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는 헝가리의 팔라틴 요제프 대공의 딸로, 1853년 벨기에의 레오폴드 왕세자와 결혼하여 벨기에 왕세자비가 되었다. 1865년 레오폴드 1세가 사망하고 남편 레오폴드 2세가 즉위하면서 벨기에 왕비가 되었으나, 정략결혼으로 인한 부부 불화와 남편의 냉대로 불행한 결혼 생활을 보냈다. 그녀는 음악과 승마에 관심을 가졌으며, 의료 활동에도 참여했다. 만년에는 스파에서 은거하며 "스파의 여왕"으로 불렸고, 1902년 사망하여 라켄의 왕실 납골당에 매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왕비 - 스웨덴의 아스트리드
스웨덴의 공주 아스트리드는 1926년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3세와 결혼하여 벨기에 왕비가 되었으나, 1935년 자동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벨기에 국민들에게 큰 슬픔을 안겼다. - 벨기에의 왕비 - 루이즈 도를레앙 (1812년)
루이즈 도를레앙은 프랑스 국왕 루이 필리프 1세의 장녀로 태어나 벨기에 국왕 레오폴 1세와 결혼하여 벨기에 왕비가 되었으며, 자선 활동과 정치 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나 결핵으로 사망했다. - 레오폴 2세 - 벨기에 공주 스테파니
벨기에 공주 스테파니는 레오폴드 2세의 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루돌프와 결혼했으나 사별 후 헝가리 귀족과 재혼하여 후작부인으로 여생을 보냈다. - 레오폴 2세 - 콩고 국제 협회
콩고 국제 협회는 1880년대 콩고 지역에서 활동하며 레오폴 2세의 영향력 아래 콩고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인정받고 독립국으로 승인받은 단체이다. - 오스트리아의 왕녀 - 마리루이즈 도트리슈
마리루이즈 도트리슈는 오스트리아 황제의 딸로, 나폴레옹 1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황후가 되었고, 나폴레옹 몰락 후에는 파르마 공국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류마티스성 흉막염으로 사망했다. - 오스트리아의 왕녀 - 에일리카 폰 올덴부르크
에일리카 폰 올덴부르크는 올덴부르크 대공가의 후손으로 게오르크 폰 합스부르크와 결혼하여 합스부르크 가문과 올덴부르크 가문의 결합을 이루고 세 자녀를 두었다.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전체 이름 | 마리 앙리에트 안 |
출생일 | 1836년 8월 23일 |
출생지 | 부다 성, 부다, 헝가리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
사망일 | 1902년 9월 19일 |
사망지 | 스파, Hôtel du Midi |
매장지 | 라켄 노트르담 교회 |
왕족 정보 | |
가문 | 합스부르크-로렌 가문 |
아버지 | 요제프 안톤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
어머니 | 마리아 도로테아 폰 뷔르템베르크 공녀 |
종교 | 가톨릭교회 |
배우자 정보 | |
배우자 | 레오폴드 2세 |
결혼 | 1853년 8월 22일 |
자녀 | 루이즈, 필리프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자비 레오폴드, 브라반트 공작 스테파니, 오스트리아 황태자비 클레망틴, 나폴레옹 공자비 |
왕비 정보 | |
왕비 | 벨기에 왕비 |
재위 기간 | 1865년 12월 10일 – 1902년 9월 19일 |
2. 유년 시절
마리 헨리에테는 헝가리의 팔라틴 요제프 대공과 뷔르템베르크 공작부인 마리아 도로테아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자녀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아버지 쪽으로는 오스트리아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사촌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2세의 손녀였다. 어머니 쪽으로는 미래의 영국 여왕 메리의 고종사촌이었다.
1853년 레오폴드 왕세자와의 결혼은 1853년 8월 22일, 마리 헨리에테의 17번째 생일 바로 전날 이루어졌다. 레오폴드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1세와 오를레앙의 루이즈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 마리 헨리에트는 멕시코의 황후가 될 벨기에의 샤를로트의 시누이였고, 영국의 빅토리아와 포르투갈의 마리아 2세와는 결혼을 통해 사촌 관계였다.
아버지는 헝가리의 팔라틴이었으며, 마리 헨리에테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헝가리의 부다 성에서 보냈다. 10세 때 아버지를 여읜 후에는 빈의 아우가르텐 궁전에서 오스트리아의 요한 대공의 보호를 받았다. 그녀는 어머니에 의해 "남자아이처럼" 길러졌다고 전해지며, 기승에 관심이 많고 강한 의지와 뜨거운 성격을 가진 활기차고 정력적인 사람이었다.
