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공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공권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의 6세손이다. 1155년 국자시에 합격하고 1160년 김영부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명종 대에 내시, 사문박사, 직사관 등을 거쳐 요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1186년 금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1194년 동지추밀원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풍질로 인해 퇴직하였고, 1196년 사망하여 문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류공권은 청렴하고 공평한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초서와 예서에도 능했다.

2. 생애

류공권은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의 6세손으로,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좋아했다. 1155년(의종 9) 국자시에 합격하고 1160년(의종 14)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이듬해 청주목장서기에 임명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1186년(명종 16)에는 금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적 능력을 인정받았다. 귀국 후 이부시랑, 예빈경, 우부승선 등에 임명되었고, 1189년(명종 19)에는 국자시를 주관하여 정수강, 이규보 등을 선발하기도 했다. 1194년(명종 24) 동지추밀원사에 올라 재추의 반열에 들었으나, 이듬해 풍질(風疾)로 인해 관직에서 물러났다.

1196년 병이 위독해지자 왕이 정당문학, 참지정사, 판예부사의 관직을 내렸으나, 같은 해 7월 19일 65세로 졸하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며, 8월 13일 왕경 개성부 송림군 서산 남쪽 기슭에 장례를 지냈다.[3]

2. 1. 가계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의 6세손이며, 아버지는 류총(柳寵)이다. 류공권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관직
1류차달시조
2류효금(柳孝金)좌윤
3류금환(柳金奐)대장군중윤
4류노일(柳盧一)검교대장군 행산원
5류보춘(柳寶春)검교소부소감
6류총(柳寵)검교소부소감
7류공권(柳公權)


2. 2. 관직 생활

1155년(의종 9) 5월 어사중승 이공승(1099~1183)이 주관한 국자시(國子試)에 합격하고, 1160년(의종 14) 김영부의 문하에서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1] 당시 류공권과 함께 급제한 동기생들은 최효저, 윤종양(1143~1188), 조영인(1133~1202), 최선(1138~1209) 등이다.

이듬해 청주목장서기(淸州牧掌書記)에 임명되어 3년 간 재임하다가 익양부녹사(翼陽府錄事)로 승진했고, 1170년(명종 즉위년) 명종이 즉위하자 내시(內侍)가 되어 사문박사(四門博士)·직사관(直史館)에 임명되었다. 그 후 군기시(軍器寺)와 대부시(大府寺)의 주부(注簿), 합문지후(閤門祗候),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 상의봉어(尙衣奉御),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공부(工部)와 병부(兵部)의 낭중(郎中)을 지냈고, 1182년(명종 12) 국학직강(國學直講)을 겸했다.

이듬해 장작소감(將作少監)·사경(司經)으로 승진했다가 중윤(中允)·충사관수찬관(充史館修撰官)으로 옮겼고, 또 그 이듬해에는 군기감(軍器監)·동궁시강학사(東宮侍講學士)로 승진했다.[2] 1186년(명종 16) 예빈경(禮賓卿)으로서 왕명을 받들고 만춘절(萬春節)을 하례하러 금나라에 사신으로 갔는데, 행동거지가 법도와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 없으므로 금나라 사람들이 그가 예법에 밝은 사람이라고 칭찬하였으며[3], 귀국한 후 왕이 그 사명을 욕되게 하지 않았음을 가상하게 여겨 이부시랑(吏部侍郞)으로 옮겼다가, 예빈경·우부승선(右副承宣)에 임명되었다.

1189년(명종 19) 5월 국자시를 주관하여 정수강, 이규보 등을 선발했고, 이듬해 판대부사(判大府事)·우승선(右承宣)으로 승진했으며, 또 그 이듬해 국자감대사성(國子監大司成)이 더해지고 찬선대부(贊善大夫)를 겸하였다. 1192년(명종 22)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임명되고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과거를 주관했으며, 이듬해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4]·지주사(知奏事)·지이부사(知吏部事)로 옮겼다.[2]

1194년(명종 24) 올리는 건의가 왕의 뜻에 잘 맞아 도움 되는 바가 많았다 하여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빈객(賓客)에 임명되고 재추의 반열에 들어갔으나, 이듬해 갑자기 풍질(風疾)이 들어 퇴직을 요청했다. 명종은 그의 글재주를 아껴 처음에는 만류했으나, 류공권이 세 번이나 글을 올려 결국 사직을 허락했다.

3. 평가

柳公權중국어은 청렴하고 공평했으며 관직에 있을 때 충실히 임무를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 또한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썼다고 한다.[1]

4. 가족 관계


  • 6대조: 류차달 - 대승(大丞), 태조의 공신, 문화 류씨 시조[3]
  • 증조부: 류노일 -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행산원(行散員)[2]
  • 조부: 류보춘 - 검교소부소감(檢校少府少監)[2]
  • 아버지: 류총 - 검교소부소감[2]
  • 어머니: 이씨[2]
  • 부인: 손각의 딸 - 대부주부(大府注簿) 역임[2]
  • 장남: 류언침 - 추밀원사(樞密院使)·예부상서(禮部尙書)
  • 차남: 류택 - 우복야(右僕射)·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5]
  • 손자: 류경 - 첨의중찬(僉議中贊)·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상장군(上將軍)·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세자사(世子師)·문정공(文正公)
  • 사위: 파평 윤씨 윤위 - 국자사업(國子司業). 윤관의 증손자(가계: 윤관-윤언인-윤덕첨-윤위). 아들 윤극민(류공권의 외손자)은 공암 허씨 허공의 사위[6]

참조

[1] 문서 김보당
[2] 서적 류공권 묘지명
[3] 서적 고려사 류공권전
[4] 서적 고려사 류공권전
[5] 서적 고려사 류공권전
[6] 서적 문화 류씨 가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