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스위스 스테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스위스 스테이지는 5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3승을 먼저 달성하는 8개 팀은 8강에 진출하고, 3패를 먼저 달성하는 8개 팀은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23년 10월 19일부터 29일까지 KBS 아레나에서 진행되었으며, 징동 게이밍, Gen.G, LNG e스포츠, NRG e스포츠, T1, KT 롤스터, 비리비리 게이밍, 웨이보 게이밍이 8강에 진출했다. Dplus KIA, G2 e스포츠, 프나틱, GAM e스포츠, 매드 라이온즈, 클라우드 나인, 팀 BDS, 팀 리퀴드 혼다는 탈락했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총 5라운드로 진행된다. 모든 팀은 자신과 같은 승패를 기록한 팀과 대결하며, 3승을 먼저 달성하는 8개 팀은 8강전에 진출하고, 3패를 먼저 달성하는 8개 팀은 탈락한다. 각 라운드 종료 후에는 대진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 대결 팀을 결정한다.
2023년 10월 19일, KBS 아레나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경기가 진행되었다.
2. 대회 진행 방식
스위스 스테이지의 경기는 기본적으로 단판으로 진행되지만, 8강 진출 또는 탈락이 결정되는 경기는 3판 2선승제로 진행된다.
3. 1라운드
첫 경기에서는 T1이 팀 리퀴드 혼다를 상대로 승리했다. Zeus (제이스)가 POG로 선정되었다.
두 번째 경기에서는 클라우드 나인이 매드 라이온즈를 꺾고 승리했다. Blaber (탈리야)가 POG로 선정되었다.
세 번째 경기에서는 Gen.G가 GAM e스포츠를 상대로 승리했다. Peanut (바이)이 POG로 선정되었다.
네 번째 경기에서는 징동 게이밍이 팀 BDS를 꺾고 승리했다. MISSING (알리스타)이 POG로 선정되었다.
다섯 번째 경기에서는 G2 e스포츠가 Dplus KIA를 상대로 승리했다. Hans sama (드레이븐)가 POG로 선정되었다.
여섯 번째 경기에서는 웨이보 게이밍이 NRG e스포츠를 꺾고 승리했다. Weiwei (뽀삐)가 POG로 선정되었다.
일곱 번째 경기에서는 LNG e스포츠가 프나틱을 상대로 승리했다. Tarzan (자르반 4세)이 POG로 선정되었다.
마지막 경기에서는 비리비리 게이밍이 KT 롤스터를 꺾고 승리했다. Bin (크산테)이 POG로 선정되었다.
4. 2라운드
4. 1. 1승 0패 팀 간 경기
2023년 10월 20일, KBS 아레나에서 1승 0패 팀 간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경기는 클라우드 나인과 LNG e스포츠의 대결로, LNG e스포츠가 레드 진영에서 승리했다. Tarzan (LNG e스포츠)이 POG로 선정되었다.
두 번째 경기는 Gen.G와 T1의 대결이었다. Gen.G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으며, Chovy (Gen.G)가 POG로 선정되었다.
세 번째 경기는 G2 e스포츠와 웨이보 게이밍의 대결로, G2 e스포츠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Caps (G2 e스포츠)가 POG로 선정되었다.
마지막 경기는 징동 게이밍과 비리비리 게이밍의 대결이었으며, 징동 게이밍이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Ruler (징동 게이밍)가 POG로 선정되었다.
4. 2. 0승 1패 팀 간 경기
2023년 10월 20일에는 0승 1패 팀 간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경기는 NRG e스포츠와 팀 리퀴드 혼다의 대결이었다. NRG e스포츠는 Dhokla (잭스), Contractz (세주아니), Palafox (오리아나), FBI (세나), IgNar (탐 켄치)를 선발했고, 팀 리퀴드 혼다는 Summit (크산테), Pyosik (비에고), APA (신드라), Yeon (칼리스타), CoreJJ (렐)을 선발했다. 경기 결과, NRG e스포츠가 승리했으며, Palafox (오리아나)가 POG로 선정되었다.
두 번째 경기는 매드 라이온즈와 팀 BDS의 대결이었다. 매드 라이온즈는 Chasy (나르), Elyoya (벨베스), Nisqy (리산드라), Carzzy (자야), Hylissang (렐)을 선발했고, 팀 BDS는 Adam (레넥톤), Sheo (바이), nuc (아지르), Crownie (카이사), Labrov (알리스타)를 선발했다. 경기 결과, 매드 라이온즈가 승리했으며, Carzzy (자야)가 POG로 선정되었다.
