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이라 하루사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1751년에 태어나 1818년에 사망한 인물로, 이즈모 마쓰에 번의 7대 번주이자 다인(茶人)이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번주가 된 후, 번정 개혁을 통해 재정을 안정시키고 농업과 특산품 재배를 장려했다. 뛰어난 다도 실력으로 '불매(不昧)'라는 호를 사용했으며, 다도와 관련된 저서를 남기는 등 문화 활동에도 힘썼다. 말년에는 장남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사후 마쓰에 번 부흥의 영웅으로 평가받아 마쓰에 신사에 합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에번주 - 호리오 다다우지
    호리오 다다우지는 1577년 또는 1578년에 태어나 호리오 요시하루의 차남으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이즈모와 오키 24만 석을 가증받았으나 27세 또는 28세의 나이로 급사했다.
  • 마쓰에번주 - 마쓰다이라 요시토
    마쓰다이라 요시토는 에도 시대의 무장으로 마쓰에 신덴 번의 초대 번주이자 마쓰에 번의 4대 번주이며,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로부터 편휘를 받아 개명하였다.
  • 마쓰에 마쓰다이라가 - 마쓰에번
    마쓰에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후 호리오 타다우지를 시조로 이즈모와 오키 두 국을 할당받아 시작되어, 호리오 가문과 교고쿠 가문 통치 후 1638년부터 마쓰다이라 가문이 다스렸으며, 막말 신정부에 순응하여 폐번치현 후 시마네현에 통합되었다.
  • 마쓰에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나오유키 (1682년)
    마쓰다이라 나오유키는 1682년에 태어나 1718년에 사망한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며, 이즈모국 히로세번주 마쓰다이라 지카토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마쓰다이라 나오토모의 양자가 되어 가독을 잇고, 종5위하, 시나노노카미, 오미노카미를 거쳐 1717년 이토이가와번주가 되었다.
  • 에도 시대의 다인 - 오다 나가마스
    오다 나가마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동생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워 유라쿠류를 창시한 다인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호 유라쿠는 도쿄도 유라쿠초 지명의 유래 설이 있다.
  • 에도 시대의 다인 - 이이 나오스케
    이이 나오스케는 1815년에 태어나 1850년 히코네 번의 번주가 되었으며, 다이로로서 미국과의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막부 정치를 주도했으나 안세이 대옥을 일으켜 비판받았고, 1860년 사쿠라다 문 밖의 변에서 암살당했다.
마쓰다이라 하루사토
기본 정보
마쓰다이라 후마이
마쓰다이라 후마이
이름마쓰다이라 하루사토
다른 이름마쓰다이라 후마이
법명후마이
출생1751년 3월 11일
사망1818년 5월 28일
묘소도쿄도분쿄구 오쓰카의 고코쿠지
교토부교토시기타구 무라사키노의 다이토쿠지 탑두 고호안
시마네현마쓰에시 소토나카하라초의 겟쇼지
관위종4위하시종
사도노카미
데와노카미
좌근위권소장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하루 → 이에나리
가문운슈 마쓰다이라 가문
아버지마쓰다이라 무네요시
어머니가기
형제자매하루사토
아키치카
마키타 사다키요
이오
이쿠모
배우자정실: 다테 무네무라의 9녀 · 가타코
측실: 다케이 씨
자녀나리쓰네
남자
도미
이쿠치카
양자오카다 요시카쓰
정치 경력
직책마쓰에번 번주 (마쓰에 마쓰다이라 가문)
대수7대
임기1767년 ~ 1806년
전임마쓰다이라 무네노부
후임마쓰다이라 나리쓰네

2. 생애

1751년 3월 11일(음력 2월 14일)[9], 무네타다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767년(메이와 4년), 아버지의 은거로 가독을 계승했다. 10대 장군 이에하루로부터 받은 편휘와 조부 노부타다의 이름 “나오토모”의 한 글자를 따서 하루사토(治郷)라고 이름을 지었다.

