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리틀빅혼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리틀빅혼 전투는 1876년 6월 25일 현재 몬태나주에 위치한 리틀빅혼 강 유역에서 벌어진 전투로,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이끄는 미국 제7기병대와 라코타, 북부 샤이엔, 아라파호 연합 부족 간의 충돌이다. 이 전투는 미국 정부의 인디언 정책에 대한 불신과 19세기 후반 흑인 언덕을 둘러싼 갈등을 배경으로 발생했다. 커스터는 부대를 분산하여 공격했으나, 인디언 전사들의 압도적인 수와 연발 소총의 우세함에 직면하여 그의 부대는 전멸했다. 이 전투는 원주민 측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후 미국 정부의 대대적인 반격으로 이어져 '인디언 전쟁'의 종말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전투 결과와 관련하여 리노의 행동, 커스터의 전략적 실수, 스프링필드 소총의 문제점 등 다양한 논란이 존재하며, 현재는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틀빅혼 전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전투명리틀빅혼 전투
다른 이름'그리스 풀밭 전투'
커스터 최후의 저항
일부블랙힐즈 전쟁
날짜1876년 6월 25일 ~ 26일
장소미국 몬태나주 빅혼 카운티 리틀빅혼 강 근처
결과라코타족, 북부 샤이엔족, 아라파호족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라코타족
다코타족
북부 샤이엔족
아라파호족
교전 세력 2
크로우족 정찰병
아리카라족 정찰병
지휘관
지휘관 1시팅불
크레이지 호스

레이므 화이트 맨
투 문즈
지휘관 2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마커스 리노
프레데릭 벤틴
루터 헤어
마일스 키오
제임스 칼훈
블러디 나이프
병력 규모
병력 11,100 ~ 2,500명
병력 2약 700명
사상자
사상자 1전사 31명 ~ 136명 (추정)
부상 최대 160명
비전투원 사망 10명
사상자 2전사 268명 (장교 16명, 기병 242명, 민병대 및 정찰병 10명)
부상 55명 (부상자 중 6명 사망)
기타 정보
찰스 매리언 러셀 - 커스터의 전투 (1903)
"커스터 전투" (1903) 찰스 매리언 러셀 작품
전투 개요도
관련 캠페인

2. 배경

19세기 후반, 미국 연방 정부는 원주민 인디언에 대한 정책을 두고 그랜트 대통령과 반(反)그랜트파가 대립하고 있었다. 1874년, 필 셰리던은 조지 커스터에게 인디언 성지 원정을 명령했고, 이는 협정을 위반한 연방 정부에 대한 인디언들의 불신을 더욱 키웠다.

200px

1876년, 육군 장관 셔먼은 인디언 소탕군을 편성했고, 커스터는 제7기병대 연대장으로 참가를 허락받았다. 작전은 몬태나 주 남동부의 수족 본거지를 기본 대, 크룩 대, 테리 대가 삼면에서 포위하는 것이었다.

커스터 대의 인디언 정찰병은 강가에 집결해 있던 약 1500명의 인디언 여러 부족의 티피 야영지를 발견했다. 테리 대와 기본 대는 포위 공격을 계획하고 26일에 총공격을 계획하여 커스터 대를 남쪽 상류로 파견했다. 이때 기본은 커스터에게 “커스터 군, 너무 욕심 부리지 마세요. 인디언은 아무튼 많으니까”라고 충고했다. 커스터가 가장 신뢰했던 인디언 정찰병 리족의 블러디 나이프 추장과 도 “수족의 수가 너무 많으니 조심하라”고 여러 번 커스터에게 충고했다.

이때 야영하고 있던 인디언 부족은 우호 동맹을 맺은 라코타다코타의 수족, 샤이앤족, 아라파호족 연합군으로, 갤, 크레이지 호스, 투 문즈 등 저명한 전사들이 참가하고 있었다. 그들은 종교 의식인 “선댄스”와 점점 심해지는 백인의 보호구역 정책에 대한 향후 방침을 협의하기 위해 회의 티피를 짓고 매일 회의를 하고 있었다. 그들의 옆을 흐르는 강은 기름기가 묻은 풀이 무성했기 때문에 인디언들은 “기름진 풀의 강(그리지글래스 강)”이라고 불렀다.

6월 25일, 커스터 대는 야영지 근처에 도착했고, 인디언 측도 이미 정찰병의 보고로 커스터 대의 접근을 알고 있었다. 인디언들은 전투를 대비하였으나, 밤늦도록 춤에 참가하고 있었고 낮까지 자는 사람도 많았다. 더위 때문에 인디언들은 움직임을 멈추고 느긋하게 있었다.

커스터의 부관 마커스 리노는 신중할 것을 제안했지만, 커스터는 이를 무시하고 본대를 세 개로 나누어 공격을 실시하였다.

2. 1. 골드 러시와 블랙힐스

2. 2. 1868년 포트 라라미 조약

2. 3. 그랜트 행정부의 원주민 정책

2. 4. 1876년 원정의 시작

1876년, 미 육군은 원주민 부족들을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시키기 위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존 기본 대령이 이끄는 부대는 몬태나주 포트 엘리스에서 출발하여 옐로스톤 강을 순찰했다.[32] 조지 크룩 준장이 이끄는 부대는 와이오밍 준주 포트 페터맨에서 북쪽으로 진군하여 파우더 강 지역으로 향했다.[32] 알프레드 테리 준장이 이끄는 부대는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지휘하는 제7기병연대를 포함하여 다코타 준주 포트 아브라함 링컨에서 서쪽으로 출발했다.[32] 이들은 150대의 마차와 많은 짐꾼과 함께 움직였다.[32]

1876년 미 육군의 수우족 토벌 작전


제6보병연대 일부 중대는 미주리 강의 포트 버포드에서 옐로스톤 강을 따라 이동하여 보급 기지를 설치하고 파우더 강 하구에서 테리와 합류했다.[32] 이후 증기선 ''Far West''가 포트 아브라함 링컨에서 200톤의 보급품을 싣고 합류하였다.[33]

3. 전투 전 상황

1851년 포트 라라미 조약을 통해 이 지역은 처음 언급되었다.[21] 19세기 후반, 미국 대평원(Great Plains)의 원주민들과 이주해 온 정착민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이는 1854년부터 1890년까지 발생한 수 차례의 분쟁인 수우족 전쟁으로 이어졌다.[22] 일부 원주민들은 결국 점점 줄어드는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이주하는 데 동의했지만, 많은 수가 저항했다.[22]

1868년 5월 7일, 리틀 빅혼 계곡은 옛 크로우족 영토 중심부에 있는 새로운 크로우 인디언 보호구역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 되었다.[23] 수우족과 크로우족 사이에는 여러 차례의 충돌이 있었고,[24] 1876년 수우족이 크로우족의 동의 없이 계곡에 있었을 때,[25] 크로우족은 수우족을 축출하기 위해 미국 육군을 지원했다.[26] 예를 들어, 크로우족은 크로우 정찰병으로서 육군 정찰병으로 복무했고,[26] 크로우족 전사들은 근처 로즈버드 전투에서 싸웠다.[27]

전투터의 지형은 매우 복잡하여 해부된 고지대, 험준한 절벽, 리틀 빅혼 강과 인접한 평야 등 모든 지역이 서로 가까이 있다. 식생은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28]

이 전투터는 라코타 수우족, 다코타 수우족, 샤이엔족과 다른 대부분의 평원 인디언에게 "그리시 그래스(Greasy Grass)"로 알려져 있지만, 참가자들의 당시 기록에는 "추장들의 계곡(Valley of Chieftains)"으로 언급되어 있다.[29]

'외로운 티피'(또는 '티피')는 제7기병대의 행군 경로 상의 랜드마크였다. 1876년 6월 17일 로즈버드 전투 당시 인디언 진영이 있던 곳으로, 일주일 전의 위치였다. 인디언들은 단 하나의 티피만 남긴 채(일부 보고서에는 부분적으로 해체된 두 번째 티피가 있었다고 언급) 떠났고, 그 안에는 로즈버드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던 산스 아크(Sans Arc)족 전사, 올드 쉬-베어(Old She-Bear)의 시신이 있었다. 그는 로즈버드 전투 후 사망했고, 전사가 사망하면 인디언들은 진영을 옮기고 시신과 함께 소지품을 남겨두는 관습이 있었다. 외로운 티피는 리틀 빅혼 전투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중요한 위치였다.[59][60][61]


  • 커스터가 리노에게 앞의 마을을 공격하라는 최후 명령을 내린 곳이다. 또한, 이곳에서 커스터의 부대를 추적하던 일부 인디언들이 목격되었고, 커스터는 자신이 발각되었다는 것을 추측했다.
  • 많은 생존자들의 증언에서 외로운 티피는 사건 발생 시간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사용되었다.
  • 이 위치를 아는 것은 병사들이 인디언들을 발견한 강가의 진영으로 인디언들이 이동한 패턴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미군의 전략과 부대 배치 ==

1876년, 미 육군은 수우족 토벌 작전을 계획했다. 존 기번 대령의 부대는 3월 30일 몬태나 주 서부 포트 엘리스에서 출발하여 옐로스톤 강을 순찰했다. 조지 크룩 준장의 부대는 5월 29일 와이오밍 준주 포트 페터맨에서 북쪽으로 진군하여 파우더 강 지역으로 향했다.[32] 알프레드 테리 준장의 부대는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지휘하는 제7기병대 12개 중대, 제17보병연대 C, G 중대, 제20보병연대의 개틀링 건 부대를 포함하여 5월 17일 다코타 준주 포트 아브라함 링컨에서 서쪽으로 출발했다.[32] 이들은 150대의 마차와 짐꾼과 함께 이동했다. 제6보병연대의 C, D, I 중대는 미주리 강의 포트 버포드에서 옐로스톤 강을 따라 이동하여 보급 기지를 설치하고 5월 29일 파우더 강 하구에서 테리와 합류했다. 증기선 ''Far West''가 포트 아브라함 링컨에서 200톤의 보급품을 싣고 합류했다.[33]

미 육군의 계획은 1876년 6월 17일 크룩 부대가 로즈버드 전투 이후 리틀빅혼 전투터에서 남동쪽으로 30마일 떨어진 곳으로 후퇴하면서 틀어졌다. 크룩은 예상외로 많은 수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놀라 후퇴하여 재편성하고 증원을 기다려야 했다. 크룩의 전투를 알지 못한 기본과 테리는 6월 초 로즈버드 강 어귀 근처에서 합류했다. 테리의 계획은 커스터 연대가 로즈버드를 따라 남쪽으로 진군하고, 테리와 기본의 연합군은 비혼 강과 리틀빅혼 강 쪽으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6월 22일, 테리는 커스터에게 제7기병대를 이끌고 로즈버드를 따라 정찰 및 추격을 시작하도록 명령했으며, 커스터가 "충분한 이유"를 본다면 명령에서 "벗어날" 특권을 주었다. 커스터는 개틀링 건을 거절했다.[32]

리틀 빅혼 전투 당시 제7기병대의 대대, 중대 및 기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미국 육군, 조지 A. 커스터 중령, 제7 미국 기병대 연대 지휘관
제7 미국 기병대 연대대대중대 및 기타
rowspan=5 |커스터 대대
리노 대대
벤틴 대대
수송대
정찰병 및 통역관



== 제7기병대의 구성 ==

미국남북 전쟁(1861-1865) 직후 창설된 제7기병대는 많은 병사들과 주요 장교들 대부분이 전쟁 참전 용사였다. 연대의 상당수는 캔자스 주 포트 라일리에 4년 반 동안 주둔하면서 한 차례의 대규모 교전과 수많은 소규모 충돌에 참전하여 3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었다. 익사로 6명, 콜레라 유행으로 51명이 사망했다.[34] 1868년 11월, 캔자스 주에 주둔 중이던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와시타 강 전투에서 블랙 케틀의 남부 샤이엔족 캠프를 격파했는데, 이 공격은 당시 인디언국(Indian Bureau)에 의해 "무고한 인디언들의 학살"로 규정되었다.[34]

미 육군 제7기병대 I중대의 가이드온 깃발. 1876년경 늙은 아메리칸 호스의 캠프에서 회수됨.


리틀 빅혼 전투 당시 제7기병대 중대의 절반은 남부 깊숙한 곳에서 18개월간의 치안 유지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참이었으며, 이들은 캠페인을 위해 연대를 재편성하기 위해 다코타 준주 포트 아브라함 링컨으로 소환되었다. 병사 약 20%(718명의 병력 명단 중 139명)는 7개월 전에 입대하여 훈련이 부족했고 전투나 국경 경험이 없었다. 이 신병 중 약 60%는 미국인이었고, 나머지는 유럽 이민자(주로 아일랜드인과 독일인)들이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들 병사 중 상당수는 육군에서 가장 잘 장비되고 보급이 잘 된 연대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실조에 걸리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35][36]

당시 제7기병대에 배속된 45명의 장교와 718명의 병사(제20보병대에서 파견되어 L중대에서 복무한 소위 1명 포함) 중 14명의 장교(연대장 포함)와 152명의 병사는 캠페인에 참여하지 않았다. 연대장인 새뮤얼 D. 스터지스 대령은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기마 모병 서비스 감독관 겸 기병대 창고 사령관으로 파견 근무 중이었다.[37] 이로 인해 제7기병대는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다른 임무로 파견된 병력의 비율(약 22%)은 이 정도 규모의 원정대에서는 드문 일이 아니었고,[38] 장교 부족의 일부는 만성적인 것이었으며 육군의 엄격한 선임 시스템 때문이었다. 연대의 12명의 대위 중 3명은 영구적으로 파견되었고, 2명은 1866년 7월 임명된 이후 제7기병대에서 하루도 복무한 적이 없었다. 또한 E, H, L중대의 소위 3명의 자리는 채워지지 않았다.

리틀 빅혼 전투 당시 제7기병대의 대대, 중대 및 기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미국 육군, 조지 A. 커스터 중령, 제7 미국 기병대 연대 지휘관
제7 미국 기병대 연대대대중대 및 기타
rowspan=5 |커스터 대대
리노 대대
벤틴 대대
수송대
정찰병 및 통역관



== 원주민 부족의 집결 ==

평원 인디언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의식 전통인 태양의 춤은 일 년 중 가장 중요한 종교 행사였다. 이는 공동체를 위한 기도와 개인적인 희생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서원과 결의를 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1876년 봄이 끝날 무렵, 라코타족샤이엔족은 태양의 춤을 거행했는데, 일부 "대리 인디언"들도 보호구역을 빠져나와 참석했다.[30] 1876년 6월 5일경 몬태나주 로즈버드 크릭에서 열린 태양의 춤에서 시팅 불은 흥크파파 라코타족의 정신적 지도자로서 "하늘에서 메뚜기처럼 그의 진영으로 쏟아지는 병사들"의 환영을 보았다고 전해진다.[31] 같은 시기에 미군 장교들은 소위 "삼방향 접근"이라고 불리는 보병기병을 사용하여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을 그들의 보호구역으로 돌려보내려는 여름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다.

== 선댄스 의식 ==

평원 인디언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의식 전통인 태양의 춤은 일 년 중 가장 중요한 종교 행사였다. 이는 공동체를 위한 기도와 개인적인 희생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서원과 결의를 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1876년 봄이 끝날 무렵,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은 태양의 춤을 거행했는데, 일부 "대리 인디언"들도 보호구역을 빠져나와 참석했다.[30] 1876년 6월 5일경 몬태나주 로즈버드 크릭에서 열린 태양의 춤에서 시팅 불은 흥크파파 라코타족의 정신적 지도자로서 "하늘에서 메뚜기처럼 그의 진영으로 쏟아지는 병사들"의 환영을 보았다고 전해진다.[31] 같은 시기에 미군 장교들은 소위 "삼방향 접근"이라고 불리는 보병기병을 사용하여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을 그들의 보호구역으로 돌려보내려는 여름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다.

== 커스터의 오판과 전략적 실수 ==

샤이엔족 화가가 그린 리틀빅혼 전투


군은 원정에 나서면서, 부딪힐 인디언의 수에 대해 잘못된 가정 하에 작전을 수행했다. 이러한 가정은 인디언 담당관이 제공한 부정확한 정보, 즉 그 지역에 800명이 넘는 "적대적인" 인디언이 없다는 정보에 근거했다.[46] 인디언 담당관은 이 추정치를 시팅 불과 다른 지도자들이 미국 정부 정책에 항의하며 보호구역을 떠났다고 보고된 라코타족의 수에 근거했다. 사실 전투 몇 주 전 "보호구역 인디언"들이 여름 들소 사냥을 위해 시팅 불의 대열에 합류하기 전까지는 정확한 추정치였다. 담당관들은 "시팅 불이 이끄는 협조적이지 않은 보호구역 외부 친척들"과 합류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보호구역을 떠난 수천 명의 이러한 "보호구역 인디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커스터는 800명의 보호구역 외부 "적대적인" 인디언을 포함하여 수천 명의 인디언과 싸우게 될 줄 몰랐다. 모든 군 계획은 잘못된 수치에 근거했다. 커스터는 전투 후 증원을 받지 않고 부대를 나눈 것에 대해 비난을 받았지만, 테리와 기본도 받아들였던 것과 같은 공식적인 정부의 적대적인 인디언 수치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사가 제임스 도노반(James Donovan)은 커스터가 나중에 통역사 프레드 제라드(Fred Gerard)에게 적의 규모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때, 그는 병력을 1,100명으로 추산했다고 지적한다.[46]

또한, 조반니 마르티노(Giovanni Martino)(존 마틴)의 보고에 따르면,[47] 커스터는 라코타족샤이엔족의 탈출을 막는 것에 전투보다 더 관심이 있었다.

그의 관찰에 따르면, 커스터는 전투 당일 아침 전사들이 늦잠을 잤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거의 모든 원주민들의 후속 증언과 일치하며, 커스터에게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에 대한 잘못된 추정치를 제공했다. 그와 정찰병들이 리틀 빅혼 강 건너 크로우 둥지(Crow's Nest)에서 처음으로 마을을 내려다보았을 때, 그들은 오직 말떼만 볼 수 있었다. 나중에 마커스 리노의 부대와 헤어진 후 떨어진 언덕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커스터는 여자들이 하루를 준비하고, 어린 소년들이 수천 마리의 말을 마을 남쪽으로 방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스터의 크로우족 정찰병들은 그곳이 그들이 본 가장 큰 원주민 마을이라고 말했다. 정찰병들이 전투 직전에 원주민 복장으로 갈아입기 시작하자, 커스터는 그들을 그의 지휘에서 해방시켰다. 마을은 엄청나게 컸지만, 커스터는 여전히 마을을 방어할 전사의 수가 훨씬 적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커스터는 원주민들을 만났을 때 그의 부하 벤틴이 수송대와 함께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가정했을 수 있다. 소총 사격은 지원 부대에게 다른 부대를 지원하라고 알리는 표준적인 방법이었다. 리노 소령이 요청한 1879년 후속 공식 군 조사인 리노 조사 위원회(RCOI)에서 벤틴과 리노의 부하들은 전투 중 오후 4시 30분까지 명확한 소총 사격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48]

커스터는 처음에 공격하기 전에 하루 종일 마을을 정찰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수송대에서 우연히 떨어뜨린 물품을 찾으러 돌아간 병사들이 인디언들이 이미 그들의 흔적을 발견했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의 부대를 내려다보는 산등성이에서 신선한 말 발자국이 발견되었다고 정찰병들의 보고가 들어왔다.[49] 마을이 그가 추격해야 할 작은 부대로 해체될 것을 우려하여, 커스터는 즉각적인 공격 준비를 시작했다.[50]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구성원이 동유럽 등에서 온 소위 "늦게 온 이민자"들이었으며, 전투 직전에는 평원을 계속 행진하는 부대 활동에 지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250]

반면 인디언 측은 전장에 남은 탄피 수를 고려해 볼 때(커스터 부대는 45구경의 단일 카트리지(탄약)을 사용했으므로, 그 외의 탄환이나 탄피는 모두 인디언 부대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했고, 상기 조사에서도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커스터 부대가 단발식 스프링필드 M1873을 사용한 데 반해, 인디언 측은 위력이나 사정, 명중률은 열세였지만 연사 속도에서 훨씬 우세한 헨리 소총(윈체스터 소총의 원형)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또한, 앞장전식의 구식 총도 많아서, 땅에 떨어진 탄환을 다시 장전하여 쏠 수도 있었다.[250]

== 인디언 전사 수에 대한 오판 ==

군은 원정에 나서면서, 부딪힐 인디언의 수에 대해 잘못된 가정 하에 작전을 수행했다. 이러한 가정은 인디언 담당관이 제공한 부정확한 정보, 즉 그 지역에 800명이 넘는 "적대적인" 인디언이 없다는 정보에 근거했다.[46] 인디언 담당관은 이 추정치를 시팅 불과 다른 지도자들이 미국 정부 정책에 항의하며 보호구역을 떠났다고 보고된 라코타족의 수에 근거했다. 사실 전투 몇 주 전 "보호구역 인디언"들이 여름 들소 사냥을 위해 시팅 불의 대열에 합류하기 전까지는 정확한 추정치였다. 담당관들은 "시팅 불이 이끄는 협조적이지 않은 보호구역 외부 친척들"과 합류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보호구역을 떠난 수천 명의 이러한 "보호구역 인디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커스터는 800명의 보호구역 외부 "적대적인" 인디언을 포함하여 수천 명의 인디언과 싸우게 될 줄 몰랐다. 모든 군 계획은 잘못된 수치에 근거했다. 커스터는 전투 후 증원을 받지 않고 부대를 나눈 것에 대해 비난을 받았지만, 테리와 기본도 받아들였던 것과 같은 공식적인 정부의 적대적인 인디언 수치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사가 제임스 도노반(James Donovan)은 커스터가 나중에 통역사 프레드 제라드(Fred Gerard)에게 적의 규모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때, 그는 병력을 1,100명으로 추산했다고 지적한다.[46]

또한, 조반니 마르티노(Giovanni Martino)(존 마틴)의 보고에 따르면,[47] 커스터는 라코타족샤이엔족의 탈출을 막는 것에 전투보다 더 관심이 있었다.

