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이 겐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이 겐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골키퍼 포지션에서 활동했다. 주빌로 이와타, 교토 상가 FC(임대), 세레소 오사카, 도쿠시마 보르티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오미야 아르디자, 미토 홀리호크,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등 일본의 여러 프로 축구팀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23년에는 대만의 타이중 푸투로에서 뛰었다. 2005년 FIFA U-20 청소년 월드컵, 2006년 아시안 게임, 2007년 베이징 올림픽 예선 등 일본 U-20, U-21, U-22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 - 스가누마 슌야
    스가누마 슌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이며, 감바 오사카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을 거쳐 활약했고,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와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일본 대표팀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타이완 풋볼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 - 요코야마 쇼헤이
    요코야마 쇼헤이는 마에바시 이쿠에이 고등학교를 거쳐 2012년 더스파쿠사츠 군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J리그 U-22 선발, FC 마치다 젤비아 등을 거쳐 2021년부터 타이중 Futuro에서 뛰고 있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타이중 푸투로 FC의 축구 선수 - 스가누마 슌야
    스가누마 슌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이며, 감바 오사카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을 거쳐 활약했고,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와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일본 대표팀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타이중 푸투로 FC의 축구 선수 - 요코야마 쇼헤이
    요코야마 쇼헤이는 마에바시 이쿠에이 고등학교를 거쳐 2012년 더스파쿠사츠 군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J리그 U-22 선발, FC 마치다 젤비아 등을 거쳐 2021년부터 타이중 Futuro에서 뛰고 있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대만의 외국인 남자 축구 선수 - 스가누마 슌야
    스가누마 슌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이며, 감바 오사카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을 거쳐 활약했고,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와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일본 대표팀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대만의 외국인 남자 축구 선수 - 요코야마 쇼헤이
    요코야마 쇼헤이는 마에바시 이쿠에이 고등학교를 거쳐 2012년 더스파쿠사츠 군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J리그 U-22 선발, FC 마치다 젤비아 등을 거쳐 2021년부터 타이중 Futuro에서 뛰고 있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마쓰이 겐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마쓰이 겐야
출생일1985년 9월 10일
출생지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신장187cm
포지션골키퍼
등번호50
利き발오른발
애칭마츠켄, 겐야
유소년 경력
1995-1997조호쿠 초등학교 야마하 주빌로 SS 가케가와
1998-2000기타 중학교 주빌로 가케가와 Jr. 유스
2001-2003이와타 키타 고등학교 주빌로 이와타 유스
클럽 경력
2004-2008주빌로 이와타 (2경기 0골)
2009교토 상가 (임대) (1경기 0골)
2010-2012세레소 오사카 (15경기 0골)
2013-2014도쿠시마 보르티스 (임대, 36경기 0골, 6경기 0골)
2015가와사키 프론탈레 (0경기 0골)
2016-2017오미야 아르디자 (5경기 0골)
2018-2020미토 홀리호크 (86경기 0골)
2021세레소 오사카 (0경기 0골)
2022블라우블리츠 아키타 (0경기 0골)
2023-현재타이중 푸투로 (12경기 0골)
총 출장 / 득점163경기 0골
국가대표 경력
2005(0경기 0골)
수상
주빌로 이와타천황배 우승 (2004년)
AFC U-19 챔피언십우승 (2004년, 말레이시아)

2. 선수 경력

마쓰이 겐야는 초등학교 4학년 때 축구를 시작하여 야마하 주빌로 축구 스쿨 가케가와 유스를 거쳐 주빌로 이와타 1군으로 승격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U-18, U-22 등 연령별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니시카와 슈사쿠, 야마모토 가이토 등과의 경쟁으로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프로 초기 주빌로 이와타에서는 일본 대표팀 주전 골키퍼 가와구치 요시키와 베테랑 사토 요헤이에 밀려 주로 벤치를 지켰고, 컵 대회 위주로 출전 기회를 얻었다. 이후 2009년 교토 상가 FC 임대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을 거쳤다. 2010년부터 세레소 오사카에서 뛰며 김진현의 백업 역할을 했고, 2013년에는 도쿠시마 보르티스로 임대 이적하여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J1 승격에 기여한 뒤 완전 이적했다[4][5].

