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호보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호보암은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제4대 국왕으로, 기원전 930년 솔로몬 사후에 즉위했다. 그는 솔로몬의 정책을 이어받아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과 노동을 부과했고, 이에 반발한 북부 지파들이 여로보암 1세의 주도 하에 반란을 일으켜 이스라엘 왕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르호보암은 유다 왕국의 왕으로 남았으며, 이집트의 침공을 받아 예루살렘 성전이 약탈당하고 유다 왕국은 이집트의 속국이 되었다. 그는 17년간 통치했으며, 그의 아들 아비야가 왕위를 이었다. 르호보암은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0세기 사망 - 여로보암
여로보암은 느밧의 아들이자 북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솔로몬의 강제 노역 감독관이었으나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망명 후 북이스라엘 왕이 되어 금송아지 숭배 장려, 비레위인 제사장 임명 등 종교 정책을 변경하여 이스라엘을 우상 숭배의 길로 이끌었다. - 기원전 10세기 사망 - 미중
미중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 솔로몬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솔로몬 - 지혜서
지혜서는 19장으로 구성된 성경의 지혜서로, 의와 불의, 삶과 죽음의 대조를 통해 세상 통치자들에게 지혜를 추구하도록 권고하며, 헬레니즘 문화와 유대교적 특징이 혼합된 기원전 1세기 말에서 기원후 1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스어로 쓰여진 찬사이자 권고적 담론이다.
르호보암 | |
---|---|
기본 정보 | |
![]() | |
히브리어 | רְחַבְעָם |
음역 | Rəḥaḇʿām |
의미 | 확대된 백성 |
그리스어 | Ροβοάμ |
라틴어 | Roboam |
통치 정보 | |
칭호 | 이스라엘 국왕 유다 왕 |
선임자 | 솔로몬 |
후임자 | 직위 폐지 |
유다 왕국 선임자 | 신설 |
유다 왕국 후임자 | 아비얌 |
가문 | 다윗 가문 |
재위 | 기원전 931년경 |
유다 왕국 재위 | 기원전 931년 – 기원전 913년경 |
개인 정보 | |
출생 | 기원전 972년경 |
사망 | 기원전 913년경 |
아버지 | 솔로몬 |
어머니 | 나아마 |
배우자 | 마할랏 마아가 아비하일 16명의 다른 아내 60명의 첩 |
자녀 | 예우스 스마랴 자함 아비얌 앗대 시사 슬로밋 21명의 다른 아들 60명의 딸 |
2. 생애
열왕기상 12장과 14장, 역대하 10장~12장에 르호보암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솔로몬은 토라의 율법을 어기고 외국 아내들의 영향을 받아 모압과 암몬의 신들을 숭배했다. 이에 여호와는 솔로몬에게 벌을 내려 그의 아들 대에 나라를 찢어 신하에게 주겠다고 경고했다.[5] 르호보암은 솔로몬과 암몬 여인 나아마 사이에서 태어났다.[6]
전통적인 성경 연대기에 따르면 르호보암은 기원전 10세기 중반에 41세(칠십인역에는 16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2] 그는 17년 동안 유다 왕국을 통치하며 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았으나, 열왕기상 14장 22-24절은 그가 하나님 보시기에 악한 일을 행했다고 기록한다.[12]
솔로몬 사후, 북쪽 지파들은 세겜에 모여 르호보암을 왕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솔로몬 시대의 과도한 세금과 부역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며 개혁을 요구했다. 르호보암은 백성들의 요구를 거절하고 오히려 더 가혹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여로보암 1세를 중심으로 북쪽 지파들이 반란을 일으켜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고, 통일 이스라엘 왕국은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기원전 925년, 이집트 제22왕조의 세숀크 1세가 유다 왕국을 침공하여 예루살렘 성전을 약탈하고 유다를 속국으로 만들었다. 이는 솔로몬 시대의 평화로운 외교 관계와는 대조적이다.
르호보암은 하나님을 거역하는 삶을 살았지만, 다윗 왕의 공적 덕분에 왕으로서 다윗 성에 묻혔고, 그의 아들 아비얌이 왕위를 계승했다.
