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환은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후베이성 한커우에서 태어나 우한에서 성장했다. 푸단대학교를 졸업하고 컬럼비아 대학교, 동국대학교, 단국대학교에서 유학했다. 중국 국민당 청년부 부처장, 국립 중산대학 학장, 교육부 장관, 국민당 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1989년 행정원장에 취임했다. 그는 장징궈의 타이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대만 계엄령 해제와 국민대회 개혁에 기여했다. 2010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국대학교 명예박사학위 동문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단국대학교 명예박사학위 동문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대만인 - 슈화
    슈화는 대한민국의 걸 그룹 (여자)아이들의 멤버로서, 음반 활동 외에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대만인 - 진안 (농구 선수)
    진안은 2013년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WKBL 최초 귀화 선수 드래프트 진출 기록을 세운 대한민국 여자 농구 선수로, 2024년 부천 하나원큐와 FA 계약을 맺었으며 WKBL 퓨처스리그 MVP를 2회 수상했다.
  • 캐나다에 거주한 대만인 - 다이안궈
    다이지타오의 서자이자 장제스의 총애를 받은 다이안궈는 중화민국 공군 소장으로 교통부 민항국 국장을 지냈으며, 중화민국 공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독일 등에서 군사 및 경제학, 공학 분야의 학위를 취득했다.
  • 캐나다에 거주한 대만인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리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환 원장
원어 이름李煥
로마자 표기Ri Hwan
출생1917년 2월 8일
출생지중화민국 후베이 성 한커우 (현재의 후베이 성 우한 시)
사망2010년 12월 2일
사망지타이베이 시, 타이완
배우자판싱닝 (潘香凝)
자녀이칭중 (李慶中)
이칭화 (李慶華)
이칭주 (李慶珠)
다이앤 리 (李慶安)
정당중국 국민당
학력푸단 대학 (법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문학 석사)
단국대학교 (문학 석사)
경력
직책중화민국 행정원장
임기 시작1989년 6월 1일
임기 종료1990년 6월 1일
대통령리덩후이
전임위궈화
후임하오보춘
기타 경력중국국민당 최고위원
중국국민당 대표최고위원 겸 고문
중국국민당 명예고문위원

2. 생애

후베이성(湖北省) 한커우(漢口)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징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우한(武漢)에서 성장하였다. 타이완에 있는 푸단(復旦)대학을 나온 후 국립 정즈대학(政治大學)의 전신인 중화민국 베이징 중앙행정학교를 거쳐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대한민국동국대학교, 단국대학교에서 유학하였다.[15][16]

1946년에서 1948년까지 심양일보(瀋陽日報) 사장을 거쳐 중국 국민당에 입당하였다. 1948년 국민당 청년부부처장(青年部副處長), 구국단(救國團) 비서관, 부주임간사장, 주임간사장, 청보회위원(青輔會委員)을 지냈다. 1970년대 국민당 조직과 고위간부 양성에 핵심적 역할을 맡아, 총통 장징궈(蔣經國)의 타이완화정책(臺灣化政策)을 추진하였다. 1977년 당내 보수파의 배척을 받아 중앙정계에서 밀려났다. 1979년에는 타이완에 국립 중산대학(中山大學)을 복교시켜 학장이 되었고 1984년 제15대 교육부 부장(장관)으로 정계에 복귀하였다. 1986년 국민당 중앙상무위원회 위원을 거쳐 1987년 국민당 사무총장이 되었다. 1989년 6월 1일 위궈화(兪國華)의 뒤를 이어 제12대 행정원장(국무총리급)에 취임하였다.[15][16]

그는 푸단대학교에서 법학사 학위를, 컬럼비아대학교 교사대학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대한민국 단국대학교에서 행정학 및 사회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씨는 대한민국 동국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도 받았다.[15][16]