세 번째 경기는 프나틱과 GAM e스포츠의 대결이었다. 프나틱은 Oscarinin (레넥톤), Razork (렐), Humanoid (아지르), Noah (자야), Trymbi (노틸러스)를 선발했고, GAM e스포츠는 Kiaya (크산테), Levi (세주아니), Kati (제이스), Slayder (카이사), Palette (라칸)을 선발했다. 경기 결과, 프나틱이 승리했으며, Humanoid (아지르)가 POG로 선정되었다.
네 번째 경기는 Dplus KIA와 KT 롤스터의 대결이었다. Dplus KIA는 Canna (잭스), Canyon (자르반 4세), ShowMaker (아지르), Deft (직스), Kellin (레오나)를 선발했고, KT 롤스터는 Kiin (레넥톤), Cuzz (세주아니), Bdd (오리아나), Aiming (자야), Lehends (알리스타)를 선발했다. 경기 결과, KT 롤스터가 승리했으며, Cuzz (세주아니)가 POG로 선정되었다.
5. 3라운드
5. 1. 2승 0패 팀 간 경기 (8강 진출 결정전)
2023년 10월 21일에는 2승 0패 팀 간의 8강 진출 결정전이 KBS 아레나에서 열렸다.
징동 게이밍(JDG)과 LNG e스포츠(LNG)의 경기에서는 1세트에서는 징동 게이밍이 블루 진영으로 369 (크산테), Kanavi (바이), Knight (오리아나), Ruler (제리), MISSING (룰루)를 선발하였고, LNG e스포츠는 레드 진영으로 (카밀) Zika, (리 신) Tarzan, (아칼리) Scout, (카이사) GALA, (알리스타) Hang를 선발하여 징동 게이밍이 승리하였다. 2세트에서는 LNG e스포츠가 블루 진영으로 Zika (레넥톤), Tarzan (자르반 4세), Scout (사일러스), GALA (자야), Hang (라칸)을 선발하였고, 징동 게이밍이 레드 진영으로 (크산테) 369, (마오카이) Kanavi, (제이스) Knight, (카이사) Ruler, (렐) MISSING를 선발하여 LNG e스포츠가 승리하였다. 마지막 3세트에서는 징동 게이밍이 블루 진영으로 369 (아트록스), Kanavi (오공), Knight (니코), Ruler (카이사), MISSING (라칸)을 선발하였고, LNG e스포츠가 레드 진영으로 (크산테) Zika, (바이) Tarzan, (아리) Scout, (트리스타나) GALA, (노틸러스) Hang를 선발하여 징동 게이밍이 승리하였다. 결국 징동 게이밍이 2-1로 승리하면서 8강에 진출했다.
Gen.G(Gen.G)와 G2 e스포츠(G2)의 경기에서는 1세트에서 G2 e스포츠가 블루 진영으로 BrokenBlade (레넥톤), Yike (마오카이), Caps (트리스타나), Hans sama (이즈리얼), Mikyx (리산드라)를 선발하였고, Gen.G가 레드 진영으로 (잭스) Doran, (리 신) Peanut, (사일러스) Chovy, (자야) Peyz, (라칸) Delight를 선발하여 Gen.G가 승리하였다. 2세트에서는 G2 e스포츠가 블루 진영으로 BrokenBlade (크산테), Yike (마오카이), Caps (탈리야), Hans sama (루시안), Mikyx (노틸러스)를 선발하였고, Gen.G가 레드 진영으로 (아트록스) Doran, (렐) Peanut, (아칼리) Chovy, (자야) Peyz, (라칸) Delight를 선발하여 Gen.G가 승리하였다. Gen.G는 G2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5. 2. 1승 1패 팀 간 경기
2023년 10월 22일,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3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1승 1패 팀 간 경기가 KBS 아레나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경기는 T1과 클라우드 나인의 대결로, T1이 승리했다. T1의 Oner (자르반 4세)가 POG로 선정되었다.
두 번째 경기는 NRG e스포츠와 매드 라이온즈의 대결로, NRG e스포츠가 승리했다. NRG의 Palafox (사일러스)가 POG로 선정되었다.
