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 세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오 세이어는 영국의 싱어송라이터로, 1973년 솔로 데뷔 이후 "Giving It All Away", "The Show Must Go On", "Long Tall Glasses", "You Make Me Feel Like Dancing", "When I Need You", "More Than I Can Say"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다. 1970년대에 데뷔하여 전성기를 누렸으며,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앨범을 발매하고 있다. 그는 또한 여러 영화 사운드트랙과 다른 아티스트의 앨범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가수 - 존 다울런드
존 다울런드는 류트 연주와 작곡에 능했으며, 멜랑콜리한 정서 표현으로 "눈물의 존 다울런드"라는 별칭을 얻었고, 류트 독주곡, 류트 송, 류트 반주가 있는 부분 노래, 류트가 있는 비올 합주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긴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 시대의 음악가이다. - 잉글랜드의 가수 - 엘리엇 섬너
영국의 음악가, DJ, 배우인 엘리엇 섬너는 스팅과 트루디 스타일러의 자녀로, '아이 블레임 코코' 밴드 활동 후 본명으로 솔로 활동과 DJ 활동을 병행하며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고, 젠더 구분을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 - 잉글랜드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간 사람 - 토니 애벗
토니 애벗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를 지낸 정치인으로, 언론인과 변호사 경력을 거쳐 1994년 연방 의회에 입성한 후 자유당 당수를 역임했으나, 정치적 논란과 지지율 하락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2019년 총선에서 낙선했다. - 잉글랜드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간 사람 - 캐롤 대처
마가렛 대처 전 영국 총리의 딸인 캐롤 대처는 법학 학위를 받고 호주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다 영국으로 돌아와 방송 및 저술 활동을 했으나,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후 현재 스위스에 거주하고 있다. - 잉글랜드의 남자 가수 - 존 레논
존 레논은 비틀즈 멤버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평화 운동으로 20세기 대중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예술가이다. - 잉글랜드의 남자 가수 - 폴 포츠
폴 포츠는 영국의 테너이자 오페라 가수로, 브리튼즈 갓 탤런트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데뷔 앨범으로 여러 국가에서 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그의 삶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리오 세이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제라드 휴 세이어 |
출생일 | 1948년 5월 21일 |
출생지 | 영국 서섹스 쇼어햄바이시 |
국적 |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
활동 시기 | 1970년대 초 – 현재 |
장르 | 소프트 록 디스코 블루 아이드 소울 |
직업 | 음악가 가수 작곡가 |
레이블 | 크리살리스 (영국) 워너 브라더스, 라이노 (미국) 유니버설 (오스트레일리아) |
관련 활동 | 로저 달트리 |
웹사이트 | leosayer.com |
일본어 정보 | |
이름 | 레오 세이어 |
출생일 | 1948년 5월 21일 |
국적 | 영국 |
악기 | 노래 |
장르 | 팝스 |
직업 | 싱어송라이터 |
활동 시기 | 1973년 - 현재 |
한국어 정보 | |
이름 | 리오 세이어 |
출생일 | 1948년 5월 21일 |
출생지 | 영국 서섹스 |
직업 | 가수 |
활동 시기 | 1967년 ~ 현재 |
2. 초기 생애
리오 세이어는 서식스주 쇼어햄바이시에서 토머스 E. G. 세이어와 테레사 놀란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제로는 마이클(1939년생)과 브라이언(1951년생)이 있다. 아버지 토머스는 영국인이었고, 어머니 테레사는 북아일랜드 페르마나주 마귀레스브리지 출신이었다. 세이어는 페르마나주 킬레셔 마을 근처 에든모어의 외할아버지 소규모 농장에서 휴가를 보냈다.[4][5]
1967년 소프트 록 밴드 보컬리스트로 첫 데뷔한 그는 1973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였다.[8] 1974년 〈Daltrey〉, 〈Giving It All Away〉, 〈The Show Must Go On〉 등의 곡이 영국에서 인기를 얻었다. 1975년에는 미국으로 진출하여 〈Long Tall Glasses〉가 인기를 얻었으며, 1976년에는 《Endless Fight》를 발표하여 〈You Make Me Feel Like Dance〉를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에 올려놓았다.[8] 앨버트 해먼드에게 받은 〈When I Need You〉는 2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80년에는 바비 비의 원곡을 리메이크한 〈More Than I Can Say〉가 인기를 얻었다.[38]