그의 관찰에 따르면, 커스터는 전투 당일 아침 전사들이 늦잠을 잤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거의 모든 원주민들의 후속 증언과 일치하며, 커스터에게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에 대한 잘못된 추정치를 제공했다. 그와 정찰병들이 리틀 빅혼 강 건너 크로우 둥지(Crow's Nest)에서 처음으로 마을을 내려다보았을 때, 그들은 오직 말떼만 볼 수 있었다. 나중에 마커스 리노의 부대와 헤어진 후 떨어진 언덕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커스터는 여자들이 하루를 준비하고, 어린 소년들이 수천 마리의 말을 마을 남쪽으로 방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스터의 크로우족 정찰병들은 그곳이 그들이 본 가장 큰 원주민 마을이라고 말했다. 정찰병들이 전투 직전에 원주민 복장으로 갈아입기 시작하자, 커스터는 그들을 그의 지휘에서 해방시켰다. 마을은 엄청나게 컸지만, 커스터는 여전히 마을을 방어할 전사의 수가 훨씬 적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커스터는 원주민들을 만났을 때 그의 부하 벤틴이 수송대와 함께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가정했을 수 있다. 소총 사격은 지원 부대에게 다른 부대를 지원하라고 알리는 표준적인 방법이었다. 리노 소령이 요청한 1879년 후속 공식 군 조사인 리노 조사 위원회(RCOI)에서 벤틴과 리노의 부하들은 전투 중 오후 4시 30분까지 명확한 소총 사격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48]

커스터는 처음에 공격하기 전에 하루 종일 마을을 정찰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수송대에서 우연히 떨어뜨린 물품을 찾으러 돌아간 병사들이 인디언들이 이미 그들의 흔적을 발견했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의 부대를 내려다보는 산등성이에서 신선한 말 발자국이 발견되었다고 정찰병들의 보고가 들어왔다.[49] 마을이 그가 추격해야 할 작은 부대로 해체될 것을 우려하여, 커스터는 즉각적인 공격 준비를 시작했다.[50]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구성원이 동유럽 등에서 온 소위 "늦게 온 이민자"들이었으며, 전투 직전에는 평원을 계속 행진하는 부대 활동에 지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250]

반면 인디언 측은 전장에 남은 탄피 수를 고려해 볼 때(커스터 부대는 45구경의 단일 카트리지(탄약)을 사용했으므로, 그 외의 탄환이나 탄피는 모두 인디언 부대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했고, 상기 조사에서도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커스터 부대가 단발식 스프링필드 M1873을 사용한 데 반해, 인디언 측은 위력이나 사정, 명중률은 열세였지만 연사 속도에서 훨씬 우세한 헨리 소총(윈체스터 소총의 원형)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또한, 앞장전식의 구식 총도 많아서, 땅에 떨어진 탄환을 다시 장전하여 쏠 수도 있었다.[250]

== 게틀링 건 지원 거부 ==

알프레드 테리 장군의 다코타 부대에는 3인치 로드먼 포 2문과 개틀링 건 2문으로 구성된 포병대가 포함되어 있었다.[140][141] 역사학자 에반 S. 코넬(Evan S. Connell)에 따르면, 개틀링 건의 정확한 수는 2문 또는 3문이었다.[142]



커스터가 테리의 속사 개틀링 건 제안을 거절한 결정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그가 왜 거절했고, 리틀빅혼 전투에서 그의 부대에 어떤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144][145][146]

마커스 리노 소령이 6월 10일부터 18일까지 8일 동안 파우더-텅-로즈버드 강(Powder

3. 1. 미군의 전략과 부대 배치

1876년, 미 육군은 수우족 토벌 작전을 계획했다. 존 기본(John Gibbon) 대령의 부대는 3월 30일 몬태나 주 서부 포트 엘리스에서 출발하여 옐로스톤 강을 순찰했다. 조지 크룩(George Crook) 준장의 부대는 5월 29일 와이오밍 준주 포트 페터맨에서 북쪽으로 진군하여 파우더 강 지역으로 향했다.[32] 알프레드 테리(Alfred Terry) 준장의 부대는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지휘하는 제7기병대 12개 중대, 제17보병연대 C, G 중대, 제20보병연대의 개틀링 건 부대를 포함하여 5월 17일 다코타 준주 포트 아브라함 링컨에서 서쪽으로 출발했다.[32] 이들은 150대의 마차와 짐꾼과 함께 이동했다. 제6보병연대의 C, D, I 중대는 미주리 강의 포트 버포드에서 옐로스톤 강을 따라 이동하여 보급 기지를 설치하고 5월 29일 파우더 강 하구에서 테리와 합류했다. 증기선 ''Far West''가 포트 아브라함 링컨에서 200톤의 보급품을 싣고 합류했다.[33]

미 육군의 계획은 1876년 6월 17일 크룩 부대가 로즈버드 전투 이후 리틀빅혼 전투터에서 남동쪽으로 30마일 떨어진 곳으로 후퇴하면서 틀어졌다. 크룩은 예상외로 많은 수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놀라 후퇴하여 재편성하고 증원을 기다려야 했다. 크룩의 전투를 알지 못한 기본과 테리는 6월 초 로즈버드 강 어귀 근처에서 합류했다. 테리의 계획은 커스터 연대가 로즈버드를 따라 남쪽으로 진군하고, 테리와 기본의 연합군은 비혼 강과 리틀빅혼 강 쪽으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6월 22일, 테리는 커스터에게 제7기병대를 이끌고 로즈버드를 따라 정찰 및 추격을 시작하도록 명령했으며, 커스터가 "충분한 이유"를 본다면 명령에서 "벗어날" 특권을 주었다. 커스터는 게틀링 건을 거절했다.[32]

리틀 빅혼 전투 당시 제7기병대의 대대, 중대 및 기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미국 육군, 조지 A. 커스터 중령, 제7 미국 기병대 연대 지휘관
제7 미국 기병대 연대대대중대 및 기타
rowspan=5 |커스터 대대
리노 대대
벤틴 대대
수송대
정찰병 및 통역관


3. 1. 1. 제7기병대의 구성

미국남북 전쟁(1861-1865) 직후 창설된 제7기병대는 많은 병사들과 주요 장교들 대부분이 전쟁 참전 용사였다. 연대의 상당수는 캔자스 주 포트 라일리에 4년 반 동안 주둔하면서 한 차례의 대규모 교전과 수많은 소규모 충돌에 참전하여 3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었다. 익사로 6명, 콜레라 유행으로 51명이 사망했다.[34] 1868년 11월, 캔자스 주에 주둔 중이던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와시타 강 전투에서 블랙 케틀의 남부 샤이엔족 캠프를 격파했는데, 이 공격은 당시 인디언국(Indian Bureau)에 의해 "무고한 인디언들의 학살"로 규정되었다.[34]

리틀 빅혼 전투 당시 제7기병대 중대의 절반은 남부 깊숙한 곳에서 18개월간의 치안 유지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참이었으며, 이들은 캠페인을 위해 연대를 재편성하기 위해 다코타 준주 포트 아브라함 링컨으로 소환되었다. 병사 약 20%(718명의 병력 명단 중 139명)는 7개월 전에 입대하여 훈련이 부족했고 전투나 국경 경험이 없었다. 이 신병 중 약 60%는 미국인이었고, 나머지는 유럽 이민자(주로 아일랜드인과 독일인)들이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들 병사 중 상당수는 육군에서 가장 잘 장비되고 보급이 잘 된 연대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실조에 걸리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35][36]

당시 제7기병대에 배속된 45명의 장교와 718명의 병사(제20보병대에서 파견되어 L중대에서 복무한 소위 1명 포함) 중 14명의 장교(연대장 포함)와 152명의 병사는 캠페인에 참여하지 않았다. 연대장인 새뮤얼 D. 스터지스 대령은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기마 모병 서비스 감독관 겸 기병대 창고 사령관으로 파견 근무 중이었다.[37] 이로 인해 제7기병대는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다른 임무로 파견된 병력의 비율(약 22%)은 이 정도 규모의 원정대에서는 드문 일이 아니었고,[38] 장교 부족의 일부는 만성적인 것이었으며 육군의 엄격한 선임 시스템 때문이었다. 연대의 12명의 대위 중 3명은 영구적으로 파견되었고, 2명은 1866년 7월 임명된 이후 제7기병대에서 하루도 복무한 적이 없었다. 또한 E, H, L중대의 소위 3명의 자리는 채워지지 않았다.

리틀빅혼 전투 당시 제7기병대의 대대, 중대 및 기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미국 육군, 조지 A. 커스터 중령, 제7 미국 기병대 연대 지휘관
제7 미국 기병대 연대대대중대 및 기타
rowspan=5 |커스터 대대
리노 대대
벤틴 대대
수송대
정찰병 및 통역관


3. 2. 원주민 부족의 집결



평원 인디언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의식 전통인 태양의 춤은 일 년 중 가장 중요한 종교 행사였다. 이는 공동체를 위한 기도와 개인적인 희생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서원과 결의를 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1876년 봄이 끝날 무렵,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은 태양의 춤을 거행했는데, 일부 "대리 인디언"들도 보호구역을 빠져나와 참석했다.[30] 1876년 6월 5일경 몬태나주 로즈버드 크릭에서 열린 태양의 춤에서 시팅 불은 흥크파파 라코타족의 정신적 지도자로서 "하늘에서 메뚜기처럼 그의 진영으로 쏟아지는 병사들"의 환영을 보았다고 전해진다.[31] 같은 시기에 미군 장교들은 소위 "삼방향 접근"이라고 불리는 보병기병을 사용하여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을 그들의 보호구역으로 돌려보내려는 여름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다.

3. 2. 1. 선댄스 의식



평원 인디언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의식 전통인 태양의 춤은 일 년 중 가장 중요한 종교 행사였다. 이는 공동체를 위한 기도와 개인적인 희생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서원과 결의를 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1876년 봄이 끝날 무렵,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은 태양의 춤을 거행했는데, 일부 "대리 인디언"들도 보호구역을 빠져나와 참석했다.[30] 1876년 6월 5일경 몬태나주 로즈버드 크릭에서 열린 태양의 춤에서 시팅 불(Sitting Bull)은 흥크파파 라코타족의 정신적 지도자로서 "하늘에서 메뚜기처럼 그의 진영으로 쏟아지는 병사들"의 환영을 보았다고 전해진다.[31] 같은 시기에 미군 장교들은 소위 "삼방향 접근"이라고 불리는 보병기병을 사용하여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을 그들의 보호구역으로 돌려보내려는 여름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다.

3. 3. 커스터의 오판과 전략적 실수



군대는 원정에 나서면서, 부딪힐 인디언의 수에 대해 잘못된 가정 하에 작전을 수행했다. 이러한 가정은 인디언 담당관이 제공한 부정확한 정보, 즉 그 지역에 800명이 넘는 "적대적인" 인디언이 없다는 정보에 근거했다.[46] 인디언 담당관은 이 추정치를 시팅 불과 다른 지도자들이 미국 정부 정책에 항의하며 보호구역을 떠났다고 보고된 라코타족의 수에 근거했다. 사실 전투 몇 주 전 "보호구역 인디언"들이 여름 들소 사냥을 위해 시팅 불의 대열에 합류하기 전까지는 정확한 추정치였다. 담당관들은 "시팅 불이 이끄는 협조적이지 않은 보호구역 외부 친척들"과 합류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보호구역을 떠난 수천 명의 이러한 "보호구역 인디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커스터는 800명의 보호구역 외부 "적대적인" 인디언을 포함하여 수천 명의 인디언과 싸우게 될 줄 몰랐다. 모든 군 계획은 잘못된 수치에 근거했다. 커스터는 전투 후 증원을 받지 않고 부대를 나눈 것에 대해 비난을 받았지만, 테리와 기본도 받아들였던 것과 같은 공식적인 정부의 적대적인 인디언 수치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사가 제임스 도노반(James Donovan)은 커스터가 나중에 통역사 프레드 제라드(Fred Gerard)에게 적의 규모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때, 그는 병력을 1,100명으로 추산했다고 지적한다.[46]

또한, 조반니 마르티노(Giovanni Martino)(존 마틴)의 보고에 따르면,[47] 커스터는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의 탈출을 막는 것에 전투보다 더 관심이 있었다.

그의 관찰에 따르면, 커스터는 전투 당일 아침 전사들이 늦잠을 잤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거의 모든 원주민들의 후속 증언과 일치하며, 커스터에게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에 대한 잘못된 추정치를 제공했다. 그와 정찰병들이 리틀 빅혼 강 건너 크로우 둥지(Crow's Nest)에서 처음으로 마을을 내려다보았을 때, 그들은 오직 말떼만 볼 수 있었다. 나중에 마커스 리노의 부대와 헤어진 후 떨어진 언덕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커스터는 여자들이 하루를 준비하고, 어린 소년들이 수천 마리의 말을 마을 남쪽으로 방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스터의 크로우족 정찰병들은 그곳이 그들이 본 가장 큰 원주민 마을이라고 말했다. 정찰병들이 전투 직전에 원주민 복장으로 갈아입기 시작하자, 커스터는 그들을 그의 지휘에서 해방시켰다. 마을은 엄청나게 컸지만, 커스터는 여전히 마을을 방어할 전사의 수가 훨씬 적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커스터는 원주민들을 만났을 때 그의 부하 벤틴이 수송대와 함께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가정했을 수 있다. 소총 사격은 지원 부대에게 다른 부대를 지원하라고 알리는 표준적인 방법이었다. 리노 소령이 요청한 1879년 후속 공식 군 조사인 리노 조사 위원회(RCOI)에서 벤틴과 리노의 부하들은 전투 중 오후 4시 30분까지 명확한 소총 사격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48]

커스터는 처음에 공격하기 전에 하루 종일 마을을 정찰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수송대에서 우연히 떨어뜨린 물품을 찾으러 돌아간 병사들이 인디언들이 이미 그들의 흔적을 발견했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의 부대를 내려다보는 산등성이에서 신선한 말 발자국이 발견되었다고 정찰병들의 보고가 들어왔다.[49] 마을이 그가 추격해야 할 작은 부대로 해체될 것을 우려하여, 커스터는 즉각적인 공격 준비를 시작했다.[50]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구성원이 동유럽 등에서 온 소위 "늦게 온 이민자"들이었으며, 전투 직전에는 평원을 계속 행진하는 부대 활동에 지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250]

반면 인디언 측은 전장에 남은 탄피 수를 고려해 볼 때(커스터 부대는 45구경의 단일 카트리지(탄약)을 사용했으므로, 그 외의 탄환이나 탄피는 모두 인디언 부대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했고, 상기 조사에서도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커스터 부대가 단발식 스프링필드 M1873을 사용한 데 반해, 인디언 측은 위력이나 사정, 명중률은 열세였지만 연사 속도에서 훨씬 우세한 헨리 소총(윈체스터 소총의 원형)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또한, 앞장전식의 구식 총도 많아서, 땅에 떨어진 탄환을 다시 장전하여 쏠 수도 있었다.[250]

테리 장군 등은 커스터가 작전 초반부터 전략적 실수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그는 개틀링 건 포대의 사용을 거부하고 제2기병대의 추가 대대를 제공하겠다는 테리 장군의 제안을 거절했다. 커스터는 게틀링 건이 로즈버드를 향한 그의 진군을 방해하고 기동성을 저해할 것이라고 믿었다.

역사가들은 개틀링 건의 화력을 인정했다. 분당 350발의 .45–70구경 탄을 발사할 수 있었지만, 흑색 화약 잔여물로 인한 고장은 발사 속도를 낮출 수 있었고,[164] 전투 조건 하에서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166]

커스터의 현장 전략은 리틀 빅혼 강 유역의 캠프에 있는 비전투원들, 즉 여성,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들을 포획하여 인질로 삼아 전사들을 항복시키고 연방 정부의 이주 명령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1] 커스터의 대대는 "캠프로 진입하여 비전투원 인질을 확보하고"[52] "전사들을 강제로 항복시키는"[53] 임무를 맡았다.

역사가 존 S. 그레이에 따르면 수우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은 비전투원에 대한 군사적 개입이 가져올 위험, 즉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공격의 낌새만 보여도" 전사들이 마을로 돌아올 것이라는 사실을 keenly 알고 있었다.[56]

3. 3. 1. 인디언 전사 수에 대한 오판



군대는 원정에 나서면서, 부딪힐 인디언의 수에 대해 잘못된 가정 하에 작전을 수행했다. 이러한 가정은 인디언 담당관이 제공한 부정확한 정보, 즉 그 지역에 800명이 넘는 "적대적인" 인디언이 없다는 정보에 근거했다.[46] 인디언 담당관은 이 추정치를 시팅 불과 다른 지도자들이 미국 정부 정책에 항의하며 보호구역을 떠났다고 보고된 라코타족의 수에 근거했다. 사실 전투 몇 주 전 "보호구역 인디언"들이 여름 들소 사냥을 위해 시팅 불의 대열에 합류하기 전까지는 정확한 추정치였다. 담당관들은 "시팅 불이 이끄는 협조적이지 않은 보호구역 외부 친척들"과 합류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보호구역을 떠난 수천 명의 이러한 "보호구역 인디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커스터는 800명의 보호구역 외부 "적대적인" 인디언을 포함하여 수천 명의 인디언과 싸우게 될 줄 몰랐다. 모든 군 계획은 잘못된 수치에 근거했다. 커스터는 전투 후 증원을 받지 않고 부대를 나눈 것에 대해 비난을 받았지만, 테리와 기본도 받아들였던 것과 같은 공식적인 정부의 적대적인 인디언 수치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사가 제임스 도노반(James Donovan)은 커스터가 나중에 통역사 프레드 제라드(Fred Gerard)에게 적의 규모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때, 그는 병력을 1,100명으로 추산했다고 지적한다.[46]

또한, 조반니 마르티노(Giovanni Martino)(존 마틴)의 보고에 따르면,[47] 커스터는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의 탈출을 막는 것에 전투보다 더 관심이 있었다.