이후 가와사키 프론탈레[6], 오미야 아르디자[8]를 거쳐 2018년부터 미토 홀리호크에서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2019년 팀의 역대 최고 성적인 리그 7위 달성에 기여했다[11]. 2021년에는 친정팀 세레소 오사카로 복귀했으나[13] 다시 김진현의 백업이었고, AFC 챔피언스 리그 1경기에 출전한 후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14]. 2022년에는 블라우블리츠 아키타로 이적했으나[16]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고, 2023년부터는 대만 사회인 갑급 축구 리그의 타이중 푸투로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18].

국가대표로서는 2005년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하는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니시카와 슈사쿠에 밀려 후보 골키퍼였기 때문에 대회에서 실제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2. 1. 클럽 경력

[2][3]

클럽 통산리그리그 컵대륙기타1합계
시즌클럽리그출장출장출장출장출장출장
일본리그천황배J.리그컵아시아기타1합계
2004주빌로 이와타J1리그10000000-10
200500000000-00
2006000040--50
2007001020--30
2008102050--80
2009교토 상가 FC (임대)100000--10
2010세레소 오사카1502010--180
201100200000-20
2012004030--70
2013도쿠시마 보르티스 (임대)J2리그36010--20390
2014도쿠시마 보르티스J1리그600010--70
2015가와사키 프론탈레000000--00
2016오미야 아르디자002010--30
2017500020--70
2018미토 홀리호크J2리그29000---290
201936000---360
2020210----210
2021세레소 오사카J1리그0000-10-10
2022블라우블리츠 아키타J2리그0000---00
통산151014020010201880

1J1 승격 플레이오프 포함

기간소속팀비고
1995년 - 1997년야마하 주빌로 SS 카케가와카케가와 시립 조호쿠 초등학교
1998년 - 2000년주빌로 카케가와 주니어 유스카케가와 시립 키타 중학교
2001년 - 2003년주빌로 이와타 유스시즈오카 현립 이와타키타 고등학교
2004년 - 2009년주빌로 이와타
2009년교토 상가 FC임대
2010년 - 2013년세레소 오사카
2013년도쿠시마 보르티스임대
2014년도쿠시마 보르티스
2015년가와사키 프론탈레
2016년 - 2017년오미야 아르디자
2018년 - 2020년미토 홀리호크
2021년세레소 오사카
2022년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023년 -타이중 Futuro


2. 1. 1. 초기 경력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축구를 시작했으며, 야마하 주빌로 축구 스쿨 가케가와 유스를 거쳐 주빌로 이와타 1군으로 승격했다. U-18과 U-22 등 각 연령별 일본 대표팀에서는 동갑내기인 니시카와 슈사쿠, 야마모토 가이토 등과 포지션 경쟁을 벌였지만,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주빌로 이와타 시절에는 일본 대표팀 주전 골키퍼인 가와구치 요시키와 경험 많은 사토 요헤이의 존재로 인해 벤치를 지키는 시간이 길었다. 그러나 2006년, 가와구치의 대표팀 차출과 사토의 부상으로 인한 장기 이탈 공백을 메우며 나비스코 컵에서 골문을 지켰다. 이후에도 주로 컵 대회에서 출전 기회를 얻었으나, 리그전에서는 가와구치의 벽을 넘지 못해 출전 기회가 거의 없었다. 2008년 가와구치가 부상으로 이탈했을 때도, 그의 자리는 한 학년 아래인 핫타 나오키가 대신했다.

2009년에는 교토 상가 FC로 임대 이적했지만, 주전 골키퍼 미즈타니 유이치의 부상 퇴장으로 교체 출전한 1경기가 유일한 기록이었다.

2010년에는 세레소 오사카로 완전 이적했다. 이적 첫해에는 대한민국 국가대표인 김진현의 백업 역할을 맡았으나, 김진현이 출장 정지 및 부상으로 결장하는 동안 골문을 지켰다. 이 해 리그 15경기에 출전(개인 최다)하여 팀의 3위 달성에 기여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다시 김진현의 백업으로 밀려나며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다.

2013년에는 도쿠시마 보르티스로 임대 이적하여[4]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팀의 J1 승격에 기여했고, 2014년에는 도쿠시마로 완전 이적했다[5]. 그러나 J1 리그에서는 하세가와 토오루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고, 팀 역시 1년 만에 J2 리그로 강등되었다.