헝가리 왕국 부왕을 지낸 오스트리아 대공요제프 안톤과 그의 세 번째 아내인 뷔르템베르크 공녀 마리아 도로테아의 막내딸로, 헝가리 왕국의 페슈트에서 태어났다.
3. 결혼 생활
이 결혼은 벨기에 군주국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정략결혼이었다. 새로 건국된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드 1세는 개신교 군주였기에, 자신의 아들이 가톨릭 명문가인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부와 결혼하기를 원했다. 또한 이 결혼은 벨기에 왕국과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합스부르크 왕조 간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만드는 의미도 있었다.
결혼은 레오폴드 1세가 마리 헨리에테의 후견인인 오스트리아 대공 요한에게 제안하여 성사되었으며, 두 사람은 이 사실을 모른 채 1853년 5월 호프부르크 황실 무도회에서 처음 만났다. 두 사람 모두 서로에게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고, 마리 헨리에테는 결혼에 반대했지만 어머니의 설득으로 결국 받아들였다. 레오폴드 역시 아버지의 강요로 결혼에 동의했다고 전해진다.
마리 헨리에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1853년 8월 8일 비엔나에서 결혼 계약서에 서명했다. 8월 10일 쇤브룬 궁전에서 대리 결혼식을 치른 후, 브뤼셀로 이동하여 8월 22일 레오폴드와 정식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후에는 벨기에 지방을 순회하고 10월에는 영국을 방문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레오폴드 1세에게 부부의 성격 차이에 대해 언급했는데, 마리 헨리에트는 지적이고 교양 있는 여성으로 묘사된 반면, 레오폴드는 말솜씨는 좋지만 군사 문제에만 관심을 가질 뿐 두 사람 사이에 공통 관심사가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4명의 자녀가 태어났지만, 정략결혼이었기에 부부의 불화는 공공연한 비밀이었다.[13] 레오폴드는 애첩을 부부의 옆방으로 데려오는 등 마리 헨리에테를 냉대했고, 레오폴드 1세는 이를 방관했다.[14]
3. 1. 벨기에 왕세자비 시절
1853년에 벨기에의 레오폴드 왕세자와 정략결혼을 맺었으나, 부부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13] 레오폴드는 애첩을 부부의 옆방으로 데려오는 등 마리 앙리에트를 냉대했고, 레오폴드 1세는 이를 방관했다.[14] 한편, 레오폴드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관계 파탄을 우려하여 막내딸 마리 샤를로트 공주와 막시밀리안 (후의 멕시코 황제)의 혼담을 추진했다.[15]
마리 헨리에테는 1853년 8월 22일, 17세 생일 바로 전날 18세의 벨기에 왕위 계승자 레오폴드 왕자와 결혼했다. 레오폴드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1세와 그의 프랑스인 아내 오를레앙의 루이즈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 마리 헨리에트는 멕시코의 황후가 되는 벨기에의 샤를로트의 시누이였고, 영국의 빅토리아와 포르투갈의 마리아 2세와는 결혼을 통해 사촌 관계였다.
이 결혼은 벨기에 군주국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새로 건국된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드 1세는 개신교 군주였기에, 자신의 아들이 가톨릭 명문가인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부와 결혼하기를 원했다. 이 결혼은 벨기에 왕국과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합스부르크 왕조 간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만드는 의미도 있었다.
결혼은 레오폴드 1세가 마리 헨리에테의 후견인인 오스트리아 대공 요한에게 제안하여 성사되었으며, 두 사람은 이 사실을 모른 채 1853년 5월 호프부르크 황실 무도회에서 처음 만났다. 두 사람 모두 서로에게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고, 마리 헨리에테는 결혼에 반대했지만 어머니의 설득으로 결국 받아들였다. 레오폴드 역시 아버지의 강요로 결혼에 동의했다고 전해진다.
마리 헨리에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1853년 8월 8일 비엔나에서 결혼 계약서에 서명했다. 8월 10일 쇤브룬 궁전에서 대리 결혼식을 치른 후, 브뤼셀로 이동하여 8월 22일 레오폴드와 정식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후에는 벨기에 지방을 순회하고 10월에는 영국을 방문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레오폴드 1세에게 부부의 성격 차이에 대해 언급했는데, 마리 헨리에트는 지적이고 교양 있는 여성으로 묘사된 반면, 레오폴드는 말솜씨는 좋지만 군사 문제에만 관심을 가질 뿐 두 사람 사이에 공통 관심사가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이처럼 두 사람의 의사와 상관없이 이루어진 결혼은 처음부터 불행할 수밖에 없었다.
