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1787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나폴레옹에 대한 반감을 품고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했다. 그녀는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남편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제2의 마리아 테레지아'로 칭송받았다. 1808년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재정적, 군사적 지원 약속을 받아냈으며,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나폴레옹 몰락 후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부다페스트의 루도비카 군사 아카데미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괴테는 그녀를 존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황후 -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는 사르데냐 국왕의 딸로 오스트리아 황태자와 결혼하여 오스트리아 황후와 보헤미아 왕비가 되었으며, 혁명 후 프라하에서 남편을 보필하며 자선 사업에 헌신했다.
  • 오스트리아의 황후 - 엘리자베트 인 바이에른 여공작
    바이에른 여공작 엘리자베트는 오스트리아 황후이자 헝가리 왕비로, 자유로운 성격과 헝가리에 대한 애정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에 기여했으나, 아들의 죽음과 암살로 비극적인 만년을 보냈다.
  • 아스부르고에스테가 - 모데나 레조 공국
    모데나 레조 공국은 1452년 데스테 가문이 공작령을 제안받아 시작되었으며,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이루었으나,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1860년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되어 이탈리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 아스부르고에스테가 -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위 계승자이자 오스트리아-에스테 가문의 수장으로, 1914년 사라예보 사건으로 아내와 함께 암살당해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군권을 장악하고 제국 내 슬라브족의 자치권 확대를 주장하는 등 정치적 견해를 피력하기도 했다.
  • 헝가리의 왕비 - 마리아 아나 데 에스파냐 왕녀
    마리아 아나 데 에스파냐 왕녀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의 딸로 태어나 잉글랜드 왕세자와의 결혼이 무산된 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30년 전쟁 중 사망했다.
  • 헝가리의 왕비 -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헝가리 왕비와 네덜란드 총독을 역임하며 가문의 이익을 옹호한 인물이다.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빈 미술사 박물관의 초상화
빈 미술사 박물관의 초상화
이름마리아 루도비카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로마자 표기Maria Ludovika von Österreich-Este
전체 이름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안토니아 요제페 요한나 (Maria Ludovika Beatrix Antonia Josephe Johanna)
출생일1787년 12월 14일
출생지밀라노 공국, 몬차
사망일1816년 4월 7일
사망지오스트리아 제국,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베로나
매장지오스트리아 제국, 카푸치너 납골당
가문오스트리아-에스테 가문
아버지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어머니마사-카라라 여공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배우자
배우자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 (1808년 결혼)
왕족 정보
정배 칭호오스트리아 황후
기타 칭호헝가리 왕비
보헤미아 왕비
롬바르도=베네토 왕비
즉위일1808년 1월 6일
퇴위일1816년 4월 7일
대관식1808년 9월 7일, 브라티슬라바 성 마르틴 대성당
기타
관련 항목오스트리아 군주 배우자 목록 (더 보기...)

2. 생애

그녀는 10살 때 나폴레옹의 북부 이탈리아 점령으로 가족과 함께 오스트리아로 피신했고, 이로 인해 나폴레옹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을 갖게 되었다. 1808년 1월 6일 사촌 관계였던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와 결혼했다. 그녀는 마리아 루이제 여대공과 나폴레옹의 결혼을 반대했지만,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에 의해 좌절되었다.[10] 이후 북부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났으나, 결핵이 악화되어 28세의 나이로 베로나에서 사망했다.[10]

2. 1. 어린 시절

마리아 루도비카는 1787년 12월 14일 몬차에서 태어났다. 1796년 나폴레옹의 북부 이탈리아 정복으로 가족과 함께 오스트리아로 피신했고, 이로 인해 나폴레옹에 대한 적대감을 갖게 되었다.[10] 그녀는 마리아 테레지아의 측근이었던 알메슬로 백작부인에게 교육받았다.