그의 관찰에 따르면, 커스터는 전투 당일 아침 전사들이 늦잠을 잤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거의 모든 원주민들의 후속 증언과 일치하며, 커스터에게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에 대한 잘못된 추정치를 제공했다. 그와 정찰병들이 리틀 빅혼 강 건너 크로우 둥지(Crow's Nest)에서 처음으로 마을을 내려다보았을 때, 그들은 오직 말떼만 볼 수 있었다. 나중에 마커스 리노의 부대와 헤어진 후 떨어진 언덕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커스터는 여자들이 하루를 준비하고, 어린 소년들이 수천 마리의 말을 마을 남쪽으로 방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스터의 크로우족 정찰병들은 그곳이 그들이 본 가장 큰 원주민 마을이라고 말했다. 정찰병들이 전투 직전에 원주민 복장으로 갈아입기 시작하자, 커스터는 그들을 그의 지휘에서 해방시켰다. 마을은 엄청나게 컸지만, 커스터는 여전히 마을을 방어할 전사의 수가 훨씬 적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커스터는 원주민들을 만났을 때 그의 부하 벤틴이 수송대와 함께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가정했을 수 있다. 소총 사격은 지원 부대에게 다른 부대를 지원하라고 알리는 표준적인 방법이었다. 리노 소령이 요청한 1879년 후속 공식 군 조사인 리노 조사 위원회(RCOI)에서 벤틴과 리노의 부하들은 전투 중 오후 4시 30분까지 명확한 소총 사격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48]

커스터는 처음에 공격하기 전에 하루 종일 마을을 정찰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수송대에서 우연히 떨어뜨린 물품을 찾으러 돌아간 병사들이 인디언들이 이미 그들의 흔적을 발견했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의 부대를 내려다보는 산등성이에서 신선한 말 발자국이 발견되었다고 정찰병들의 보고가 들어왔다.[49] 마을이 그가 추격해야 할 작은 부대로 해체될 것을 우려하여, 커스터는 즉각적인 공격 준비를 시작했다.[50]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구성원이 동유럽 등에서 온 소위 "늦게 온 이민자"들이었으며, 전투 직전에는 평원을 계속 행진하는 부대 활동에 지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250]

반면 인디언 측은 전장에 남은 탄피 수를 고려해 볼 때(커스터 부대는 45구경의 단일 카트리지(탄약)을 사용했으므로, 그 외의 탄환이나 탄피는 모두 인디언 부대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했고, 상기 조사에서도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커스터 부대가 단발식 스프링필드 M1873을 사용한 데 반해, 인디언 측은 위력이나 사정, 명중률은 열세였지만 연사 속도에서 훨씬 우세한 헨리 소총(윈체스터 소총의 원형)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또한, 앞장전식의 구식 총도 많아서, 땅에 떨어진 탄환을 다시 장전하여 쏠 수도 있었다.[250]

3. 3. 2. 게틀링 건 지원 거부

알프레드 테리(Alfred Terry) 장군의 다코타 부대에는 3인치 로드먼 포 2문과 개틀링 건 2문으로 구성된 포병대가 포함되어 있었다.[140][141] 역사학자 에반 S. 코넬(Evan S. Connell)에 따르면, 개틀링 건의 정확한 수는 2문 또는 3문이었다.[142]

커스터가 테리의 속사 개틀링 건 제안을 거절한 결정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그가 왜 거절했고, 리틀빅혼 전투에서 그의 부대에 어떤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144][145][146]

마커스 리노(Marcus Reno) 소령이 6월 10일부터 18일까지 8일 동안 파우더-텅-로즈버드 강(Powder-Tongue-Rosebud Rivers)에서 수행한 정찰 작전에서, 포병대에 장착되어 기병용으로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말이 끄는 포차가 혼합된 지형에서 다루기 어렵고 고장이 잘 발생한다는 것이 드러났다.[147][148][149][150][151][152] 커스터는 제7기병대의 기동성을 중시하고 테리가 연대를 "주요 타격 부대"로 인정한 것을 알고 개틀링 건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를 선호했다.[153][154][155][156] 커스터는 제7기병대만으로도 만날 수 있는 어떤 부대라도 대처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하여 포병이 자신의 성공에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테리에게 "제7기병대는 만나는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라고 알렸다.[157][158][159][160] 제임스 브리스빈(James Brisbin) 소령과의 긴장된 관계로 인해 커스터는 브리스빈의 제2기병대와 개틀링 건을 자신의 타격 부대에 통합하는 것을 거절했다.[161][162][163]

역사가들은 개틀링 건의 화력을 인정했다. 분당 350발의 .45–70구경 탄을 발사할 수 있었지만, 흑색 화약 잔여물로 인한 고장은 발사 속도를 낮출 수 있었고,[164][165] 전투 조건 하에서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166][167] 포차에 높이 장착된 개틀링 건은 포병대원들이 작동 중에 똑바로 서 있어야 했기 때문에, 라코타족샤이엔족 저격수들에게 쉬운 표적이 되었다.[168]

역사가 로버트 M. 어틀리(Robert M. Utley)는 커스터의 동시대 사람들의 두 가지 판단을 제시한다. 헨리 J. 헌트(Henry J. Hunt) 장군은 개틀링 건이 "아마도 지휘부를 구했을 것"이라고 말했고, 넬슨 A. 마일스(Nelson A. Miles) 장군은 "[개틀링 건은] 인디언과의 싸움에는 쓸모없었다"고 선언했다.[169]

3. 3. 3. 비전투원의 역할에 대한 전략

커스터의 현장 전략은 리틀 빅혼 강 유역의 캠프에 있는 비전투원들, 즉 여성,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들을 포획하여 인질로 삼아 전사들을 항복시키고 연방 정부의 이주 명령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1] 커스터의 대대는 "캠프로 진입하여 비전투원 인질을 확보하고"[52] "전사들을 강제로 항복시키는"[53] 임무를 맡았다. 에반 S. 코넬 저자는 커스터가 광범위한 저항이 발생하기 전에 마을을 점령할 수 있다면 수우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은 "가족의 안전을 위협하기 때문에 항복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51]

리틀 빅혼 전투 2년 전에 출판된 커스터의 책 "My Life on the Plains"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커스터가 언덕 위로 진격하여 동쪽에서 마을로 내려온 결정에 대해, K중대의 에드워드 고드프리 중위는 다음과 같이 추측했다.

역사가 존 S. 그레이에 따르면 수우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은 비전투원에 대한 군사적 개입이 가져올 위험, 즉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공격의 낌새만 보여도" 전사들이 마을로 돌아올 것이라는 사실을 keenly 알고 있었다.[56] 그들의 우려는 메디슨 테일 협곡(민네콩주 포드) 입구에서 예이츠 대위의 E중대와 F중대가 수행한 것으로 보이는 정찰로 인해 수백 명의 전사들이 리노 계곡 전투에서 이탈하여 마을에 대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돌아왔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56]

일부 저자와 역사가들은 고고학적 증거와 원주민 증언 검토를 바탕으로 커스터가 그들이 포드 D라고 부르는 더 북쪽 지점에서 강을 건너려고 시도했다고 추측한다. 리처드 A. 폭스, 제임스 도노반 등에 따르면, 커스터는 자신의 대대 일부(예이츠의 E중대와 F중대)를 북쪽으로 그리고 그 건너편 샤이엔족 원형 진영 반대편으로 진격했다.[51] 이는 "도망치는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51] 예이츠의 부대는 거대한 캠프 북쪽 끝에 모여 있는 "도망치는 인디언 가족들에게 즉각적인 위협이 되었습니다..."[51] 그런 다음 그는 수백 명의 전사들이 언덕 위의 키오 중대 주변에 집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과 어린이를 체포하려는" 노력을 계속했다.[57] 포드 D에서 리틀 빅혼 강으로 내려온 예이츠의 부대는 마을 동쪽 언덕으로 올라가는 인디언 군대에게 발각되지 않고 "약한 저항"[51]에 직면했다.[51] 커스터는 포드를 버리고 커스터 능선으로 돌아가기 전에 "피난민들에게 공격할 수 있는 거리"에 거의 도달했다.[58]

4. 전투의 전개

리노 소령 부대의 이동 경로


리틀빅혼 전투에서 최초로 공격을 개시한 부대는 마커스 리노 소령이 이끄는 제2 분견대(A, G, M 중대)였다.[62] 6월 25일 오후 3시경, 리노 부대는 리틀빅혼 강을 건너 공격을 시작했다. 이들은 라코타족과 북부 샤이엔족이 "대규모로 있고 도망치지 않는다"는 것을 곧 깨달았다.

리노는 리틀 빅혼 강 남쪽 제방을 따라 뻗어 있는 짙은 나무 숲에 시야가 가려진 채 북서쪽으로 열린 들판을 가로질러 빠르게 진격했다. 나무들은 또한 리노의 부대가 오른쪽 앞쪽의 굽은 지점을 지나 마을에서 화살 사정권 안에 들어올 때까지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의 모습을 가렸다. 리노가 마을 남쪽 끝 앞의 열린 공간에 들어서자, 그는 노출된 왼쪽 측면에 아리카라/리족과 크로우족 인디언 정찰병들을 앞으로 보냈다.[62] 마을의 폭을 완전히 인식한 리노는 "함정"을 의심했고 진영에서 수백 야드 정도 떨어진 곳에 멈췄다.

그는 표준 육군 교리에 따라 병사들에게 말에서 내려 소규모 전투 진형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이 진형에서는 네 명의 병사 중 한 명이 사격 위치에 있는 병사들의 말을 맡았고, 각 병사 간에는 5~10m의 간격을 두었다. 이 진형은 리노의 화력을 25% 감소시켰다. 리노의 병사들이 마을로 사격을 가했을 때, 기마 전사들이 공격에 대응하여 쏟아져 나왔다.

약 20분간의 원거리 사격 후, 리노는 단 한 명의 사상자만 냈지만, 그에게 불리한 확률이 높아졌고(리노는 5 대 1로 추산했다),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는 그를 지원하지 않았다. 빌리 잭슨 병장은 그때쯤 인디언들이 리노 진형의 왼쪽과 인디언 마을의 오른쪽에 있는 작은 언덕으로 가려진 열린 공간에 집결하기 시작했다고 보고했다.[63] 이 위치에서 인디언들은 500명 이상의 전사들이 리노 진형의 왼쪽과 후방을 공격했고,[64] 리노의 노출된 왼쪽 측면을 돌렸다. 이로 인해 강의 굽은 지점을 따라 있는 나무 숲으로 서둘러 후퇴하게 되었다.[65] 여기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리노와 그의 병사들을 포위하고 덤불에 불을 지르려고 시도하여 병사들을 그들의 위치에서 몰아내려고 했다.

리노의 아리카라 정찰병인 블러디 나이프는 머리에 총을 맞아 뇌와 피가 리노의 얼굴에 튀었다. 충격을 받은 리노는 병사들에게 말에서 내렸다가 다시 올라타라고 명령했다. 그런 다음 그는 "탈출하고 싶은 사람은 모두 나를 따라와라"라고 말했다. 부상자들을 버리고, 그는 강 옆으로 1마일 정도 무질서한 퇴각을 이끌었다. 퇴각은 곧 샤이엔족의 근접 공격으로 방해를 받았다. 약 2.4m 높이의 가파른 제방이 기병들이 강을 건널 때 기다리고 있었고, 일부 말들은 아래에 있는 다른 말들 위로 넘어졌다. 인디언들은 원거리에서 병사들에게 사격을 가했고, 근접 거리에서는 그들을 말에서 끌어내리고 머리를 때렸다. 나중에 리노는 퇴각과 그 후 강을 건너는 동안 장교 3명과 병사 29명이 사망했다고 보고했다. 또 다른 장교와 13~18명의 병사가 실종되었다. 이 실종자 대부분은 나무 숲에 남겨졌지만, 결국 많은 수가 분견대에 다시 합류했다.

블러디 나이프(Bloody Knife), 미 육군 정찰병


오늘날 리노 언덕(Reno Hill)으로 알려진 절벽 위에서, 쇠약해지고 동요된 마커스 리노 소령의 부대는 남쪽에서 온 프레드릭 벤틴 대위의 부대(D, H, K 중대)와 합류했다.[48] 벤틴 부대는 측면 정찰 임무에서 돌아오던 중, 커스터의 사자인 존 마틴(조반니 마르티노)이 보낸 "벤틴. 와라, 큰 마을, 빨리 와라, 배낭을 가져와라. P.S. 배낭을 가져와라."라는 메시지를 받고 소집되었다.[48] 리노는 배낭이 도착하여 보급을 받을 때까지 이동을 거부했고, 이후 맥두걸의 B 중대와 수송대의 증원을 받았다.[48]

리노-벤틴 방어 진지


14명의 장교와 340명의 병사들은 절벽 위에 사방으로 방어 태세를 갖추고, 나이프를 포함하여 가지고 있던 모든 도구를 사용하여 사격호를 팠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 남북 전쟁의 마지막 해에 표준이 되었는데, 북군과 남군 병사들이 나이프, 식기, 식판, 프라이팬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전투 요새를 구축했기 때문이다.[66] 북쪽에서 강한 총성이 들렸지만, 벤틴은 커스터의 위치로 계속 진군하는 대신 리노의 부대를 지원하는 데 집중했다. 이러한 벤틴의 주저함은 그가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48]

오후 5시경, 토마스 위어 대위와 D 중대가 커스터와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여 위어 능선(Weir Ridge) 또는 위어 포인트(Weir Point)라 불리는 곳까지 1마일 정도 진격했다. 이들은 인디언 진영이 약 1,800개의 움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 뒤로 먼지와 연기 속에서 이상하게 붉은색을 띠는 언덕들을 보았는데, 이는 인디언 말들의 거대한 집합체였다. 대략 오후 5시 25분경, 커스터의 전투가 끝났을 가능성이 있다. 위어는 망원경을 통해 말을 탄 인디언들과 도보로 이동하는 인디언들이 지상의 물건들을 향해 사격하는 것을 목격했는데, 이는 부상당한 병사들을 죽이고 커스터 전투터 북쪽 끝의 "최후의 항전 언덕"에 있는 시체에 사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역사가들은 위어가 목격한 것이 몇 분 전에 칼훈 언덕(Calhoun Hill)에서 일어난 전투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마일스 키오 대대의 파괴는 크레이지 호스(Crazy Horse), 화이트 불(White Bull), 험프(Hump), 갈(Gall) 등이 이끄는 연합 공격 이후 L, I, C 중대(절반)의 붕괴로 시작되었을 수 있다.[67] 그러나 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은 이러한 이해와 모순되며, 시간적 요소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다른 참호에 있던 중대들은 결국 리노 언덕을 떠나 위어를 따라갔고, 위어 능선에 있던 병사들은 원주민들의 공격을 받았다. 모든 7개 중대가 절벽으로 돌아와 밤이 될 때까지 3시간 동안 인디언들을 격퇴했다. 병사들은 인디언들이 전쟁 춤을 추는 동안 조잡한 참호를 팠다. 벤틴은 인디언 총알에 부츠 뒤꿈치를 맞았고, 한때 잔디를 기어 병사들의 위치에 더 가까이 접근한 인디언들을 격퇴하기 위해 반격을 이끌었다.

[68]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대대의 정확한 전황과 전투 전후의 행적은, 커스터 대대(그의 직속 지휘 아래 있는 5개 중대)와 함께 전진했던 병사들이 전투에서 모두 전사했기 때문에 대부분 추측에 불과하다. 생존한 원주민들의 증언은 유용하지만, 때때로 상충되거나 불분명하다.

6월 25일 오후 마커스 리노와 프레드릭 벤틴 부대가 언덕에서 들은 총성은 커스터 전투에서 나온 것이었지만, 리노 언덕의 병사들은 6월 27일 조지 크룩이 도착할 때까지 커스터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 그들은 그 소식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육군이 커스터 전투 현장을 조사했을 때, 병사들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완전히 파악할 수 없었다. 약 210명으로 구성된 커스터 부대는 리노와 벤틴의 방어 위치 북쪽 약 5.6km 지점에서 라코타족과 북부 샤이엔족과 교전했다. 조직적인 저항의 증거로는 칼훈 언덕의 소규모 충돌과 커스터 언덕에서 죽은 말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토치카가 있다.[67] 부대가 시신을 수습하러 왔을 때,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은 이미 대부분의 사망자들을 현장에서 치워 버렸다. 부대는 커스터의 사망자 대부분이 옷을 벗겨진 채 의식적으로 훼손되어 부패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망자들의 신원 확인이 불가능했다.[69] 병사들은 7기병대 사망자들을 최대한 확인하고 쓰러진 곳에 서둘러 매장했다.

커스터의 시신에는 왼쪽 가슴과 왼쪽 관자놀이에 총상 두 곳이 발견되었다. 어느 상처든 치명적이었을 것이지만, 가슴 상처에서만 출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머리 상처는 사후에 입은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부 라코타족 구전에 따르면, 커스터는 부상을 입은 후 포로가 되고 고문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살했다고 한다. 이것은 그의 알려진 오른손잡이 성향과는 일치하지 않지만, 자살 보조(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가 끝날 무렵 여러 병사들이 자살했다고 함)를 배제하지는 않는다.[70] 커스터의 시신은 "최후의 항전 언덕"으로도 알려지게 된 커스터 언덕 정상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미국은 그곳에 7기병대 전사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높은 기념 오벨리스크를 세웠다.[69]

전투 며칠 후, 메디슨 테일 쿨리(강으로 이어지는 배수로) 근처에서 커스터를 떠났던 커스터의 크로우 정찰병인 컬리가 전투를 이야기하며, 커스터가 강을 건너려고 시도한 후 마을을 공격했다고 보고했다. 그는 격퇴되어 시신이 발견된 언덕으로 후퇴했다.[71] 이 시나리오는 커스터의 공격적인 전쟁 스타일과 현장에서 발견된 증거와 일치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전투에 대한 많은 대중적인 설명의 기초가 되었다.

프리티 실드(7기병대의 또 다른 크로우 정찰병인 고즈 어헤드의 아내)에 따르면, 커스터는 강을 건너는 도중에 죽었다고 한다. "... 그리고 그는 거기서 죽었다. 리틀 빅혼의 물속에서 투-바디와 그의 깃발을 든 파란색 군복을 입은 병사와 함께." [72] 이 설명에 따르면, 커스터는 빅-노즈라는 라코타족에게 살해되었다고 한다.[72] 그러나 에드워드 세틀 고드프리 중위에게 전해진 갈 추장의 설명에 따르면, 커스터는 강을 건너려고 시도하지 않았고, 강이나 마을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던 곳은 산등성이에 있던 그의 최종 위치였다.[73] 갈 추장의 진술은 특히 스포티드 혼 불의 아내를 포함한 다른 원주민들에 의해 확증되었다.[73] 여울 근처에서 사람이나 말의 시체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드프리 자신은 "커스터가 어떤 병력과 함께 여울로 가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73]

샤이엔족 구전에는 버펄로 송아지 길 여자가 커스터가 죽기 전에 말에서 떨어뜨린 타격을 가했다고 한다.[74]

원주민 측 기록에 따르면, 커스터 언덕에 있던 약 40명의 병사들이 커스터 주위에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집중 사격을 가했다.[67] 전투 후반부에 원주민 사상자의 대부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캘훈 능선에 있던 병사들과 원주민들은 커스터 언덕에 있던 병사들과 원주민들보다 대부분의 전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고, 더 먼 거리에서 사격을 주고받았기 때문이다.[67]

최근 다큐멘터리들은 대중문화에서 전통적으로 묘사되어 온 "최후의 항전"이 없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고고학자들은 커스터의 부대가 전통적인 묘사와 달리 포위된 것이 아니라 단 한 번의 돌격으로 압도당했다고 주장한다. 이 시나리오는 크레이지 호스의 돌격이 저항하는 병사들을 덮쳤고, 생존자들은 공황 상태로 도망쳤다는 여러 원주민들의 증언과 일치한다.[67] 이들 병사 중 많은 수가 오늘날 커스터 언덕으로 알려진 곳에서 300~400야드 떨어진 깊은 계곡에 몰렸을 가능성이 있다. 탐색대원 미치 부아예를 포함하여 최소 28구의 시신(매장 목격 증언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수치)이 그 협곡 안이나 근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의 죽음이 전투의 최종 행위였을 가능성이 있다.

미치 부아예의 표지석은 유해의 고고학적 및 법의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깊은 계곡에서 약 59m 떨어져 있다.[15] 역사가 더글러스 스콧은 "깊은 협곡"이나 "깊은 계곡"이 협곡의 가파른 부분뿐만 아니라 지류를 포함한 전체 배수 지역을 포함했을 수 있으며, 그렇다면 부아예와 다른 이들의 시신은 목격자들이 본 곳에서 발견되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92]

깊은 계곡에서 진행된 다른 고고학적 탐사에서는 전투와 관련된 인골이 발견되지 않았다.[92] 전투 이후 수년 동안, 다양한 출처에서 깊은 계곡 입구에서 회수되었다고 보고된 유골은 리틀 빅혼 국립 기념물로 송환되었다. 스콧에 따르면, 전투와 스콧의 협곡 발굴 작업 사이의 108년 동안 지질학적 과정으로 인해 많은 유골이 회수할 수 없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개리오언 마을 근처에서는 리노 후퇴에서 사망한 병사의 유골 일부가 리틀빅혼 강의 침식된 강둑에서 발견되었지만, 나머지 유골은 강물에 쓸려간 것으로 보인다.[92]

거의 모든 증언에 따르면, 라코타족은 교전 시작 후 한 시간 이내에 커스터의 부대를 섬멸했다.[78][79][80] 데이비드 험프리스 밀러는 1935년부터 1955년까지 전투의 마지막 라코타 생존자들을 인터뷰했는데, 커스터 전투가 30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고 적었다.[81] 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는 "배고픈 사람이 식사를 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만큼만 지속되었다고 한다. 라코타족은 크레이지 호스가 기병들을 압도한 대규모 전사 집단 중 하나를 직접 이끌고 북동쪽에서 기습 공격을 가해 지휘 체계를 붕괴시키고 병사들에게 공황 상태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무기를 버렸고, 샤이엔족과 수족 전사들은 그들을 쫓아가 창, 쿠프 스틱(coup stick), 퀴르트(quirt)로 "쿠프 세우기"를 했다. 일부 원주민 증언에서는 이 전투 부분을 "들소 몰이"로 묘사했다.[82]

프레드릭 윌리엄 벤틴 대위는 1876년 6월 27일, ''리노 조사위원회''[83] 18일차에 커스터 전투터에 대한 자신의 관찰 결과를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Blockquote|전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투터를 주의 깊게 살펴보았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제 결론은 마지막 병사가 죽을 때까지 완전한 패주였고, 공황이었다는 것입니다...