세 번째 경기는 비리비리 게이밍과 프나틱의 대결로, 비리비리 게이밍이 승리했다. 비리비리 게이밍의 Elk (트리스타나)가 POG로 선정되었다.
네 번째 경기는 KT 롤스터와 웨이보 게이밍의 대결로, KT 롤스터가 승리했다. KT 롤스터의 Aiming (카이사)이 POG로 선정되었다.
5. 3. 0승 2패 팀 간 경기 (탈락 결정전)
2023년 10월 23일에 진행된 0승 2패 팀 간의 경기에서는 GAM e스포츠가 팀 리퀴드 혼다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스위스 스테이지에 잔류했다. 반면, 팀 리퀴드 혼다는 이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탈락했다.
같은 날, Dplus KIA는 팀 BDS를 2:0으로 꺾고 스위스 스테이지에 계속 남게 되었다. 팀 BDS는 이 경기의 패배로 탈락이 확정되었다.
각 경기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GAM e스포츠 vs 팀 리퀴드 혼다'''
세트 | 블루 진영 | 결과 | 레드 진영 | 비고 |
---|---|---|---|---|
1세트 | 팀 리퀴드 혼다 | 패 | GAM e스포츠 | |
2세트 | 팀 리퀴드 혼다 | 승 | GAM e스포츠 | |
3세트 | GAM e스포츠 | 승 | 팀 리퀴드 혼다 |
'''Dplus KIA vs 팀 BDS'''
6. 4라운드
6. 1. 2승 1패 팀 간 경기 (8강 진출 결정전)
2023년 10월 27일, LNG e스포츠가 KT 롤스터를 2-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1세트에서는 LNG e스포츠가 레드 진영에서 승리하였고, 2세트에서는 KT 롤스터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마지막 3세트에서는 LNG e스포츠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하며 최종 스코어 2-1로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10월 28일에는 NRG e스포츠가 G2 e스포츠를 2-0으로, T1이 비리비리 게이밍을 2-0으로 각각 제압하고 8강에 합류했다. NRG는 1세트 블루 진영, 2세트 레드 진영에서 모두 승리했다. T1은 1세트 블루 진영, 2세트 레드 진영에서 승리하여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6. 2. 1승 2패 팀 간 경기 (탈락 결정전)
2023년 10월 26일에는 KBS 아레나에서 1승 2패 팀 간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먼저, 프나틱과 클라우드 나인의 경기에서는 프나틱이 2:1로 승리했다. 1세트는 클라우드 나인이 승리하였으나, 2세트와 3세트에서 프나틱이 승리하며 최종적으로 5라운드에 진출했다. 반면, 클라우드 나인은 탈락했다.같은 날, 웨이보 게이밍은 매드 라이온즈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5라운드 진출을 확정했다. 매드 라이온즈는 이 경기 패배로 탈락했다.
2023년 10월 27일, Dplus KIA는 GAM e스포츠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며 5라운드에 진출했고, GAM e스포츠는 탈락했다.
7. 5라운드
2023년 10월 29일, 2승 2패 팀들 간의 마지막 8강 진출 결정전이 KBS 아레나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경기는 KT 롤스터와 Dplus KIA의 대결이었다. KT 롤스터는 1세트에서 Kiin의 라이즈, Cuzz의 비에고, Bdd의 아지르, Aiming의 제리, Lehends의 노틸러스를 선택했고, Dplus KIA는 Canna의 럼블, Canyon의 자르반 4세, ShowMaker의 니코, Deft의 아펠리오스, Kellin의 렐을 선택했다. KT 롤스터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Dplus KIA가 Canna의 레넥톤, Canyon의 자르반 4세, ShowMaker의 아리, Deft의 아펠리오스, Kellin의 알리스타를 선택했고, KT 롤스터는 Kiin의 나르, Cuzz의 비에고, Bdd의 니코, Aiming의 제리, Lehends의 노틸러스를 선택했으나 레드 진영에서 패배했다. 결국 KT 롤스터가 2-0으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고, Dplus KIA는 이번 대회를 아쉽게도 탈락하게 되었다.