3. 2. 불행한 결혼 생활
벨기에 레오폴드 왕자와 마리 헨리에테의 결혼은 1853년 8월 22일, 그녀의 17번째 생일 바로 전날에 이루어졌다. 레오폴드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1세와 그의 프랑스인 아내 오를레앙의 루이즈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 이 결혼은 벨기에 군주국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정략결혼이었다. 새로 건국된 벨기에의 국왕은 자신의 아들이 로마 가톨릭교를 믿고 명망 있는 왕가, 특히 합스부르크 가문의 일원과 결혼하기를 원했다.[13]
결혼은 마리 헨리에테의 미래 시아버지인 벨기에 국왕이 그녀의 후견인인 오스트리아 대공 요한에게 제안하여 성사되었으며, 두 사람 몰래 진행되었다. 그녀는 1853년 5월 호프부르크 황실 무도회에서 레오폴드를 처음 만났고, 그와 결혼할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그녀와 레오폴드는 서로에게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고, 그녀는 결혼에 반대했지만 어머니의 설득으로 결국 받아들였다. 레오폴드 역시 아버지 때문에 결혼에 동의했다고 한다.
마리 헨리에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1853년 8월 8일 비엔나에서 결혼 계약서에 서명했다. 8월 10일 쇤브룬 궁전에서 대리 결혼식을 올린 후, 브뤼셀로 가서 8월 22일 레오폴드와 직접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후에는 벨기에 지방을 순회하고 10월에는 영국을 방문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레오폴드 1세에게 부부의 차이점에 대해 언급했는데, 마리 헨리에트는 지적이고 교양 있는 여성으로 묘사된 반면, 레오폴드는 군사 문제에만 관심을 가졌고, 둘 사이의 공통 관심사는 전혀 없었다. 이 결혼은 두 사람의 의지와는 반대로 이루어졌고, 처음부터 불행할 운명이었다.[14]
1854년 4월, 레오폴드와 마리 헨리에트는 브라반트 공작과 공작부인으로서 라켄 궁전에 정착했다. 부부는 국왕과 그의 어린 자녀 필리프, 벨기에의 샤를로트와 함께 살았다. 마리 헨리에트는 시아버지와 가까운 관계를 맺지 못했지만, 샤를로트와는 친구가 되었다. 그녀는 메로드 백작 부인이 이끄는 자신의 가정을 꾸렸다. 그녀는 동물, 특히 말과 승마에 대한 관심이 많아 약 50마리의 말을 소유했으며, 원숭이와 개 사육, 앵무새와 물고기 사육도 시도했다. 또한 음악에 대한 관심을 키워 노래, 피아노, 하프 레슨을 받았다.
1855년, 레오폴드는 건강상의 이유로 더 따뜻한 기후로의 여행을 권유받았다. 마리 헨리에트는 비엔나, 트리에스테, 코르푸를 경유하여 이집트, 예루살렘으로 가는 여행에 동행했다. 또한 만국 박람회 참석을 위해 프랑스를 국빈 방문했는데, 이때 다시 한번 부부의 상이함이 주목받았다. 마리 헨리에트는 강하고 활기차며 정력적인 반면, 레오폴드는 진지하고 건조하며 허약하다고 묘사되었다. 파울리네 폰 메테르니히는 그들의 결혼을 "마부와 수녀 사이의 결혼이며, 수녀는 브라반트 공작을 의미한다"라고 표현했다.
1856년, 그녀의 사촌 오스트리아 대공 막시밀리안은 미래의 아내인 마리 헨리에트의 시누이 샤를로트를 만나기 위해 벨기에 궁정을 방문했다. 그는 마리 헨리에트가 벨기에 왕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평가했다.
1858년, 마리 헨리에트는 첫 아이를 낳았지만 딸이었기에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왕위 계승자는 1859년에 태어났다. 1860년과 1864년에 레오폴드는 마리 헨리에트 없이 이집트, 실론, 인도, 중국으로 장기간 건강 여행을 떠났다. 두 여행 모두 마리 헨리에트가 임신했을 때 이루어졌으며, 그녀는 남편이 멀리 떠나는 동안 아이들과 집에 남겨진 것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했다.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관계 파탄을 두려워한 레오폴드 1세는 막내딸 마리 샤를로트 공주와 막시밀리안의 혼담을 추진했다.[15]
3. 3. 벨기에 왕비 시절
1853년에 벨기에의 레오폴드 왕세자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4명의 자녀가 태어났지만, 정략결혼이었기에 부부의 불화는 공공연한 비밀이었다.[13] 게다가 레오폴드는 애첩을 부부의 옆방으로 데려오는 등, 마리 앙리에트를 냉대했지만, 이러한 상황을 시아버지 레오폴드 1세는 방관했다.[14]
1865년 12월 10일, 레오폴드 1세 국왕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레오폴드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마리 헨리에트는 왕비가 되었다. 국왕 즉위식에서 마리 헨리에트의 참석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국왕은 이를 거부했고 왕비는 대신 행사의 관람자로 전락했다.