전투터에는 어떤 전열도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옥수수 한 줌을 바닥에 뿌리면 똑같은 형태의 선이 생길 것입니다. 유일하게 전열에 가까운 것은 약 5~6마리의 [죽은] 말이 동일한 간격으로 발견된 곳이었습니다. 마치 [칼훈 중위의 L 중대]의 스커미셔[skirmishers]처럼 말입니다. 그 5~6마리의 [죽은] 말 앞에는 거의 같은 간격으로 5~6명의 [죽은] 병사들이 있었는데, 이는 말들이 죽고 기수들이 말에서 뛰어내려 커스터 장군이 있는 곳으로 향했음을 보여줍니다. 전투터에서 전열에 가까운 유일한 모습이었습니다. 오른쪽에는 20명 이상의 [병사]가 사망했습니다. 한 곳에는 4~5명이 20~30야드의 공간 안에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전투터 전체와 [협곡]에서 나타났습니다.[84]

아마도 병사들은 명령 없이 말을 풀어놓았을 것입니다. 많은 명령이 내려졌을 수도 있지만, 거의 따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완전한 패주였습니다.[85][86]}}

브룰레 수족 전사는 이렇게 말했다. "사실 홀로우 혼 베어(Hollow Horn Bear)는 전투 시작 시 병사들이 질서정연하게 있었고,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조직을 유지했다고 믿었습니다."[87] 오글라라 수족 전사인 레드 호스(Red Horse)는 "여기[라스트 스탠드 언덕]에서 병사들은 필사적으로 싸웠습니다"라고 말했다.[88] 한 헝파파 수족 전사인 무빙 로브(Moving Robe)는 "격렬한 전투였습니다"라고 언급했고,[89] 또 다른 전사인 아이언 호크(Iron Hawk)는 "인디언들은 커스터 언덕 주변으로 밀고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병사들은 죽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그곳에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90] 1910년 2월 21일자 편지에서 제7기병대 M중대의 윌리엄 테일러(William Taylor) 이병은 "리노는 무능력했고, 벤틴은 무관심함을 보였습니다. 저는 제 마음속에 자주 있었던 더 불쾌한 말은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두 사람 모두 커스터를 실패하게 만들었고, 그는 혼자 싸워야 했습니다."라고 적었다.[91]

최근 전장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 연구는 커스터 언덕(Custer Hill)에 있던 장교들이 어느 정도 전술적 통제력을 회복했음을 시사한다.[51] E 중대는 커스터 언덕에서 리틀빅혼 강(Little Bighorn River)쪽으로 돌진했지만 도달하지 못했고, 그 결과 중대가 궤멸되었다. 이로 인해 마지막 저항 언덕(Last Stand Hill)에는 주로 F 중대와 참모부 인원 약 50~60명이 남았다. 전투의 나머지 과정은 격렬한 추격전 형태를 띠었다. 현대 고고학 및 역사적 인디언들의 증언에 따르면, 커스터 부대는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인디언들은 이들이 효과적으로 재결합하는 것을 막으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인디언들의 증언에 따르면, (여성들을 포함한) 전사들이 마을에서 달려 나와 담요를 흔들어 병사들의 말을 놀라게 하려 했다고 한다. 제7기병대의 한 병사는 무게 4kg 정도 되는 둥근 자갈에 생가죽 손잡이를 댄 여러 개의 돌망치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는데, 그는 이것이 인디언 여성들이 부상자들을 마무리 지을 때 사용한 것이라고 믿었다.[92] 병사들은 말에서 내려 싸웠고, 그들의 스커미시 라인(skirmish line)은 압도당했다. 당시 육군 교리는 스커미시 라인 뒤에 4명 중 1명을 말을 잡는 역할로 배치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8명 중 1명을 그렇게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후에 병사들은 방어 진지에 모여 남은 말들을 방탄막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별 병사들이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함에 따라 초기 방어 진지들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려졌을 것이다.[93]

3일 후 전장에 도착한 최초의 미군 병사들은 공격의 위협 속에서 서둘러 병사들을 대충 쓰러진 자리에 얕은 무덤에 매장했다. 전투 후 2년쯤 지나서 병사들이 쓰러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표지가 설치되었으므로 병사들의 위치는 대략적으로 추정된 것이다. 병사들은 커스터 언덕, 마일스 키오 대위 주변, 그리고 리틀빅혼 강쪽으로 흩어져 있는 등 여러 무리로 나뉘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93]

인도 측 기록에 따르면, 커스터 언덕에 있던 약 40명의 병사들이 커스터 주위에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집중 사격을 가했다.[67] 전투 후반부에 인디언 사상자의 대부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캘훈 능선에 있던 병사들과 인디언들은 커스터 언덕에 있던 병사들과 인디언들보다 대부분의 전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고, 더 먼 거리에서 사격을 주고받았기 때문이다.[67]

리노 부대를 고립시키고 몰아낸 후, 대부분의 원주민 전사들은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를 추격했다. 커스터가 "최후의 항전"을 벌인 경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리노에게 돌격 명령을 내린 후, 커스터는 리노 크릭을 따라 리틀빅혼 강에서 약 800m 지점까지 진군했지만,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절벽을 올라 리노가 후퇴할 지점에 도착했다는 설이 있다. 강 건너편에서 커스터는 리노가 마을로 돌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스터는 절벽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메디신 테일 쿨리로 내려왔을 수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커스터 부대의 일부가 쿨리를 내려와 강으로 가서 마을로 진입하려 했지만 실패했다고 믿는다. 소규모의 인디언 저격수들이 이러한 강 건너기를 효과적으로 저지했다는 기록도 있다.[75]

화이트 카우 불은 강에서 가죽 재킷을 입은 지휘관을 말에서 쏘아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다른 인디언들의 기록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지는 않지만, 만약 화이트 불이 지휘관을 쏘았다면, 커스터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일부 인디언들의 기록에 따르면, 이 선봉대의 지휘관 중 한 명을 부상시킨 것 외에도, 깃발을 들고 있던 병사도 맞았다고 한다.[76] 부상당한 병사들을 말에 태우기 위해 기병들이 말에서 내려야 했다.[67] 커스터의 시신에 있는 훼손되지 않은 두 개의 상처(심장 아래 총상과 왼쪽 관자놀이에 총상)는 즉사할 만한 것이라는 사실은 그가 부상을 입고 다시 말에 올라탔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77]

메디신 테일 쿨리에서 강을 건너려고 시도했다는 보고서는 리노의 공격에 대한 커스터의 목적, 즉 리노가 진영 남쪽 끝에서 인디언들을 저지하는 동안 커스터가 북쪽에서 인디언들을 리노의 진영으로 몰아넣는 "망치와 모루" 작전을 설명할 수 있다. 다른 역사가들은 커스터가 메디신 테일 쿨리 근처에서 강을 건너려고 시도했다면, 인디언 진영의 북쪽 끝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중간이었음을 알게 되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일부 인디언들의 기록은 북쪽 체이엔 진영과 전체 마을의 북쪽 끝을 강 건너편 반대쪽의 왼쪽(그리고 남쪽)에 위치시킨다.[67] 그러나 마을 북쪽 끝의 정확한 위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에드워드 S. 커티스가 이론화한 전장을 가로지르는 커스터의 경로. (출처: 노스웨스턴 대학교 도서관)


커스터 전장의 1:5260 축척 지도 – 1891년 측량, 미국 군인들의 시신 위치 상세 정보


1908년, 민족학자이자 아메리카 원주민 사진 작가인 에드워드 커티스는 전투에 대해 자세한 개인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전투에 참여했거나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과 인터뷰를 했다. 그는 화이트 맨 런스 힘, 고즈 어헤드, 헤어리 모커신과 함께 군대가 이동한 지역을 조사했고, 그 후 투 문스와 체이엔 전사들과 함께 다시 조사했다. 그는 또한 라코타 지역을 방문하여 레드 호크와 인터뷰를 했는데, "레드 호크는 전투에 대한 기억이 특히 명확했다".[114] 그런 다음 그는 세 명의 크로우 정찰병과 함께 전장을 다시 조사했지만, 찰스 우드러프 장군도 동행했다. 마지막으로 커티스는 아리카라 지역을 방문하여 커스터 부대와 함께 있었던 그 부족의 정찰병들과 인터뷰를 했다.[114] 그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커티스는 커스터가 실제로 메디신 테일 쿨리를 따라 강으로 향했고, 아마도 강을 건널 계획이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인디언들은 이제 그를 발견하고 맞은편에 가까이 모여 있었다".[114] 그들은 곧 많은 수의 수우족이 합류했고 계곡으로 내려왔다. 이것이 커스터를 공격하기 시작한 것이었고, 커스터는 유명한 "최후의 항전"을 벌일 언덕으로 향해야 했다. 커티스는 "커스터는 공격하지 않았고, 전체적인 움직임은 후퇴였다"라고 썼다.[114]

다른 역사학자들은 에드워드 세틀 고드프리 중위의 증언을 바탕으로 커스터가 강에 접근하지 않고 오히려 협곡을 가로질러 북쪽으로 계속 진군하여 다른 쪽으로 올라가 점차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커스터가 자신의 병력이 심각하게 열세임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레노와 벤틴이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남쪽으로 후퇴하기에는 너무 늦었다. 제7기병대 소속 두 명, 젊은 크로우 정찰병 애시시셰(영어로 커리로 알려짐)와 병사 피터 톰슨은 커스터가 인디언과 교전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기억의 정확성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전투 참가자들의 증언과 역사가들의 평가는 거의 만장일치로 톰슨의 주장을 부정한다.

고고학적 증거와 인디언 증언의 재평가는 전투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이어졌다. 1920년대에 전장 조사관들은 오늘날 나이-카트라이트 능선으로 알려진, 사우스 메디슨 테일 협곡과 북쪽 메디슨 테일(딥 협곡으로도 알려짐)의 다음 배수 지역 사이의 능선을 따라 수백 개의 [.45-70구경] 탄피를 발견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커스터가 자신의 부대를 둘(혹은 셋)로 나누어 직접 한 부대를 지휘하고 조지 W. 예이츠 대위에게 다른 부대를 지휘하도록 맡겼을 것이라고 믿는다.

1920년대의 증거는 적어도 한 개 중대가 나이-카트라이트 능선에서 남서쪽으로 오른쪽의 메디슨 테일 협곡과 왼쪽의 칼훈 협곡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된 "V"자 모양의 중앙으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그 목적은 (크로우 정찰병 커리에 따르면, 미치 부와이어와 커스터 모두 목격했을 가능성이 있음) 리틀 빅혼 강 근처의 삼림 지대로 소규모 교전선을 철수시켜 레노의 부대에 대한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만약 미국군이 메디슨 테일 협곡을 따라 직진했다면, 리틀 빅혼 강 북서쪽에 있는 높은 능선에 가려져 미네콘주 강 건너편과 마을 북쪽 지역으로의 접근이 은폐되었을 것이다.

그들이 나이-카트라이트 능선 중앙에서 남서쪽으로 왔을 것이라는 점은 그레이 호스 중대(Company E)로 알려진 독특한 흰색 말을 탄 부대의 접근을 목격했다는 북부 샤이엔족의 진술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접근은 마을 그 끝에 있는 인디언들에게 목격되었다. 그 뒤에는 고지대 위쪽에 있는 두 번째 중대가 장거리 사격 지원을 제공했을 것이다. 전사들이 기습 공격에 끌려들어가 고지대쪽으로, 북쪽 지류 배수 지역으로, 위쪽에서 사격 지원을 제공하는 부대에서 멀리 후퇴했을 것이다. 사격 지원 중대는 재결합을 위해 이동했을 것이고, 집중적인 집탄 사격을 가했을 것이며, 50년 후 발견된 소모된 탄피의 흔적을 남겼을 것이다.

4. 1. 리노 부대의 공격과 후퇴



리틀빅혼 전투에서 최초로 공격을 개시한 부대는 마커스 리노 소령이 이끄는 제2 분견대(A, G, M 중대)였다.[62] 6월 25일 오후 3시경, 리노 부대는 리틀 빅혼 강을 건너 공격을 시작했다. 이들은 라코타족과 북부 샤이엔족이 "대규모로 있고 도망치지 않는다"는 것을 곧 깨달았다.

리노는 리틀 빅혼 강 남쪽 제방을 따라 뻗어 있는 짙은 나무 숲에 시야가 가려진 채 북서쪽으로 열린 들판을 가로질러 빠르게 진격했다. 나무들은 또한 리노의 부대가 오른쪽 앞쪽의 굽은 지점을 지나 마을에서 화살 사정권 안에 들어올 때까지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의 모습을 가렸다. 리노가 마을 남쪽 끝 앞의 열린 공간에 들어서자, 그는 노출된 왼쪽 측면에 아리카라/리족과 크로우족 인디언 정찰병들을 앞으로 보냈다.[62] 마을의 폭을 완전히 인식한 리노는 "함정"을 의심했고 진영에서 수백 야드 정도 떨어진 곳에 멈췄다.

그는 표준 육군 교리에 따라 병사들에게 말에서 내려 소규모 전투 진형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이 진형에서는 네 명의 병사 중 한 명이 사격 위치에 있는 병사들의 말을 맡았고, 각 병사 간에는 5~10m의 간격을 두었다. 이 진형은 리노의 화력을 25% 감소시켰다. 리노의 병사들이 마을로 사격을 가했을 때, 기마 전사들이 공격에 대응하여 쏟아져 나왔다.

약 20분간의 원거리 사격 후, 리노는 단 한 명의 사상자만 냈지만, 그에게 불리한 확률이 높아졌고(리노는 5 대 1로 추산했다),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는 그를 지원하지 않았다. 빌리 잭슨 병장은 그때쯤 인디언들이 리노 진형의 왼쪽과 인디언 마을의 오른쪽에 있는 작은 언덕으로 가려진 열린 공간에 집결하기 시작했다고 보고했다.[63] 이 위치에서 인디언들은 500명 이상의 전사들이 리노 진형의 왼쪽과 후방을 공격했고,[64] 리노의 노출된 왼쪽 측면을 돌렸다. 이로 인해 강의 굽은 지점을 따라 있는 나무 숲으로 서둘러 후퇴하게 되었다.[65] 여기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리노와 그의 병사들을 포위하고 덤불에 불을 지르려고 시도하여 병사들을 그들의 위치에서 몰아내려고 했다.

리노의 아리카라 정찰병인 블러디 나이프는 머리에 총을 맞아 뇌와 피가 리노의 얼굴에 튀었다. 충격을 받은 리노는 병사들에게 말에서 내렸다가 다시 올라타라고 명령했다. 그런 다음 그는 "탈출하고 싶은 사람은 모두 나를 따라와라"라고 말했다. 부상자들을 버리고, 그는 강 옆으로 1마일 정도 무질서한 퇴각을 이끌었다. 퇴각은 곧 샤이엔족의 근접 공격으로 방해를 받았다. 약 8ft 높이의 가파른 제방이 기병들이 강을 건널 때 기다리고 있었고, 일부 말들은 아래에 있는 다른 말들 위로 넘어졌다. 인디언들은 원거리에서 병사들에게 사격을 가했고, 근접 거리에서는 그들을 말에서 끌어내리고 머리를 때렸다. 나중에 리노는 퇴각과 그 후 강을 건너는 동안 장교 3명과 병사 29명이 사망했다고 보고했다. 또 다른 장교와 13~18명의 병사가 실종되었다. 이 실종자 대부분은 나무 숲에 남겨졌지만, 결국 많은 수가 분견대에 다시 합류했다.

4. 2. 리노-벤틴 부대의 방어전



오늘날 리노 언덕(Reno Hill)으로 알려진 절벽 위에서, 쇠약해지고 동요된 마커스 리노 소령의 부대는 남쪽에서 온 프레드릭 벤틴 대위의 부대(D, H, K 중대)와 합류했다.[48] 벤틴 부대는 측면 정찰 임무에서 돌아오던 중, 커스터의 사자인 존 마틴(조반니 마르티노)이 보낸 "벤틴. 와라, 큰 마을, 빨리 와라, 배낭을 가져와라. P.S. 배낭을 가져와라."라는 메시지를 받고 소집되었다.[48] 리노는 배낭이 도착하여 보급을 받을 때까지 이동을 거부했고, 이후 맥두걸의 B 중대와 수송대의 증원을 받았다.[48]

14명의 장교와 340명의 병사들은 절벽 위에 사방으로 방어 태세를 갖추고, 나이프를 포함하여 가지고 있던 모든 도구를 사용하여 사격호를 팠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 남북 전쟁의 마지막 해에 표준이 되었는데, 북군과 남군 병사들이 나이프, 식기, 식판, 프라이팬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전투 요새를 구축했기 때문이다.[66] 북쪽에서 강한 총성이 들렸지만, 벤틴은 커스터의 위치로 계속 진군하는 대신 리노의 부대를 지원하는 데 집중했다. 이러한 벤틴의 주저함은 그가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48]

오후 5시경, 토마스 위어 대위와 D 중대가 커스터와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여 위어 능선(Weir Ridge) 또는 위어 포인트(Weir Point)라 불리는 곳까지 1마일 정도 진격했다. 이들은 인디언 진영이 약 1,800개의 움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 뒤로 먼지와 연기 속에서 이상하게 붉은색을 띠는 언덕들을 보았는데, 이는 인디언 말들의 거대한 집합체였다. 대략 오후 5시 25분경, 커스터의 전투가 끝났을 가능성이 있다. 위어는 망원경을 통해 말을 탄 인디언들과 도보로 이동하는 인디언들이 지상의 물건들을 향해 사격하는 것을 목격했는데, 이는 부상당한 병사들을 죽이고 커스터 전투터 북쪽 끝의 "최후의 항전 언덕"에 있는 시체에 사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역사가들은 위어가 목격한 것이 몇 분 전에 칼훈 언덕(Calhoun Hill)에서 일어난 전투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키오그(Keogh) 대대의 파괴는 크레이지 호스(Crazy Horse), 화이트 불(White Bull), 험프(Hump), 갤(Gall) 등이 이끄는 연합 공격 이후 L, I, C 중대(절반)의 붕괴로 시작되었을 수 있다.[67] 그러나 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은 이러한 이해와 모순되며, 시간적 요소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다른 참호에 있던 중대들은 결국 리노 언덕을 떠나 위어를 따라갔고, 위어 능선에 있던 병사들은 원주민들의 공격을 받았다. 모든 7개 중대가 절벽으로 돌아와 밤이 될 때까지 3시간 동안 인디언들을 격퇴했다. 병사들은 인디언들이 전쟁 춤을 추는 동안 조잡한 참호를 팠다. 벤틴은 인디언 총알에 부츠 뒤꿈치를 맞았고, 한때 잔디를 기어 병사들의 위치에 더 가까이 접근한 인디언들을 격퇴하기 위해 반격을 이끌었다.

4. 3. 커스터 부대의 최후

[68]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대대의 정확한 전황과 전투 전후의 행적은, 커스터 대대(그의 직속 지휘 아래 있는 5개 중대)와 함께 전진했던 병사들이 전투에서 모두 전사했기 때문에 대부분 추측에 불과하다. 생존한 원주민들의 증언은 유용하지만, 때때로 상충되거나 불분명하다.

6월 25일 오후 마커스 리노와 프레드릭 벤틴 부대가 언덕에서 들은 총성은 커스터 전투에서 나온 것이었지만, 리노 언덕의 병사들은 6월 27일 테리 장군이 도착할 때까지 커스터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 그들은 그 소식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육군이 커스터 전투 현장을 조사했을 때, 병사들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완전히 파악할 수 없었다. 약 210명으로 구성된 커스터 부대는 리노와 벤틴의 방어 위치 북쪽 약 5.6km 지점에서 라코타족과 북부 샤이엔족과 교전했다. 조직적인 저항의 증거로는 칼훈 언덕의 소규모 충돌과 커스터 언덕에서 죽은 말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토치카가 있다.[67] 부대가 시신을 수습하러 왔을 때,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은 이미 대부분의 사망자들을 현장에서 치워 버렸다. 부대는 커스터의 사망자 대부분이 옷을 벗겨진 채 의식적으로 훼손되어 부패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망자들의 신원 확인이 불가능했다.[69] 병사들은 7기병대 사망자들을 최대한 확인하고 쓰러진 곳에 서둘러 매장했다.

커스터의 시신에는 왼쪽 가슴과 왼쪽 관자놀이에 총상 두 곳이 발견되었다. 어느 상처든 치명적이었을 것이지만, 가슴 상처에서만 출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머리 상처는 사후에 입은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부 라코타족 구전에 따르면, 커스터는 부상을 입은 후 포로가 되고 고문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살했다고 한다. 이것은 그의 알려진 오른손잡이 성향과는 일치하지 않지만, 자살 보조(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가 끝날 무렵 여러 병사들이 자살했다고 함)를 배제하지는 않는다.[70] 커스터의 시신은 "최후의 항전 언덕"으로도 알려지게 된 커스터 언덕 정상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미국은 그곳에 7기병대 전사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높은 기념 오벨리스크를 세웠다.[69]

전투 며칠 후, 메디슨 테일 쿨리(강으로 이어지는 배수로) 근처에서 커스터를 떠났던 커스터의 크로우 정찰병인 컬리가 전투를 이야기하며, 커스터가 강을 건너려고 시도한 후 마을을 공격했다고 보고했다. 그는 격퇴되어 시신이 발견된 언덕으로 후퇴했다.[71] 이 시나리오는 커스터의 공격적인 전쟁 스타일과 현장에서 발견된 증거와 일치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전투에 대한 많은 대중적인 설명의 기초가 되었다.

