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미쓰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미쓰치카는 요도 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미쓰히로의 셋째 아들로, 도바 번과 마쓰모토 번의 번주를 역임했다. 1712년에 태어나, 숙부 도다 미쓰노리의 양자가 되었다가 친아버지의 적자가 되었으며, 아버지의 사망으로 도바 번주가 되었다. 이후 마쓰모토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닛코 도쇼구 참배 경호를 맡기도 했다. 1732년 2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동생인 마쓰다이라 미쓰오가 가문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바번주 - 구키 히사타카
구키 히사타카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구키 요시타카의 양손자이며, 상속 분쟁으로 토바번에서 산다번으로 감봉된 후 다카쓰키번의 수위를 맡았다. - 도바번주 - 구키 모리타카
구키 모리타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구키 수군을 이끈 구키 요시타카의 뒤를 이어 가독을 상속받아 도바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오사카 전투 참전, 에도성 축성 협력 등의 활동을 했다. - 마쓰모토번주 - 홋타 마사모리
홋타 마사모리는 하급 무사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츠보네와의 인척 관계를 통해 로쥬까지 오른 다이묘로, 이에미쓰 사망 후 순사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출신 배경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마쓰모토번주 - 오가사와라 히데마사
오가사와라 히데마사(1569년 ~ 1615년)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세력을 키웠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오사카 전투에서 전사했다. - 도다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미쓰나가 (1643년)
마쓰다이라 미쓰나가는 에도 시대 오가키 번의 2대 번주로, 선대 번주 마쓰다이라 미쓰시게의 장남으로 태어나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동생들에게 영지를 분할해 준 후 사망, 인의를 갖춘 통치자로 묘사된다. - 도다 마쓰다이라가 - 다카사키번
에도 시대 고즈케국 다카사키 지역을 다스린 다카사키번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이 나오마사에게 성을 건설하게 하면서 시작되어 여러 가문이 통치했으며, 막부 말기 덴구토 당의 난 진압, 보신 전쟁 때 신정부군에 합류 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마쓰다이라 미쓰치카 | |
---|---|
기본 정보 | |
씨족 | 도다 마쓰다이라 가문 |
묘소 | 기후현모토스시 지쇼인 |
생애 | |
시대 | 에도 시대 중기 |
출생 | 쇼토쿠 2년 9월 22일 (1712년10월 22일) |
사망 | 교호 17년 8월 11일 (1732년9월 29일) |
초명 | 도다 미쓰시게 |
이명 | 도다 미쓰치카 |
계명 | 태심원 |
관위 | 종5위 하, 단바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번 | 야마시로요도 번 번주→시마도바 번 번주→시나노마쓰모토 번 번주 |
아버지 | 마쓰다이라 미쓰히로 |
어머니 | 쓰즈키 씨 |
양아버지 | 도다 미쓰노리 |
형제 | 마쓰다이라 미쓰치카, 도다 미쓰키요, 미쓰오 |
자녀 | 딸 (아오야마 유키미치 정실, 후 다테베 나가노리 정실), 양자: 미쓰오 |
관직 경력 | |
요도 번 번주 (도다 마쓰다이라 가) | 임기: 1717년 대수: 2 전임자: 마쓰다이라 미쓰히로 후임자: 마쓰다이라 노리사토 |
도바 번 번주 (도다 마쓰다이라 가) | 임기: 1717년 ~ 1725년 전임자: 이타쿠라 시게하루 후임자: 이나가키 데루카타 |
마쓰모토 번 번주 (도다 마쓰다이라 가, 재봉) | 임기: 1725년 ~ 1732년 대수: 1 전임자: 미즈노 다다쓰네 후임자: 마쓰다이라 미쓰오 |
2. 생애
1712년(쇼토쿠 2년) 요도 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미쓰히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숙부 도다 미쓰노리의 양자로 들어갔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친아버지의 적자가 되었다. 이는 본가를 이을 예정이었던 형들이 잇따라 요절했기 때문이다.
1717년(교호 2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고 시마 도바 번으로 이봉되었다. 1725년(교호 10년)에는 시나노 마쓰모토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종5위하 단바노카미에 서위 및 임관되었다. 1728년(교호 13년)에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닛코 참배 경호를 맡았다.
1732년(교호 17년) 2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양자이자 동생인 미쓰오가 뒤를 이었다.
2. 1. 출생과 가계 승계
正徳일본어 2년(1712년) 9월 22일, 요도 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미쓰히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享保일본어 1년(1716년) 4월 27일, 숙부 도다 미쓰노리(마쓰다이라 미쓰나가의 셋째 아들, 하타모토 3000 표)의 양자가 되어 가독을 상속받아 요리아이에 들어갔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22일, 친아버지 미쓰히로의 적자가 되었다. 이는 본가를 이을 예정이었던 장형(타로마쓰)과 차형(키시로)이 잇따라 요절했기 때문이다. 하타모토 도다가는 단절되었다.享保일본어 2년(1717년) 11월 1일, 아버지의 사망으로 뒤를 이었다. 동시에 시마 도바 번으로 이봉되었다.
2. 2. 번주 시절
1717년(교호 2년) 11월 1일,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고 동시에 시마 도바 번으로 옮겨 봉해졌다. 1723년(교호 8년) 4월 1일,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알현하였다. 1725년(교호 10년) 10월 18일, 도바 번에서 시나노 마쓰모토 번으로 옮겨 봉해졌다. 같은 해 12월 18일, 종5위하 단바노카미에 서위 및 임관되었다.1728년(교호 13년) 4월 1일,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닛코 참배 시 경호를 맡았다. 1730년(교호 15년) 9월 23일, 처음으로 영지에 들어가는 것이 허가되었다. 1731년(교호 16년) 8월 11일부터 21일까지 영내를 순시하였다. 1727년(교호 12년) 윤1월, 마쓰모토 번의 혼마루 어전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재정난으로 인해 재건하지 못하고 니노마루 어전을 정청으로 사용하였다.
2. 3. 사망
正徳일본어 2년(1712년) 9월 22일에 태어나, 享保일본어 1년(1716년) 숙부의 양자가 되었다가, 같은 해 친아버지의 적자가 되어 가독을 이을 예정이었으나, 享保일본어 17년(1732년) 2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양자이자 친동생인 미쓰오가 가독을 이었다.3. 가계
마쓰다이라 미쓰히로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측실 쓰즈키 씨이다. 도다 미쓰노리의 양자가 되었다. 측실로는 신가 씨가 있으며, 딸 아오야마 유키미치의 정실이 되었다가 이후 건부 나가노리의 정실이 되었다. 친동생 마쓰다이라 미쓰오를 양자로 들였다.
3. 1. 부모
- 친부: 마쓰다이라 미쓰히로
- 친모: 쓰즈키 씨 (측실)
- 양부: 도다 미쓰노리
3. 2. 측실
신가 씨3. 3. 자녀
종류 | 이름 | 비고 |
---|---|---|
딸 | 아오야마 유키미치 정실, 이후 건부 나가노리 정실 | 생모는 측실 신가 씨 |
3. 4. 양자
마쓰다이라 미쓰오 (친동생)4. 역임 번
번 이름 | 역임 기간 |
---|---|
요도 번 | 1717년 |
도바 번 | 1717년 ~ 1725년 |
마쓰모토 번 | 1725년 ~ 1732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