2. 1. 이스라엘 왕국의 분열
르호보암은 41세에 연합 이스라엘 왕국의 전성기를 이룬 아버지 솔로몬 왕이 죽은 후 왕위에 올랐다.[26] 르호보암은 세겜으로 갔는데, 이때 이집트에 있던 여로보암이 이 소식을 듣고 돌아와 이스라엘 백성들과 함께 르호보암에게 가서 선왕 시대의 과도한 노역에 대해 멍에를 덜어달라고 요청했다.[27]르호보암은 솔로몬을 섬겼던 나이 많은 신하들과 젊은 신하들에게 조언을 구했다. 노신들은 백성들의 짐을 덜어주면 영원히 왕을 섬길 것이라고 답했지만, 젊은 신하들은 더 가혹한 정책을 시행하라고 조언했다.[27] 르호보암은 젊은 신하들의 조언을 따라 백성들에게 더 무거운 멍에를 지우고 쇠채찍으로 다스리겠다고 선언했다.[27]
이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르호보암이 파견한 부역 감독 아도람을 죽이고, 르호보암은 마차를 타고 세겜에서 예루살렘으로 도망쳤다. 북쪽의 10개 지파는 여로보암 1세를 왕으로 추대하여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고, 르호보암은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만을 다스리는 유다 왕국의 왕이 되었다.[27]

르호보암은 18만 대군을 이끌고 북이스라엘 왕국을 공격하려 했으나, 선지자 스마야의 경고로 그만두었다.[27] 레위인들은 여로보암의 종교 정책에 반발하여 르호보암에게 합류했고, 르호보암은 초기 몇 년간은 하나님의 길을 따랐다.[28]
2. 2. 이집트의 침공
르호보암은 자신의 체제가 어느 정도 공고해지고 세력이 커지자 여호와의 길을 버렸고, 온 백성들이 그의 이러한 행보에 동조하였다. 르호보암 통치 5년에 이집트의 파라오 시삭(셰숑크 1세)이 리비아군, 수키군, 에티오피아군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쳐들어왔다. 르호보암은 15개의 요새를 미리 건설해두었는데, 이집트의 동향을 경계했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다.[29] 그러나 시삭은 요새들을 점령하고 예루살렘을 포위하는 데 성공하였다. 여호와는 스마야를 통해 자신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버렸다고 전했으나, 이스라엘의 지휘부가 순종의 뜻을 밝히자 완전히 멸하지는 않겠지만 자신을 섬기는 것과 세상의 군주를 섬기는 것의 차이를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30]르호보암이 머리를 숙였기 때문에 예루살렘은 멸망하지 않고 성전과 왕궁의 보물들을 약탈당하는 데에서 그치게 되었다고 역대기는 전한다.[30] 시삭은 1,200대의 전차, 60,000명의 기병과 함께 리비아인, 수키인, 쿠스인 등 이집트에서 온 병력을 이끌고 진격했다.[15] 시삭의 군대는 게셀과 기브온 사이의 예루살렘으로 가는 모든 요새 도시를 점령했다. 그들이 예루살렘을 포위했을 때, 르호보암은 시삭에게 성전의 모든 보물을 조공으로 바쳤다. 이집트 원정은 솔로몬 통치 기간 동안 엘랏과 네게브를 통해 남부 아라비아와 맺었던 교역을 끊었다.[16] 유다 왕국은 이집트의 종속국이 되었다.
이 침공은 카르나크 신전의 부바스티테 정문과 또 다른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확인된다. 일반적으로 시삭은 유다를 침공한 이집트 제22왕조의 파라오 셰숑크 1세와 동일 인물로 여겨진다.

2. 3. 말년
르호보암은 아내 18명과 첩 60명을 두어 아들 28명과 딸 60명을 낳았다. 그의 아내 중에는 다윗의 아들 예리못의 딸 마할랏과 이새의 아들 엘리압의 딸 아비하일이 있었다. 마할랏과의 아들은 여우스, 세마리아, 자함이었고, 이후 압살롬의 딸(혹은 손녀)인 사촌 마아카와 결혼하여 아비얌, 앗대, 지자, 슬로밋을 낳았다.[19] 다른 아내, 아들, 딸들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다.르호보암은 17년간 통치했고,[20][21] 사망 후 예루살렘에 있는 조상들 곁에 묻혔다. 그의 아들 아비야가 왕위를 계승했다.[22]
3. 평가
유대인 백과사전(Jewish Encyclopedia)에 따르면, "솔로몬의 지혜와 권력으로는 그의 국경 도시 몇 곳의 반란을 막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솔로몬이 죽기 전, 다윗의 통일 왕국은 이미 붕괴되기 시작했다.[2]
열왕기상 11장 1-13절에 따르면,[3] 솔로몬은 외국 아내들의 영향을 받아 모압과 암몬의 신들을 숭배하고 사당을 짓는 등 토라(Torah)의 율법을 어겼다.[4] 르호보암의 어머니 나아마는 암몬인이었다.[6][7]
르호보암은 기원전 930년경 즉위하여 17년간 통치했다.[11] 그는 예루살렘을 유다의 수도로 유지했지만, 열왕기상 14장 22-24절은 그가 종교적으로 타락했음을 보여준다.[12]
결국 르호보암은 다윗 왕의 공적 덕분에 왕으로서 다윗 성에 묻혔지만, 그의 생애는 하나님을 거역하는 삶이었다. 그의 뒤를 이은 아들 아비얌 또한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을 거역하는 정치를 했다.
