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불루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불루스과는 30여 개의 속으로 분류되는 열대송사리목의 과이다. 리불루스과의 분류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있으며, 일부 속은 분기도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된다. 무지개송사리아목, 무지개송사리과, 노토브란키우스과 등과 관련이 있으며, 몇몇 속들은 분기도를 이루는 것으로 제안되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의 물고기 - 로리카리아과
    로리카리아과는 메기목에 속하는 가장 큰 과로, 골판으로 덮인 몸과 흡반 모양의 입을 가지며 남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고 다양한 식성을 가지며 수컷이 알을 보호하는 습성이 있는 어류이다.
  • 남아메리카의 물고기 - 칼리크티스과
    칼리크티스과는 신열대구에 서식하는 메기목 어류의 한 과로, 코리도라스아과와 칼리크티스아과의 두 아과로 나뉘며 약 177종이 속하고, 후기 팔레오세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산소 부족 환경에서 공기 호흡을 하는 특징을 가지며 일부 종은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된다.
리불루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과 정보
Hermaphrodite Kryptolebias marmoratus
자웅동체 Kryptolebias marmoratus
학명Rivulidae
명명자Myers, 1925
이명Cynolebiidae Hoedeman 1961
본문 참조

2. 하위 속

리불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속들은 다음과 같다.[4] 다만, 이 과의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약간의 이견이 있으며, 아래 목록의 일부 속은 분기도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Fishbase에서는 ''Leptolebias'' 속에 ''Leptopanchax''에 속하는 종들이 포함될 경우, 해당 속이 분기도를 이룬다고 본다.[2]


  • ''Anablepsoides'' (Huber, 1992)
  • ''Aphyolebias'' (Costa, 1998)
  • ''Atlantirivulus'' (Costa, 2008)
  • ''Austrofundulus'' (Myers, 1932)
  • ''Austrolebias'' (Costa, 1998)
  • ''Campellolebias'' (Vaz-Ferreira & Sierra de Soriano, 1974)
  • ''Cynodonichthys'' (Meek, 1904)
  • ''Cynolebias'' (Steindachner, 1876)
  • ''Cynopoecilus'' (Regan, 1912)
  • ''Gnatholebias'' (Costa, 1998)
  • ''Hypsolebias'' (Costa, 2006)
  • ''Kryptolebias'' (Costa, 2004)
  • ''Laimosemion'' (Huber, 1999)
  • ''Leptolebias'' (Myers, 1952)
  • ''Llanolebias'' (Hrbek & Taphorn, 2008)
  • ''Maratecoara'' (Costa, 1995)
  • ''Melanorivulus'' (Costa, 2006)
  • ''Micromoema'' (Costa, 1998)
  • ''Millerichthys'' (Costa, 1995)
  • ''Moema'' (Costa, 1989)
  • ''Mucurilebias'' (Costa, 2014)[6]
  • ''Nematolebias'' (Costa, 1998)
  • ''Neofundulus'' (Myers, 1924)
  • ''Notholebias'' (Costa, 2008)
  • ''Ophthalmolebias'' (Costa, 2006)
  • ''Papiliolebias'' (Costa, 1998)
  • ''Pituna'' (Costa, 1989)
  • ''Plesiolebias'' (Costa, 1989)
  • ''Prorivulus'' (Costa, Lima & Suzart, 2004)
  • ''Pterolebias'' (Garman, 1895)
  • ''Rachovia'' (Myers, 1927)
  • ''Renova'' (Thomerson & Taphorn, 1995)
  • ''Rivulus'' (Poey, 1860)
  • ''Simpsonichthys'' (Carvalho, 1959)
  • ''Spectrolebias'' (Costa & Nielsen, 1997)
  • ''Stenolebias'' (Costa, 1995)
  • ''Terranatos'' (Taphorn & Thomerson, 1978)
  • ''Trigonectes'' (Myers, 1925)
  • ''Xenurolebias'' (Costa, 2006)
  • ''Yssolebias'' (Huber, 1992)[7] (멸종으로 추정)

3. 계통 분류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리불루스과의 계통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다.[8][9][10] 리불루스과는 열대송사리목에 속하며, 이 목은 크게 무지개송사리아목과 열대송사리아목으로 분류된다. 리불루스과는 무지개송사리아목의 일원이다.

3. 1. 주요 계통

다음은 폴(Pohl)과 레즈닉(Reznick), 아모림(Amorim)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8][9][10] 리불루스과는 열대송사리목 무지개송사리아목에 속하며, 무지개송사리과노토브란키우스과로 이루어진 분기군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3. 2. 분기도 논쟁

리불루스과의 분류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약간의 논쟁이 있다.[4] 특히, 일부 속은 분기도를 이루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Fishbase에 따르면 ''Leptolebias'' 속에 ''Leptopanchax''에 속하는 종이 포함될 경우, 이 속은 분기도를 이루게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참조

[1] 학술지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학술지 Comparative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cynopoeciline killifishes (Cyprinodontiformes: Aplocheilidae), with notes on family-group names used for aplocheiloids. http://www.senckenbe[...]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4] FishBase
[5] FishBase
[6] 간행물 A new genus of miniature cynolebiasine from the Atlantic Forest and alternative biogeographical explanations for seasonal killifish distribution patterns in South America (Cyprinodontiformes: Rivulidae). http://www.senckenbe[...]
[7] 간행물 Description of Yssolebias, nov. gen., a new monotypic fish genus for an old and phantom species of Colombia.
[8] 학술지 Multigene phylogeny of cyprinodontiform fishes suggests continental radiations and a rogue taxon position of Pantanodon http://www.senckenbe[...]
[9] 학술지 The origin and biogeographic diversification of fishes in the family Poeciliidae.
[10] 학술지 Multigene phylogeny supports diversification of four-eyed fishes and one-sided livebearers (Cyprinodontiformes: Anablepidae) related to major South American geological eve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