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라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라탕은 중국 쓰촨성 러산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마라 소스를 사용하여 얼얼하고 매운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뱃사공들이 강가에서 주변 재료를 끓여 먹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훠궈의 전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마라탕은 꼬치를 육수에 담가 먹는 꼬치형과, 손님이 재료를 골라 무게에 따라 가격을 지불하는 뷔페형으로 나뉜다. 2020년대 이후 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위생 문제와 불법적인 양귀비 씨앗 첨가 등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탕 (중국 음식) - 사신탕
  • 탕 (중국 음식) - 산라탕
    산라탕은 신맛과 매운맛이 어우러진 수프로, 사천 요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나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한국에서는 마라탕 유행 이후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형태로도 소비된다.
  • 중국의 길거리 음식 - 젠빙
    젠빙은 중국 북부에서 유래한 밀과 수수를 주재료로 한 납작빵의 일종으로, 삼국 시대에 제갈량이 개발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현재는 중국 전역과 해외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즐겨 먹는다.
  • 중국의 길거리 음식 - 탕바오
    속에 뜨거운 국물이 든 중국 만두 요리인 탕바오는 지역과 조리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먹을 때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고, 샤오롱바오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크고 국물이 많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짜장면
    짜장면은 한국에서 대중적인 면 요리로, 춘장, 채소, 고기 등을 볶아 만든 소스를 밀가루 면에 비벼 먹는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표 메뉴이며, 중국 짜장면에서 유래되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었고, 저렴한 가격과 간편함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특별한 날에 즐겨 먹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유린기
    유린기는 닭고기를 튀겨 소스를 곁들여 먹는 중화 요리로, 닭고기 종류, 소스, 튀김옷에 따라 다양하게 조리되며, 중국 광둥 요리가 기원이다.
마라탕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라탕
한국에서 판매되는 마라탕
중국어 병음málàtàng
광둥어 예일maa4 laat6 tong3
로마자 표기t: málàtàng
s: málàtàng
l: numb spicy hot
j: maa4 laat6 tong3
y: màah laaht tong
음식 정보
이름마라탕
다른 이름해당 없음
나라중국
지역쓰촐성
나라별 요리중국 요리
제조사해당 없음
만든 사람해당 없음
연도해당 없음
최소 시간해당 없음
최대 시간해당 없음
종류해당 없음
코스해당 없음
서브해당 없음
주 재료화자오
부 재료해당 없음
변형해당 없음
1인분100 g
열량해당 없음
단백질해당 없음
지방해당 없음
탄수화물해당 없음
혈당 지수해당 없음
비슷한 음식마라샹궈
훠궈
기타해당 없음
설명
설명numb spicy hot

2. 기원

마라탕은 중국 쓰촨(四川) 러산(樂山)에서 기원하였다. 쓰촨 성의 뱃사공들은 배를 타다 잠시 강가에 정박한 뒤 주위의 재료들을 구해와 한 솥에 넣고 끓여 먹었는데, 여기서 마라탕이 유래되었다.[2][3]

2. 1. 훠궈와의 관계

마라탕의 기원은 중국 쓰촨(四川) 러산(樂山)이다. 많은 사람들이 마라탕을 쓰촨식 훠궈에서 발전된 요리로 알고 있지만, 그 반대로 마라탕이 훠궈의 전신이다.[2][3]

쓰촨성 인근의 양쯔강에서 뱃놀이가 큰 산업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배를 끄는 일로 생계를 유지했다. 뱃사공들은 습하고 안개 낀 날씨 속에서 일하는 것에 매우 아팠다. 그들은 배가 고팠을 때, 냄비에 약초를 넣고 수프에 쓰촨 고추와 생강을 넣어 습기를 제거했다. 이렇게 마라탕이 만들어졌고, 이후 상인들이 이 사업 기회를 발견하고 중국 전역으로 퍼뜨렸다.[2][3]

훠궈는 주문 제작 방식이며 한 테이블의 식사자들만 공유하는 반면, 마라탕은 공동 냄비에 요리되는 길거리 음식에서 유래되었다. 식사자들은 먹고 싶은 것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자리에서 먹거나 포장해 갈 수 있다.[2][3]