3. 1. 긍정적 평가
르호보암은 다윗 왕가의 정통성을 계승했다. 초기 몇 년간은 하나님의 길을 따르며 레위인들을 포용했다.3. 2. 부정적 평가
르호보암은 백성들의 요구를 무시하고 강압적인 통치를 하여 왕국 분열의 원인을 제공했다.[1][2] 기원전 930년 솔로몬 사후, 북부 부족들은 르호보암에게 세금 경감과 노동 경감을 요청했지만, 르호보암은 이를 무시했다. 그 결과, 여로보암 1세가 이끄는 북 이스라엘 왕국이 반란을 일으켜 왕국이 분열되었다.또한 기원전 925년에는 이집트 제22왕조의 세숀크 1세의 침공을 막지 못하고 유다 왕국을 속국으로 전락시켰다. 예루살렘 성전은 약탈 및 파괴되었다.
열왕기상 11장 1-13절에 따르면,[3] 르호보암은 토라(Torah)의 율법을 어기고[4] 우상 숭배를 허용하는 등 종교적으로 타락한 모습을 보였다.[5] 그의 어머니 나아마는 암몬인이었다.[6][7]
4. 대중문화 속 르호보암
지노 뢰우리니는 1952년 영화 《시바의 여왕》에서 르호보암 역을 맡았고, 덱스터 플레처는 1997년 영화 《솔로몬》에서 르호보암을 연기했다.
HBO 드라마 《웨스트월드》 시즌 3에서는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인공 지능 개체의 이름을 "르호보암"으로 붙였다. 이는 "솔로몬"(이전에는 "데이비드")의 후속 버전이다. 역사 속 르호보암처럼, 이 인공지능 버전은 그 계보의 통치 종말과 일치했다.
심슨 가족 시즌 7의 세 번째 에피소드인 "우리집은 최고야"에서 플랜더스 가족이 심슨 아이들을 입양하고, 아이들이 세례를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긴급 세례를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네드 플랜더스는 심슨 아이들에게 성경 지식을 묻는 과정에서 "르호보암의 뱀"을 언급한다.
참조
[1]
성경
[2]
웹사이트
Rehoboam
http://www.jewishenc[...]
1906
[3]
성경
[4]
성경
[5]
성경
[6]
성경
[7]
웹사이트
1 Kings 14:21, English Revised Version
http://biblehub.com/[...]
[8]
성경
[9]
성경
[10]
웹사이트
Kittle, R., "Rehoboam",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Vol. IX: Petri – Reuchlin, Samuel Macauley Jackson (ed.),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Michigan, 1953
http://www.ccel.org/[...]
[11]
성경
[12]
성경
[13]
성경
[14]
성경
[15]
웹사이트
Relief and Stelae of Pharaoh Shoshenq I: Rehoboam's Tribute, c. 925 BCE
http://cojs.org/cojs[...]
2014-08-10
[16]
서적
Aharoni, Yohanan. The Land of the Bible: A Historic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79-01
[17]
성경
[1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Publishing
2007
[19]
성경
[20]
서적
Geikie, Cunningham. Hours with the Bible: From Rehoboam to Hezekiah
https://books.google[...]
John B. Alden
1887
[21]
성경
[22]
성경
[23]
웹사이트
ammon-ammonites
http://jewishencyclo[...]
[24]
웹사이트
Naamah
http://jewishencyclo[...]
[25]
웹사이트
Rehboam
http://jewishencyclo[...]
[26]
성경
[27]
성경
[28]
성경
[29]
웹인용
Kittle, R., "Rehoboam",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Vol. IX: Petri - Reuchlin, Samuel Macauley Jackson (ed.),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Michigan, 1953
http://www.ccel.org/[...]
[30]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