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는 100년경 북아프리카 누미디아에서 태어난 로마 시민권자로, 변호사이자 연설가, 문법학자였다. 그는 키케로 다음으로 뛰어난 평가를 받았으며, 142년에는 두 달간 집정관을 지냈다. 프론토는 라틴어의 정확한 사용을 강조하고 키케로 이전 작가들의 어휘를 장려했으며, 만년에 자녀를 잃는 슬픔을 겪었다. 그의 저술로는 제자들과의 서신, 웅변 관련 논문 등이 있으며, 160년대 후반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815년 이후 그의 저작들이 재발견되어 연구되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의 서신은 동성애 여부와 관계없이 고대부터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연애 편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년대 출생 - 대 파우스티나
    대 파우스티나는 로마 황후로 미모와 지혜, 자선 활동으로 존경받았으며, 남편 안토니누스 피우스에 의해 신격화되어 로마 제국 전역에서 숭배받았다.
  • 160년대 사망 - 성윤
    성윤은 후한 시대의 관료로, 효렴으로 천거되어 낭에 제수된 후 의랑, 대홍려, 사공, 사도를 역임했으나 면직되었고 연희 연간에 사망했다.
  • 160년대 사망 -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는 2세기에 활동한 로마 제국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다키아 총독과 집정관을 거쳐 카파도키아 총독을 지냈으나, 161년 파르티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자결했다.
  • 코르넬리우스 씨족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코르넬리우스 씨족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유구르타 전쟁과 동맹시 전쟁에서 공훈을 세워 기원전 88년 집정관에 선출되었고, 미트라다테스 6세와의 전쟁 지휘권을 두고 마리우스와 대립하며 로마를 장악, 숙청을 단행하고 독재관으로 공화정 개혁을 시도하여 로마 공화정 쇠퇴와 제정 이행에 큰 영향을 미친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기본 정보
이름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로마자 표기Marcus Cornelius Fronto
출생약 95년
사망약 175년
직업
직업수사학자
변호사
문법학자
국적
국적로마

2. 생애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는 100년경 누미디아의 키르타에서 로마 시민으로 태어났으며,[2] 리비아인 출신으로 묘사되었다.[3][4] 로마에서 교육받고 변호사와 웅변가로 명성을 얻어 키케로 다음으로 평가받았다.[10] 142년에 로마 집정관을 지냈으나,[11] 건강상의 이유로 아시아 속주 프로콘술 직은 거절했다. 파르티아 전쟁 이후 발생한 안토니누스 역병으로 160년대 후반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이나,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C.R. 헤인즈는 그가 166년 또는 167년에 사망했다고 주장한다.[1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프론토는 100년경 누미디아의 중심지인 키르타에서 로마 시민권자로 태어났다.[19] 그는 자신을 유목민 리비아인이라고 묘사했다.[20][21] 그는 어린 시절에 그리스인 가정교사(paedagogus) 아리델로스(Aridelus)에게 교육받았다.[22][23]

이후에, 그는 철학자 아테노도토스(Athenodotus) 그리고 연설가 디오니시오스(Dionysius)와 함께 로마에서 교육을 계속했다.[24][25][26]

2. 2. 경력과 명성

프론토는 키케로 다음 간다는 평가를 받으며, 곧 변호사이자 연설가로서 유명세를 얻었다. 그는 많은 재산을 축적했고, 웅장한 건축물들을 짓고 그 유명한 마이케나스 정원을 사들였다.[27]

142년에, 그는 두 달간(8월과 9월) 집정관직을 수행했으나,[28] 건강상의 이유로 아시아 속주의 프로콘술직은 거절했다. 그의 생애 말년에 딸 하나를 제외한 모든 자녀들이 사망하면서 깊은 마음의 고통을 입기도 했다. 연설가와 문법학자로서 그의 재능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큰 평가를 받았는데, 이 중 다수의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따 프론토 학파(Frontoniani)를 형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학풍의 중점은 소 세네카 같은 1세기 작가들의 인위적인 표현 대신에 라틴어의 정확한 사용을 주입시키고 키케로 이전 작가들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예상 밖의, 흔치 않은 단어’들을 장려하는 데에 있었다. 그는 키케로가 세련됨에 대해 무심하다며 결점을 지적하기도 했으나, 자신이 그의 글들을 높이 평가한다는 걸 숨기지는 않았다. 결정적인 증거는 없으나 그는 파르티아 전쟁 이후에 발생한 안토니우스 역병으로 인해 160년대 말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인다. C.R. Haines는 그가 166년 혹은 167년에 죽었다고 주장한다.[29]