세이어는 쇼어햄바이시의 세인트 피터스 가톨릭 초등학교를 다녔고, 그 후 고링바이시의 블레시드 로버트 사우스웰(현재 세인트 오스카 로메로 가톨릭 학교)에 다녔다.[6] 서식스주 워딩에 있는 웨스트 서식스 예술 디자인 대학에서 상업 미술과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했다.[7]
음악가 데이비드 코트니에게 발탁된 세이어는 전 팝 가수 아담 페이스와 함께 코트니의 공동 매니지먼트 및 공동 제작을 받았다.[8] 1967년 1월, 18세의 세이어는 호브의 킹스 호텔에서 홀 포터로 일하던 중 1층을 손상시킨 심각한 화재로부터 고령의 투숙객들을 구조하는 것을 도왔다. 그는 호텔 옆 아파트 건물을 짓고 있던 건설업자들에 의해 불타는 호텔에서 구조되었다.[9]
3. 경력
1981년 일본 도쿄와 오사카에서 공연을 했다.[38]
1980년대 이후, 그의 경력은 재정적 및 법적 문제로 인해 반복적인 좌절을 겪었다. 1985년 세이어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재니스가 이혼했을 때, 애덤 페이스가 세이어의 사업 문제를 잘못 처리했음이 드러났다. 세이어는 페이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1992년 법정 밖에서 합의금 65만파운드을 받고 합의했다. 1990년대 초, 자신의 노래에 대한 출판권을 되찾기 위해 전 소속 레이블인 크라이샐리스와 법적 싸움을 벌여 승소했다.
1996년에는 자신의 연금 기금이 약 100만파운드 규모로 부실 관리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새로운 매니지먼트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9만파운드가 넘는 법적 비용을 지출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정에 회부되지 않았고 비용 문제로 소송을 포기했다.
2006년 2월 12일, DJ 멕이 리믹스한 "내 마음속의 천둥"으로 영국 싱글 차트 1위에 복귀했다. 이는 거의 24년 만의 영국 톱 10 진입이자, 첫 1위를 기록한 지 거의 30년 만의 두 번째 영국 차트 정상 등극이었다. 2009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민권을 취득하였다.[38] 그의 공연은 차분하면서 열정적인 무대 매너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서정적인 곡들은 변모하는 음악계에서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3. 1. 1970년대: 데뷔와 전성기
1967년 소프트 록 밴드 보컬리스트로 첫 데뷔한 후 1973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였다.[8] 데뷔 싱글은 차트에 오르지 못했지만, 두 번째 싱글인 뮤직홀 스타일의 곡 "더 쇼 머스트 고 온"으로 영국에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피에로 의상과 분장을 하고 이 곡을 공연했는데, 영국 싱글 차트에서 2위에 올랐다.[8] 쓰리 독 나이트(Three Dog Night)가 부른 "더 쇼 머스트 고 온" 커버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1974년 5월 25일 4위에 올랐다.[10]
이후 "원 맨 밴드(One Man Band)"는 1974년 영국 6위에 올랐고, "롱 톨 글래시즈(Long Tall Glasses)"는 영국 4위, 미국 9위에 오르며 미국에서 그의 첫 톱 10 히트곡이 되었다.[11] "문라이팅(Moonlighting)"은 1975년 영국에서 2위에 올랐다. 1976년에는 비틀즈 테마의 영화 ''올 디스 앤 월드 워 II(All This and World War II)''를 위해 비틀즈의 아이 엠 더 월러스(I Am the Walrus), 렛 잇 비, 더 롱 앤 와인딩 로드(The Long and Winding Road)를 녹음했다.
1976년에 발표한 앨범 ''엔들리스 플라이트(Endless Flight)''는 영국 4위, 미국 10위에 오르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 앨범은 영국과 미국에서 플래티넘 음반,[19] 캐나다에서는 더블 플래티넘 음반으로 인증받았다.[12]
1977년에는 디스코풍의 "당신이 날 춤추게 해요(You Make Me Feel Like Dancing)" (그 해 최고의 리듬 앤 블루스 곡으로 그래미상을 수상)로 미국에서 1위를 차지했고,[13] 로맨틱 발라드 "내가 당신을 필요로 할 때(When I Need You)" (앨버트 해먼드(Albert Hammond)와 캐롤 베이어 세이거(Carole Bayer Sager) 작곡)로 영국과 미국 양국에서 1위를 기록했다.[14] "내가 당신을 필요로 할 때"는 그의 영국 첫 1위 싱글이었다.[14]
1979년에는 컴필레이션 앨범 ''리오 세이어 베스트(The Very Best of Leo Sayer)''가 그의 영국 첫 1위 앨범이자, 7번째 연속 영국 차트 20위권 앨범이 되었다.[15][16]
그는 바비 비(Bobby Vee)의 소니 커티스(Sonny Curtis)-제리 앨리슨(Jerry Allison) 작곡 "말로 다 할 수 없어(More Than I Can Say)" (영국 2위, 미국 2위), 버디 홀리(Buddy Holly)의 "내 마음속에 비가 내려(Raining in My Heart)" (1979), 비지스의 "하트(Stop Beating in Time)" (1982)를 커버했다.