2015년 1월 6일,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완전 이적했다[6]. 하지만 니시부 요헤이, 아라이 쇼타에 이어 팀 내 세 번째 골키퍼로 분류되어 출전 기회를 전혀 얻지 못했고, 같은 해 11월 30일에 계약 만료 통보를 받았다[7].

2016년 1월 6일, 오미야 아르디자로 완전 이적했다[8]. 이적 초기에는 세 번째 골키퍼였으나, 2017년 시즌 중반 주전 골키퍼 가토 요시아키와 두 번째 골키퍼였던 시오타 히토시를 제치고 잠시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다시 가토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2017년 12월 2일,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고[9], 이후 J리그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했다[10].

12월 29일, 가사하라 코시와 자리를 맞바꾸는 형태로 미토 홀리호크로 완전 이적했다[11]. 이적 후 오랫동안 팀의 주전 골키퍼였던 혼마 코지를 밀어내고 주전 자리를 확보했다. 특히 2019년에는 시즌 마지막까지 승격 경쟁을 벌이며 팀이 역대 최고 성적인 7위를 기록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20년 12월 21일,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12].

2021년 1월 8일, 9년 만에 친정팀인 세레소 오사카로 복귀했다[13]. 시즌 개막부터 주전 골키퍼 김진현의 백업으로 꾸준히 명단에 포함되었고, 6월 30일 AFC 챔피언스 리그 2021 조별 리그 3차전 포트 FC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했다[14]. 하지만 여름 이적 시장에서 베트남 대표 당 반 람이 합류하자 세 번째 골키퍼로 밀려났고, 이후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한 채 시즌 종료 후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14]. 당시 주전 경쟁 상대였던 김진현은 인터뷰에서 마쓰이를 높이 평가하며 "(마쓰이) 겐야 선수도 매우 훌륭한 골키퍼이고, 좋은 준비를 하는 가운데, 제가 경기에 계속 출전하고 있다는 것은, 겐야 선수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것. 팀 동료로서 배려도 하고 있고, 겐야 선수가 나와도, 저 이상의 플레이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경기에 출전하고 싶다는) 겐야 선수의 마음에도 부응해야겠다는 마음도 있습니다"[15]라고 말했다.

2022년 1월 7일, 브라우블리츠 아키타로 완전 이적했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거의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고 벤치에서 2경기를 지켜본 것이 전부였으며, 결국 1년 만에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16]. 같은 해 11월 29일, 칸세키 스타디움 토치기에서 열린 J리그 합동 트라이아웃에 다시 참가했다[17].

2023년 3월 22일, 대만 사회인 갑급 축구 리그의 타이중 푸투로로 이적이 발표되었다[18].

2. 1. 2. 주빌로 이와타 (2004-2009)

초등학교 4학년 때 축구를 시작하여 야마하 주빌로 축구 스쿨 가케가와 유스를 거쳐 주빌로 이와타 1군으로 승격했다. U-18, U-22 등 연령별 일본 대표팀에서는 동갑내기인 니시카와 슈사쿠, 야마모토 가이토 등과 경쟁했으나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주빌로 이와타 시절에는 당시 일본 대표팀 주전 골키퍼였던 가와구치 요시키와 베테랑 사토 요헤이의 존재로 인해 벤치를 지키는 시간이 길었다. 그러나 2006년, 가와구치의 대표팀 차출과 사토의 부상으로 인한 장기 이탈이 겹치면서 나비스코 컵에서 출전 기회를 얻었다. 이후에도 주로 컵 대회에 출전했으나, 리그전에서는 가와구치의 벽을 넘지 못해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2008년 가와구치가 부상으로 이탈했을 때도, 주전 자리는 한 학년 아래인 핫타 나오키에게 돌아갔다.

2009년에는 교토 상가 FC로 임대 이적했지만, 주전 골키퍼였던 미즈타니 유이치가 부상으로 교체되어 투입된 1경기 출전에 그쳤다.

2. 1. 3. 교토 상가 FC (2009, 임대)

2009년에는 교토 상가 FC로 임대 이적했지만, 주전 골키퍼 미즈타니 유이치의 부상 퇴장으로 인해 중간에 교체 투입되어 1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다.