3. 종류

반반 냄비의 마라탕(시안시)


꼬치를 담가 먹는 마라탕(베이징 싼리툰)


마라탕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쓰촨 지역이 마라탕의 기원인데, 식당에서는 훠궈와 비슷한 마라탕을 먹으며, 길거리에서는 미리 마련된 육수에 꼬치를 샤브샤브처럼 담갔다가 익혀 먹는다.[11][12] 이처럼 꼬치를 익혀 먹는 마라탕은 마라촨(麻辣串)이나 촨촨샹(串串香)이라고도 부른다.[13] 이 외에도, 원하는 재료를 담아 무게에 따라 계산한 뒤, 한 번에 끓여서 내는 마라탕도 있다.

2010년대에는 [https://no1malatang.com.au/en/ No.1 Malatang]과 양궈푸(Yang Guo Fu)와 같은 체인점이 호주 전역에 새로운 지점을 열면서 호주에서도 마라탕이 인기를 얻었다. 호주의 마라탕 체인점은 락사, 똠얌, 쌀국수 육수와 같은 옵션을 수프 베이스로 제공하기도 한다.

3. 1. 꼬치형 마라탕 (마라촨, 촨촨샹)



마라탕은 쓰촨 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식당에서는 훠궈와 비슷한 마라탕을 먹고, 길거리에서는 미리 마련된 육수에 꼬치를 샤브샤브처럼 담갔다가 익혀 먹는다.[11][12] 이러한 꼬치 형태의 마라탕은 마라촨(麻辣串, 뀀)이나 촨촨샹(串串香)이라고도 부른다.[13] 2000년대 들어 칭다오를 거쳐 베이징에서도 유행하였다.[12]

일반적으로 길거리에 크고 평평한 냄비를 놓고, 꼬치에 꽂힌 여러 재료들을 약간 매운 육수에 넣어 요리한다. 손님들은 테이블에 둘러앉아 먹고 싶은 재료를 골라 먹는다. 다양한 재료가 준비되어 있으므로 모든 재료가 동시에 냄비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며, 손님들은 어떤 재료가 부족한지, 추가해야 하는지 제안할 수 있다.[2][3]

식사를 마친 후에는 사용한 나무 꼬치를 접시 옆에 보관하고, 빈 꼬치 개수를 세어 지불할 가격을 결정한다.[2][3]

3. 2. 뷔페형 마라탕

2010년대 중반 화북 지역, 특히 베이징에서 마라탕 가게가 인기를 얻었다. 이 가게들에서는 보통 재료가 선반에 진열되어 있으며, 손님들은 원하는 재료를 그릇에 담는다. 카운터 뒤에서, 선택된 재료는 3~4분 동안 매우 높은 온도로 매운 육수에 조리된다. 서빙 전에, 마라탕은 일반적으로 많은 마늘, 흑후추, 화자오, 고추, 참깨 페이스트, 그리고 으깬 땅콩으로 양념된다. 가격은 손님이 직접 고른 재료의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된다.[2][3]

마라탕 가게에서 손님이 직접 고르는 재료들. 앞쪽에는 채소와 면이 있고, 뒤쪽에는 생선과 고기가 있다


완성된 마라탕 그릇

4. 특징

마라탕 식당들은 탕에 넣을 재료를 뷔페 형식으로 진열해 놓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의 마라탕 식당들도 대개 이러한 중국 식당의 방식을 사용한다. 손님이 양푼에 먹고 싶은 재료를 담아서 카운터에 내면 무게에 따라 가격을 매긴 후, 주방에서 재료를 넣고 조리하여 탕을 완성해서 가져다 준다.