마리 헨리에트와 레오폴드는 국왕과 왕비로서 처음 7년 동안 함께 살았지만, 그들의 관계는 소원했고 레오폴드는 예의 바르지만 권위적인 남편으로 묘사되었다. 마리 헨리에트는 오페라와 연극에 관심이 많아 라 모네 왕립 극장을 자주 방문했고, 왕실 전용석에는 왕비가 수년간 사귄 개인적인 친구들과 사교할 수 있는 개인실이 마련되어 있었다.
1867년, 그녀의 시누이인 멕시코의 샤를로트 황후는 시가인 합스부르크 가문에 의해 정신 불안정으로 갇히게 되었다. 마리 헨리에트는 레오폴드에게 샤를로트의 벨기에 석방을 협상하는 임무를 받았다. 그녀는 고문관인 아드리앙 고피네 남작과 함께 빈으로 가서 2주간의 협상 끝에 임무를 완수했다. 샤를로트는 처음에는 라켄에 있는 왕실 부부와 함께 머물렀고, 마리 헨리에트는 그녀 곁을 거의 떠나지 않고 그녀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헌신했다고 한다. 샤를로트는 개선의 조짐을 보였지만, 다시 퇴행하자 마리 헨리에트는 인내심을 잃고 1869년 샤를로트는 라켄에서 영구적으로 제거되었다.
1869년, 왕실 부부의 외아들이 사망했다. 마리 헨리에트는 레오폴드만큼 슬픔을 공개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레오폴드 없이 스위스와 헝가리를 여러 차례 여행하며 슬픔을 달랬고, 종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국왕과 왕비는 또 다른 아들을 갖기 위해 일시적으로 화해했지만, 그들의 노력으로 1872년 또 다른 딸 클레멘틴이 태어나자, 그들은 비록 공식적으로는 결혼한 상태였지만 남은 생애 동안 따로 살았다. 레오폴드 2세는 마리 헨리에트가 아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고, 그녀는 이를 용서할 수 없었다. 그녀는 또한 레오폴드의 공공연한 간통에 의해 굴욕을 느꼈다. 1872년 이후 그들은 더 이상 개인적으로 관여하지 않았지만, 국왕과 왕비로서 계속해서 대중 앞에 나타났다. 1878년 8월 국왕과 왕비의 결혼 기념일은 벨기에 전역에서 국가적인 축하 행사의 대상이 되었다. 축제가 열리고, 공공 건물이 장식되었으며, 4일의 공휴일이 선포되었다. 마리 헨리에트는 공공 위원회를 통해 시민들의 기부로 마련된 티아라를 받았고, 왕비는 감사의 뜻으로 애국적인 연설을 했다.
마리 헨리에트 여왕은 음악과 그림에 관심이 많았다. 그녀의 주요 관심사는 그녀의 헝가리 말이었다. 그녀는 말을 타기 위해서만 기른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말을 번식시키는 데 참여했다. 그녀는 또한 말의 필요를 직접 돌보았는데, 이는 당시 왕족 여성에게는 통례적인 일이 아니었고 괴짜로 여겨졌다.
여왕은 군사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벨기에 동부의 베벌루에서 열리는 군사 훈련에 자주 참석했으며, 베벌루라는 이름을 붙인 헝가리 말을 타고 다녔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1871) 동안 그녀는 의료 활동에 참여했다. 벨기에는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여왕은 국경을 넘어온 전쟁 부상병들을 돌보는 데 헌신했다. 그녀는 스당 전투 이후 브뤼셀의 왕궁을 부상병을 위한 병원으로 개방하도록 국왕을 설득했고, 그곳에서 부상병들을 직접 돌보았다. 그녀의 노력은 인정받아 작센의 요한 1세 국왕으로부터 시도니 훈장을 받았다. 그녀는 또한 1871년 브뤼셀에서 발생한 천연두 유행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돌보는 데 참여했다.