당시 마쓰에번은 재정이 파탄난 상태였다. 주변에서는 “운슈사마(마쓰에 번 번주)는 아마 멸망할 것이다”라고 속삭일 정도였다. 하루사토는 가로 시게야스와 함께 번정개혁에 착수했다. 적극적인 농업 정책과 치수 공사를 실시하고, 면화, 인삼, 닥나무, 붉나무 등 상품 가치가 높은 특산품을 재배하여 재정 재건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면에는 엄격한 정책이 시행되었다. 빚을 모두 탕감하고, 번표 사용을 금지했으며, 검약령을 내리고, 촌역인 등의 특권 행사 중지, 조세 징수를 사공육민에서 칠공삼민으로 변경했다. 1778년(안에이 7년) 케이스케의 방사림 사업과 1785년(덴메이 5년) 타헤이에의 사다가와 치수 사업이 완료되어 번의 재정 개혁은 성공했다.

재정 재건 후, 하루사토는 뛰어난 다도인으로서 1500냥이나 하는 “유야 견충”을 비롯한 고가의 다기들을 많이 구입하여 낭비했다. 이 때문에 번의 재정은 다시 악화되었다(개혁은 시게야스가 주도했고, 하루사토는 정치에 간섭하지 않았다).

1806년(분카 3년) 3월 11일, 장남 나리츠네에게 가독을 양위하고 은거하여, 1818년(분세이 원년) 4월 24일(음력)에 사망했다. 향년 68세. 묘소는 마쓰에 시의 겟쇼지이다.

동생 노부치카는 하이카이 등을 즐기는 취미인으로 마쓰다이라 세츠카와로 알려져 있다.

2. 1. 유년 시절

하루사토는 1751년 에도(현재의 도쿄)의 마쓰다이라 저택에서 마쓰에번의 6대 번주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차남으로 태어났다.[2][9]

2. 2. 번주 취임과 번정 개혁

하루사토는 1767년(메이와 4년)에 아버지 무네노부가 은거하면서 이즈모 마쓰에번의 번주 자리를 계승했다.[3] 당시 마쓰에번은 막부의 명령에 따라 연락사 사찰 수리에 많은 비용을 쏟아부어 재정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4]

이에 하루사토는 가로(家老)인 아사히 시게야스와 함께 번정개혁에 착수했다. 적극적으로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치수 사업을 통해 논의 안전성을 높이는 정책을 펼쳤다.[4] 또한, 면화, 인삼, 닥나무, 붉나무 등 상품 가치가 높은 특산품 재배를 장려하여 재정 재건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이면에는 엄격한 조치들도 함께 시행되었다. 이전까지의 빚을 모두 탕감하고, 번표 사용을 금지했으며, 엄격한 검약령을 내리고 촌역인 등의 특권 행사 중지, 조세 징수를 사공육민에서 칠공삼민으로 변경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검약, 긴축 정책을 바탕으로 1778년(안에이 7년)에는 이노우에 케이스케에 의한 방사림 사업이 완료되었고, 1785년(덴메이 5년)에는 키요하라 타헤이에에 의한 사다가와의 치수 사업도 완료되어, 번의 재정 개혁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 결과, 비어 있던 번의 금고에 많은 돈이 쌓였다고 전해진다.

2. 3. 다인(茶人) 후마이

어린 시절부터 석주류(石州流) 다도와 참선 수행을 쌓았다. 은퇴 후 무문관(無門関)의 공안 "백장야호(百丈野狐)"에서 따와 "불매(不昧)"라는 호를 지었다.[10] 다인으로서 재능이 뛰어나 와비차의 이념을 설파한 『체언(贅言)』이나, 『고금명물류종(古今名物類従)』, 『세토도기난상(瀬戸陶器濫觴)』 등 다기(茶器)에 관한 저서를 남겼다.[11]

1770년에는 자신의 다도관을 담은 「무다고토(無駄語)」라는 논문을 저술했다. 「무다고토」에서 하루사토는 "다도를 사치스럽게 만들고, 아름다움을 극한까지 추구하여 화려하게 하는 것은 괴로운 일이다... 오히려, 다도는 나라를 잘 다스리는 데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6][7]

그의 다도 스승은 이사 고타쿠(伊佐幸卓)(1684~1745)였다. 그는 린자이종(臨済宗) 선승 이케이 소에쓰(池上宗悦)의 제자였고, 이케이 소에쓰는 다시 다이묘이자 다도 명인인 카타기리 사다마사 세키슈(片桐貞昌石州)(1605~1673)의 제자였다. 그는 또한 아라이 이츠슈(荒井伊都雄)(1726~1804)로부터 센노 리큐(千利休)의 다도 가르침을 기록한 「난포로쿠(南方録)」 사본을 입수했다. 아라이 이츠슈는 에도에서 호소카와 다다오키(細川忠興) (호소카와 산사이(細川三斎)라고도 함)의 다도 전통을 계승한 다도 애호가였다.[8]