2. 1. 4. 세레소 오사카 (2010-2013)

2010년 교토 상가 FC에서의 임대 이적을 마치고 세레소 오사카로 완전 이적했다. 당시 세레소 오사카의 주전 골키퍼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되는 김진현이었기 때문에, 마쓰이는 주로 백업 역할을 맡았다.

2010년 시즌, 김진현이 출장 정지로 결장한 개막 2경기와 부상으로 빠졌을 때 대신 골문을 지켰다. 이 해 리그전에서 개인 한 시즌 최다인 15경기에 출전하며 팀이 리그 3위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 그 후에도 김진현의 백업을 맡았지만, 이후 출전 기회는 거의 없었다.

2. 1. 5. 도쿠시마 보르티스 (2013-2014)

2013년, 도쿠시마 보르티스로 임대 이적하여[4]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팀의 J1 승격에 기여했다. 이듬해인 2014년에는 도쿠시마 보르티스로 완전 이적했다.[5] 그러나 J1 리그에서는 하세가와 토오루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렸고, 팀 또한 1년 만에 J2로 강등되는 아쉬움을 겪었다.

2. 1. 6. 가와사키 프론탈레 (2015)

2015년 1월 6일,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완전 이적이 발표되었다[6]. 하지만 팀 내에서 니시부 요헤이, 아라이 쇼타에 이은 세 번째 골키퍼로 평가받아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고, 같은 해 11월 30일에 계약 만료가 발표되었다[7].

2. 1. 7. 오미야 아르디자 (2016-2017)

2016년 1월 6일, 오미야 아르디자로 완전 이적이 발표되었다[8].

이적 초기에는 팀 내 세 번째 골키퍼로 여겨졌으나, 2017년 시즌 중반에는 당시 주전 골키퍼였던 가토 요시아키와 두 번째 골키퍼였던 시오타 히토시를 제치고 잠시 주전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다시 가토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결국 2017년 12월 2일,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9]. 이후 J리그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하며 새로운 팀을 모색했다[10].

2. 1. 8. 미토 홀리호크 (2018-2020)

2017년 12월 29일, 가사하라 코시와 교체되는 형태로 미토 홀리호크로 완전 이적했다[11]. 이적 후, 팀의 오랜 주전 골키퍼였던 혼마 코지를 제치고 주전 자리를 확보했다. 2019년에는 시즌 마지막까지 승격 경쟁을 벌이며 팀이 역대 최고 성적인 7위를 기록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20년 12월 21일,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12].

2. 1. 9. 세레소 오사카 복귀 (2021)

2021년1월 8일, 친정팀인 세레소 오사카로 9시즌 만에 복귀했다.[13] 시즌 개막부터 주전 골키퍼 김진현의 백업 역할을 맡으며 꾸준히 경기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6월 30일 열린 AFC 챔피언스 리그 2021 조별 리그 3차전 포트 FC와의 경기에서는 선발로 출전하기도 했다.[14] 하지만 여름 이적 시장에서 베트남 국가대표 골키퍼 당 반 람이 팀에 합류하면서 세 번째 골키퍼로 밀려났다. 이후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고, 시즌 종료 후 계약 만료가 발표되었다.[14] 2010년부터 2012년, 그리고 2021년 시즌에 주전 자리를 놓고 경쟁했던 김진현은 인터뷰에서 "(마쓰이) 겐야 선수도 매우 훌륭한 골키퍼이고, 좋은 준비를 하는 가운데 제가 경기에 계속 출전하고 있다는 것은 겐야 선수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팀 동료로서 배려도 하고 있고, 겐야 선수가 나와도 저 이상의 플레이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경기에 출전하고 싶다는) 겐야 선수의 마음에도 부응해야겠다는 마음도 있다"고 말하며 마쓰이에 대한 존중과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15]

2. 1. 10.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022)

2022년 1월 7일, 블라우블리츠 아키타로 완전 이적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아키타에서는 거의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으며, 2경기에서 벤치 멤버로 머무는 데 그쳤다. 결국 불과 1년 만에 계약 만료로 퇴단이 결정되었다[16]. 같은 해 11월 29일, 칸세키 스타디움 토치기에서 열린 J리그 합동 트라이아웃에 출전했다[17].