미국에서는 "당신이 날 춤추게 해요" (1977), "내가 당신을 필요로 할 때" (1977), "말로 다 할 수 없어" (1980)가 골드 인증을 받았다.[19]
3. 2. 1980년대 ~ 1990년대: 변화와 도전
1980년 프랑스-벨기에 합작 애니메이션 영화 《잃어버린 고리》(Le Chainon manquant)의 사운드트랙을 위해 노래를 제공했다.[20] 1981년에는 캐나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라쿤》의 전작으로서 네 편의 특별편 중 두 번째인 《얼음 위의 라쿤》에서 단(Dan)이라는 산림 감시원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그는 또한 이 특별편을 위해 여러 곡을 불렀는데, 이 곡들은 모두 1983년 앨범 《레이크 프리즈》와 1984년 앨범 《라쿤: 함께 춤을!》에 수록되었다.
1990년에는 앨런 파슨스와 에릭 울프슨의 마지막 스튜디오 협업 작품이자 울프슨의 솔로 앨범인 《프로이디아나》에 참여하여 "I Am A Mirror"를 불렀다.[20] 산레모 음악제에서 "The Moth And The Flame" (망고의 "Tu... sì"의 영어 버전)을, 1991년에는 "All Alone" (미에타의 "Dubbi No"의 영어 버전)을 선보였다.
10년간의 성공 이후, 세이어의 경력은 일련의 재정적 및 법적 문제로 인해 반복적인 좌절을 겪었다. 1985년 세이어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재니스가 이혼했을 때, 이후 재정 공개를 통해 애덤 페이스가 세이어의 사업 문제를 잘못 처리했음이 드러났다. 세이어가 지난 10년 동안 벌어들인 수입의 상당 부분이 페이스의 의심스러운 투자와 사업 비용으로 인해 손실되었다.
세이어는 페이스를 상대로 부실 경영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고, 이 사건은 1992년 법정 밖에서 합의되었으며, 세이어는 약 65만파운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대 초, 그는 자신의 노래에 대한 출판권을 되찾기 위해 전 소속 레이블인 크라이샐리스(Chrysalis)와 장기간에 걸친 법적 싸움을 벌였지만, 결국 승소하면서 그의 경력은 다시 주춤했다.
1996년, 세이어는 자신의 연금 기금이 약 100만파운드에 달하는 금액으로 부실 관리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 새로운 매니지먼트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9만파운드가 넘는 법적 비용을 지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은 법정에 회부되지 않았고 세이어는 비용 문제로 소송을 포기했다. 그는 전 반 모리슨(Van Morrison)의 기타리스트인 로니 존슨이 이끄는 밴드를 결성하여 투어를 통해 재정적 안정을 되찾았다. 그들은 1999년에 발매된 라이브 앨범 "Live in London"을 녹음했다.[21]
3. 3. 2000년대 이후: 재기와 현재
2006년 2월 12일, 세이어는 DJ 멕이 리믹스한 "내 마음속의 천둥"으로 영국 싱글 차트 1위에 복귀했다. 이는 거의 24년 만의 영국 톱 10 진입이었으며, 첫 1위를 기록한 지 거의 30년 만의 두 번째 영국 차트 정상 등극이었다. 2006년 3월 6일 영국에서 세이어의 경력을 담은 컴필레이션 음반 ''리오 세이어: 그의 최고의 순간''이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는 멕의 싱글과 함께 "When I Need You"와 "You Make Me Feel Like Dancing"이 수록되었다.[22]
2008년 6월, 세이어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새 앨범 ''Don't Wait Until Tomorrow''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오스트레일리아 팝 밴드 셔벗의 가스 포터가 프로듀싱하고 유니버설 뮤직 오스트레일리아가 발매했으며, 그의 히트곡들이 현악기, 어쿠스틱 및 재즈 악기를 사용하여 새롭게 편곡되어 수록되었다.[23]
2009년 1월, 2005년부터 시드니에 거주해 온 세이어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민권을 취득했다.[24]
2015년 1월, 세이어는 앨범 ''Restless Years''[25]를 발매하고 제이슨 에이어스를 포함한 다양한 지원 공연들과 함께 호주와 싱가포르를 순회 공연했다.[26] 2015년 10월, 영국 작곡가, 작사가 및 작가 아카데미(British Academy of Songwriters, Composers and Authors)로부터 금장 명예 훈장을 받았다.[27]
