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요리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요리노부는 모리야마 번의 4대 번주이다. 1830년 아버지 마쓰다이라 요리사다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번 재정 악화로 인해 호농과 호상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했지만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고, 농민 수탈이 심해졌다. 이로 인해 영민들의 소동이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1862년에 사망하여 셋째 아들 마쓰다이라 요리마스가 뒤를 이었다. 정실은 도쿠가와 하루노리의 딸 포희이며, 자녀로는 마쓰다이라 요리시게, 마쓰다이라 요리토, 마쓰다이라 요리마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리야마번주 - 마쓰다이라 요리유키 (1858년)
에도 시대 말기에서 메이지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마쓰다이라 요리유키는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로 태어나 마쓰다이라 요리마사의 양자가 되었고, 폐번치현 후 마쓰카와 현의 현 지사를 역임했으나 16세에 요절했다. - 모리야마번주 - 마쓰다이라 요리노리 (1832년)
마쓰다이라 요리노리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자 메이지 시대의 자작으로, 모리야마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토모의 양자가 되어 번주 자리를 계승했으며, 덴구당의 난 수습, 오우에쓰 열번 동맹 가담 시도 후 신정부군에 항복, 메이지 유신 이후 지번사가 되었으나 병으로 은거했다. - 모리야마 마쓰다이라가 - 모리야마번
모리야마번은 미토번에서 분가되어 히타치국 누카다에서 시작하여 무쓰국 모리야마로 영지를 옮겼으며, 막말에는 덴구토의 난에 연루되고 보신 전쟁에서 항복한 후 마쓰카와번으로 개칭되었다. - 모리야마 마쓰다이라가 - 누카다번
누카다번은 1661년부터 1700년까지 존속한 번으로,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아들인 마쓰다이라 요리모토가 미토 번에서 분할받아 세워졌으며, 산킨고타이 의무는 없었으나 1700년에 모리야마번으로 이전하며 폐지되어 구 영지는 미토 번에 반환되었다. - 1862년 사망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862년 사망 - 존 타일러
존 타일러는 미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 사망 후 부통령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텍사스 합병을 추진했다.
마쓰다이라 요리노부 | |
---|---|
기본 정보 | |
씨명 | 마쓰다이라씨 지류 미토 도쿠가와가 지류 모리야마 마쓰다이라가 |
시대 | 에도 시대 후기 |
출생 | 교와 3년 1월 24일(1803년2월 15일) |
사망 | 분큐 2년 8월 13일(1862년9월 6일) |
관위 | 종4위하 대학두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나리 → 도쿠가와 이에요시 → 도쿠가와 이에사다 → 도쿠가와 이에모치 |
번 | 무쓰모리야마번 번주 |
묘소 | 불명 |
가계 | |
아버지 | 마쓰다이라 요리치카 |
어머니 | 불명 |
양어머니 | 마사히메 |
형제자매 | 다카, 구메, 기, 요리토모, 요리카타, 가쓰히메, 에이, 와타, 요리나가 양형제자매: 나카야마 노부토모 정실 |
배우자 | 정실: 쓰쓰미히메 계실: 노부히메 |
자녀 | 요리시게, 요리토, 요리노리, 요리아키라, 요리무라 |
경력 | |
모리야마 번주 재임 기간 | 1830년 ~ 1862년 |
전임 | 마쓰다이라 요리요시 |
후임 | 마쓰다이라 요리노리 |
2. 약력
모리야마 번 4대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사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30년(덴포 원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했다. 재임 중 번 재정 악화와 농민 소동이 발생했다[1]. 1862년(분큐 2년)에 사망하여 셋째 아들 요리마스가 뒤를 이었다.
2. 1. 가독 상속
덴포 원년(1830년)에 아버지 마쓰다이라 요리사다가 사망하여 가독을 상속했다. 번 재정 악화로 호농(豪農)·호상(豪商)으로부터 4500냥을 차입했으나, 재정이 더욱 압박받아 농민 수탈이 심해졌다. 이에 대한 감면 요구, 스케고 반대, 부정 행위를 한 촌역인의 해임 요구 등, 요리노부 재임 중에는 영민에 의한 소동이 빈번하게 발생했다[1].2. 2. 번 재정 악화와 농민 소동
번 재정이 악화되어 호농(豪農)과 호상(豪商)으로부터 4,500냥을 차입했으나, 이는 오히려 재정 압박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 이로 인해 농민 수탈이 심해지자, 농민들은 연공 감면을 요구하고, 스케고에 반대하며, 부정행위를 한 촌역인을 해임할 것을 요구하는 등 요리노부 통치 기간 내내 소동을 빈번하게 일으켰다.[1]2. 3. 사망
1862년(분큐 2년)에 사망하였고, 셋째 아들 요리마스가 뒤를 이었다.[1]3. 가계
松平頼誠|마쓰다이라 요리노부일본어는 슬하에 정실 도쿠가와 하루노리의 딸 포희와의 사이에서 장남 요리시게, 차남 요리토, 삼남 요리마스, 장녀 선희, 차녀 유를 두었고, 계실 마쓰다이라 요리사토의 딸 신과의 사이에서는 자녀가 없었다. 생모 불명의 자녀로는 사남 요리아키라, 오남 요리무라가 있다.
3. 1. 처
- 정실: 포희 - 도쿠가와 하루노리의 딸
- 계실: 신 - 마쓰다이라 요리사토의 딸
3. 2. 자녀
부인 | 자녀 |
---|---|
도쿠가와 하루노리의 딸 포희 | |
마쓰다이라 요리사토의 딸 신 | |
생모 불명 | 자녀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