2. 2. 결혼 생활

1808년 1월 6일 사촌 관계였던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와 결혼했다. 슬하에 자녀는 없었다. 그녀는 전 황후였던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의 장녀 마리 루이제 여대공과 나폴레옹의 결혼을 반대했지만,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에 의해 좌절되었다.[10]

마리아 루도비카의 초상화 (by 베른하르트 폰 게라르, 1808년경)


마리아 루도비카 황후, 세 명의 의붓자녀와 함께: 페르디난트, 마리아 레오폴디나, 프란츠 카를


마리아 루도비카는 오스트리아 내 반(反) 나폴레옹 1세 세력의 중심 인물이었으며,[1] 남편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뛰어난 통치 능력으로 백성들에게 '제2의 마리아 테레지아'라고 칭송받을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2][6] 오스트리아 외무부 장관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와 대립하기도 했다.

1808년 프레슈부르크(현재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성 마틴 대성당에서 거행된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헝가리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헝가리 왕실에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약속받았다.[3]

1809년 나폴레옹 전쟁에 반대하였으며, 같은 해부터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1812년에는 나폴레옹이 러시아와의 전쟁을 기념하기 위해 소집한 독일 군주들의 회의에 마지못해 참석했다.

2. 3. 빈 회의와 사망

1815년 빈 회의의 주최자였다. 나폴레옹이 몰락한 이후, 1815년 말 고향인 북이탈리아로 여행을 갔지만, 베로나에서 결핵으로 28세의 나이에 사망했다.[8] 그녀는 의 황실 묘소에 안장되었다.[8]

3. 업적 및 평가

마리아 루도비카는 나폴레옹 1세의 강력한 적이었으며, 오스트리아 내에서 나폴레옹에 대한 가장 ശക്ത한 반대 세력 중 하나였다.[1] 이러한 이유로 프랑스는 그녀와 프란츠 1세의 결혼에 반대하기도 했다.

마리아 루도비카는 남편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뛰어난 통치 능력으로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그녀는 백성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어 '제2의 마리아 테레지아'로 불리기도 했다.[2]

1808년 프레슈부르크에서 열린 헝가리 왕비 대관식에서 마리아 루도비카는 헝가리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헝가리인들은 필요할 경우 왕실에 재정 및 군사적 지원을 대규모로 제공하겠다고 선언했다.[3] 또한, 그녀는 헝가리 왕비 즉위 당시 부다페스트에 루도비카 군사 아카데미 설립을 후원하기 위해 50000포린트를 기부하기도 했다.

마리아 루도비카는 요한 대공과 함께 전쟁을 지지하는 여론을 이끌었다.[2][6] 1808년 스페인 반란은 전쟁을 지지하는 세력이 힘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4]

마리아 루도비카는 나폴레옹의 군대가 스페인에서 저지른 잔혹 행위에 진심으로 괴로워했다.[7] 하지만, 1809년 나폴레옹 전쟁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4. 기타

부다페스트의 마리아 루도비카 황후 기념비


몬차 대성당에는 1816년 황제와 함께 마리아 루도비카 황후가 방문했음을 언급하는 대형 대리석 기념 명판이 있다.

1901년 헝가리 왕립 루도비카 군사 학교에서는 마리아 루도비카 황후를 중앙에 두고, 요제프 대공과 János Buttler를 양쪽에 묘사한 대형 청동 기념비가 공개되었다.

5. 가계

조상
1.마리아 루도비카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2.페르디난트 카를
3.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
4.프란츠 1세
5.마리아 테레지아
6.에르콜레 3세 데스테, 모데나 공작
7.마리아 테레사 치보-말라스피나
8.레오폴트
9.엘리자베스 샤를로트 도를레앙
10.카를 6세
11.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12.프란체스코 3세 데스테, 모데나 공작
13.샬롯 아글라에 도를레앙
14.알데라노 1세 치보-말라스피나, 마사 공작
15.리치아르다 곤차가


참조

[1] 서적 Vienna in the Age of Metternich: From Napoleon to Revolution, 1805–1848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975
[2] 서적 The Napoleonic Wars and German Nationalism in Austria, Issue 324 Columbia University Press 1930
[3] 서적 Neue deutsche Biographie: Maly-Melanchthon Duncker & Humblot 1990
[4] 서적 Wars of Napoleon,Th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5] 서적 Napoleon: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0-05-11
[6] 서적 Napoleon https://books.google[...] New Word City 2016
[7] 서적 Citizen Emperor: Napoleon in Power 1799–181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3
[8] 서적 Die Habsburger 1988
[9] 서적 Goethe and the Poets of Arabia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14
[10] 서적 Die Habsburger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