2. 1. 11. 타이중 푸투로 (2023-)

2023년 3월 22일, 대만 사회인 갑급 축구 리그의 타이중 푸투로로 이적이 발표되었다[18].

2. 2. 국가대표 경력

U-18, U-22 등 각 연령별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동갑내기인 니시카와 슈사쿠, 야마모토 가이토 등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려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2005년 6월에는 2005년 FIFA U-20 청소년 월드컵에 참가하는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그러나 당시 주전 골키퍼는 니시카와 슈사쿠였고, 마쓰이는 후보 골키퍼였기 때문에 대회에서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3. 경기 기록

2022년 1월 7일 기준 기록이다.[2][3]

3. 1. 클럽 기록

연도클럽등번호리그J1리그리그컵천황배합계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2004이와타21J110000010
20053100000000
200600500050
200700201030
20082110502080
2009교토3010000010
2010C 오사카11501020180
201100002020
201200304070
2013도쿠시마J2360-10370
2014J160100070
2015가와사키00000000
2016오미야5000102030
201750200070
2018미토J2290-00290
2019360-00360
2020210--210
2021C 오사카J100000000
2022아키타41J200-0000
통산 (J1)290200130620
통산 (J2)1220-101230
총 통산15102001401850



'''기타 공식전'''


  • 2013년
  • * J1 승격 플레이오프 2경기 0득점


연도클럽등번호대회ACL
출장득점
2011C 오사카1ACL00
20215010
통산AFC 챔피언스리그10


  • 2004년 11월 28일 - 프로 데뷔(J리그)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전 (이치하라 린카이 경기장)

참조

[2] 서적 "J1&J2&J3選手名鑑ハンディ版 2018 (NSK MOOK)" https://www.amazon.c[...] Nippon Sports Kikaku Publishing inc./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2018-02-07
[3] 서적 "2016J1&J2&J3選手名鑑" https://www.amazon.c[...] Nippon Sports Kikaku Publishing inc./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2016-02-10
[4] 뉴스 松井 謙弥選手 期限付き移籍にて加入決定のお知らせ http://www.vortis.jp[...] 徳島ヴォルティス 2013-01-11
[5] 뉴스 松井 謙弥選手 完全移籍にて加入決定のお知らせ http://www.vortis.jp[...]
[6] 뉴스 松井謙弥選手加入のお知らせ http://www.frontale.[...] 川崎フロンターレ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5-01-07
[7] 웹사이트 契約満了選手のお知らせ http://www.frontale.[...] 川崎フロンターレ 2015-11-30
[8] 뉴스 川崎フロンターレ 松井 謙弥選手 大宮アルディージャ加入のお知らせ http://www.ardija.co[...]
[9] 뉴스 松井謙弥 選手 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www.ardija.co[...] 大宮アルディージャ 2017-12-02
[10] 웹사이트 【一覧リスト】2017「Jリーグトライアウト」に107人参加 FW21人、MF40人、DF34人、GK12人に https://www.football[...] football-zone 2017
[11] 뉴스 松井 謙弥選手 大宮アルディーシャより完全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www.mito-holl[...] 水戸ホーリーホック 2017-12-29
[12] 뉴스 松井謙弥選手 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s://www.mito-hol[...] 水戸ホーリーホック 2020-12-21
[13] 뉴스 松井謙弥選手 完全移籍で入のお知らせ https://www.cerezo.j[...] セレッソ大阪 2021-01-08
[14] 뉴스 C大阪に9年ぶり復帰のGK松井謙弥が契約満了…今季35歳でACLデビュー https://web.gekisaka[...] ゲキサカ 2021-12-13
[15] 웹사이트 【10/27 名古屋戦】Match Preview https://www.cerezo.j[...] C・大阪 2022-10-26
[16] 웹사이트 GK41 松井謙弥選手 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s://blaublitz.jp[...] 2022-10-24
[17] 웹사이트 【一覧】サッカー選手会がトライアウト 2日目実施 鳥栖・板橋、湯沢、清水・栗原ら参加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11-29
[18] 웹사이트 松井謙弥選手 台中Futuro(台湾)へ移籍決定のお知らせ https://blaublitz.jp[...] 2023-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