식당에 따라서 마라탕에 땅콩이나 땅콩 양념을 넣는 곳도 있으므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사전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5. 한국에서의 유행

한국에서 마라탕은 인지도가 별로 없었지만 2020년대 들어 중국인과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문 음식점이 늘어나면서 점점 한국인에게도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2022년 이후 마라탕의 얼얼한 매운맛이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게 되면서 주요 번화가에 여러 마라탕 식당이 생겨나고, 마라라면, 마라치킨, 마라떡볶이, 마라닭발, 마라부대찌개, 마라피자, 마라탕후루 등의 마라 맛을 강조한 가공식품이 출시될 정도로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었다. 현재 대부분 음식점은 신화교가 운영하는 식당으로, 그중 탕화쿵푸는 대표적인 신화교 음식점이다.[1]

6. 위생 논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2019년 6월 3일부터 7월 5일까지 마라탕과 마라샹궈 음식점 63곳을 대상으로 위생 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37곳의 업체가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적발되었다. 이들 업체는 더러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등 위생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14][15] 중국에서도 하이디라오(海底撈)훠궈의 열악한 주방 폭로 사건[16]처럼 마라탕의 위생 불량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7. 자주 사용되는 재료

재료


8. 영양

마라탕은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칼로리가 달라지지만, 대략 700~900kcal 정도이다.[9][10] 기본 재료는 고기(소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 해산물, 두부, 버섯, 당면(중국당면, 분모자 당면, 녹두 당면 등), 면(옥수수면, 뉴진면 등), 분모자(둥근 분모자, 납작 분모자 등) 등이며, 마라탕 양념을 넣어 조리한다. 마라탕 양념은 칼로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주요 식재료에 따라 칼로리가 달라진다. 추가 재료에 따라서도 칼로리가 변동되므로, 구체적인 칼로리는 매우 다양하다.[9][10]

마라탕은 다양한 채소와 고기를 함께 섭취하여 여러 영양소를 흡수하고 영양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준다.[5]

9. 잠재적 위험성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2019년 6월 3일부터 7월 5일까지 마라탕과 마라샹궈 음식점 63곳에서 위생 점검을 하였는데, 더러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등 총 37곳의 업체가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적발되었다.[14][15] 하이디라오 훠궈의 열악한 주방 폭로 사건[16]처럼 마라탕의 위생 불량은 중국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마라탕을 조리할 때 중국에서 불법인 양귀비 씨앗 꼬투리(Papaver somniferum)를 첨가하여 이익을 얻고 있다.[6][7]

참조

[1] 서적 Street Food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7-17
[2] 웹사이트 Malatang https://www.weekinch[...] 2020-09-04
[3] 웹사이트 Malatang Explained: The Sichuan Street-Food Soup Rivalling Ramen https://www.broadshe[...] 2019-07-08
[4] 웹사이트 Mala Tang recipe https://simplechines[...]
[5] 웹사이트 临床医生说科普丨麻辣烫有营养吗? https://m.gmw.cn/bai[...] 2023-10-06
[6] 웹사이트 麻辣烫中非法添加罂粟粉,被判刑!_澎湃号·政务_澎湃新闻-The Paper https://www.thepaper[...] 2023-10-02
[7] 웹사이트 Did Your Last Beijing Meal Taste Addictive? Maybe It Was https://www.thebeiji[...] 2016-01-22
[8] 뉴스 "한국인 입맛에 딱" 양꼬치, 마라탕 이을 중국음식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0-02-03
[9] 뉴스 이제 여름 냉면보다 마라탕이라는데… 건강하게 먹는 법 알아두자 https://health.chosu[...] 2023-09-26
[10] 뉴스 마라탕 1인분 칼로리, '삼겹살+연어초밥+배라 싱글+불닭볶음면' 동시에 먹는 것과 같다 https://www.insight.[...] 인사이트 2023-09-26
[11] 서적 Street Food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12] 뉴스 고추, 마라, 핫소스…‘매운맛 문화권’의 확장과 타락 https://news.naver.c[...] 신동아 2020-03-08
[13] 뉴스 "[아무튼, 주말] 쓰촨식 매운 맛 얼얼한 마라의 매력"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20-02-17
[14] 뉴스 “어제도 먹었는데”…마라탕 음식점 절반이 '위생불량' https://cnbc.sbs.co.[...] SBS 2019-07-22
[15] 뉴스 '"기름때 덕지덕지" 충격의 마라탕 위생실태…식약처 37곳 업체명 공개' http://news.wowtv.co[...] 한국경제TV 2019-07-23
[16] 뉴스 "中 훠궈식당 '하이디라오' 베이징점 2곳 주방 극히 불결"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