프리티 실드(7기병대의 또 다른 크로우 정찰병인 고즈 어헤드의 아내)에 따르면, 커스터는 강을 건너는 도중에 죽었다고 한다. "... 그리고 그는 거기서 죽었다. 리틀 빅혼의 물속에서 투-바디와 그의 깃발을 든 파란색 군복을 입은 병사와 함께." [72] 이 설명에 따르면, 커스터는 빅-노즈라는 라코타족에게 살해되었다고 한다.[72] 그러나 에드워드 세틀 고드프리 중위에게 전해진 갈 추장의 설명에 따르면, 커스터는 강을 건너려고 시도하지 않았고, 강이나 마을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던 곳은 산등성이에 있던 그의 최종 위치였다.[73] 갈 추장의 진술은 특히 스포티드 혼 불의 아내를 포함한 다른 원주민들에 의해 확증되었다.[73] 여울 근처에서 사람이나 말의 시체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드프리 자신은 "커스터가 어떤 병력과 함께 여울로 가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73]

샤이엔족 구전에는 버펄로 송아지 길 여자가 커스터가 죽기 전에 말에서 떨어뜨린 타격을 가했다고 한다.[74]

원주민 측 기록에 따르면, 커스터 언덕에 있던 약 40명의 병사들이 커스터 주위에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집중 사격을 가했다.[67] 전투 후반부에 원주민 사상자의 대부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캘훈 능선에 있던 병사들과 원주민들은 커스터 언덕에 있던 병사들과 원주민들보다 대부분의 전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고, 더 먼 거리에서 사격을 주고받았기 때문이다.[67]

최근 다큐멘터리들은 대중문화에서 전통적으로 묘사되어 온 "최후의 항전"이 없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고고학자들은 커스터의 부대가 전통적인 묘사와 달리 포위된 것이 아니라 단 한 번의 돌격으로 압도당했다고 주장한다. 이 시나리오는 크레이지 호스의 돌격이 저항하는 병사들을 덮쳤고, 생존자들은 공황 상태로 도망쳤다는 여러 원주민들의 증언과 일치한다.[67] 이들 병사 중 많은 수가 오늘날 커스터 언덕으로 알려진 곳에서 300~400야드 떨어진 깊은 계곡에 몰렸을 가능성이 있다. 탐색대원 미치 부아예를 포함하여 최소 28구의 시신(매장 목격 증언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수치)이 그 협곡 안이나 근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의 죽음이 전투의 최종 행위였을 가능성이 있다.

미치 부아예의 표지석은 유해의 고고학적 및 법의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깊은 계곡에서 약 59m 떨어져 있다.[15] 역사가 더글러스 스콧은 "깊은 협곡"이나 "깊은 계곡"이 협곡의 가파른 부분뿐만 아니라 지류를 포함한 전체 배수 지역을 포함했을 수 있으며, 그렇다면 부아예와 다른 이들의 시신은 목격자들이 본 곳에서 발견되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92]

깊은 계곡에서 진행된 다른 고고학적 탐사에서는 전투와 관련된 인골이 발견되지 않았다.[92] 전투 이후 수년 동안, 다양한 출처에서 깊은 계곡 입구에서 회수되었다고 보고된 유골은 리틀 빅혼 국립 기념물로 송환되었다. 스콧에 따르면, 전투와 스콧의 협곡 발굴 작업 사이의 108년 동안 지질학적 과정으로 인해 많은 유골이 회수할 수 없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개리오언 마을 근처에서는 리노 후퇴에서 사망한 병사의 유골 일부가 리틀빅혼 강의 침식된 강둑에서 발견되었지만, 나머지 유골은 강물에 쓸려간 것으로 보인다.[92]

거의 모든 증언에 따르면, 라코타족은 교전 시작 후 한 시간 이내에 커스터의 부대를 섬멸했다.[78][79][80] 데이비드 험프리스 밀러는 1935년부터 1955년까지 전투의 마지막 라코타 생존자들을 인터뷰했는데, 커스터 전투가 30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고 적었다.[81] 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는 "배고픈 사람이 식사를 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만큼만 지속되었다고 한다. 라코타족은 크레이지 호스가 기병들을 압도한 대규모 전사 집단 중 하나를 직접 이끌고 북동쪽에서 기습 공격을 가해 지휘 체계를 붕괴시키고 병사들에게 공황 상태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무기를 버렸고, 샤이엔족과 수족 전사들은 그들을 쫓아가 창, 쿠프 스틱(coup stick), 퀴르트(quirt)로 "쿠프 세우기"를 했다. 일부 원주민 증언에서는 이 전투 부분을 "들소 몰이"로 묘사했다.[82]

프레드릭 윌리엄 벤틴 대위는 1876년 6월 27일, ''리노 조사위원회''[83] 18일차에 커스터 전투터에 대한 자신의 관찰 결과를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Blockquote|전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투터를 주의 깊게 살펴보았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제 결론은 마지막 병사가 죽을 때까지 완전한 패주였고, 공황이었다는 것입니다...

전투터에는 어떤 전열도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옥수수 한 줌을 바닥에 뿌리면 똑같은 형태의 선이 생길 것입니다. 유일하게 전열에 가까운 것은 약 5~6마리의 [죽은] 말이 동일한 간격으로 발견된 곳이었습니다. 마치 [칼훈 중위의 L 중대]의 스커미셔[skirmishers]처럼 말입니다. 그 5~6마리의 [죽은] 말 앞에는 거의 같은 간격으로 5~6명의 [죽은] 병사들이 있었는데, 이는 말들이 죽고 기수들이 말에서 뛰어내려 커스터 장군이 있는 곳으로 향했음을 보여줍니다. 전투터에서 전열에 가까운 유일한 모습이었습니다. 오른쪽에는 20명 이상의 [병사]가 사망했습니다. 한 곳에는 4~5명이 20~30야드의 공간 안에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전투터 전체와 [협곡]에서 나타났습니다.[84]

아마도 병사들은 명령 없이 말을 풀어놓았을 것입니다. 많은 명령이 내려졌을 수도 있지만, 거의 따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완전한 패주였습니다.[85][86]}}

브룰레 수족 전사는 이렇게 말했다. "사실 홀로우 혼 베어(Hollow Horn Bear)는 전투 시작 시 병사들이 질서정연하게 있었고,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조직을 유지했다고 믿었습니다."[87] 오글라라 수족 전사인 레드 호스(Red Horse)는 "여기[라스트 스탠드 언덕]에서 병사들은 필사적으로 싸웠습니다"라고 말했다.[88] 한 헝파파 수족 전사인 무빙 로브(Moving Robe)는 "격렬한 전투였습니다"라고 언급했고,[89] 또 다른 전사인 아이언 호크(Iron Hawk)는 "인디언들은 커스터 언덕 주변으로 밀고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병사들은 죽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그곳에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90] 1910년 2월 21일자 편지에서 제7기병대 M중대의 윌리엄 테일러(William Taylor) 이병은 "리노는 무능력했고, 벤틴은 무관심함을 보였습니다. 저는 제 마음속에 자주 있었던 더 불쾌한 말은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두 사람 모두 커스터를 실패하게 만들었고, 그는 혼자 싸워야 했습니다."라고 적었다.[91]

최근 전장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 연구는 커스터 언덕(Custer Hill)에 있던 장교들이 어느 정도 전술적 통제력을 회복했음을 시사한다.[51] E 중대는 커스터 언덕에서 리틀빅혼 강쪽으로 돌진했지만 도달하지 못했고, 그 결과 중대가 궤멸되었다. 이로 인해 마지막 저항 언덕(Last Stand Hill)에는 주로 F 중대와 참모부 인원 약 50~60명이 남았다. 전투의 나머지 과정은 격렬한 추격전 형태를 띠었다. 현대 고고학 및 역사적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커스터 부대는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원주민들은 이들이 효과적으로 재결합하는 것을 막으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여성들을 포함한) 전사들이 마을에서 달려 나와 담요를 흔들어 병사들의 말을 놀라게 하려 했다고 한다. 제7기병대의 한 병사는 무게 4kg 정도 되는 둥근 자갈에 생가죽 손잡이를 댄 여러 개의 돌망치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는데, 그는 이것이 원주민 여성들이 부상자들을 마무리 지을 때 사용한 것이라고 믿었다.[92] 병사들은 말에서 내려 싸웠고, 그들의 스커미시 라인(skirmish line)은 압도당했다. 당시 육군 교리는 스커미시 라인 뒤에 4명 중 1명을 말을 잡는 역할로 배치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8명 중 1명을 그렇게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후에 병사들은 방어 진지에 모여 남은 말들을 방탄막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별 병사들이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함에 따라 초기 방어 진지들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려졌을 것이다.[93]

3일 후 전장에 도착한 최초의 미군 병사들은 공격의 위협 속에서 서둘러 병사들을 대충 쓰러진 자리에 얕은 무덤에 매장했다. 전투 후 2년쯤 지나서 병사들이 쓰러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표지가 설치되었으므로 병사들의 위치는 대략적으로 추정된 것이다. 병사들은 커스터 언덕, 마일스 키오 대위 주변, 그리고 리틀빅혼 강쪽으로 흩어져 있는 등 여러 무리로 나뉘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93]

4. 3. 1. 미네콘주 여울에서의 전투

리노 부대를 고립시키고 몰아낸 후, 대부분의 원주민 전사들은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를 추격했다. 커스터가 "최후의 항전"을 벌인 경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리노에게 돌격 명령을 내린 후, 커스터는 리노 크릭을 따라 리틀빅혼 강에서 약 800m 지점까지 진군했지만,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절벽을 올라 리노가 후퇴할 지점에 도착했다는 설이 있다. 강 건너편에서 커스터는 리노가 마을로 돌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커스터는 절벽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메디신 테일 쿨리로 내려왔을 수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커스터 부대의 일부가 쿨리를 내려와 강으로 가서 마을로 진입하려 했지만 실패했다고 믿는다. 소규모의 인디언 저격수들이 이러한 강 건너기를 효과적으로 저지했다는 기록도 있다.[75]

화이트 카우 불은 강에서 가죽 재킷을 입은 지휘관을 말에서 쏘아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다른 인디언들의 기록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지는 않지만, 만약 화이트 불이 지휘관을 쏘았다면, 커스터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일부 인디언들의 기록에 따르면, 이 선봉대의 지휘관 중 한 명을 부상시킨 것 외에도, 깃발을 들고 있던 병사도 맞았다고 한다.[76] 부상당한 병사들을 말에 태우기 위해 기병들이 말에서 내려야 했다.[67] 커스터의 시신에 있는 훼손되지 않은 두 개의 상처(심장 아래 총상과 왼쪽 관자놀이에 총상)는 즉사할 만한 것이라는 사실은 그가 부상을 입고 다시 말에 올라탔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77]

메디신 테일 쿨리에서 강을 건너려고 시도했다는 보고서는 리노의 공격에 대한 커스터의 목적, 즉 리노가 진영 남쪽 끝에서 인디언들을 저지하는 동안 커스터가 북쪽에서 인디언들을 리노의 진영으로 몰아넣는 "망치와 모루" 작전을 설명할 수 있다. 다른 역사가들은 커스터가 메디신 테일 쿨리 근처에서 강을 건너려고 시도했다면, 인디언 진영의 북쪽 끝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중간이었음을 알게 되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일부 인디언들의 기록은 북쪽 체이엔 진영과 전체 마을의 북쪽 끝을 강 건너편 반대쪽의 왼쪽(그리고 남쪽)에 위치시킨다.[67] 그러나 마을 북쪽 끝의 정확한 위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08년, 민족학자이자 아메리카 원주민 사진 작가인 에드워드 커티스는 전투에 대해 자세한 개인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전투에 참여했거나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과 인터뷰를 했다. 그는 화이트 맨 런스 힘, 고즈 어헤드, 헤어리 모커신과 함께 군대가 이동한 지역을 조사했고, 그 후 투 문스와 체이엔 전사들과 함께 다시 조사했다. 그는 또한 라코타 지역을 방문하여 레드 호크와 인터뷰를 했는데, "레드 호크는 전투에 대한 기억이 특히 명확했다".[114] 그런 다음 그는 세 명의 크로우 정찰병과 함께 전장을 다시 조사했지만, 찰스 우드러프 장군도 동행했다. 마지막으로 커티스는 아리카라 지역을 방문하여 커스터 부대와 함께 있었던 그 부족의 정찰병들과 인터뷰를 했다.[114] 그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커티스는 커스터가 실제로 메디신 테일 쿨리를 따라 강으로 향했고, 아마도 강을 건널 계획이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인디언들은 이제 그를 발견하고 맞은편에 가까이 모여 있었다".[114] 그들은 곧 많은 수의 수우족이 합류했고 계곡으로 내려왔다. 이것이 커스터를 공격하기 시작한 것이었고, 커스터는 유명한 "최후의 항전"을 벌일 언덕으로 향해야 했다. 커티스는 "커스터는 공격하지 않았고, 전체적인 움직임은 후퇴였다"라고 썼다.[114]

다른 역사학자들은 에드워드 세틀 고드프리 중위의 증언을 바탕으로 커스터가 강에 접근하지 않고 오히려 협곡을 가로질러 북쪽으로 계속 진군하여 다른 쪽으로 올라가 점차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커스터가 자신의 병력이 심각하게 열세임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레노와 벤틴이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남쪽으로 후퇴하기에는 너무 늦었다. 제7기병대 소속 두 명, 젊은 크로우 정찰병 애시시셰(영어로 커리로 알려짐)와 병사 피터 톰슨은 커스터가 인디언과 교전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기억의 정확성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전투 참가자들의 증언과 역사가들의 평가는 거의 만장일치로 톰슨의 주장을 부정한다.

고고학적 증거와 인디언 증언의 재평가는 전투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이어졌다. 1920년대에 전장 조사관들은 오늘날 나이-카트라이트 능선으로 알려진, 사우스 메디슨 테일 협곡과 북쪽 메디슨 테일(딥 협곡으로도 알려짐)의 다음 배수 지역 사이의 능선을 따라 수백 개의 [.45-70구경] 탄피를 발견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커스터가 자신의 부대를 둘(혹은 셋)로 나누어 직접 한 부대를 지휘하고 조지 W. 예이츠 대위에게 다른 부대를 지휘하도록 맡겼을 것이라고 믿는다.

1920년대의 증거는 적어도 한 개 중대가 나이-카트라이트 능선에서 남서쪽으로 오른쪽의 메디슨 테일 협곡과 왼쪽의 칼훈 협곡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된 "V"자 모양의 중앙으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그 목적은 (크로우 정찰병 커리에 따르면, 미치 부와이어와 커스터 모두 목격했을 가능성이 있음) 리틀 빅혼 강 근처의 삼림 지대로 소규모 교전선을 철수시켜 레노의 부대에 대한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만약 미국군이 메디슨 테일 협곡을 따라 직진했다면, 리틀 빅혼 강 북서쪽에 있는 높은 능선에 가려져 미네콘주 강 건너편과 마을 북쪽 지역으로의 접근이 은폐되었을 것이다.

그들이 나이-카트라이트 능선 중앙에서 남서쪽으로 왔을 것이라는 점은 그레이 호스 중대(Company E)로 알려진 독특한 흰색 말을 탄 부대의 접근을 목격했다는 북부 샤이엔족의 진술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접근은 마을 그 끝에 있는 인디언들에게 목격되었다. 그 뒤에는 고지대 위쪽에 있는 두 번째 중대가 장거리 사격 지원을 제공했을 것이다. 전사들이 기습 공격에 끌려들어가 고지대쪽으로, 북쪽 지류 배수 지역으로, 위쪽에서 사격 지원을 제공하는 부대에서 멀리 후퇴했을 것이다. 사격 지원 중대는 재결합을 위해 이동했을 것이고, 집중적인 집탄 사격을 가했을 것이며, 50년 후 발견된 소모된 탄피의 흔적을 남겼을 것이다.

4. 3. 2. 마지막 저항

거의 모든 증언에 따르면, 라코타족은 교전 시작 후 한 시간 이내에 커스터의 부대를 섬멸했다.[78][79][80] 데이비드 험프리스 밀러(David Humphreys Miller)는 1935년부터 1955년까지 전투의 마지막 라코타 생존자들을 인터뷰했는데, 커스터 전투가 30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고 적었다.[81] 다른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는 "배고픈 사람이 식사를 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만큼만 지속되었다고 한다. 라코타족은 크레이지 호스가 기병들을 압도한 대규모 전사 집단 중 하나를 직접 이끌고 북동쪽에서 기습 공격을 가해 지휘 체계를 붕괴시키고 병사들에게 공황 상태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무기를 버렸고, 샤이엔족과 수족 전사들은 그들을 쫓아가 창, 쿠프 스틱(coup stick), 퀴르트(quirt)로 "쿠프 세우기(counting coup)"를 했다. 일부 원주민 증언에서는 이 전투 부분을 "들소 몰이"로 묘사했다.[82]

D, H, K 중대 대대장인 프레드릭 윌리엄 벤틴(Frederick William Benteen) 대위는 1876년 6월 27일, ''리노 조사위원회''[83] 18일차에 커스터 전투터에 대한 자신의 관찰 결과를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Blockquote|전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투터를 주의 깊게 살펴보았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제 결론은 마지막 병사가 죽을 때까지 완전한 패주였고, 공황이었다는 것입니다...

전투터에는 어떤 전열도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옥수수 한 줌을 바닥에 뿌리면 똑같은 형태의 선이 생길 것입니다. 유일하게 전열에 가까운 것은 약 5~6마리의 [죽은] 말이 동일한 간격으로 발견된 곳이었습니다. 마치 [칼훈 중위의 L 중대]의 스커미셔[skirmishers]처럼 말입니다. 그 5~6마리의 [죽은] 말 앞에는 거의 같은 간격으로 5~6명의 [죽은] 병사들이 있었는데, 이는 말들이 죽고 기수들이 말에서 뛰어내려 커스터 장군이 있는 곳으로 향했음을 보여줍니다. 전투터에서 전열에 가까운 유일한 모습이었습니다. 오른쪽에는 20명 이상의 [병사]가 사망했습니다. 한 곳에는 4~5명이 20~30야드의 공간 안에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전투터 전체와 [협곡]에서 나타났습니다.[84]

아마도 병사들은 명령 없이 말을 풀어놓았을 것입니다. 많은 명령이 내려졌을 수도 있지만, 거의 따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완전한 패주였습니다.[85][86]}}

브룰레 수족 전사는 이렇게 말했다. "사실 홀로우 혼 베어(Hollow Horn Bear)는 전투 시작 시 병사들이 질서정연하게 있었고,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조직을 유지했다고 믿었습니다."[87] 오글라라 수족 전사인 레드 호스(Red Horse)는 "여기[라스트 스탠드 언덕]에서 병사들은 필사적으로 싸웠습니다"라고 말했다.[88] 한 헝파파 수족 전사인 무빙 로브(Moving Robe)는 "격렬한 전투였습니다"라고 언급했고,[89] 또 다른 전사인 아이언 호크(Iron Hawk)는 "인디언들은 커스터 언덕 주변으로 밀고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병사들은 죽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그곳에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90] 1910년 2월 21일자 편지에서 제7기병대 M중대의 윌리엄 테일러(William Taylor) 이병은 "리노는 무능력했고, 벤틴은 무관심함을 보였습니다. 저는 제 마음속에 자주 있었던 더 불쾌한 말은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두 사람 모두 커스터를 실패하게 만들었고, 그는 혼자 싸워야 했습니다."라고 적었다.[91]

최근 전장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 연구는 커스터 언덕(Custer Hill)에 있던 장교들이 어느 정도 전술적 통제력을 회복했음을 시사한다.[51] E 중대는 커스터 언덕에서 리틀빅혼 강(Little Bighorn River)쪽으로 돌진했지만 도달하지 못했고, 그 결과 중대가 궤멸되었다. 이로 인해 마지막 저항 언덕(Last Stand Hill)에는 주로 F 중대와 참모부 인원 약 50~60명이 남았다. 전투의 나머지 과정은 격렬한 추격전 형태를 띠었다. 현대 고고학 및 역사적 인디언들의 증언에 따르면, 커스터 부대는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인디언들은 이들이 효과적으로 재결합하는 것을 막으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인디언들의 증언에 따르면, (여성들을 포함한) 전사들이 마을에서 달려 나와 담요를 흔들어 병사들의 말을 놀라게 하려 했다고 한다. 제7기병대의 한 병사는 무게 4kg 정도 되는 둥근 자갈에 생가죽 손잡이를 댄 여러 개의 돌망치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는데, 그는 이것이 인디언 여성들이 부상자들을 마무리 지을 때 사용한 것이라고 믿었다.[92] 병사들은 말에서 내려 싸웠고, 그들의 스커미시 라인(skirmish line)은 압도당했다. 당시 육군 교리는 스커미시 라인 뒤에 4명 중 1명을 말을 잡는 역할로 배치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8명 중 1명을 그렇게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후에 병사들은 방어 진지에 모여 남은 말들을 방탄막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별 병사들이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함에 따라 초기 방어 진지들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려졌을 것이다.[93]

3일 후 전장에 도착한 최초의 미군 병사들은 공격의 위협 속에서 서둘러 병사들을 대충 쓰러진 자리에 얕은 무덤에 매장했다. 전투 후 2년쯤 지나서 병사들이 쓰러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표지가 설치되었으므로 병사들의 위치는 대략적으로 추정된 것이다. 병사들은 커스터 언덕, 마일스 키오(Myles Keogh) 대위 주변, 그리고 리틀빅혼 강쪽으로 흩어져 있는 등 여러 무리로 나뉘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93]

인도 측 기록에 따르면, 커스터 언덕에 있던 약 40명의 병사들이 커스터 주위에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집중 사격을 가했다.[67] 전투 후반부에 인디언 사상자의 대부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캘훈 능선에 있던 병사들과 인디언들은 커스터 언덕에 있던 병사들과 인디언들보다 대부분의 전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고, 더 먼 거리에서 사격을 주고받았기 때문이다.[67]

최근 다큐멘터리들은 대중문화에서 전통적으로 묘사되어 온 "최후의 항전"이 없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고고학자들은 커스터의 부대가 전통적인 묘사와 달리 포위된 것이 아니라 단 한 번의 돌격으로 압도당했다고 주장한다. 이 시나리오는 크레이지 호스의 돌격이 저항하는 병사들을 덮쳤고, 생존자들은 공황 상태로 도망쳤다는 여러 인디언들의 증언과 일치한다.[67] 이들 병사 중 많은 수가 오늘날 커스터 언덕으로 알려진 곳에서 300~400야드 떨어진 깊은 계곡에 몰렸을 가능성이 있다. 탐색대원 미치 부아예를 포함하여 최소 28구의 시신(매장 목격 증언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수치)이 그 협곡 안이나 근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의 죽음이 전투의 최종 행위였을 가능성이 있다.