하루사토에 의해 건축된 차실(茶室)로는 스가다안(菅田庵)(1790년 건축, 국가 중요문화재)이나 시오미나와테(塩見縄手)의 메이메이안(明々庵)(1779년 건축) 등이 현존한다. 이 외에도 다도에 필요한 화과자(和菓子)에 대해서도, 하루사토가 다인으로 활약함에 따라 마쓰에 성하에서는 명품이라고 불리는 것이 많이 탄생했다. 이 때문에 마쓰에 지방에서는 전차(煎茶)도가 발달하여, 지금도 술잔 모양의 찻잔으로 마시는 풍습이 남아 있다. 하루사토가 수집한 다기 명품·야마가와(山川), 와카쿠사(若草), 나타네노사토(菜種の里) 등이나 정원, 또는 마쓰에 명물 보테보테차 등은 "불매공어택(不昧公御好み)"으로 현재에도 전해지고 있다.

2. 4. 말년과 죽음

1806년(분카 3년) 3월 11일, 장남 나리츠네에게 가독을 양위하고 은거하였으며, 1818년(분세이 원년) 4월 24일(음력)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묘소는 마쓰에 시의 겟쇼지이다.[9]

3. 인물 및 일화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뛰어난 다인(茶人)이자 문화 애호가였다. 석주류(石州流) 다도와 참선 수행을 쌓았으며, 은퇴 후에는 무문관(無門関)의 공안 "백장야호(百丈野狐)"에서 따온 "불매(不昧)"라는 호를 사용했다.[10] 그는 와비차의 이념을 담은 『체언(贅言)』, 다기(茶器)에 관한 저서 『고금명물류종(古今名物類従)』, 『세토도기난상(瀬戸陶器濫觴)』 등을 남겼다.[11]

하루사토는 차실(茶室) 건축에도 관심을 기울여, 스가다암(菅田菴)(1790년 건립, 중요문화재)과 시오미나와테(塩見縄手)의 메이메이안(明々庵)(1779년 건립) 등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또한 다도에 필요한 화과자 발달에도 기여하여, 마쓰에에는 그가 다인으로 활약함에 따라 명품 화과자가 많이 탄생했다. 이 때문에 마쓰에 지방에서는 전차(煎茶)도가 발달했으며, 오늘날에도 술잔 모양의 찻잔으로 차를 마시는 풍습이 남아있다.

하루사토는 고향의 미술 진흥에도 힘써 고지마 시쓰코사이(小島漆壺斎)(칠공예), 고바야시 요데이(小林如泥)(목공예), 가쿠산가마(楽山窯)의 나가오카 주에몬 사다마사(長岡住右衛門貞政)와 나가오카 주에몬 쿠사이(長岡住右衛門空斎), 후시나가마(布志名窯)의 쓰치야 젠시로 호우호우(土屋善四郎芳方)와 쓰치야 젠시로 마사호우(土屋善四郎政芳), 나가하라 요조 준무쓰(永原与蔵順睦) 등 뛰어난 장인들을 육성했다.[12]

그가 수집한 다기 명품, 야마가와(山川), 와카쿠사(若草), 나타네노사토(菜種の里) 등의 명과, 정원, 마쓰에 명물 보테보테차 등은 "불매공어택(不昧公御好み)"으로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마쓰에시가 오늘날 문화 도시로 평가받는 것은 하루사토의 공적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하루사토가 수집한 도구 목록은 "운슈조장(雲州蔵帳)"이라고 불린다.[13]

하루사토는 무예에도 능하여 마쓰에번의 어류(御流儀)인 부덴류 이아이(不伝流居相)(이아이)를 익히고 새로운 기교를 더했다. 스모 애호가로도 알려져, 유명한 강호 역사 라이덴 타메우에몬(雷電爲右エ門)을 사분(士分)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금붕어를 매우 사랑하여, 방 천장에 유리를 붙이고 누워서 금붕어를 감상하거나, 금붕어 색깔 변화의 비법을 알아내기 위해 번사를 타국에 파견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마쓰에번에서 개발되어 번성했던 금붕어 이즈모 난킨은 하루사토가 사랑한 금붕어로 추정되며, 현재 시마네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하루사토는 재정 재건에 성공했지만, 다기 수집에 과도한 비용을 지출하여 번 재정을 다시 악화시켰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일설에는 막부의 경계를 피하기 위해 일부러 방탕한 생활을 연기했다는 주장도 있다. 에치젠 마쓰다이라가 계통은 친번의 영웅으로 존중받는 동시에, 과거의 경위로 인해 막부에게 항상 경계받았기 때문이다.