2. 3. 말년

그는 생애 말년에 딸 하나를 제외한 모든 자녀가 사망하면서 깊은 마음의 고통을 겪었다. 연설가와 문법학자로서 그의 재능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큰 평가를 받았는데, 이 중 다수의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따 프론토 학파(Frontoniani)를 형성한 것으로 여겨진다.[29] 그의 학풍은 소 세네카 같은 1세기 작가들의 인위적인 표현 대신에 라틴어의 정확한 사용을 강조하고 키케로 이전 작가들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예상 밖의, 흔치 않은 단어’들을 장려하는 데에 있었다. 그는 키케로가 세련됨에 대해 무심하다며 결점을 지적하기도 했으나, 자신이 그의 글들을 높이 평가한다는 걸 숨기지는 않았다. 결정적인 증거는 없으나 그는 파르티아 전쟁 이후에 발생한 안토니우스 역병으로 인해 160년대 말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인다. C.R. Haines는 그가 166년 혹은 167년에 죽었다고 주장한다.[29]

2. 4. 프론토 학파

프론토의 재능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큰 평가를 받았으며, 이들 중 다수는 그의 이름을 따 프론토 학파(Frontoniani)를 형성한 것으로 여겨진다.[29] 그의 학풍은 소 세네카 같은 1세기 작가들의 인위적인 표현 대신에 라틴어의 정확한 사용을 주입시키고 키케로 이전 작가들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예상 밖의, 흔치 않은 단어’들을 장려하는 데에 있었다. 그는 키케로가 세련됨에 대해 무심하다며 결점을 지적하기도 했으나, 자신이 그의 글들을 높이 평가한다는 걸 숨기지는 않았다.[29]

3. 현존하는 문서

1815년 이전까지 프론토의 글 중 현존하는 것은 문법 논문인 ‘De nominum verborumque differentiis’와 ‘Exempla elocutionum’ (실제로는 아루시아누스 메시우스의 작품)뿐이었다. 그러나 안젤로 마이가 밀라노암브로시아나 도서관과 바티칸에서 팔림프세스트 필사본을 발견하면서 프론토의 편지와 답장, 친구들과의 서신 등이 추가로 발견되었다.[30]

이 문서들은 낭만주의 학파들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웠다. 프론토의 교육 방식이 고대 작가 연구를 강조하는 등 당시 경향과 맞지 않았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현명한 조언을 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못했으며, 잦은 건강 불평이 공감보다는 짜증을 유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Dorothy Brock의 연구처럼 긍정적인 재평가도 이루어졌다.[30]

프론토의 서신은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루키우스 베루스 등과의 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제자들의 성품과 스승에 대한 애정을 보여준다.[31] 아울루스 겔리우스에게 보낸 편지처럼 개인적인 내용도 있다. 웅변술, 역사, 문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글들과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가 남긴 연설 일부도 남아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명상록》에서 프론토의 수사학적 가르침보다는 그에게서 배운 폭정의 문제점과 로마 상류층의 감정적 결핍을 언급한다. 프론토는 '애정이 넘치는'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필로스토르고스(φιλόστοργος)'에 해당하는 라틴어 단어가 없음을 지적했다.[33] 아우렐리우스와 프론토의 서신은 고대부터 전해지는 유일한 연애 편지로, 둘 사이의 친밀함을 보여준다.[34]

3. 1. 발견

1815년까지 프론토의 글 중에서 현존하는 것은 문법 논문인 ‘De nominum verborumque differentiis’와 ‘Exempla elocutionum’ (실제론 아루시아누스 메시우스의 것이었다)이었다. 그 해에 안젤로 마이는 밀라노암브로시아나 도서관에서 팔림프세스트 필사본을 발견했는데, 거기에는 원래 제자들에게 보내는 프론토의 문서와 이들의 회신 일부가 적혀 있었다. 4년 후에 마이는 바티칸에서 밀라노에서 찾았던 필사본 몇 장들을 더 찾아냈다. 이 팔림프세스트들은 원래 보비오에 있는 유명한 성 콜룸바누스 수도원의 것이었고, 그곳의 수도사들이 쓴 제1차 칼케돈 공의회의 포고문들이 적혀 있었다.[30]

암브로시아나의 팔림프세스트 내용들은 다른 원고들과 함께 1815년 로마에서 출판되었다. 바티칸의 문서들은 또다른 바티칸 필사본에서 나온 프론토의 저서 중 하나인 ‘Gratiarum actio pro Carthaginiensibus’의 부분과 함께 1823년에 더해졌다. 1956년에 베른하르트 비쇼프가 밀라노 팔림프세스트와 겹쳐 있는, 프론토와 베루스 간의 서신의 부분들을 담고 있는 세 번째 필사본을 찾아냈다. 그렇지만, 그 문서가 프론토의 것일지 모른다고 추측했었던 타생 수사가 1750년에 이 필사본을 처음 발표했었다.[30]