미치 부아예의 표지석은 유해의 고고학적 및 법의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깊은 계곡에서 약 65야드 떨어져 있다.[15] 역사가 더글러스 스콧은 "깊은 협곡"이나 "깊은 계곡"이 협곡의 가파른 부분뿐만 아니라 지류를 포함한 전체 배수 지역을 포함했을 수 있으며, 그렇다면 부아예와 다른 이들의 시신은 목격자들이 본 곳에서 발견되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92]

깊은 계곡에서 진행된 다른 고고학적 탐사에서는 전투와 관련된 인골이 발견되지 않았다.[92] 전투 이후 수년 동안, 다양한 출처에서 깊은 계곡 입구에서 회수되었다고 보고된 유골은 리틀 빅혼 국립 기념물로 송환되었다. 스콧에 따르면, 전투와 스콧의 협곡 발굴 작업 사이의 108년 동안 지질학적 과정으로 인해 많은 유골이 회수할 수 없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개리오언 마을 근처에서는 리노 후퇴에서 사망한 병사의 유골 일부가 리틀빅혼 강의 침식된 강둑에서 발견되었지만, 나머지 유골은 강물에 쓸려간 것으로 보인다.[92]

5. 전투의 결과

커스터 부대가 전멸한 후, 라코타족과 북부 샤이엔족은 마커스 리노와 프레더릭 벤틴을 공격하기 위해 재집결했다. 전투는 어둠이 질 때까지, 그리고 다음날 대부분 동안 계속되었고, 결과는 불확실했다. 리노는 벤틴의 방어 성공으로 공격을 격퇴했다고 말했다.[96] 6월 27일, 조지 크룩 장군 부대가 접근하자 원주민들은 퇴각했다. 크로우족 정찰병 White Man Runs Him이 테리 장군의 장교들에게 커스터 부대가 전멸했음을 알렸다.[96] 리노와 벤틴의 부상병들은 치료를 받았으나, 5명은 사망했다.[96]



크로우족 정찰병 White Man Runs Him, Joe Medicine Crow의 외증조부.


커스터의 패배 소식은 ''파 웨스트''호를 통해 처음 비원주민들에게 전해졌다. 커스터의 정찰병 컬리는 Grant Marsh 선장에게 정보를 전달했고, Marsh는 ''파 웨스트''호로 부상병들을 후송하고 "커스터 대학살" 소식을 전했다.[102] 이 소식은 미국 100주년 기념식 기간에 동부에 도착했으며,[102][103] 육군은 조사를 시작했으나, 생존자와 장교들의 명성에 대한 우려로 효율성이 떨어졌다. 엘리자베스 베이컨 커스터는 남편의 영웅적 이미지를 지키려 했다.[104][105]

리틀 빅혼 전투는 원주민들에게 "인디언 전쟁"의 끝을 알리는 시작이었다.[106] 전투 후, 원주민들은 더 작은 그룹으로 흩어졌고,[107] 흩어진 수우족과 샤이엔족은 7월 동안 축제를 벌였다. 많은 원주민들이 보호구역으로 돌아갔고, 전사 수는 600명 정도로 줄었다.[109] 오글랄라 수우족 Black Elk는 "우리는 밤새 도망쳤고, 그리지 그래스를 따라갔다."라고 회상했다.[108]

크룩과 테리는 증원군을 기다린 후 8월에 원주민 부대에 맞서 작전을 개시했다.[107] 넬슨 마일스 장군은 10월에 작전 지휘권을 맡았고,[107] 1877년 5월, 시팅 불은 캐나다로 탈출했으며, 크레이지 호스는 Fort Robinson에서 항복했다. 대수우 전쟁은 마일스가 남은 Miniconjou 수우족 부대를 패배시키면서 종식되었다.[107]

1876년 분쟁의 중심이었던 블랙힐스 소유권은 Manypenny 위원회의 최후 통첩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수우족은 보호구역 배급을 계속 받으려면 땅을 미국에 양도해야 했다. 수우족은 이 거래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강제 기아 위협으로 ''Paha Sapa''를 양도했다.[108] 이후 수우족은 소송을 제기했고, 1980년 미국 대법원은 ''United States v. Sioux Nation of Indians'' 판결에서 미국이 정당한 보상 없이 블랙힐스를 빼앗았음을 인정했다. 수우족은 제안된 돈을 거부하고 땅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7기병대는 새로운 장교들을 배치받고,[123] 병력을 충원하기 위한 모병 활동을 시작했다. 8개 중대로 재편된 연대는 테리 원정대의 일원으로 현장에 남았고, 이후 증원되었다. 7기병대는 에이브러햄 링컨 요새로 돌아와 재편되었으며, 연대장 새뮤얼 D. 스터지스 대령이 복귀했다. 스터지스는 1877년 네즈페르스 전쟁에서 7기병대를 이끌었다.

미국 의회는 7기병대의 패배에 대응하여 육군 증강 예산을 승인했다. 하원은 육군 규모 축소 운동을 중단했고, 기병대 중대 규모를 늘리고 육군 규모 상한선을 일시적으로 상향 조정했다.[124]

== 제7기병대의 피해 ==

제7기병대는 52%의 사상자를 냈다. 장교 16명과 병사 242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으로 사망했고, 장교 1명과 병사 51명이 부상을 입었다.[119] 커스터와 함께 있던 5개 중대의 모든 병사는 (몇몇 크로우 정찰병과 전투 전이나 전투 시작 시 그 부대를 떠난 몇몇 병사를 제외하고) 사망했다. 사망자 중에는 커스터의 형제인 보스턴 커스터와 토마스, 그의 매부인 제임스 캘훈, 그리고 그의 조카인 헨리 아밍스트롱 리드가 포함되었다.[119]

1878년, 육군은 언덕에서의 싸움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용감함을 인정하여 24개의 훈장을 수여했는데, 대부분은 부상자들에게 강에서 언덕 위로 물을 운반하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사람들에게 수여되었다.[119] 비인디언 측에서는 사병들의 행동에 의문을 제기한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장교들의 전술, 전략 및 행동에 의문을 제기했다. 인디언들의 기록에는 병사들의 공황에 찬 도주와 인디언들에게 포로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아 자살한 병사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120] 병사들은 포로가 되면 고문을 받을 것이라고 믿었을 수도 있지만, 인디언들은 보통 남자들을 바로 죽였고, 입양을 위해 어린 여성과 어린이만 포로로 잡았다.[120] 인디언들의 기록에는 죽을 때까지 싸운 병사들의 용감함도 언급되어 있다.[121]

]

이 전투에서 보스턴 커스터와, 기자 마크 켈로그, 그리고 헨리 아밍스트롱 리드를 포함한 여러 인물들이 전사했다.

== 원주민 부족의 피해 ==

아메리카 원주민 사상자 수는 원주민이 직접 기록한 사망자 명단을 기준으로 적게는 36명에서 많게는 300명까지 다양하게 추산되었다.[115] 라코타 추장 레드 호스는 1877년 W. H. 우드 대령에게 전투 중 원주민 136명이 사망하고 16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말했다.[116] 1881년 레드 호스는 C. E. 맥체스니 박사에게 같은 수치를 말했지만, 전투를 묘사하기 위해 레드 호스가 그린 그림에는 라코타와 샤이앤 사상자를 나타내는 60개의 인물만 그려져 있었고, 그중 30여 명만이 전통적인 평원 인디언 방식으로 사망을 나타냈다. 지난 140년 동안 역사가들은 동일 인물에 대한 여러 원주민 이름을 식별하여, 이전에 과장되었던 수치가 크게 줄었다. 오늘날 확인된 사상자 명단에는 99개의 이름이 있으며, 이를 통합하여 확인된 전사 31명으로 분류되었다.[117]

레노의 돌격 초기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6명과 어린이 4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헝크파파 부족 지도자 피지(갤)의 아내 2명과 자녀 3명이 포함되어 있었다.[118]

== 블랙힐스 문제 ==

의회는 수우족이 "팔거나 굶어 죽거나(sell or starve)" 조항이라고 부르는 것을 1876년 인디언 예산법(1876년 8월 15일 제정)에 첨부했다.[125][126] 이 조항은 수우족이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블랙힐스를 미국에 할양할 때까지 모든 배급을 중단하는 것이었다. 1877년 협정(1877년 2월 28일 제정)은 공식적으로 수우족의 땅을 빼앗고 인디언 보호구역을 영구적으로 설립했다.

5. 1. 제7기병대의 피해

제7기병대는 52%의 사상자를 냈다. 장교 16명과 병사 242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으로 사망했고, 장교 1명과 병사 51명이 부상을 입었다.[119] 커스터와 함께 있던 5개 중대의 모든 병사는 (몇몇 크로우 정찰병과 전투 전이나 전투 시작 시 그 부대를 떠난 몇몇 병사를 제외하고) 사망했다. 사망자 중에는 커스터의 형제인 보스턴 커스터와 토마스, 그의 매부인 제임스 캘훈, 그리고 그의 조카인 헨리 아밍스트롱 리드가 포함되었다.[119]

1878년, 육군은 언덕에서의 싸움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용감함을 인정하여 24개의 훈장을 수여했는데, 대부분은 부상자들에게 강에서 언덕 위로 물을 운반하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사람들에게 수여되었다.[119] 비인디언 측에서는 사병들의 행동에 의문을 제기한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장교들의 전술, 전략 및 행동에 의문을 제기했다. 인디언들의 기록에는 병사들의 공황에 찬 도주와 인디언들에게 포로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아 자살한 병사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120] 병사들은 포로가 되면 고문을 받을 것이라고 믿었을 수도 있지만, 인디언들은 보통 남자들을 바로 죽였고, 입양을 위해 어린 여성과 어린이만 포로로 잡았다.[120] 인디언들의 기록에는 죽을 때까지 싸운 병사들의 용감함도 언급되어 있다.[121]

]

이 전투에서 보스턴 커스터와, 기자 마크 켈로그, 그리고 헨리 아밍스트롱 리드를 포함한 여러 인물들이 전사했다.

5. 2. 원주민 부족의 피해

아메리카 원주민 사상자 수는 원주민이 직접 기록한 사망자 명단을 기준으로 적게는 36명에서 많게는 300명까지 다양하게 추산되었다.[115] 라코타 추장 레드 호스는 1877년 W. H. 우드 대령에게 전투 중 원주민 136명이 사망하고 16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말했다.[116] 1881년 레드 호스는 C. E. 맥체스니 박사에게 같은 수치를 말했지만, 전투를 묘사하기 위해 레드 호스가 그린 그림에는 라코타와 샤이앤 사상자를 나타내는 60개의 인물만 그려져 있었고, 그중 30여 명만이 전통적인 평원 인디언 방식으로 사망을 나타냈다. 지난 140년 동안 역사가들은 동일 인물에 대한 여러 원주민 이름을 식별하여, 이전에 과장되었던 수치가 크게 줄었다. 오늘날 확인된 사상자 명단에는 99개의 이름이 있으며, 이를 통합하여 확인된 전사 31명으로 분류되었다.[117]

레노의 돌격 초기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6명과 어린이 4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헝크파파 부족 지도자 피지(갤)의 아내 2명과 자녀 3명이 포함되어 있었다.[118]

5. 3. 전투 이후 상황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부대의 전멸 이후, 라코타족과 북부 샤이엔족은 마커스 리노와 프레더릭 벤틴의 부대를 공격하기 위해 재집결했다. 전투는 이틀 동안 계속되었지만, 벤틴의 방어 성공으로 공격을 격퇴할 수 있었다.[96] 6월 27일, 조지 크룩 장군이 이끄는 부대가 접근하자 원주민들은 퇴각했다. 크로우족 정찰병 White Man Runs Him이 테리 장군의 장교들에게 커스터 부대가 전멸했음을 알렸다.[96] 한편, 리노와 벤틴 부대의 부상병들은 치료를 받았으나, 그 중 5명은 결국 사망했다.[96]

커스터의 패배 소식은 증기선 ''파 웨스트''호를 통해 처음으로 비원주민들에게 전해졌다. 커스터의 정찰병 컬리는 증기선 선장 Grant Marsh에게 이 정보를 전달했고, Marsh는 ''파 웨스트''호를 이용해 부상병들을 후송하고 "커스터 대학살" 소식을 전했다.[102] 이 소식은 미국 100주년 기념식 기간에 동부에 도착했으며,[102][103] 육군은 조사를 시작했으나 생존자와 장교들의 명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효율성은 떨어졌다. 특히 커스터의 아내 엘리자베스 베이컨 커스터는 남편의 영웅적 이미지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104][105]

리틀 빅혼 전투는 원주민들에게 "인디언 전쟁"의 끝을 알리는 시작이었다.[106] 전투 후, 원주민들은 더 작은 그룹으로 흩어졌고,[107] 흩어진 수우족과 샤이엔족은 7월 동안 군인들의 위협 없이 축제를 벌였다. 이후 많은 원주민들이 보호구역으로 돌아갔고, 전사의 수는 600명 정도로 줄었다.[109]

오글랄라 수우족 Black Elk는 "우리는 밤새 도망쳤고, 그리지 그래스를 따라갔다."라고 회상했다.[108]

크룩과 테리는 증원군을 기다린 후 8월에 원주민 부대에 맞서 작전을 개시했다.[107] 넬슨 마일스 장군은 10월에 작전 지휘권을 맡았고,[107] 1877년 5월, 시팅 불은 캐나다로 탈출했으며, 크레이지 호스는 Fort Robinson에서 항복했다. 대수우 전쟁은 마일스가 남은 Miniconjou 수우족 부대를 패배시키면서 종식되었다.[107]

1876년 분쟁의 중심이었던 블랙힐스의 소유권은 Manypenny 위원회의 최후 통첩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수우족은 보호구역에 대한 배급을 계속 받으려면 땅을 미국에 양도해야 했다. 수우족은 이 거래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강제적인 기아의 위협으로 인해 ''Paha Sapa''를 양도했다.[108] 이후 수우족은 소송을 제기했고, 1980년 미국 대법원은 ''United States v. Sioux Nation of Indians'' 판결에서 미국이 정당한 보상 없이 블랙힐스를 빼앗았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수우족은 제안된 돈을 거부하고 땅에 대한 권리를 계속 주장하고 있다.

7기병대는 새로운 장교들을 배치받고,[123] 병력을 충원하기 위한 모병 활동을 시작했다. 8개 중대로 재편된 연대는 테리 원정대의 일원으로 현장에 남았고, 이후 증원되었다. 7기병대는 에이브러햄 링컨 요새로 돌아와 재편되었으며, 연대장 새뮤얼 D. 스터지스 대령이 복귀했다. 스터지스는 1877년 네즈페르스 전쟁에서 7기병대를 이끌었다.

미국 의회는 7기병대의 패배에 대응하여 육군 증강 예산을 승인했다. 하원은 육군 규모 축소 운동을 중단했고, 기병대 중대 규모를 늘리고 육군 규모 상한선을 일시적으로 상향 조정했다.[124]

5. 4. 블랙힐스 문제

의회는 수우족이 "팔거나 굶어 죽거나(sell or starve)" 조항이라고 부르는 것을 1876년 인디언 예산법(1876년 8월 15일 제정)에 첨부했다.[125][126] 이 조항은 수우족이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블랙힐스를 미국에 할양할 때까지 모든 배급을 중단하는 것이었다. 1877년 협정(1877년 2월 28일 제정)은 공식적으로 수우족의 땅을 빼앗고 인디언 보호구역을 영구적으로 설립했다.

6. 논란과 쟁점

6. 1. 리노의 행동에 대한 논란

리틀 빅혼 전투는 마커스 리노의 요청에 따라 1879년 시카고에서 열린 미 육군 조사 위원회의 조사 대상이었으며, 그의 행동이 면밀히 조사되었다.[127] 일부 육군 장교가 아닌 증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술에 취했고 비겁했다고 한다. 위원회는 리노의 행동에 잘못이 없다고 판단했다. 전투 후 토마스 로서, 제임스 오켈리 등은 그의 성급한 후퇴에 대해 계속해서 의문을 제기했다.[128] 재판에서 리노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후퇴가 혼란스러웠지만, 리노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수적으로 열세이고 측면을 노출당한 것이 분명해지기 전까지는 자신의 위치에서 물러서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당시 기록들 또한 리노의 정찰병인 블러디 나이프가 머리에 총을 맞아 피를 튀기면서, 그의 공황과 고통을 증폭시켰을 가능성을 보여준다.[51]

6. 2. 커스터의 전략적 실수

테리 장군 등은 커스터가 작전 초반부터 전략적 실수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129] 게틀링 건 포대의 사용을 거부하고 제2기병대의 추가 대대를 제공하겠다는 테리 장군의 제안을 거절한 것이 그 예이다. 커스터는 게틀링 건이 기동성을 저해할 것이라고 믿었으나, 리틀 빅혼으로 향하는 그의 신속한 행군은 하루 평균 약 30km에 달했으므로, 그의 평가는 정확했던 것으로 보인다.[129] 커스터는 "인디언처럼 생활하고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대는 인디언이 갈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갈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29]

1905년경 파우니 빌의 와일드 웨스트 쇼 출연진이 연출한 '커스터의 죽음' 장면. 앉은 황소가 커스터를 찌르는 모습과 땅에 쓰러져 있는 사망한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묘사되어 있다.


각 게틀링 건은 네 마리의 말로 운반해야 했고, 병사들은 장애물을 넘을 때 종종 무거운 대포를 손으로 끌어야 했다. 무겁고 손으로 돌리는 각 무기는 분당 최대 350발을 발사할 수 있었지만, 자주 고장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129] 2년 전 블랙힐스 원정 중에는 게틀링 건이 뒤집혀 산산조각나기도 했다. 포병 부대장인 윌리엄 로 중위는 자신이 타격 부대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거의 울었다고 한다.[129]

커스터는 제7기병대가 어떤 인디언 부대라도 처리할 수 있으며, 제2기병대의 네 개 중대를 추가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130] 제2기병대를 제공받았을 때, 그는 제7기병대가 "어떤 것이든 처리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고 한다.[130] 커스터가 인디언들에게 수적으로 열세에 처할 것이라고 의심했지만, 얼마나 많은 수적으로 열세에 처할지는 몰랐다는 증거가 있다. 커스터가 자신의 부대를 나눔으로써, 벤틴과 리노가 캠프 남쪽 끝의 절벽 위에서 필사적이지만 성공적인 방어를 하지 않았더라면, 전체 부대의 패배를 초래할 수도 있었다.[131]

역사가 제임스 도노반은 커스터가 자신의 부대를 네 개의 더 작은 분견대로 나눈 것(짐마차 포함)을 불충분한 정찰 때문이라고 믿었다. 그는 또한 크로우 정찰대와 찰리 레이놀즈의 경고를 무시했다.[132] 전투가 시작될 무렵, 커스터는 이미 크기가 다른 세 개의 대대로 자신의 부대를 나누었고, 그중 가장 큰 대대를 자신이 지휘했다. 그의 부하들은 넓게 흩어져 서로 지원할 수 없었다.[133][134] 커스터는 여러 부족이 남쪽으로 도망쳐 여러 집단으로 흩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캠프 남쪽 끝을 즉시 공격하는 것이 최선의 조치라고 믿었다.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동유럽 등에서 온 소위 "늦게 온 이민자"들이었으며, 전투 직전에는 평원을 계속 행진하는 부대 활동에 지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250]

넬슨 A. 마일스(Nelson A. Miles) 중장은 1877년 전장을 조사하면서 "리틀 빅혼(Little Big Horn)에서의 그의 작전을 연구할수록 커스터에 대한 존경심이 더 커진다"고 적었다.[135] 예산 대폭 감축에 직면한 미국 육군은 부정적인 여론을 피하고 싶어했고, 커스터의 책임을 면하게 하는 방법을 찾았다. 패배의 원인을 인디언들이 많은 연발 소총을 소지하고 있었고 전사들의 수적으로 압도적이었던 점에 돌렸다.

