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톤피 페렌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톤피 페렌츠는 부다페스트 출신의 언어학자로, 중국학과 한국어학을 연구했다. 에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서 중국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어의 인칭 개념,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언어의 존칭 표현, 중국어와 생성 문법에서의 품사 개념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중국어 품사 문제에 관하여' 등이 있으며, 저작 목록은 '한국 문명의 측면'에 수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저술가 - 샬롬 하리프 울만
    프로이센 군주국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치세 초기에 샬롬 하리프 울만은 프로이센 추밀원 행정관 직책을 잠시 맡았다.
  • 헝가리의 언어학자 - 코다이 졸탄
    코다이 졸탄은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민속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로, 바르토크 벨라와 함께 헝가리 민요를 연구하여 민족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민속 음악 요소와 서유럽 음악 전통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과 혁신적인 음악 교육 방법인 '코다이 메소드'로 세계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언어학자 - 히다시 유디트
    헝가리의 언어학자이자 교육자인 히다시 유디트는 부다페스트 비즈니스 스쿨 교수 및 국제 관계 이사, 헝가리·일본 우호 협회 회장을 지냈으며 일본 연구, 응용 언어학,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활동하며 교육 발전 공헌으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부다페스트 출신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부다페스트 출신 - 자 자 가보르
    자 자 가보르는 헝가리 출신의 배우이자 사교계 명사로, 영화 《물랑 루즈》에 출연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아홉 번 결혼하고 텔레비전 쇼와 영화에 출연했으며, 1989년 경찰관 폭행 사건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2016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마르톤피 페렌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마르톤피 페렌츠
원어 이름Mártonfi Ferenc
출생일1945년 6월 13일
사망일1991년 6월 20일 (향년 46세)
국적헝가리
배우자비하르 유디트
자녀마르톤피 아틸라
학문 분야
분야언어학
관심 분야생성 문법
중국학
한국학

2. 생애

(내용 없음)

2. 1. 학력 및 경력

1963년 부다페스트의 에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68년 중국학 학위를 취득했다.

3. 주요 연구 분야

마르톤피 페렌츠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어학과 중국어학이다. 그는 각 언어의 문법적 특징, 특히 한국어의 인칭 및 존칭 표현과 중국어의 품사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했다.

3. 1. 한국어학

1971년부터 1972년까지 세게드에서 발표된 언어학 논문을 통해 한국어에서의 인칭 개념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일반 언어학 연구(VIII권)를 통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언어에서의 존칭 표현 형식에 관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990년에는 서울에서 발표된 민현식의 명사화 연구("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479-492쪽)를 참조하여 관련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3. 2. 중국어학

마르톤피 페렌츠는 중국어학 분야에서도 연구 활동을 펼쳤다. 특히 중국어의 품사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1971년에는 헝가리의 철학 학술지인 《Magyar Filozófiai Szemlehun》에 「중국어 품사 문제에 관하여」( A kínai szófaj kérdéséhezhun )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중국어의 품사 분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이후 1977년에는 부다페스트에서 발간되는 동양학 학술지 《Acta Orientalia》에 「중국어와 생성 문법에서의 '품사' 개념에 관하여」( On conceptions of "parts of speech" in Chinese and generative grammareng )라는 논문을 게재하며, 생성 문법 이론의 관점에서 중국어 품사 개념을 분석하는 연구를 이어갔다.

4. 저서 및 논문


  • 중국어와 생성 문법에서의 "품사" 개념에 관하여 (On conceptions of "parts of speech" in Chinese and generative grammar영어), ''Acta Orientalia'', 부다페스트, 1977.
  • 마르톤피 페렌츠 저작 선별 목록 (Mártonfi Ferenc írásainak válogatott bibliográfiájahu). 엮음. 이바니 타마스(Iványi Tamáshu). In: ''한국 문명의 측면 (Aspects of Korean Civilization영어)''. 엮음. 비르탈란 아그네스(Birtalan Ágneshu). 부다페스트 :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내아시아 연구학과, 2002. pp. 58–60.
  • 한국어에서의 인칭 개념의 위치와 역할 (A személy-fogalom helye és szerepe a Koreaibanhu). 언어학 논문 (Nyelvészeti dolgozatokhu), 세게드, 1971-72. pp. 101-108.
  •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언어에서의 존칭 표현 형식에 관하여 (A tiszteletiség kifejezési formáiról a kelet- és délkelet-ázsiai nyelvekbenhu). 일반 언어학 연구 (Általános Nyelvészeti Tanulmányokhu), VIII. pp. 165-180.
  • 중국어 품사 문제에 관하여 (A kínai szófaj kérdéséhezhu), ''Magyar Filozófiai Szemle'', 1971, pp. 242–257.

참조

[1] 웹사이트 Judit Vihar http://ezwieback.com[...] Our Family History 2017-02-14
[2] 서적 Aspect of Korean Cicilization http://www.academia.[...]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 2017-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