3. 2. 내용

1815년까지 프론토의 글 중에서 현존하는 것은 문법 논문인 ‘De nominum verborumque differentiis’와 ‘Exempla elocutionum’ (실제론 아루시아누스 메시우스의 것이었다)이었다. 그해, 안젤로 마이가 밀라노암브로시아나 도서관에서 팔림프세스트 필사본을 하나 찾아냈는데, 거기에는 원래 제자들에게 보내는 프론토의 문서와 이들의 회신 일부가 적혀 있었다. 4년 후에 마이는 바티칸에서 밀라노에서 찾았던 필사본 몇 장을 더 찾아냈다. 이 팔림프세스트들은 원래 보비오에 있는 유명한 성 콜룸바누스 수도원의 것이었고, 그곳의 수도사들이 쓴 제1차 칼케돈 공의회의 포고문들이 적혀 있었다.[30]

암브로시아나의 팔림프세스트 내용들은 다른 원고들과 함께 1815년 로마에서 출판되었다. 바티칸의 문서들은 또 다른 바티칸 필사본에서 나온 프론토의 저서 중 하나인 ‘Gratiarum actio pro Carthaginiensibus’의 부분과 함께 1823년에 더해졌다. 1956년에 베른하르트 비쇼프가 밀라노 팔림프세스트와 겹쳐 있는, 프론토와 베루스 간의 서신 부분들을 담고 있는 세 번째 필사본을 찾아냈다. 그렇지만, 그 문서가 프론토의 것일지 모른다 추측했었던 타생 수사가 1750년에 이 필사본을 처음 발표했었다.[30]

이때 발견된 원고들은 낭만주의 학파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는데, 부분적으로 프론토의 가르침 방식이 적절한 표현 방식을 찾기 위해 고대 작가들을 연구하는 것을 강조하는 등 최근의 경향과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자코모 레오파르디가 있던 이탈리아는 예외였다). 또한 이 원고들이 프론토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지혜로운 조언자였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는 점(실제로 정치적 조언이라고 할 만한 흔적이 없었다)과 Ad M. Caesarem 5권에서 자주 목격된 지병에 대한 그의 잦은 불평이 측은함보다는 성가심을 일으키게 한다는 점도 있었다. 이 부정적인 평가들은 Dorothy Brock의 Studies in Fronto and his 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에서 호의적인 평가를 받은 것처럼 있는 그대로 평가를 받으며 다시 한번 뒤바뀌게 된다.

문서들의 대부분은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루키우스 베루스 등과의 서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서신에서 프론토의 제자들의 성향들이 매우 호의적으로 나타나며, 특히나 이들 모두 자신들의 옛 스승에 대한 호감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31] 또한 친구들에게 보낸 서한들도 있었으며, 주로 추천서이긴 했지만, 그 중 하나(Ad amicos 1. 19)는 출판 때문에 프론토의 저작집들의 원고들을 얻으려 했던 아울루스 겔리우스에 대해 기분이 언짢았던 프론토(ego epistulas invitissime scribo, “나는 마지못해 편지를 쓰고 있네”)가 불평을 토로한 것이었다(프론토는 ‘아티카 야화’에 다섯 챕터에 하며, 그럼에도 이 문서들에서 보인 그의 성향은 때로는 그 자체보다는 겔리우스의 성향에 좀 더 가깝게 보인다). 그의 집필 문서들에는 웅변에 관한 논문, 일부 역사에 관한 것들, 연기와 먼지에 대한 찬가, 태만에 관한 찬가 등의 문학적인 것들 그리고 아리온에 대한 논문 등도 있었다. 추가적으로 그의 연설에 대한 일부를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가 남겨두기도 했는데 (Octavius 9. 6-7), 여기에서 프론토는 기독교인들의 베타적인 난행을 비난하였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명상록》에서 프론토의 수사적인 가르침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으며, 그리스어로 글을 쓰지만, 그리스인 웅변술 교사이자 오랜 기간 친구인 헤로데스 아티쿠스만큼 많이 언급하지도 않았다. 그렇지만 그는 프론토가 자신에게 폭정의 악폐와 로마 상류층들의 감정적 결핍을 알려주었다고 했다. 전자는 흔한 내용이기에, 하드리아누스 치세 삶에 대한 감춰진 언급이 있을 것이며, 프론토는 하드리아누스에 대해서 사랑보다는 두려움을 느꼈다라며 회고했었다.[32] 후자는 ‘애정이 넘치는’을 뜻하는 그리스어 필로스토르고스(φιλόστοργος)와 동일한 라틴어가 없다는 프론토의 비평에서 발생한 것이다.[33] 아우렐리우스와 프론토 간의 친밀함을 알려준 이들 간의 서신은 고대에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연애 편지(동성애이든 아니든)이다.[34]

