅"을 의미하며, ''루멜리아''(روم ايلى|Rūm-ėliota; 터키어: ''Rumeli'')는 오스만 터키어로 "로마인의 땅"을 의미한다.[4] 발칸 반도의 다양한 언어들은 오랫동안 "로마"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이전의 동로마 제국 영토를 지칭해 왔다. 이 용어는 이 지역의 여러 언어에서 살아남았다: Rumelia|루멜리아sq; Румелия|루멜리야bg; Ρωμυλία|로밀리아el 또는 Ρούμελη|루멜리el; 마케도니아어; 그리고 Румелија|루멜리야sh; 뿐만 아니라 Rumelia|루멜리아ro. 제노바의 오래된 라틴 문서에서는 중세 시대의 비잔틴 제국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이름인 ''Romania''라는 용어를 사용한다.[4]

2. 3. 아나톨리아와의 관계



''Rûm''(룸)은 "로마"를, ''ėli''는 "땅"을 의미하며, ''루멜리아''(روم ايلى|Rūm-ėli|터키어 발음ota)는 오스만 터키어로 "로마인의 땅"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에서 정복한 지역을 지칭하는데, 이곳은 이전 비잔틴 제국의 영토였다.[4]

원래 셀주크는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아나톨리아를 "Rûm"(로마인)의 땅이라고 불렀다. 룸 술탄국은 "로마 제국의 술탄국" 또는 "로마 술탄국"을 의미했으며, 1243년 쾨세 다으 전투까지 중앙 아나톨리아를 주로 포괄했다. 이후, 14세기와 15세기에 아나톨리아 베이릭이 오스만 제국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14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확장이 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로 진행되고, 1453년 메흐메트 2세콘스탄티노폴리스 (현재의 이스탄불)를 정복한 후, ''Rumeli''라는 용어는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역에만 적용되었다.

3. 지리

(섹션 '지리'는 '역사적 범위'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별도로 작성하지 않는다.)

3. 1. 역사적 범위

루멜리 히사르 (루멜리 요새, 1452)는 보스포루스 해협의 유럽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이스탄불에 있다.


루멜리아는 현재 불가리아터키령 트라키아트라키아, 마케도니아, 모에시아를 포함하며, 북쪽으로는 사바강다뉴브강,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 해안, 남쪽으로는 모레아로 경계를 이룬다. 처음에는 플로브디프가 주요 도시였고, 그 다음은 소피아였다.[5] "루멜리아"라는 이름은 결국 중앙 알바니아와 북서부 마케도니아를 포함하는 주로 사용되었고, 비톨라가 주요 도시였다.

오스만 제국 정부가 1870년에서 1875년 사이에 실시한 행정 개편에 따라, "루멜리아"라는 이름은 더 이상 어떤 정치적 구역과도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동 루멜리아는 베를린 조약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자치 주로 구성되었지만,[5] 1885년 9월 6일, 무혈 혁명 후 불가리아 통일과 함께 통합되었다.[6] 코소보 빌라예트는 1877년에 설립되었다.[7]

터키에서 "Trakya" (트라키아)라는 단어는 이제 터키의 유럽 부분(에디르네, 크르클라렐리, 테키르다, 차나칼레주의 북부, 이스탄불주의 서부)을 지칭하기 위해 "Rumeli"(루멜리아)를 대체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루멜리아"는 역사적 맥락에서 계속 사용되며, 현재 발칸 반도의 터키 인구와 발칸 반도에서 이주한 터키 이민자들의 후손들의 문화와 관련하여 여전히 사용된다. 터키의 이 지역은 동부 트라키아 또는 터키령 트라키아로도 불린다. 그리스에서 Ρούμελη|Rumeliel라는 용어는 오스만 시대부터 중앙 그리스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특히 펠로폰네소스 또는 모레아와 병치될 때 사용된다. "Rumeli"라는 단어는 또한 일부 경우, 주로 이스탄불에서, 보스포루스 해협 서쪽에 있는 이스탄불 주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3. 2.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 변화

1870년에서 1875년 사이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루멜리아"라는 명칭은 더 이상 특정 행정 구역을 가리키지 않게 되었다.[5]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동 루멜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자치주가 되었으나,[5] 1885년 9월 6일 무혈 혁명을 거쳐 불가리아 통일로 불가리아에 통합되었다.[6] 1877년에는 코소보 빌라예트가 신설되었다.[7]

초대 루멜리아 베이레르베이(총독)는 무라드 1세의 스승 라라 샤힌 파샤였다. 1362년 샤힌 파샤는 루멜리아 행정 중심지를 필리베(플로브디프)에 두었다가, 1382년 소피아로 이전했다.

루멜리아의 역대 베이레르베이는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사하베틴 파샤1436년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1551년 ~ 1555년
페르테브 파샤1555년 ~ ?
옌 파샤17세기
알리 파샤1741년 ~ 1822년
요르간주올 파샤1905년


3. 3. 현대적 사용

터키에서 "Trakya" (트라키아)라는 단어는 이제 터키의 유럽 부분(에디르네, 크르클라렐리, 테키르다, 차나칼레 주의 북부, 이스탄불 주의 서부)을 지칭하기 위해 "Rumeli"(루멜리아)를 대체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5] 그러나 "루멜리아"는 역사적 맥락에서 계속 사용되며, 현재 발칸반도의 터키 인구와 발칸 반도에서 이주한 터키 이민자들의 후손들의 문화와 관련하여 여전히 사용된다.[5] 이 지역은 동부 트라키아 또는 터키령 트라키아로도 불린다. 그리스에서 Ρούμελη|Rumeliel라는 용어는 오스만 시대부터 중앙 그리스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특히 펠로폰네소스 또는 모레아와 병치될 때 사용된다. "Rumeli"라는 단어는 또한 일부 경우, 주로 이스탄불에서, 보스포루스 해협 서쪽에 있는 이스탄불 주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4. 행정

무라드 1세의 스승이었던 라라 샤힌 파샤가 루멜리아의 초대 베이레르베이(총독)였다. 1362년에 샤힌 파샤는 루멜리아 행정의 중심을 필리베(플로브디프)에 두었다. 그 후 1382년에는 소피아(소피아)로 옮겨졌다.[1]

4. 1. 역대 베이레르베이 (총독)

무라드 1세의 스승이었던 라라 샤힌 파샤가 루멜리아의 초대 베이레르베이(총독)였다.[1] 1362년에 샤힌 파샤는 루멜리아 행정의 중심을 필리베(플로브디프)에 두었다. 그 후 1382년에는 소피아(소피아)로 옮겨졌다.[1]

역대 베이레르베이(총독)는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사하베틴 파샤1436년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1551년 ~ 1555년
페르테브 파샤1555년 ~ ?
옌 파샤17세기
알리 파샤1741년 ~ 1822년
요르간주올 파샤1905년


참조

[1] 간행물 Hungary and the Balkans in the 20th Century — From the Hungarian Perspective http://cejsh.icm.edu[...] 2015
[2] 서적 A new Europe for the old? Transaction Publishers 1999
[3] 간행물 ‘Western Balkans’ as the New Balkans: Regional Names as Tools for Stigmatisation and Exclusion https://www.tandfonl[...] 2016-08-08
[4]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 서적 Novísima Geografía Universal http://www.bibliotec[...] Madrid La Edit. Española-Americana
[6]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7] 서적 Kosovo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