2019년 5월 3일, 세이어는 데몬 레코드를 통해 앨범 ''Selfie''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호주 퀸즐랜드(Queensland)주 플레인랜드(Plainland)에 있는 그의 자택 스튜디오인 더 밤에서 녹음되었다.[28]
2024년 11월 29일, 세이어는 데몬 레코드를 통해 앨범 ''1992''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그 해 녹음되었지만 지금까지 발매되지 않았던 그의 노래들이 담겨 있다.[29]
4. 개인사
세이어는 1973년에 재니스와 결혼하여 1985년에 이혼했다.[30] 그 후 도나텔라 피치네티와 관계를 맺고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다.[31] 2007년에 잠시 헤어졌지만 다시 만나 2023년 4월 15일에 결혼했다.[32]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사던 하일랜즈에 거주하고 있다.[33]
2009년 1월, 캔버라에서 열린 호주 날 시민식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시민이 되었다.[34] 2020년에는 캔버라 병원 재단의 홍보대사가 되었다.[35]
1977년 무대에서 떨어진 사고로 인한 다리와 발목 부상의 후유증으로 여전히 고통받고 있다.[36]
세이어의 가족에게는 암 가족력이 있다. 그의 부모님을 비롯해 양쪽 친척들도 암으로 사망했다. 65세 생일, 장 문제를 겪은 후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았고, 그 결과 장궤양과 종양이 발견되었다. 수술을 받았고, 두 문제 모두 성공적으로 치료되었으며 종양은 양성으로 판명되었다.[37]
아일랜드인 어머니와 영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5. 음반 목록
리오 세이어는 1973년 《실버버드》를 시작으로 다양한 음반을 발매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왔다. 《저스트 어 보이》(1974), 《어나더 이어》(1975), 《엔들리스 플라이트》(1976) 등을 발표했다. 특히 《엔들리스 플라이트》는 〈You Make Me Feel Like Dance〉, 앨버트 해먼드에게 받은 〈When I Need You〉 등의 히트곡을 담아 큰 성공을 거두었다.[1] 1980년에는 바비 비의 원곡을 리메이크한 〈More Than I Can Say〉가 인기를 얻었다.[1]
그는 정규 앨범 외에도 베스트 앨범과 다양한 사운드트랙 앨범에도 참여했다.
'''일본에서 발매된 싱글 및 미니앨범'''
제목 | B면 | 비고 |
---|---|---|
도화사의 고독 ("The Show Must Go On") | ||
갈증난 와인잔 ("Long Tall Glasses") | ||
원 맨 밴드 ("One Man Band") | ||
문라이팅 ("Moonlighting") | ||
사랑의 마법사 ("You Make Me Feel Like Dancing") | 마그다레나 ("Magdalena") | |
멀리 있는 그리움 ("When I Need You") | 너무 빨랐던 사랑 ("I Think We Fell In Love Too Fast") | |
사랑의 미궁 ("How Much Love") | 멀리 있는 그리움 ("When I Need You") | |
마음의 외침 ("Thunder In My Heart") | 겟 더 걸 ("Get The Girl") | |
밤하늘에 빛나는 사랑 ("Easy To Love") | 나를 잊지 말아요 ("Haunting Me") | |
스토미 웨더 ("Stormy Weather") | 레이닝 인 마이 하트 ("Raining In My Heart") | |
잔상은 파도에 흔들려 ("Dancing The Night Away") | 텔 미 저스트 원 모어 타임 ("Tell Me Just One More Time") | |
제멋대로 인생 ("When The Money Runs Out") | 당신에게 가는 지름길 ("Takin' The Easy Way Out") | |
별빛의 발라드 ("More Than I Can Say") | 온리 풀링 ("Only Fooling") | |
당신에게 홀딱 반했어요 ("You Win, I Lose") | 꿈속에서 ("Living In A Fantasy") | |
바이 바이 스위트 러브 ("Bye Bye Now My Sweet Love") | "You Make Me Feel Like Dancing", "When I Need You", "More Than I Can Say" 수록 | |