4. 평가

1815년까지 프론토의 것으로 잘못 알려진 작품은 두 개의 문법 논문뿐이었다. 그해 안젤로 마이는 밀라노암브로시아나 도서관에서 팔림세스트 필사본을 발견했는데, 여기에는 프론토가 황제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와 답장이 담겨 있었다. 4년 후 마이는 바티칸에서 이 필사본의 다른 부분을 발견했다. 이 필사본들은 원래 보비오의 성 콜룸바누스 수도원에 속해 있었고, 수도사들이 제1차 칼케돈 공의회의 내용을 덧씌워 쓴 것이었다.[13]

이 단편들은 뛰어난 명성을 가진 작가의 작품으로는 부족하여 낭만주의 학자들을 실망시켰다. 그 이유는 프론토의 가르침이 고대 작가를 연구하여 인상적인 단어를 찾는 것을 강조했기 때문에 당시 유행과 맞지 않았고, 프론토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현명한 조언자였다는 가정을 뒷받침하지 못했으며, 그의 잦은 건강 불평이 동정심보다 짜증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는 프론토가 본모습 그대로 읽히면서 바뀌었는데, 이는 도로시 브록의 논문 ''Studies in Fronto and his Age''(1911)에서 나타났다.

편지의 대부분은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루키우스 베루스와의 서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자들이 옛 스승에 대해 변함없는 애정을 유지하는 모습에서 프론토의 제자들의 성격이 긍정적으로 나타난다.[14] 또한 친구들에게 보낸 편지, 웅변술에 관한 논문, 역사 단편, 문학적 잡동사니도 포함되어 있다. 프론토가 기독교인들을 근친상간적인 향연으로 고발하는 연설의 단편은 미누키우스 펠릭스에 의해 보존되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그의 ''명상록''에서 프론토의 수사학적 가르침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프론토가 그에게 폭정의 악과 로마 상류층의 애정 결핍에 대해 가르쳤다고 언급한다(1.11).[15] 아우렐리우스와 프론토 사이의 편지들은 그들의 관계의 친밀한 본질을 드러내며, 고대 시대부터 전해지는 유일한 연애 편지이다.[17]

참조

[1] 논문 Die Fasti consulares der Regierungszeit des Antoninus Pius, eine Bestandsaufnahme seit Géza Alföldys Konsulat und Senatorenstand Bonn
[2] 서적
[3] 서적 The African Emperor Batsford
[4] 서적 Fronto and Antonine Rome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Classical Rhetorics and Rhetoricians: Critical Studies and Sourc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6] 서적 A Commentary on the Letters of M. Cornelius Fronto https://books.google[...] Brill
[7] 서적 Fronto
[8] 서적 Fronto: Selected Letter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9] 웹사이트 Greek Letters-Marcus Cornelius Fronto https://archive.org/[...]
[10] 서적
[11] 논문
[12] 서적
[13] 서적 Texts and Transmission: A Survey of the Latin Classics Clarendon Press
[14] 서적 Marcus Aurelius in Lo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문서 Ad M. Caesarem
[16] 문서 Ad Verum and Ad amicos
[17] 서적 Marcus Aurelius in Lo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논문 Die Fasti consulares der Regungszeit des Antoninus Pius, eine Bestandsaufnahme seit Géza Alföldys Konsulat und Senatorenstand Bonn
[19] 서적
[20] 서적 The African Emperor Batsford
[21] 서적 Fronto and Antonine Rome Harva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Classical Rhetorics and Rhetoricians: Critical Studies and Sourc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23] 서적 A Commentary on the Letters of M. Cornelius Fronto https://books.google[...] Brill
[24] 서적 Fronto
[25] 서적 Fronto: Selected Letter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6] 웹사이트 Greek Letters-Marcus Cornelius Fronto https://archive.org/[...]
[27] 서적
[28] 논문
[29] 서적
[30] 서적 Texts and Transmission: A Survey of the Latin Classics Clarendon Press
[31] 서적 Marcus Aurelius in Lo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문서 Ad M. Caesarem
[33] 문서 Ad Verum and Ad amicos
[34] 서적 Marcus Aurelius in Lo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