3. 학력


  • 1940년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 푸단 대학 법률학과 학사
  • 1944년 중화민국 허베이 성 국립 정치 대학 중앙정치간부행정학과 학사
  • 1946년 미국 뉴욕주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 석사
  • 1956년 대한민국 서울 단국대학교 대학원 법정학과 사회과학 석사
  • 1958년 대한민국 서울 동국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 1960년 대한민국 서울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

3. 1. 명예 박사 학위

1970년 단국대학교에서 명예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4. 정치 경력

1948년 국민당 청년부부처장(青年部副處長} 및 청보회위원(青輔會委員)을 역임했다. 1979년에는 타이완 국립 중산 대학(中山大學) 학장이 되었다. 1987년 국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고, 1989년에는 제12대 행정원장(국무총리급)에 취임했다.

1972년, 장경국(蔣經國) 총통 재임 시절 국민당 조직부 부장으로 임명된 이환은 혁명실천연구원(Institute of Revolutionary Practice) 최고위급 간부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젊은 당 지도자 수십 명을 선발했다.[3] 훈련 대상자 중에는 연전(連戰), 오보슝(吳伯雄), 사기양(施啓揚)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3]

1977년 중리사건(中壢事件)으로 국민당이 이환의 당외운동(黨外運動)에 대한 유화적인 태도를 문제 삼아 사퇴를 강요했다.[6] 사퇴 후 1979년까지 중국텔레비전(中國電視公司) 회장을 지냈다. 이후 국립 중산 대학(中山大學) 총장, 1984년 교육부 장관을 역임하며 학생들의 머리 길이 제한 폐지, 사립 대학 설립 허용 등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장경국(蔣經國)은 1987년 7월 이환을 국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하며 국민당 개혁, 중화민국 민주화, 통일을 목표로 제시했다.[7] 이환은 대만 계엄령 해제와 국민대회 개혁에 기여했다.[9]

1988년 장경국(蔣經國) 사망 이후 이등휘(李登輝)가 총통직을 승계하자, 이환은 하폐준(郝柏村), 유국화(兪國華) 등과 함께 국민당 내 "궁정파(宮廷派)"를 형성하여 이등휘의 국민당 주석 취임을 막으려 했다.[10][11] 1989년 유국화의 후임으로 행정원장에 임명되었으나, 1990년 이등휘와의 갈등으로 하폐준에게 자리를 내주었다.[13] 이후 국민당 내 "비주류파"의 일원으로서 이등휘와 대립했다.

2010년 12월 2일 타이베이의 국군병원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

5. 사망

6.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2] 웹사이트 Index Le-Lh https://www.rulers.o[...]
[3] 문서 The term "Taiwanese" and "native Taiwanese" in this article may refer to the descendants of the Taiwanese aborigines (the original indigenous peoples who first settled the island), and also to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settled from mainland China before the 1949 Republic of China evacuation as a result of their losing the Chinese Civil War.
[4] 서적 When Parties Fail: Emerging Alternative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5] 서적 The Power of the Ballot Box: Political Development and Election Campaigning in Taiwan Lexington Books 2003
[6] 서적 Taiwan: A Poli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7] 문서 Hu, ''Taiwan’s Geopolitics and Chiang Ching-kuo’s Decision to Democratize Taiwan,'' p. 42.
[8] 문서 Hu, ''Taiwan’s Geopolitics and Chiang Ching-kuo’s Decision to Democratize Taiwan,'' p. 32.
[9] 뉴스 Ma praises Lee Huan for role in political reforms http://www.taipeitim[...] 2010-12-20
[10] 서적 China's Rise, Taiwan's Dilemma's and International Pe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11] 서적 The Perils of Protest: State Repression and Student Activism in China and Taiw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
[12] 뉴스 The many faces of James Soong http://www.taipeitim[...] 2000-03-15
[13] 뉴스 Lee Huan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0-12-12
[14] 뉴스 Lee Huan dies at 95 http://focustaiwan.t[...] 2010-12-02
[15] 웹사이트 리환(李煥,1917.2.8~2010.12.2) http://100.naver.com[...]
[16] 웹사이트 리환 https://zh.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