4. 평가 및 영향

메이지 유신 이후 하루사토는 마쓰에 번 부흥의 영웅이자 다인(茶人)으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1931년(쇼와 6년)에는 마쓰에 시 덴초에 있는 마쓰에 신사에 초대 번주인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등과 함께 합사되었다.[14]

4. 1. 마쓰에 지역에 끼친 영향

하루사토는 고향의 미술 진흥에 힘썼고, 많은 장인을 육성했다. 칠공예에서는 고지마 시쓰코사이(小島漆壺斎), 목공예에서는 고바야시 요데이(小林如泥), 도공에서는 가쿠산가마(楽山窯)의 나가오카 주에몬 사다마사(長岡住右衛門貞政), 2대 나가오카 주에몬 쿠사이(長岡住右衛門空斎), 후시나가마(布志名窯)의 쓰치야 젠시로 호우호우(土屋善四郎芳方), 2대 쓰치야 젠시로 마사호우(土屋善四郎政芳), 나가하라 요조 준무쓰(永原与蔵順睦) 등이 그의 지도와 보호 아래 성장한 명공들이다.[12]

하루사토가 수집한 다기 명품, 야마가와(山川), 와카쿠사(若草), 나타네노사토(菜種の里) 등의 명과, 정원, 마쓰에 명물 보테보테차 등은 "불매공어택(不昧公御好み)"으로 현재에도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마쓰에시가 오늘날에도 문화 도시로 평가받는 토대는 하루사토의 공적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4. 2. 사후 평가

메이지 유신 이후 하루사토는 마쓰에 번 부흥의 영웅이자 다인(茶人)으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마쓰에 시 덴초에 있는 마쓰에 신사에 초대 번주인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등과 함께 1931년(쇼와 6년)에 합사되었다. 마쓰에 시는 서거 200주년인 2018년부터 "불매공(不昧公) 200년제"로 기념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2017년에 기일인 4월 24일을 "다도의 날"로 정했다.[14]

5. 가계도

관계이름
마쓰다이라 무네타네
우타기(歌木) - 오오모리씨(大森氏)
정실호코(方子) - 세이히메(せい姫), 다테 무네무라의 아홉째 딸
측실무카이씨(武井氏)
장남마쓰다이라 나리츠네
생모 불명, 남자묘(某) - 요절
생모 불명, 여자도미(富) - 시마즈 나리오키 약혼자
생모 불명, 여자이쿠센(幾千) - 켄에인(謙映院), 호리타 마사요시의 계실
양자오카다 요시카타 - 구세 미치쿠의 여섯째 아들


6. 관련 전시회


  • 松江藩主松平治郷の藩政改革―見事な改革の成功―일본어
  • * 기간: 2018년 9월 7일 ~ 11월 4일
  • * 장소: 마쓰에 역사관
  • * 도록 있음[15]

참조

[1] 서적 Japanese Tea Culture: Art, History, and Practice Routledge
[2] 서적 Genshoku Chado Daijiten [Color Chado Encyclopedia] Tankosha
[3] 서적 Genshoku Chado Daijiten
[4] 간행물 Matsudaira Fumai: The Creation of a New World of Chanoyu
[5] 간행물 Matsudaira Fumai: The Creation of a New World of Chanoyu
[6] 간행물 Matsudaira Fumai: The Creation of a New World of Chanoyu
[7] 서적 Genshoku Chado Daijiten
[8] 서적 Genshoku Chadō Daijiten
[9] 논문
[10] 서적 禅茶とその美 ぺりかん社
[11] 웹사이트 大名茶人 松平不昧公 http://ww2.sanin-chu[...] 2018-12-21
[12] 간행물 出雲の茶碗師たち 淡交社 1992-02
[13] 웹사이트 2024-05-12
[14] 뉴스 4月24日は「茶の湯の日」記念事業ロゴマーク決定 http://www.sanin-chu[...] 2017-08-04
[15] 웹사이트 <企画展>松江藩主松平治郷の藩政改革-御立派の改革の成功- https://matsu-reki.j[...] 松江市立松江歴史館 2024-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