과부가 된 엘리자베스 베이컨 커스터(Elizabeth Bacon Custer)는 재혼하지 않고 남편의 명예를 격렬하게 옹호하는 세 권의 인기 책을 썼다.[136] 그녀는 1933년까지 살아남았고, 대부분의 증거가 사라질 때까지 심각한 연구를 방해했다.[137] 프레드릭 위태커(Frederick Whittaker) 대위가 1876년에 쓴 커스터를 이상화한 책은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138] 야만적인 세력과 용감하게 싸우는 영웅적인 장교로서의 커스터는 버팔로 빌(Buffalo Bill) 코디("Buffalo Bill" Cody), 파우니 빌(Pawnee Bill) 등 쇼맨들이 주최하는 서부극(Wild West)에서 대중화되었다. 반세기가 지나서야 역사가들이 전투와 커스터의 죽음과 그의 지휘관의 절반의 손실로 이어진 그의 결정을 다시 살펴보고 비판할 만한 많은 점을 발견했다.[139]

|thumb|1861년 리처드 개틀링이 발명한 개틀링 건. 커스터(Custer)는 이 무기의 포병대 제안을 거절하고, 테리에게 "우리의 이동을 방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커스터는 "제7기병대는 만나는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143]]]

커스터가 테리의 속사 개틀링 건 제안을 거절한 결정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그가 왜 거절했고, 리틀빅혼 전투(Battle of the Little Bighorn)에서 그의 부대에 어떤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마커스 리노(Marcus Reno) 소령이 6월 10일부터 18일까지 8일 동안 파우더-텅-로즈버드 강(Powder-Tongue-Rosebud Rivers)에서 수행한 정찰 작전에서, 포병대에 장착되어 기병용으로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말(소위 불량마)이 끄는 포차가 혼합 지형에서 다루기 어렵고 고장이 잘 발생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49][150][151][152] 커스터는 제7기병대의 기동성을 중시하고 테리가 연대를 "주요 타격 부대"로 인정한 것을 알고 개틀링 건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를 선호했다.[153][154][155][156] 제7기병대만으로도 만날 수 있는 어떤 부대라도 대처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하여 포병이 자신의 성공에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테리에게 "제7기병대는 만나는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라고 알렸다.[157][158][159][160] 제임스 브리스빈(James Brisbin) 소령과의 긴장된 관계로 인해 커스터는 브리스빈의 제2기병대와 개틀링 건을 자신의 타격 부대에 통합하는 것을 정중하게 거절했다.[161][162][163]

역사가들은 개틀링 건에 내재된 화력을 인정했지만, 흑색 화약 잔여물로 인한 고장은 발사 속도를 낮출 수 있었고,[164][165] 전투 조건 하에서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166][167] 포차에 높이 장착된 개틀링 건은 포병대원들이 작동 중에 똑바로 서 있어야 했기 때문에, 라코타족과 샤이엔족 저격수들에게 쉬운 표적이 되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168]

역사가 로버트 M. 어틀리(Robert M. Utley)는 커스터의 동시대 사람들의 두 가지 판단을 제시한다. 헨리 J. 헌트(Henry J. Hunt) 장군은 개틀링 건이 "아마도 지휘부를 구했을 것"이라고 말했고, 넬슨 A. 마일스(Nelson A. Miles) 장군은 "[개틀링 건은] 인디언과의 싸움에는 쓸모없었다"고 선언했다.[169]

부하인 벤틴 대위가 군사 재판에서 제출한 커스터가 마지막으로 남긴 메모에는 "(탄약) 꾸러미를 가져다 달라"고 적혀 있다. 후에 재판에서 비난받은 리노는 "제7기병대는 1인당 124발밖에 장비하지 않았고, 수송 마차에는 2만 4000발 이상의 탄약이 남아 있었다"고 증언했다.

반면 인디언 측은 전장에 남은 탄피 수를 고려해 볼 때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했고, 조사에서도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커스터 부대가 단발식 스프링필드 M1873을 사용한 데 반해, 인디언 측은 헨리 연발총( 윈체스터 소총의 원형)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이 일방적인 전황은 학살로 전해졌다. 엘리자베스 “리비” 커스터 부인의 열렬한 활동으로 미국 사회에서는 반인디언 여론이 높아지고, 인디언에 대한 무력 소탕이 이루어졌다.

6. 3. 스프링필드 카빈총의 문제점

제7기병대에 지급된 1873년형 스프링필드 카빈 소총의 탄피 추출기 작동 불량은 리틀빅혼 전투의 패배 원인 중 하나로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204] 그러나 고고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30발당 1발(커스터 전투터), 37발당 1발(리노-벤틴 전투터) 정도의 추출기 고장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어, 이것이 커스터의 패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209][210][211]

스프링필드 카빈 소총의 추출기 결함은 이미 육군 병기국에 알려진 사실이었으나, 어깨에 메는 화기의 전반적인 가치에 있어 중요하지 않은 단점으로 여겨졌다.[205] 실제로 미 육군 테스트에서 추출기 고장률은 300발 중 1발에 불과했으며, 이는 남북 전쟁 당시 사용되었던 전장식 스프링필드 소총보다 훨씬 신뢰성이 높은 수치였다.[206][20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증언에서는 0.45-55 구경 구리 탄약의 융착으로 인해 탄피를 제거해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208] 하지만 이러한 증언은 전장에서 수집된 고고학적 증거와 상충된다.[209]

역사가 톰 해치는 추출기 결함이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873년형 스프링필드 소총이 1890년대 초까지 미군의 표준 화기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212]

한편, 인디언 측은 커스터 부대보다 훨씬 다양한 종류의 총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연사 속도가 빠른 헨리 연발총 등을 활용하여 커스터 부대의 장점을 상쇄했다.[250]

6. 4. 생존자 논란

존 마틴(Giovanni Martino)을 포함한 몇몇 병사들과 세 명의 크로우족 정찰병을 제외하고는 커스터의 직접 지휘하에 있던 병사들은 모두 전사했다.[213] 크로우족 정찰병인 컬리만이 전투가 시작된 후에도 살아남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70년 동안 120명이 넘는 사람들이 커스터의 최후 전투에서 "유일한 생존자"라고 주장했다.[214] 역사학자 얼 알론조 브리닌스툴(Earl Alonzo Brininstool)은 최소 70개의 "유일한 생존자" 이야기를 수집했다고 주장했으며,[216][217] 아마추어 커스터 역사가 마이클 너낼리는 30가지 이야기를 담은 소책자를 썼다.[218] 2012년 7월까지 역사 기록에서 확인된 "유일한 생존자" 이야기는 최소 125개에 달한다.

프랭크 핀켈(Frank Finkel)은 전투 참가 주장을 옹호하는 글이 나올 정도로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었으나,[220][221]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부정한다.[223][224] 레이먼드 해틀필드 "애리조나 빌" 가드너[225]와 프랭크 타르보[226] 등 일부 생존 주장자들은 미국에서 유명 인사가 되기도 했다.[227][228][229]

현대 역사학자 알버트 윙클러는 구스타브 콘 일병이 전투의 진정한 생존자였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 당대 기록에는 콘이 전투 초기에 커스터의 'I' 중대에서 복무하던 중 말이 놀라 달아나 리노 언덕에서 방어 태세를 갖춘 리노 중대에 합류했다는 내용이 있다.[230]

전투 참가자 시어도어 W. 골딘(Theodore W. Goldin)은 인디언들이 포로를 잡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생존자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231]

커스터의 지휘하에 있던 사람들 중 유일하게 기록되고 확인된 생존자는 키오 대위의 말인 코만체였다.[232] 부상당한 코만체는 전장에서 발견되어 치료를 받고 연대의 마스코트가 되었다. 작가 이반 S. 코넬(Evan S. Connell)은 아침 별의 아들(Son of the Morning Star)에서 코만체 외에도 많은 말들이 생존했음을 언급했다.[233]

코만체 1887년


조반니 마르티노(Giovanni Martino) 미 육군 제복을 입고 있는 모습, 1904년경

7. 무기와 장비

7. 1. 원주민 부족의 무기

라코타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은 전투용 곤봉, 창, 활과 화살[170][176], 그리고 당시 최첨단 화기까지 포함한 다양한 무기를 보유하고 있었다.[170] 이들이 일반적으로 휴대했던 화기는 화승총이었으며, 대부분 화승식 평활총으로, 인디언 무역용 머스켓 또는 레먼 건이었다.[171][172] 미국 정부가 조약 체결 시 인디언들에게 배포한 패턴 1853 엔필드와 스프링필드 모델 1861 같은 잉여 라이플 머스켓도 있었다.[173][174]

헨리와 스펜서 레버액션 소총, 그리고 샤프스 후장식 소총 등 금속 탄피 무기는 원주민 전투원들에게 귀중한 것이었다.[175] 활과 화살은 최대 27미터까지 효과적이었으며, 상대를 쉽게 불구로 만들거나 무력화시킬 수 있었다.[176] 앉은 황소의 부대는 화기와 탄약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는 어려웠지만,[177] 허가받았거나 받지 않은 무역상과 다코타 준주에서 활동하던 무기 밀매업자들을 통해 조달했다.[178] "고독한" 찰리 레이놀즈는 1876년 초에 앉은 황소의 부대가 윈체스터 연발소총과 풍부한 탄약을 포함한 무기를 축적하고 있다고 보고했다.[179]

헨리 소총과 윈체스터 1866 소총. 이러한 연발 소총은 스프링필드 트랩도어보다 더 높은 발사 속도를 자랑했다.


리틀 빅혼 전투에서 라코타족과 샤이엔족 전투원들이 소유한 총 중 약 200정은 .44구경 윈체스터 모델 1866 연발소총이었다.[180] 이는 전투에 참여한 2,000명의 건장한 전투원 중 약 10명당 1명에 해당한다.[181] 200명 이상의 라코타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이 헨리, 윈체스터 또는 유사한 레버액션 반자동 소총으로 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80][190] 반면, 제7기병대의 모든 병사들은 단발식 후장식 스프링필드 카빈총과 콜트 리볼버로 무장했다.[191]

역사가 마이클 L. 로슨은 "헨리빌" 유적지에서 발견된 헨리 소총 탄피를 바탕으로, 헨리 반자동 소총이 스프링필드 카빈총보다 위력은 덜하지만 결정적인 순간 집중적인 사격을 가하여 커스터 대대의 일부를 와해시켰다고 추측한다.[193] 인디언 측은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고,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커스터 부대가 단발식 스프링필드 M1873을 사용한 데 반해, 인디언 측은 연사 속도에서 훨씬 우세한 헨리 연발총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7. 2. 제7기병대의 무기

개방된 약실을 가진 스프링필드 트랩도어 소총. 커스터의 병사들은 이 후장식 단발 소총으로 무장했다.


콜트 SAA(Colt Single Action Army), 일련번호 5773, 제7기병대 지급


리틀 빅혼 전투 당시 커스터의 지휘하에 있던 제7기병대 병사들은 1876년 초 미국 육군이 승인하고 지급한 두 가지 규정 소총을 휴대했다. 그것은 후장식 단발식 스프링필드 1873년형 카빈 소총과 1873년형 콜트 단동식 권총이었다.[182] 규정 1860년형 곡검은 커스터의 명령에 따라 병사들이 휴대하지 않았다.[183][184] 일부 장교와 정찰병을 제외하고 제7기병대는 균일하게 무장했다.[185][186][187]

병사들은 카빈 소총 탄약 100발을 탄약대와 말의 안장 가방에 휴대했고, 추가로 50발은 수송대에 비축했다. 콜트 권총용 탄약은 24발이 지급되었다.[188]

라코타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은 200명 이상이 헨리 소총, 윈체스터 소총 또는 유사한 레버액션 반자동 소총으로 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80][190] 제7기병대는 단발식 스프링필드 카빈총과 콜트 리볼버로 무장했다.[191]

역사가들은 반자동 소총이 원주민 전사들에게 이점을 제공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왔다.[192] 마이클 L. 로슨은 헨리 소총이 캘훈 중위의 부대를 몰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추측한다.[193]

육군 병기국은 스프링필드를 공식 화기로 채택했다.[194][195] 스프링필드는 장기적 및 지정학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견고한 화기로 평가받았다.[196]

역사가 마크 갈리어는 레버 액션 소총이 완전 무장한 유럽군과의 충돌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레버 액션 모델의 탄약 소모가 빠른 것이 단발식 스프링필드를 선택한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을 일축한다.[197] 제임스 도노반은 스프링필드 카빈총의 "뛰어난 사거리와 멈추는 힘"을 칭찬했고,[198] 찰스 M. 로빈슨은 이 소총이 연발 소총의 두 배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했다.[199][200] 갈리어는 스프링필드 후장식 소총이 더 높은 발사 속도를 가졌다고 지적한다.[201]

스프링필드의 트랩도어 시스템 후장식 디자인 특허는 미국 정부가 소유했으며, 스프링필드 병기창의 기존 기계를 사용하여 쉽게 생산을 조정할 수 있었다.[202] 경제적인 생산 가능성 또한 스프링필드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203]

스프링필드 카빈 소총의 추출기 작동 불량이 패배에 기여했는지 여부는 논쟁거리였다.[204] 추출기 결함은 중요하지 않은 단점으로 여겨졌다.[205] 미 육군 테스트에서 추출기 고장률은 300발 중 1발에 불과했다.[206][207]

전투 후 여러 정의 스프링필드 카빈 소총에서 사용한 탄피를 제거했다는 증언이 있었으나,[208] 고고학적 증거와는 상충된다. 현장 자료에 따르면, 커스터 전투터에서는 약 30발당 1발, 리노-벤틴 전투터에서는 37발당 1발의 비율로 추출기 고장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209][210][211] 1873년형 스프링필드 소총은 1890년대 초까지 미군의 표준 화기로 남아 있었다.[212]

커스터 지휘하의 "제7기병대"는 동유럽 등에서 온 소위 "늦게 온 이민자"들이었으며, 전투 직전에는 평원을 계속 행진하는 부대 활동에 지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250] 반면 인디언 측은 커스터 부대의 4배나 되는 총기를 장비하고 있었고, 47종류 이상의 총기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인디언 측은 연사 속도에서 훨씬 우세한 헨리 연발총(윈체스터 소총의 원형)이나 활, 전투 도끼를 사용한 근접전을 펼쳐 커스터 부대의 유일한 장점을 상쇄했다.[250]

8. 주요 참전자

8. 1. 미군 측


  • 지휘관: 중령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전사)
  • 소령 마커스 리노
  • 부관: 중위 윌리엄 W. 쿡(전사)
  • 외과의: 조지 에드윈 로드(전사)
  • 임시 외과의: 제임스 매디슨 드울프(전사)
  • 임시 외과의: 헨리 리날도 포터
  • 정찰대장: 중위 찰스 번넘(A중대에서 파견, 부상)
  • 정찰대 2인자: 중위 루터 헤어(K중대에서 파견)
  • 수송대장: 중위 에드워드 구스타브 매시(M중대에서 파견)
  • A중대: 대위 마일스 모일란, 중위 찰스 드루디오[111]
  • B중대: 대위 토마스 맥두걸, 중위 벤저민 호지슨(리노 소령 부관으로서 전사)
  • C중대: 대위 토마스 커스터(전사), 중위 헨리 무어 해링턴(전사)
  • D중대: 대위 토마스 위어, 중위 윈필드 에저리
  • E중대: 중위 알제르논 스미스(전사), 중위 제임스 G. 스터지스(전사)
  • F중대: 대위 조지 예이츠(전사), 중위 윌리엄 라일리(전사)
  • G중대: 중위 도널드 맥킨토시(전사), 중위 조지 D. 월리스
  • H중대: 대위 프레드릭 벤틴, 중위 프랜시스 기브슨
  • I중대: 대위 마일스 키오(전사), 중위 제임스 포터(전사)
  • K중대: 중위 에드워드 세틀 고드프리
  • L중대: 중위 제임스 캘훈(전사), 중위 존 J. 크리텐든(전사)
  • M중대: 대위 토마스 프렌치


8. 2. 원주민 부족 측

라코타족은 수용소를 돌보고 제공하는 "강한 심장 사회(Strongheart Society)"를 구성했는데, 이는 연민, 관용, 용기를 보여준 남성들로 구성되었다. 부족들이 모인 목적은 의논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군대나 전사 계급을 구성하지 않았다.[112]

  • 흥크파파(Hunkpapa, 라코타족): 시팅 불(Sitting Bull), 포 호른(Four Horns), 크로우 킹(Crow King), 갤 추장(Chief Gall), 블랙 문(Black Moon), 레인 인 더 페이스(Rain-in-the-Face), 무빙 로브 우먼(Moving Robe Woman), 스포티드 혼 불(Spotted Horn Bull), 아이언 호크(Iron Hawk), 원 불(One Bull), 불 헤드(Bull Head), 체이싱 이글(Chasing Eagle), 리틀 빅 맨(Little Big Man)
  • 시하사파(Sihasapa, 블랙풋 라코타족): 크롤러(Crawler), 킬 이글(Kill Eagle)
  • 민네콘주(Minneconjou, 라코타족): 험프 추장(Chief Hump), 블랙 문(Black Moon), 레드 호스(Red Horse), 메이크스 룸(Makes Room), 룩스 업(Looks Up), 레임 디어(Lame Deer), 독 위드 혼(Dog-with-Horn), 독 백 본(Dog Back Bone), 화이트 불(White Bull), 페더 이어링(Feather Earring), 플라잉 바이(Flying By)
  • 산스 아크(Sans Arc, 라코타족): 스포티드 이글(Spotted Eagle), 레드 베어(Red Bear), 롱 로드(Long Road), 클라우드 맨(Cloud Man)
  • 오글랄라(Oglala, 라코타족): 크레이지 호스(Crazy Horse), 히 독(He Dog), 키킹 베어(Kicking Bear), 플라잉 호크(Flying Hawk), 롱 울프 추장(Chief Long Wolf), 블랙 엘크(Black Elk), 화이트 카우 불(White Cow Bull), 러닝 이글(Running Eagle), 블랙 폭스 2세(Black Fox II), 빅 로드(Big Road)
  • 브륄(Brule, 라코타족): 투 이글스(Two Eagles), 홀로우 혼 베어(Hollow Horn Bear), 브레이브 버드(Brave Bird)
  • 투 케틀스(Two Kettles, 라코타족): 런스 더 에너미(Runs-the-Enemy)
  • 로워 얀크토나이(Lower Yanktonai, 다코타족): 썬더 베어(Thunder Bear), 메디슨 클라우드(Medicine Cloud), 아이언 베어(Iron Bear), 롱 트리(Long Tree)
  • 와페쿠테(Wahpekute, 다코타족): 잉크파두타(Inkpaduta), 사운즈 더 그라운드 애즈 히 웍스(Sounds-the-Ground-as-He-Walks), 화이트 이글(White Eagle), 화이트 트래킹 어스(White Tracking Earth)
  • 블랙 파우더(Black Powder, 수우족 총기상): 블랙 파우더(Black Powder), 요한 스미트(Johann Smidt)
  • 북부 샤이엔족(Northern Cheyenne): 투 문스(Two Moons), 우든 레그(Wooden Leg), 올드 베어(Old Bear), 레임 화이트 맨(Lame White Man)](사망)], 아메리칸 호스(American Horse), 브레이브 울프(Brave Wolf), 앤틸로프 우먼(Antelope Women), 썬더 불 빅 노즈(Thunder Bull Big Nose), 옐로우 호스(Yellow Horse), 리틀 실드(Little Shield), 호스 로드(Horse Road), 밥 테일 호스(Bob Tail Horse), 옐로우 헤어(Yellow Hair), 베어 웍스 온 어 리지(Bear-Walks-on-a-Ridge), 블랙 호크(Black Hawk),

    8. 3. 정찰병과 통역관



    제7기병대에는 여러 명의 정찰병과 통역관이 함께 했다.[114]

    • 블러디 나이프(Bloody Knife): 아리카라/라코타족 정찰병 (전사)
    • 밥 테일드 불(Bob Tailed Bull): 아리카라족 정찰병 (전사)
    • 보이 치프(Boy Chief): 아리카라족 정찰병
    • 찰리 레이놀즈(Charley Reynolds): 정찰병 (전사)
    • 컬리: 크로우족 정찰병
    • 컬링 헤드(Curling Head): 아리카라족 정찰병
    • 프레드 제라드(Fred Gerard): 통역관
    • 고즈 어헤드(Goes Ahead): 크로우족 정찰병
    • 구스(Goose): 아리카라족 정찰병 (제7기병대 병사에게 손에 부상을 입음)
    • 헤어리 모카신(Hairy Moccasin): 크로우족 정찰병
    • 하프 옐로우 페이스: 크로우족 정찰병 대장, 페인츠 하프 히스 페이스 옐로우(Paints Half His Face Yellow)로도 알려짐
    • 아이제이아 도르먼(Isaiah Dorman): 통역관 (전사)
    • 리틀 브레이브(Little Brave): 아리카라족 정찰병 (전사)
    • 리틀 수(Little Sioux): 아리카라족 정찰병
    • 미치 부이어(Mitch Bouyer): 정찰병/통역관 (전사)
    • 원 페더(One Feather): 아리카라족 정찰병
    • 아울(Owl): 아리카라족 정찰병
    • 피터 잭슨(Peter Jackson): 피쿠니족과 블랙풋족 혼혈, 윌리엄의 형제, 정찰병
    • 레드 베어(Red Bear): 아리카라족 정찰병
    • 레드 스타(Red Star): 아리카라족 정찰병
    • 러닝 울프(Running Wolf): 아리카라족 정찰병
    • 시팅 베어(Sitting Bear): 아리카라족 정찰병
    • 솔저(Soldier): 아리카라족 정찰병
    • 스트라이크스 더 로지(Strikes The Lodge): 아리카라족 정찰병
    • 스트라이크스 투(Strikes Two): 아리카라족 정찰병
    • 투 문스(Two Moons): 아리카라/샤이엔족 정찰병
    • 화이트 맨 런스 힘(White Man Runs Him): 크로우족 정찰병
    • 화이트 스완(White Swan): 크로우족 정찰병 (중상)
    • 윌리엄 잭슨(William Jackson): 피쿠니족과 블랙풋족 혼혈, 정찰병
    • 영 호크(Young Hawk): 아리카라족 정찰병