두 번째 경기는 프나틱과 웨이보 게이밍의 대결이었다. 1세트에서 프나틱은 블루 진영에서 Oscarinin의 크산테, Razork의 세주아니, Humanoid의 오리아나, Noah의 아펠리오스, Trymbi의 밀리오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레드 진영에서 TheShy의 아트록스, Weiwei의 뽀삐, Xiaohu의 사일러스, Light의 제리, Crisp의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다. 프나틱이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웨이보 게이밍이 TheShy의 나르, Weiwei의 마오카이, Xiaohu의 탈리야, Light의 아펠리오스, Crisp의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고, 프나틱은 Oscarinin의 크산테, Razork의 리 신, Humanoid의 신드라, Noah의 칼리스타, Trymbi의 렐을 선택했다. 웨이보 게이밍이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3세트에서 프나틱은 Oscarinin의 올라프, Razork의 세주아니, Humanoid의 사일러스, Noah의 아펠리오스, Trymbi의 알리스타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TheShy의 크산테, Weiwei의 마오카이, Xiaohu의 아지르, Light의 케이틀린, Crisp의 럭스를 선택했다. 웨이보 게이밍이 레드 진영에서 승리했다. 최종적으로 웨이보 게이밍이 2-1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고, 프나틱은 아쉽게도 탈락했다.
세 번째 경기는 G2 e스포츠와 비리비리 게이밍의 대결이었다. 1세트에서 G2 e스포츠는 BrokenBlade의 뽀삐, Yike의 마오카이, Caps의 제이스, Hans sama의 코그모, Mikyx의 브라움을 선택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Bin의 잭스, XUN의 세주아니, Yagao의 탈리야, Elk의 자야, ON의 밀리오를 선택했다. 비리비리 게이밍이 레드 진영에서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G2 e스포츠가 BrokenBlade의 올라프, Yike의 녹턴, Caps의 니코, Hans sama의 카이사, Mikyx의 리산드라를 선택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Bin의 레넥톤, XUN의 마오카이, Yagao의 제이스, Elk의 제리, ON의 라칸을 선택했다. G2 e스포츠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3세트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은 Bin의 레넥톤, XUN의 자르반 4세, Yagao의 오리아나, Elk의 애쉬, ON의 브라움을 선택했고, G2 e스포츠는 BrokenBlade의 나르, Yike의 마오카이, Caps의 아지르, Hans sama의 카이사, Mikyx의 바드를 선택했다. 비리비리 게이밍이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결국 비리비리 게이밍이 2-1로 승리하며 8강 진출을 확정 지었고, G2 e스포츠는 탈락했다.
7. 1. 2승 2패 팀 간 경기 (8강 진출 결정전)
2023년 10월 29일, 2승 2패 팀들 간의 마지막 8강 진출 결정전이 KBS 아레나에서 진행되었다.첫 번째 경기는 KT 롤스터와 Dplus KIA의 대결이었다. KT 롤스터는 1세트에서 Kiin의 라이즈, Cuzz의 비에고, Bdd의 아지르, Aiming의 제리, Lehends의 노틸러스를 선택했고, Dplus KIA는 Canna의 럼블, Canyon의 자르반 4세, ShowMaker의 니코, Deft의 아펠리오스, Kellin의 렐을 선택했다. KT 롤스터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Dplus KIA가 Canna의 레넥톤, Canyon의 자르반 4세, ShowMaker의 아리, Deft의 아펠리오스, Kellin의 알리스타를 선택했고, KT 롤스터는 Kiin의 나르, Cuzz의 비에고, Bdd의 니코, Aiming의 제리, Lehends의 노틸러스를 선택했으나 레드 진영에서 패배했다. 결국 KT 롤스터가 2-0으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고, Dplus KIA는 탈락했다.
두 번째 경기는 프나틱과 웨이보 게이밍의 대결이었다. 1세트에서 프나틱은 블루 진영에서 Oscarinin의 크산테, Razork의 세주아니, Humanoid의 오리아나, Noah의 아펠리오스, Trymbi의 밀리오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레드 진영에서 TheShy의 아트록스, Weiwei의 뽀삐, Xiaohu의 사일러스, Light의 제리, Crisp의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다. 프나틱이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웨이보 게이밍이 TheShy의 나르, Weiwei의 마오카이, Xiaohu의 탈리야, Light의 아펠리오스, Crisp의 레나타 글라스크를 선택했고, 프나틱은 Oscarinin의 크산테, Razork의 리 신, Humanoid의 신드라, Noah의 칼리스타, Trymbi의 렐을 선택했다. 웨이보 게이밍이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3세트에서 프나틱은 Oscarinin의 올라프, Razork의 세주아니, Humanoid의 사일러스, Noah의 아펠리오스, Trymbi의 알리스타를 선택했고, 웨이보 게이밍은 TheShy의 크산테, Weiwei의 마오카이, Xiaohu의 아지르, Light의 케이틀린, Crisp의 럭스를 선택했다. 웨이보 게이밍이 레드 진영에서 승리했다. 최종적으로 웨이보 게이밍이 2-1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고, 프나틱은 탈락했다.