하트 스톱 ("Heart (Stop Beating In Time)") | 엔드 오브 더 게임 ("The End of the Game") | |
턱시도 바디 ("Tuxedo Body") | 더 쇼 머스트 고 온 ("The Show Must Go On") | |
언체인드 멜로디 ("Unchained Melody") | 하트 포 세일 ("Heart For Sale") | |
Love Ballads〜愛・命ある限り〜 | CX계 드라마 아내들의 극장 「사랑·목숨 있는 한」 주제가로 "When I Need You"가 사용된 것을 계기로 도시바 EMI에서 1991년에 발매된 일본 편집 5곡 수록 미니 CD 앨범. 수록곡: "When I Need You", "More Than I Can Say", "Heart (Stop Beating In Time)", "Have You Ever Been In Love", "I Can't Stop Loving You (Though I Try)" |
5. 1. 정규 앨범
- 실버버드 (1973)
- 저스트 어 보이 (1974)
- 어나더 이어 (1975)
- 엔들리스 플라이트 (1976)
- 썬더 인 마이 하트 (1977)
- 리오 세이어 (1978)
- 히어 (1979)
- 리빙 인 어 판타지 (1980)
- 월드 라디오 (1982)
- 해브 유 에버 빈 인 러브 (1983)
- 쿨 터치 (1990)
- 보이스 인 마이 헤드 (Voice in My Head) (2004)
- 돈트 웨이트 언틸 투모로우 (Don't Wait Until Tomorrow) (2008)
- 레스트리스 이어스 (Restless Years) (2015)
- 셀피 (Selfie) (2019)
- 노던 송스 (Northern Songs) (2022)
- 1992 (2024)
5. 2. 기타 참여 앨범
앨범명 | 발매 연도 | 비고 |
---|---|---|
로니 도네건(Lonnie Donegan) - 풋팅 온 더 스타일(Puttin' On The Style) | 1977년 | 하모니카와 백킹 보컬 참여 |
크레이그 풀러/에릭 카즈(Craig Fuller/Eric Kaz) | 1978년 | 레스트리스 씨(Restless Sea) 백킹 보컬 참여 |
올 디스 앤드 월드 워 II - 오리지널 모션 픽처 사운드트랙 (All This and World War II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1976년 | 아이 엠 더 월러스(I am the Walrus), 렛 잇 비(Let It Be), 더 롱 앤드 와인딩 로드(The Long And Winding Road) 노래 |
인사이드 무브스 - 오리지널 모션 픽처 사운드트랙 (Inside Moves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1980년 | 일본어 제목: 샌프란시스코 이야기, 잇츠 유어 무브(It's Your Move) 노래 |
더 미싱 링크(The Missing Link) (르 셰농 마낭(Le Chaînon manquant)) | 1980년 | 오리지널 모션 픽처 사운드트랙 |
스트릿 히어로 - 오리지널 모션 픽처 사운드트랙 (Street Hero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1984년 | 혼팅 미(Haunting Me) 노래 |
데이브 클락스 타임 더 앨범 (Dave Clark's TIME the album) | 1986년 | 원 휴먼 패밀리(One Human Family), 아이 노우, 아이 노우(I Know, I Know) 노래 |
카 트러블 - 오리지널 모션 픽처 사운드트랙 (Car Trouble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1986년 | 언체인드 멜로디(Unchained Melody) 노래 |
윌트(Wilt) | 1989년 | 러브 허츠(Love Hurts) 노래 |
프로이디아나(Freudiana) | 1990년 | 아이 엠 어 미러(I am a Mirror) 노래 |
필 맨자네라/앤디 맥케이(Phil Manzanera/Andy MacKay) - 더 컴플릿 익스플로러스(The Complete Explorers) | 2002년 | |
SAS 밴드(SAS Band) - 더 쇼(The Show) | 2004년 | 마이 제네레이션(My Generation) 노래 |
워즈 앤드 뮤직: 써 존 베트제먼 앤드 마이크 리드(Words & Music:Sir John Betjeman & Mike Read) | 2006년 | 인도어 게임스(Indoor Games) 노래 |
6. 각주
(주어진 원본 소스에 '각주' 섹션에 포함될 만한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은 비워둡니다.)