9. 대중문화 속 리틀 빅혼 전투

존 멀버니(John Mulvany)의 1881년 작품 ''커스터의 마지막 집결''(Custer's Last Rally)은 리틀빅혼 전투를 묘사한 대형 그림 중 최초의 작품이다.[239] 1896년, 안호이저-부시(Anheuser-Busch)는 오토 베커(Otto Becker)에게 캐실리 아담스(Cassilly Adams)의 그림 ''커스터의 마지막 전투''(Custer's Last Fight)를 수정한 석판 인쇄본 제작을 의뢰했고, 이는 미국 전역의 술집에 배포되었다.[240] 에드가 새뮤얼 팩슨(Edgar Samuel Paxson)은 1899년 그의 그림 ''커스터의 마지막 항전''(Custer's Last Stand)을 완성했다. 1963년, 해롤드 매크래켄(Harold McCracken)은 팩슨의 그림을 "전투를 가장 잘 묘사한 그림"이자 "최고의 그림"이라고 평가했다.[241]

1926년, 미국 영화관에서 리틀 빅혼 전투에서의 커스터 장군(General Custer at the Little Big Horn)이 개봉되었으며, 로이 스튜어트(Roy Stewart)가 커스터 역을 맡았다.[242] 1941년 영화 ''그들은 부츠를 신은 채 죽었다''(They Died with Their Boots On)는 에롤 플린 등이 주연을 맡았으며, 커스터의 삶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 1964년 미국 작가 토마스 버거(Thomas Berger)의 소설 ''리틀 빅 맨''(Little Big Man)과 1970년 같은 제목의 영화는 전투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며, 광기 어리고 다소 정신병적인 커스터를 묘사한다.[243]

1991년 TV 미니시리즈 ''아침별의 아들'''은 조지 A. 커스터 중령과 제7기병대의 삶을 바탕으로 하며, 리틀 빅혼 전투로 끝을 맺는다. 1994년 비디오 게임 ''라이브 어 라이브''(Live A Live)는 서부편에서 이 이야기를 다룬다.[244] 2006년 비디오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스 III: 워치프''(Age of Empires III: The Warchiefs)에서는 전투의 허구적인 버전을 묘사한다. 2007년 BBC는 ''커스터의 마지막 항전''(Custer's Last Stand)이라는 1시간짜리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245] 2011년 5월 BBC 라디오 4 프로그램 우리 시대 에피소드에서는 전투의 맥락, 상황, 결과에 대해 논했다.[246] 2017년 역사가 다니엘레 볼렐리(Daniele Bolelli)는 "History on Fire" 팟캐스트의 3부작 시리즈에서 전투와 그 전투로 이어지는 사건들을 다뤘다.[247]

2024년 10월, ''토마스 패트릭 다우닝의 발라드''(The Ballad of Thomas Patrick Downing)라는 새로운 책이 출간될 예정이다. 이 책은 전투에서 사망한 토마스 패트릭 다우닝(Thomas Patrick Downing)의 삶을 기록한다.[248]

10. 전적지 보존

이곳은 1879년 7기병대 병사들의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국립묘지로 처음 보존되었다.[234] 1946년에는 "커스터 전투 국립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가, 1991년에 "리틀 빅혼 전투 국립 기념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34] 이러한 명칭 변경은 1970년대 초부터 국립공원관리청 내에서 제기된 우려, 즉 커스터 전투 국립 기념물이라는 명칭이 두 문화 간 전투의 더 큰 역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

미국은 1879년 전사한 미군들을 위한 임시 기념비를 세웠고, 1881년에는 현재의 대리석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1890년에는 미군 기병대 병사들이 쓰러진 장소를 표시하기 위해 대리석 블록이 추가되었다.

1991년, 국립 기념물의 명칭 변경과 함께 라코타족과 샤이엔족 전사들을 기리기 위한 인디언 기념관 건립이 허가되었다.[234] 원주민 예술가 콜린 커츠홀(Colleen Cutschall)이 제작한 이 기념관은 "평화를 통한 통합"을 주제로 한 열린 원형 구조물로, 벽에는 전투에서 사망한 일부 인디언들의 이름과 전투에 대한 원주민들의 기록이 새겨져 있다.[235] 7기병대 오벨리스크를 향한 "정신의 문" 창문은 사망한 기병대원들을 기념관으로 맞이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235]



1999년 현충일에는 아메리카 원주민 전사들이 쓰러진 곳을 표시하기 위해 두 개의 적색 화강암 표지석이 추가되었고,[234] 2006년 12월까지 총 10개의 전사 표지석이 추가되었다.[234]

1927년, 수족(スー族)의 토마스 비버하트(トーマス・ビーバーハート) 여사가 미국 육군성에 탄원서를 보내면서, 수족과 샤이언족(シャイアン族)은 전장의 명칭을 리틀빅혼으로 변경하고 인디언 기념비도 세워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항의했다. 1988년 6월 25일, 라셀 미즈(ラッセル・ミーンズ)를 비롯한 수족 파견단은 "제7기병대 기념비" 옆에 임시 기념비를 설치하여 항의했다.

thumb

1991년, 미국 의회는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여 전장의 명칭을 변경하고, 2003년 6월 25일, "리틀빅혼 전장 기념비"와 "인디언 기념비"가 건립되어 완공식이 거행되었다. 이 결의에 힘쓴 최초의 인디언 상원의원 벤 나이트호스 캠벨(ベン・ナイトホース・キャンベル)(샤이언족)은 이 축제에 참석하여 "오랫동안 부정되어 왔던 인디언들이 평등한 영예를 받는 시대가 되었네요"라고 찬사를 보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attle of Greasy Grass //blogs.loc.gov/law/[...] Library of Congress 2023-08-31
[2] 뉴스 The Battle of the Greasy Grass https://web.archive.[...] 2014-12-07
[3] 서적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Washington
[4] 간행물 Intertribal Warfare as a Precursor of Indian-White Warfare on the Northern Great Plains
[5] 서적 Cheyenne Memories Lincoln and London
[6] 간행물 The Inter-tribal Balance of Power on the Great Plains, 1760–1850
[7] 간행물 The Winning of the West: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Sioux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8] 서적 Parading Through History: The making of the Crow Nation in America, 1805–1935 Cambridge
[9] 간행물 Annual Report of the Commissioner of Indian Affairs Washington
[10] 서적 From the Heart of the Crow Country: The Crow Indians' Own Stories New York
[11] 서적 Wolves for the Blue Soldiers: Indian Scouts and Auxiliaries with the United States Army, 1860–90 Lincoln and London
[12] 간행물 The Inter-tribal Balance of Power on the Great Plains, 1760–1850
[13] 서적 Wolves for the Blue Soldiers: Indian Scouts and Auxiliaries with the United States Army, 1860–90 Lincoln and London
[14] 서적 From the Heart of the Crow Country: The Crow Indians' Own Stories New York
[15] 서적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6] 서적 Red Sabbath: The Battle of Little Bighorn Ian Allan Publishing
[17] 웹사이트 The Changing Image of George Armstrong Custer https://history.nebr[...] 2022-10-29
[18] 웹사이트 https://history.nebr[...]
[19] 서적 Early Fur Trade on the Northern Plains. Canadian Traders among the Mandan and Hidatsa Indians, 1738–1818 Norman and London
[20] 서적 Parading Through History. The Making of the Crow Nation in America, 1805–1935 Cambridge
[21] 서적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Washington
[22] 백과사전 Sioux Wars https://archive.toda[...] 2013-05-06
[23] 서적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Washington
[24] 간행물 The Winning of the West: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Sioux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25] 서적 Parading Through History. The Making of the Crow Nation in America, 1805–1935 Cambridge
[26] 간행물 Journal of James H. Bradley. The Sioux Campaign of 1876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John Gibbon
[27] 서적 Wolves for the Blue Soldiers. Indian Scouts and Auxiliaries with the United States Army, 1860–90 Lincoln and London
[28]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Geographical Aspects of the Landscape and Environment in the Area of the Little Bighorn Battlefield, Montana https://ir.ua.edu/ha[...] 2017
[29] 서적 From the Heart of the Crow Country. The Crow Indians' Own Stories New York
[30] 서적 The Custer Reade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1] 웹사이트 Sitting Bull https://www.britanni[...]
[32] 서적 Centennial Campaign: The Sioux War of 1876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33] 웹사이트 Virtual Online Steamboat Museum at http://steamboats.co[...] Steamboats.com 1914-01-30
[34] 간행물 Washita Memories: Eyewitness Views of Custer's Attack on Black Kettle's Village (Review) https://muse.jhu.edu[...]
[35] 웹사이트 A 7th Cavalry survivor's account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http://www.astonishe[...] 2008-08-19
[36] 서적
[37] 웹사이트 Online version of Cullum's Register of Graduates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 Class of 1846 – Samuel D. Sturgis https://penelope.uch[...] 2018-12-10
[38] 웹사이트 The 7th U.S. Cavalry Regiment Fought in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https://web.archive.[...] HistoryNet.com 2008-01-18
[39] 서적 The Last Stand: Custer, Sitting Bull, and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Viking
[40] 웹사이트 1876 The Battle of the Little Big Horn http://www.nativeame[...] 2007-07
[41] 서적 The Long Death: The Last Days of the Plains Indian Editorial Galaxia
[42] 서적 The Last Stand: Custer, Sitting Bull, and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Viking
[43] 서적 A Day to Remember: Introducing the Drama, Irony, and Controversies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iUniverse
[44] 서적 Custer's Last Campaig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5] 서적 It Is A Good Day to Die, Indian Eyewitnesses Tell the Story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Bison Books
[46] 서적
[47] 서적 I Fought with Custer: The Story of Sergeant Windolph, Last Survivor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 Horn: with Explanatory Material and Contemporary Sidelights on the Custer Figh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8] 웹사이트 The official record of a court of inquiry convened at Chicago, Illinois, January 13, 1879, by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upon the request of Major Marcus A. Reno, 7th U.S. Cavalry, to investigate his conduct at the Battle of the Little Big Horn, June 25–26, 1876 http://digital.libra[...]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Archaeology, History and Custer's Last Batt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2] 서적 A Terrible Glory Little, Brown and Company
[53] 서적 A Good Year to Die Random House
[54] 서적 Son of the Morning Star Farrar, Straus and Giroux
[55] 서적 My Life on the Plains: Or, Personal Experiences with Indians http://name.umdl.umi[...] Sheldon and Company
[56] 서적 Custer's Last Campaig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7] 서적 A Terrible Glory Little, Brown and Company
[58] 서적 Crazy Horse – A Lakota Lif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9] 웹사이트 Custer's Last Fight https://web.archive.[...] Belle Fource Bee 1914
[60] 웹사이트 George Armstrong Custer and The Battle of the Little of The Little Big Horn (A South African View) http://www.freerepub[...] 1973-11
[61] 웹사이트 Lone Tipi (marker) http://www.hmdb.org/[...]
[62] 웹사이트 Confirmed by one of his surviving Arikara scouts, Little Sioux http://www.astonishe[...] Astonisher.com
[63] 웹사이트 Little Sioux's Story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http://www.astonishe[...] Astonisher.com
[64] 서적 Scalp Dance: Indian Warfare on the High Plains, 1865–1879 Stackpole Books
[65] 서적 Last Stand: Famous Battles Against the Odds Arms & Armour
[66]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67] 서적 Lakota Noon, the Indian narrative of Custer's defeat Mountain Press
[68] 웹사이트 Battle of Little Bighorn https://www.c-span.o[...] C-SPAN 2013-09-12
[69] 서적
[70] 서적 A Warrior Who Fought Custer, The Cheyennes of Montana, She Watched Custer's Last Battle
[71] 서적 Fox
[72] 서적 Pretty-shield: Medicine Woman of the Crow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32
[73] 웹사이트 Custer's Last Battle http://ebooks.librar[...] 1892-01
[74] 뉴스 Northern Cheyenne break vow of silence http://www.helenair.[...] Helena Independent Record 2005-06-28
[75] 서적 I fought with Custer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12-03-15
[76] 웹사이트 White Cow Bull's Story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1 http://www.astonishe[...]
[77] 서적 Wert 1996
[78] 서적 Custer's Fall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5
[79] 서적 Benteen letter to Capt. R. E. Thompson
[80] 서적 Gall's Narrative
[81] 서적 Custer's Fall, the Indian Side of the Stor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5
[82] 서적
[83] 서적 Reno Court of Inquiry, In The Case of Major Marcus A. Reno Custer Battlefield Historical & Museum Assn., Inc. 2007
[84] 서적 2007
[85] 서적 2007
[86] 서적 Benteen testimony at Reno Court of Inquiry, January 13 – February 11, 1879 https://www.loc.gov/[...] 1998
[87] 서적 Lakota Noon Mountain Press 1997
[88] 서적 Lakota Noon Mountain Press 1997
[89] 서적 Lakota Noon Mountain Press 1997
[90] 서적 Lakota Noon Mountain Press 1997
[91] 서적 To Hell with Honor
[92] 서적 They Died With Custer: Soldiers' Bones from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3
[93] 서적 Custer's Last Campaign
[94] 뉴스 Last of the Argonauts: The Life and Services of Capt. Grant Marsh Sioux City Journal 1916-01-16
[95] 뉴스 Grant Marsh Tells of his Part in the Custer Expedition Bismarck Tribune 1906-01-23
[96] 서적 Where Custer Fell: Photographs of the Little Bighorn Battlefield Then and Now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5
[97] 서적 Reno-Benteen Entrenchment Trail Western Parks Association 2004
[98] 서적 Pretty Shield. Medicine Woman of the Crows 1974
[99] 서적 Plenty Coups. Chief of the Crows 1962
[100] 뉴스 Indian War / Gen. Gibbons Letter Relating to Terrible Massacre https://newspaperarc[...] The Helena Independent 1876-07-06
[101] 뉴스 Massacre of Our Troops / Five Companies Killed by Indians https://newspaperarc[...] The New York Times 2019-05-18
[102] 뉴스 The Little Horn Massacre The New York Times 1876-07-07
[103] 학술지 1876: The Eagle Screams. Historical Register of the Centennial Exposition 1876 http://www.americanh[...] 2021-04-12
[104] 서적 The Westerners Michael Joseph Ltd 1974
[105] 서적 The Conquest of the Missouri: Being the Story of the Life and Exploits of Captain Grant Marsh Murray Hill Books, Inc. 1946
[106] 뉴스 The Custer Syndrome http://www.thedailyb[...] 1991-09-29
[107] 웹사이트 Custer's Last Stand http://www.sonofthes[...]
[108] 서적 Killing Custer –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and the Fate of the Plains Indians Penguin Books
[109] 서적 Crazy Horse and Custer Anchor Books
[110] 서적 Two Leggings. The Making of a Crow Warrior
[111] 웹사이트 Count Carlo Di Rudio at Little Bighorn https://web.archive.[...] Derudio.co.uk
[112] 웹사이트 Ernie Lapointe Family Oral History of Little Big Horn Battle https://www.youtube.[...] 2014-03-24
[113] 서적 The Custer Myth
[114] 웹사이트 The North American Indian. Vol. 3. The Sioux http://curtis.librar[...]
[115] 서적 Hokayhey!
[116] 서적 The Custer Myth Bonanza Books
[117] 웹사이트 Indian Casualties of the Little Big Horn Battle http://www.littlebig[...]
[118] 웹사이트 Gall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119]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Indian Wars Period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20] 웹사이트 Cheyenne Primacy: The Tribes' Perspective As Opposed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Army;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Great Sioux War Of 1876 http://www.friendsli[...] Friends of the Little Bighorn
[121] 웹사이트 He Dog's Story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2 http://www.astonishe[...] Astonisher.com 1920-08-19
[122]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Greasy Grass 140 Years Later: The Complete Story in 18 Drawings http://indiancountry[...] 2016-06-24
[123] 서적 Records of Living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Army (1884) https://books.google[...] Hamersly
[124] 서적 Frontier Regulars: The United States Army and the Indian 1866–1890
[125] 간행물 House Report 95-375
[126] 법률 United States v. Sioux Nation of Indians
[127] 웹사이트 A Complete scanned transcript of the Reno Court of Inquiry (RCOI) http://digicoll.libr[...] Digicoll.library.wisc.edu
[128] 서적 A Terrible Glory: Custer and the Little Bighorn – the Last Great Battle of the American West Little, Brown and Company
[129] 서적 A Terrible Glory
[130] 서적 Son of the Morning Star HarperPerennial
[131] 서적 A Terrible Glory
[132] 서적 A Terrible Glory
[133] 서적 Scalp Dance: Indian Warfare on the High Plains, 1865–1879 Stackpole Books
[134] 서적 Custer: The Controversial Life of George Armstrong Custer Simon & Schuster
[135] 서적
[136] 저널 Libbie Custer http://www.americanh[...]
[137] 서적 op cit
[138] 서적 A Complete Life of General George A. Custer
[139] 웹사이트 Buffalo Bill's Skirmish At Warbonnet Creek http://www.historyne[...] 2006-06-12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212] 서적
[213] 웹사이트 Young John Martin http://custersbugler[...]
[214] E-book Custer Survivors 101: The Impostor Roster Warrior's Quill
[215] 서적 Custer's Luck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16] 서적 Glory-Hunter: A Life of General Cus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4-05-16
[217] 서적 Curse Not His Curls Old Army Press
[218] 서적 I Survived Custer's Last Stand
[219] 서적 The Custer Myth: A source book of Custeriana with a new introduction by Brian C. Pohanka Stackpole Books
[220] 웹사이트 Charles Kuhlman Papers, 1896–1959 http://www.lib.monta[...] University of Montana Library 2013-06-10
[221] 서적 The Frank Finkel Story Citizen Printing Co.
[222] 서적 Sole Survivor: An Examination of the Frank Finkel Narrative North Plains Press
[223] 서적 No Custer Survivors: Or, The Unveiling of Frank Finkel WJBM Associates
[224] 서적 The Frank Finkel Hoax: No Survivor of Custer's Last Stand Old Scout Books
[225] 서적 The Old Wild West: Adventures of Arizona Bill Naylor Company
[226] 서적 The Autobiography of Frank Tarbeaux, as Told to Donald Henderson Clarke https://archive.org/[...] Vanguard Press
[227] 서적 Me and The Black Hills Ed Ryan
[228] 서적 The Old Wild West: Adventures of Arizona Bill Kessinger Publishing
[229] 서적 The Autobiography of Frank Tarbeaux https://archive.org/[...] Vanguard Press
[230] 논문 The case for a Custer Battalion survivor: Private Gustave Korn’s story https://scholarsarch[...]
[231] 뉴스 A Pretended Custer Survivor: Another Attempt to Pose As a Survivor Punctured by the Regiment's Clerk https://news.google.[...] The Big Horn Searchlight 2012-08-02
[232] 웹사이트 Comanche: The Horse that Survived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Part 2 http://newwest.net/t[...] 2007-06-26
[233] 서적 Son of the Morning Star: Custer and the Little Bighorn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7-01-15
[234]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website for the Little Bighorn Battlefield.
[235] 웹사이트 The Indian Memorial Peace Through Unity – Little Bighorn Battlefield National Monument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www.nps.gov/l[...] 2015-04-07
[236] 웹사이트 Martin Pate http://www.friendsli[...] 2010-04-24
[237] 서적
[238] 서적 Legacy: New perspectives on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proceedings of the Little Bighorn Legacy Symposium, held in Billings, Montana, August 3–6, 1994) https://archive.org/[...] Historical Soc. Press
[239] 서적 Custer's List: A Checklist of Pictures Relating to the Battle of the Little Big Horn Amon Carter Museum of Western Art
[240] 웹사이트 Kansas Historical Quarterly – The Pictorial Record of the Old West, 4 http://www.kshs.org/[...] Kansas Historical Society 2012-03-15
[241] 웹사이트 Custer's Last Stand – Artist E.S. Paxson http://home1.gte.net[...] Home1.gte.net 2012-03-15
[242] Drama, Western General Custer at the Little Big Horn https://www.imdb.com[...] Sunset Productions 2021-11-11
[243] 서적 Hollywood's Indian: The Portrayal of the Native American in Fil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1
[244] 비디오게임 Live A Live 1994-09-02
[245] 웹사이트 Custer's Last Stand http://www.bbc.co.uk[...] 2007-02-23
[246] 웹사이트 Custer's Last Stand http://www.bbc.co.uk[...] 2011-10-04
[247] 웹사이트 The War for the Black Hills http://historyonfire[...] 2017-03-31
[248] 서적 제목 없음 https://a.co/d/8RHfc[...]
[249] 기타
[250] 방송 Custer's Last Stand 2002-11-06
[251] 웹사이트 Wood Mountain, Saskatchewan, Canada http://woodmountai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