아들이 죽은 후, 마리 헨리에트는 자녀들을 거의 완전히 유모와 가정교사에게 맡겼는데, 그들은 권력을 남용하고 아이들을 함부로 대했다고 한다. 반면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소원한 존재가 되었고, 가정교사의 엄격한 훈육 방식을 승인했다. 그녀는 딸들이 왕족과의 결혼을 하기를 원했다. 그녀는 루이즈의 결혼에 기뻐했는데, 이는 그녀에게 어릴 적 헝가리를 자주 방문할 기회를 주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1881년 딸 스테파니가 오스트리아 황태자와 명망 있는 결혼을 한 것에 기뻐했다. 1889년 마이얼링 사건에서 사위인 오스트리아 황태자가 자살했을 때, 마리 헨리에트와 레오폴드는 오스트리아 황제의 금지를 무시하고 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그녀는 막내딸 클레멘틴과 남편의 조카인 벨기에 황태자 사이의 결혼을 지지했고, 1891년 황태자가 사망하자 큰 충격을 받았다.
마리 헨리에트 여왕은 콩고에 대한 레오폴드 국왕의 관심을 지지하지 않았고, 이를 멕시코 제국의 실패한 프로젝트에 비유하며, 식민지 프로젝트 전체를 비현실적인 모험으로 간주했다.
마리 헨리에트 여왕은 여왕으로서의 대표적인 의무와 브뤼셀의 궁정 생활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스파를 자주 방문했고, 그녀의 의례적인 의무는 딸 클레멘틴에게 맡겼다. 스파와 아르덴은 그녀에게 어린 시절의 헝가리를 연상시켰고, 그녀는 산책과 승마를 즐겼다. 1895년에 이 반복적인 상황은 영구적이 되었다. 1895년 그녀는 스파로 물러났고, 막내딸 클레멘틴이 남편의 남은 생애 동안 브뤼셀 궁정의 퍼스트 레이디 역할을 대신했다. 마리 헨리에트는 스파에 있는 호텔 뒤 미디를 구입하고 남편과 사실상 별거했다. 그녀는 조수 오귀스트 고피네와 함께 별장 옆에 말 18마리를 두고, 경마에 참석하고 외국 고위 인사를 맞이했다. 그녀는 스파 시에 한정하여 여왕으로서의 의무를 계속 수행했고, 학교를 방문하고 자선 활동을 하고 예술가를 보호했으며, "스파의 여왕"으로 불렸다.
장남 레오폴드 왕자의 요절과 남편 레오폴드 2세와의 불화로, 마리 앙리에트는 점차 우울해져 갔다. 만년에는 공적인 역할을 셋째 공주 클레멘틴에게 맡기고, 온천지인 스파에 은거했다.
4. 만년
장남 레오폴드 왕자가 요절하고 남편 레오폴드 2세와의 불화로, 마리 앙리에트는 점차 우울해져 갔다. 만년에는 공적인 역할을 셋째 공주 클레멘틴에게 맡기고, 온천지인 스파에 은거했다. 마리 앙리에트는 1902년에 사망했으며, 유해는 라켄의 노트르담 드 라켄 교회에 있는 왕실 납골당에 매장되었다.
5. 자녀
이름 | 출생 | 사망 | 기타 |
---|---|---|---|
루이즈 | 1858년 2월 18일 | 1924년 3월 1일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필리프 공자와 결혼 |
레오폴 | 1859년 6월 12일 | 1869년 1월 22일 | 브라반트 공작 |
스테파니 | 1864년 5월 21일 | 1945년 8월 23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루돌프와 결혼 |
클레망틴 | 1872년 7월 30일 | 1955년 3월 8일 | 나폴레옹 빅토르 보나파르트와 결혼 |
참조
[1]
웹사이트
sparealites.com
https://archive.toda[...]
[2]
서적
Marie-Henriette: une amazone face à un géant
Éditions Racine
2001
[3]
서적
Marie-Henriette : une amazone face à un géant
Éditions Racine
2001
[4]
웹사이트
The Edinburgh Gazette, Issue 7312, Page 396
https://www.thegazet[...]
1863-03-24
[5]
웹사이트
The London Gazette, Issue 25773, Page 109
https://www.thegazet[...]
1888-01-05
[6]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1877
https://books.google[...]
[7]
간행물
Soberanas y princesas condecoradas con la Gran Cruz de San Carlos el 10 de Abril de 1865
http://www.hndm.unam[...]
National Digital Newspaper Library of Mexico
2020-11-14
[8]
서적
The Diary of H.M. The Shah of Persia during his tour through Europe in A.D. 1873: A verbatim translation
John Murray
1874
[9]
논문
Agraciamentos Portugueses Aos Príncipes da Casa Saxe-Coburgo-Gota
https://www.academia[...]
2014
[10]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73
Heinrich
[11]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1900
[12]
서적
An Almanack for the Year of Our Lord ...
https://archive.org/[...]
J. Whitaker
[13]
문서
菊池 2014,p121
[14]
문서
菊池 2014,p121-122
[15]
문서
菊池 2014,p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