참조
[1]
웹사이트
Leo Sayer: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09-16
[2]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3]
웹사이트
Leo Sayer on His "Restless Years" with Hendrix, McCartney, and Daltrey (Q&A)
https://www.rockcell[...]
Rock Cellar Magazine
2016-07-08
[4]
웹사이트
Leo Sayer: Why I kept gigging during Northern Ireland Troubles
https://www.belfastt[...]
2018-08-07
[5]
웹사이트
Edenmore Townland, Co. Fermanagh
https://www.townland[...]
[6]
웹사이트
What I learnt at school: Leo Sayer
http://www.teachseco[...]
[7]
웹사이트
Leo's Story – So Far…
http://www.leosayer.[...]
1948-05-21
[8]
서적
The Guinness Book of 500 Number One Hits
Guinness Superlatives Ltd
[9]
웹사이트
Bedford Hotel, King's Road: Fire at the hotel
http://www.mybrighto[...]
[10]
잡지
Chart History – 3 Dog Night
https://www.billboar[...]
[11]
잡지
Chart History – Leo Sayer
https://www.billboar[...]
[12]
웹사이트
Music Canada – Gold/Platinum
https://musiccanada.[...]
1977-11
[13]
웹사이트
Artist – Leo Sayer
https://www.grammy.c[...]
Recording Academy
[14]
서적
British Hit Single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15]
웹사이트
Leo Sayer – The Very Best of Leo Sayer
https://www.discogs.[...]
[16]
웹사이트
Leo Sayer – The Very Best of Leo Sayer (Rhino)
https://www.allmusic[...]
[17]
웹사이트
"The Show Must Go On" – Leo Sayer – Muppet Show
https://www.youtube.[...]
2014-03-26
[18]
웹사이트
"WHEN I NEED YOU" – Leo Sayer – Muppet Show
https://www.youtube.[...]
2014-02-19
[19]
웹사이트
Leo Sayer
https://www.riaa.com[...]
[20]
웹사이트
Eric Woolfson's FREUDIANA — The Musical
http://www.ericwoolf[...]
[21]
뉴스
Fame and fortune: Singer who lost control of his notes
https://www.theguard[...]
2004-11-20
[22]
웹사이트
At His Very Best – Leo Sayer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3]
웹사이트
Leo Sayer: nostalgia tours are 'depressing'
https://www.telegrap[...]
2008-11-23
[24]
뉴스
Seventies singer Leo Sayer becomes an Australian citizen
https://www.telegrap[...]
2009-01-26
[25]
웹사이트
Sample Leo Sayer's 2015 Album Restless Years
http://www.noise11.c[...]
2014-12-13
[26]
웹사이트
Perth Acoustic Singer Songwriter Solo
http://www.jasonayre[...]
2014-11-21
[27]
웹사이트
2015 Gold Badge Award recipients revealed – M Magazine
https://www.m-magazi[...]
2015-09-16
[28]
웹사이트
Selfie – Leo Sayer – Songs, Reviews, Credits
https://www.allmusic[...]
AllMusic
[29]
웹사이트
Leo Sayer: 1992 (LP)
https://www.demonmus[...]
[30]
웹사이트
Leo Sayer profile
http://www.nndb.com/[...]
2007-02-15
[31]
뉴스
Fame and fortune: Singer who lost control of his notes
https://www.theguard[...]
2004-11-20
[32]
웹사이트
Leo Sayer says it's still so
http://www.heraldsun[...]
[33]
간행물
Local Leo Shares the Love
Wingecarribee Shire Council
2020-04
[34]
웹사이트
Leo Sayer: pop icon becomes Australian citizen
http://www.smh.com.a[...]
2009-01-26
[35]
웹사이트
Leo Sayer 'feels like giving' for Can Give Day
https://canberraweek[...]
Newstate Media
2020-10-21
[36]
뉴스
Lunch with perennially perky musician Leo Sayer
https://www.smh.com.[...]
2014-05-16
[37]
뉴스
Lunch with perennially perky musician Leo Sayer
https://www.smh.com.[...]
2014-05-17
[38]
웹사이트
Leo Sayer sends heartfelt message to Melbourne with 'My City in Lockdown'
http://www.noise11.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