세 번째 경기는 G2 e스포츠와 비리비리 게이밍의 대결이었다. 1세트에서 G2 e스포츠는 BrokenBlade의 뽀삐, Yike의 마오카이, Caps의 제이스, Hans sama의 코그모, Mikyx의 브라움을 선택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Bin의 잭스, XUN의 세주아니, Yagao의 탈리야, Elk의 자야, ON의 밀리오를 선택했다. 비리비리 게이밍이 레드 진영에서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G2 e스포츠가 BrokenBlade의 올라프, Yike의 녹턴, Caps의 니코, Hans sama의 카이사, Mikyx의 리산드라를 선택했고, 비리비리 게이밍은 Bin의 레넥톤, XUN의 마오카이, Yagao의 제이스, Elk의 제리, ON의 라칸을 선택했다. G2 e스포츠가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3세트에서 비리비리 게이밍은 Bin의 레넥톤, XUN의 자르반 4세, Yagao의 오리아나, Elk의 애쉬, ON의 브라움을 선택했고, G2 e스포츠는 BrokenBlade의 나르, Yike의 마오카이, Caps의 아지르, Hans sama의 카이사, Mikyx의 바드를 선택했다. 비리비리 게이밍이 블루 진영에서 승리했다. 결국 비리비리 게이밍이 2-1로 승리하며 8강 진출을 확정 지었고, G2 e스포츠는 탈락했다.
8. 스위스 스테이지 결과
wikitext
팀명 | 시드 | 전적 |
---|---|---|
Gen.G | LCK 1시드 | 3승 0패 |
징동 게이밍 | LPL 1시드 | 3승 0패 |
LNG e스포츠 | LPL 3시드 | 3승 1패 |
NRG e스포츠 | LCS 1시드 | 3승 1패 |
T1 | LCK 2시드 | 3승 1패 |
KT 롤스터 | LCK 3시드 | 3승 2패 |
비리비리 게이밍 | LPL 2시드 | 3승 2패 |
웨이보 게이밍 | LPL 4시드 | 3승 2패 |
팀명 | 시드 | 전적 |
---|---|---|
Dplus KIA | LCK 4시드 | 2승 3패 |
G2 e스포츠 | LEC 1시드 | 2승 3패 |
프나틱 | LEC 2시드 | 2승 3패 |
GAM e스포츠 | VCS 1시드 | 1승 3패 |
매드 라이온즈 | LEC 3시드 | 1승 3패 |
클라우드 나인 | LCS 2시드 | 1승 3패 |
팀 BDS | LEC 4시드 | 0승 3패 |
팀 리퀴드 혼다 | LCS 3시드 | 0승 3패 |
8. 1. 8강 진출팀
wikitable팀명 | 시드 | 전적 |
---|---|---|
Gen.G | LCK 1시드 | 3승 0패 |
징동 게이밍 | LPL 1시드 | 3승 0패 |
LNG e스포츠 | LPL 3시드 | 3승 1패 |
NRG e스포츠 | LCS 1시드 | 3승 1패 |
T1 | LCK 2시드 | 3승 1패 |
KT 롤스터 | LCK 3시드 | 3승 2패 |
비리비리 게이밍 | LPL 2시드 | 3승 2패 |
웨이보 게이밍 | LPL 4시드 | 3승 2패 |
8. 2. 탈락팀
wikitable팀명 | 시드 | 전적 |
---|---|---|
Dplus KIA | LCK 4시드 | 2승 3패 |
G2 e스포츠 | LEC 1시드 | 2승 3패 |
프나틱 | LEC 2시드 | 2승 3패 |
GAM e스포츠 | VCS 1시드 | 1승 3패 |
매드 라이온즈 | LEC 3시드 | 1승 3패 |
클라우드 나인 | LCS 2시드 | 1승 3패 |
팀 BDS | LEC 4시드 | 0승 3패 |
팀 리퀴드 혼다 | LCS 3시드 | 0승 3패 |
9. LCK 팀들에 대한 평가 (중도진보적 관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